KR101121469B1 -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 Google Patents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469B1
KR101121469B1 KR1020100030169A KR20100030169A KR101121469B1 KR 101121469 B1 KR101121469 B1 KR 101121469B1 KR 1020100030169 A KR1020100030169 A KR 1020100030169A KR 20100030169 A KR20100030169 A KR 20100030169A KR 101121469 B1 KR101121469 B1 KR 10112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creen
turning
inner ca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893A (ko
Inventor
김승섭
Original Assignee
김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섭 filed Critical 김승섭
Priority to KR102010003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46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6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initial opening or unauthorised access being indicated by a visual change using indicators other than tearable means, e.g. change of colour, pattern or opac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고가(高價)의 주류 용기에 있어, 캡의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캡의 개봉 전(前)임을 나타내는 식별 스크린이 감추어지게 함으로써 캡의 최초개봉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용기 입구에 체결된 마개와 결합되는 내부캡; 접착부와 비(非)접착부를 갖고, 상기 접착부가 상기 내부캡 외벽에 고정되는 스크린; 상기 내부캡을 위한 수용몸체, 그리고 이와 연결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의 비(非)접착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한 후 상기 수용몸체 외주면을 감싸게 되는 하이더; 및 상기 하이더가 비(非)노출되게 가리되, 상기 스크린을 위한 투시형 외부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상기 하이더의 선회 동작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비(非)접착부가 상기 내부캡과 상기 하이더 사이로 감추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캡의 미개봉 시 가시적으로 드러나 있던 스크린이 개봉을 위한 선회 동작 시 하이더에 의해 은폐됨으로써 캡의 최초개봉 여부를 더욱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Safety Cap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본 발명은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식별 스크린이 감추어지게 함으로써 캡의 최초개봉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입구를 막아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캡 중, 특히 고가(高價)의 주류 용기에 사용되는 위조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0-0417222호(2006.05.18.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한다.) 『위조방지용 안전 캡』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및 하부 걸림돌기(113)를 갖는 제1원통몸체(111), 그리고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톱니형 돌출턱(112)을 갖는 상면커버(111a)를 포함하는 제1내캡(110); 상기 제1내캡(110) 제1원통몸체(111)의 삽입을 위한 관통중공을 갖는 제2원통몸체(121), 상기 제2원통몸체(121) 상단면에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 톱니형 걸림턱(122), 상기 제2원통몸체(121) 하측단부에 원주의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돌출리브(123), 그리고 상기 돌출리브(123) 상면에 상기 제1내캡(110)의 걸림돌기(113)에 매칭되게 한 상향 돌출구조의 회전규제돌기(124)를 포함하는 제2내캡; 및 상기 제1 및 제2 내캡을 덮는 외캡(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한번 사용한 캡의 좌우 회전을 규제토록 하여 구성요소의 위치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캡의 재활용 및 위조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캡의 최초개봉 여부의 판별을 위하여 제1원통몸체(111)의 외주면에 상태표시라벨(114)을 부착하고, 제2원통몸체(121)에 상기 상태표시라벨(114)의 문자가 표시되도록 투명표시창(126)을 형성함으로써 문자 표시에 의한 사용상태의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상태표시라벨(114) 및 상기 투명표시창(126)의 시인성(視認性) 및 식별성(識別性)이 떨어져 판별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은,
용기 입구에 체결된 마개와 결합되는 내부캡;
접착부와 비(非)접착부를 갖고, 상기 접착부가 상기 내부캡 외벽에 고정되는 스크린;
상기 내부캡을 위한 수용몸체, 그리고 이와 연결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의 비(非)접착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한 후 상기 수용몸체 외주면을 감싸게 되는 하이더; 및
상기 하이더가 비(非)노출되게 가리되, 상기 스크린을 위한 투시형 외부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상기 하이더의 선회 동작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비(非)접착부가 상기 내부캡과 상기 하이더 사이로 감추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더의 외주면에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의 비(非)접착부가 상기 내부캡과 상기 하이더 사이로 감추어짐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부캡은 상부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에는
RF안테나 및 RF칩으로 이루어진 RFID태그가 상부면에 부착된 고정디스크, 그리고
상기 RFID태그의 커팅을 위한 복수의 하부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하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디스크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팅디스크
가 구비되어,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상기 하이더를 따라 선회하는 상기 커팅디스크에 의해 상기 RFID태그의 RF칩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캡은 하부 스토퍼, 그리고 외주면에 슬로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더는 내주면에 상기 내부캡의 슬로프와 맞물리는 클라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캡은 상부 걸림부를 갖는 하부 서포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상기 외부캡과 상기 하이더는 상기 클라임이 비(非)선회하는 내부캡의 슬로프를 타고 넘어가는 동작에 의해서 선회하다가 상기 스토퍼에 상기 걸림부가 걸리어 정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스크린의 비(非)접착부는 상기 내부캡과 상기 하이더 사이로 완전히 감추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은,
캡의 미개봉 시 가시적으로 드러나 있던 스크린이 개봉을 위한 선회 동작 시 하이더에 의해 은폐됨으로써 캡의 최초개봉 여부를 더욱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이 은폐됨에 따라 발현(發現)하게 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캡의 개봉 여부를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RFID태그가 내장되되, 개봉을 위한 선회 동작 시 이 RFID태그의 RF안테나와 RF칩이 상호 분리됨으로써, RF리더기를 통해 캡의 최초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캡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이 결합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이 감추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이하, '캡'이라고 한다)은 크게 내부캡(300), 스크린(400), 하이더(500) 및 외부캡(60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내부캡(300)은 용기(10) 입구(11)에 체결된 마개(2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개(20)가 수용 결합되는 하부 개구부(310),
상부에 요입된 형상의 수용부(320),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슬로프(slope, 330), 그리고
저면에 돌출형성된 하부 스토퍼(3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310)는 이에 수용 결합된 마개(20)와의 결합이 가능하고 또 결합된 상태에서 마개(20)와 함께 선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개(20)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수직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310)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수직결합부(21)와 암수(雌雄) 결합되는 대응수직결합부(3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로프(330)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상기 스크린(400)은 캡의 최초개봉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부(410)와 비(非)접착부(420)를 갖고, 상기 접착부(410)가 상기 내부캡(300) 외벽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스크린(400)은 띠 형상의 두 분체(分體)(400a, 400b)로 이루어져 각 접착부(410)가 상호 대향(對向) 되도록 상기 내부캡(300) 외벽에 고정된다.
상기 스크린(400)은 시인성(視認性)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광시트, 고휘도반사시트 및 홀로그램시트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면에 브랜드 및 캡의 최초개봉 여부를 나타내는 문자(430)나 그림 따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더(hider, 500)는 상기 내부캡(300)에 씌워지는 것으로서,
상부 고정판(510),
상기 내부캡(300)을 위한 내부 수용몸체(520),
상기 수용몸체(520)와 연결된 슬릿(530), 그리고
내주면에 상기 내부캡(300)의 슬로프(330)와 맞물리는 클라임(climb, 5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내부캡(300)과의 결합 시 상기 스크린(400)의 비(非)접착부(420)가 상기 슬릿(530)을 통과한 후 상기 수용몸체(52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결국, 상기 스크린(400)은 상기 하이더(500)에 의하여 캡의 개봉을 위한 선회동작 시 상기 비(非)접착부(420)가 상기 내부캡(300)과 상기 하이더(500) 사이로 감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510)은 후술될 외부캡(600)의 회전력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팔각형태를 갖고,
상기 클라임(540)은 상기 내부캡(300)의 슬로프(330)와는 반대 반향으로 경사진 형태이어서 상기 슬로프(330)와 맞물려 래칫(ratchet)기어 형태를 이룬다.
한편, 상기 하이더(500)에는 디스플레이부(9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90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이더(50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캡의 미개봉 시 상기 스크린(400)의 비(非)접착부(420)에 의해 가려져 있다가, 캡의 개봉 시 상기 스크린(400)의 비(非)접착부(420)가 상기 내부캡(300)과 상기 하이더(500) 사이로 감추어짐에 따라 드러나게 된다.
결국, 상기 스크린(400)은 캡이 최초개봉 전(前)임을 나타내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900)는 캡이 최초개봉 후(後)임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900)는 상기 스크린(400)과 같이 형광시트, 고휘도반사시트 및 홀로그램시트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상기 스크린(400)과 뚜렷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이와 상호 대비(對比)되는 색채 및 모양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캡(600)은 상기 하이더(500)에 씌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하이더(500)를 위한 내부 수용부(610), 그리고
상부 걸림부(621)를 갖고, 상기 수용부(610) 하부에 결합되는 서포터(6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캡(600)은 상기 스크린(4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900)의 투시(透視)를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불투명하게 제작될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4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900)를 위한 별도의 투시창(미도시)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610)는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하이더(500)의 고정판(510)과 대응되는 팔각형태를 이루며, 이의 하부에는 상기 서포터(620)의 결합을 위한 고정홈(611)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620)는 환형(環形)을 이루되, 외주면이 상기 수용부(610)에 대응되는 팔각형태이며, 이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홈(611)에 걸리게 되는 고정돌기(6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621)는 상기 내부캡(300)의 스토퍼(340)가 내재(內在)될 수 있도록 홈 형태를 가지며, 이 홈은 상기 외부캡(600)이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80도 정도 선회 후 상기 스토퍼(340)에 걸려 정지될 수 있을 정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결국, 상기 외부캡(600)과 상기 하이더(500)는 상기 클라임(540)이 비(非)선회하는 상기 내부캡(300)의 슬로프(330)를 타고 넘어가는 동작에 의해 대략 180도 정도 선회하다가 상기 내부캡(300)의 스토퍼(340)에 상기 서포터(620)의 걸림부(621)가 걸리어 정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스크린(400)에서 두 분체(400a, 400b)의 비(非)접착부(420)는 상기 내부캡(300)과 상기 하이더(500) 사이로 완전히 감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스크린(400)이 감추어지는 과정이 도 6에 도시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스크린(400)이 하이더(500)의 외주면을 감싸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 6(b)는 상기 외부캡(600) 및 하이더(500)가 대략 90도 정도 선회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때 상기 스크린(400)이 감추어지면서 디스플레이부(900)가 드러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c)는 상기 외부캡(600) 및 하이더(500)가 대략 180도 정도 선회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결국 상기 스크린(400)이 완전히 감추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부(900)가 완전하게 노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상기 외부캡(600)을 더욱 강한 힘으로 선회시키게 되면, 상기 외부캡(600)의 회전력이 상기 스토퍼(340)를 통해 상기 내부캡(300)으로 전달되고, 이때 상기 마개(20)는 상기 수직결합부(21)와 대응수직결합부(311)에 의해 상기 내부캡(300)과 함께 선회되면서 용기(10) 입구(11)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부캡(300)의 수용부(320)에는
RF안테나(711) 및 RF칩(712)으로 이루어진 RFID태그(710)가 상부면에 부착된 고정디스크(700), 그리고
상기 RFID태그(710)의 커팅을 위한 복수의 하부 블레이드(810)를 갖고, 상기 고정디스크(700)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팅디스크(800)
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디스크(700)는 하부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열된 복수의 제1결합부(7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캡(300)의 수용부(320)에는 상기 고정디스크(700)의 인접한 두 제1결합부(720) 사이에 이격 배열되는 제1대응결합부(321)가 형성되어 있어,
결국, 상기 인접한 두 제1결합부(720)가 이루는 각도 내에서 상기 고정디스크(700)의 제한된 선회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팅디스크(800)는 상부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열된 복수의 제2결합부(820)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하이더(500)의 고정판(510) 하부면에는 상기 커팅디스크(800)의 인접한 두 제2결합부(820) 사이에 이격 배열되는 제2대응결합부(511)가 형성되어 있어,
결국, 상기 인접한 두 제2결합부(820)가 이루는 각도 내에서 상기 커팅디스크(800)의 제한된 선회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선회하는 상기 커팅디스크(800)의 제2결합부(820)가 상기 제2대응결합부(511)와 맞닿아 정지하게 된 이후에는 상기 하이더(500)와 함께 강제 선회가 이루어지게 되어 두 블레이드(810) 사이에 위치한 RFID태그(710)의 RF칩(712)을 커팅 분리하여 RF안테나(711)로부터 RF칩(712)의 연결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RF리더기를 근접하게 위치시키더라도 RF칩(712)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없게 되므로 캡의 최초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어 용기(10) 내용물의 진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기
11 ; 입구
20 ; 마개
21 ; 수직결합부
300 ; 내부캡
310 ; 개구부
311 ; 대응수직결합부
320 ; 수용부
321 ; 제1대응결합부
330 ; 슬로프 340 ; 스토퍼
400 ; 스크린
410 ; 접착부 420 ; 비(非)접착부 430 ; 문자
500 ; 하이더
510 ; 고정판
511 ; 제2대응결합부
520 ; 수용몸체 530 ; 슬릿 540 ; 클라임
600 ; 외부캡
610 ; 수용부
611 ; 고정홈
620 ; 서포터
621 ; 걸림부 622 ; 고정돌기
700 ; 고정디스크
710 ; RFID태그
711 ; RF안테나 712 ; RF칩
720 ; 제1결합부
800 ; 커팅디스크
810 ; 블레이드 820 ; 제2결합부

Claims (4)

  1. 용기(10) 입구(11)에 체결된 마개(20)와 결합되는 내부캡(300);
    접착부(410)와 비(非)접착부(420)를 갖고, 상기 접착부(410)가 상기 내부캡(300) 외벽에 고정되는 스크린(400);
    상기 내부캡(300)을 위한 수용몸체(520), 그리고 이와 연결된 슬릿(530)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400)의 비(非)접착부(420)가 상기 슬릿(530)을 통과한 후 상기 수용몸체(520) 외주면을 감싸게 되는 하이더(500); 및
    상기 하이더(500)가 비(非)노출되게 가리되, 상기 스크린(400)을 위한 투시형 외부캡(6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상기 하이더(500)의 선회 동작에 의해 상기 스크린(400)의 비(非)접착부(420)가 상기 내부캡(300)과 상기 하이더(500) 사이로 감추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더(500)의 외주면에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400)의 비(非)접착부(420)가 상기 내부캡(300)과 상기 하이더(500) 사이로 감추어짐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디스플레이부(9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300)은 상부 수용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320)에는
    RF안테나(711) 및 RF칩(712)으로 이루어진 RFID태그(710)가 상부면에 부착된 고정디스크(700), 그리고
    상기 RFID태그(710)의 커팅을 위한 복수의 하부 블레이드(810)를 갖고, 상기 하이더(500)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디스크(700)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팅디스크(800)
    가 구비되어,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상기 하이더(500)를 따라 선회하는 상기 커팅디스크(800)에 의해 상기 RFID태그(710)의 RF칩(712)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300)은 하부 스토퍼(340), 그리고 외주면에 슬로프(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더(500)는 내주면에 상기 내부캡(300)의 슬로프(330)와 맞물리는 클라임(54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캡(600)은 상부 걸림부(621)를 갖는 하부 서포터(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봉을 위한 선회 시 상기 외부캡(600)과 상기 하이더(500)는 상기 클라임(540)이 비(非)선회하는 내부캡(300)의 슬로프(330)를 타고 넘어가는 동작에 의해서 선회하다가 상기 스토퍼(340)에 상기 걸림부(621)가 걸리어 정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스크린(400)의 비(非)접착부(420)가 상기 내부캡(300)과 상기 하이더(500) 사이로 완전히 감추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KR1020100030169A 2010-04-02 2010-04-02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KR10112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169A KR101121469B1 (ko) 2010-04-02 2010-04-02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169A KR101121469B1 (ko) 2010-04-02 2010-04-02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893A KR20110110893A (ko) 2011-10-10
KR101121469B1 true KR101121469B1 (ko) 2012-03-16

Family

ID=4502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169A KR101121469B1 (ko) 2010-04-02 2010-04-02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4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43Y1 (ko) 2009-08-13 2009-10-29 김승섭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43Y1 (ko) 2009-08-13 2009-10-29 김승섭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893A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4437A1 (en) Hinged closure device with first opening indicator
RU2663403C2 (ru) Защитная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ей
JP3182220U (ja) 偽造防止キャップ
WO2021063093A1 (zh) 一种用于防伪的检测样品采集容器
KR200446442Y1 (ko) 위조방지용 알에프아이디 안전 캡
EP2509878B1 (en) Can end with film insert
KR100967340B1 (ko) 알에프아이디 칩 파기형 병입상품 위조방지 장치
KR101121469B1 (ko)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KR101084494B1 (ko) 조립형 위조방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rfid가 내장된 위스키 마개용 표준화 캡
EP1660383B1 (en) Closure with an optical tamper indicator for alcoholic beverage bottles
KR101121467B1 (ko)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슬라이더 노출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EA011271B1 (ru) Защищенный от подделки материал с распределенным защищающим от подделки волокном, обладающий визуаль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которые не могут подделываться печатью
JP2011251716A (ja) マイクロ波処理容器用の複合蓋及びその上蓋
KR101105002B1 (ko) 병마개
KR101138257B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JP4447405B2 (ja) 開封識別容器
KR101067850B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100967163B1 (ko) 병마개
US2143508A (en) Receptacle indicator
GB2397294A (en) Tamper evident closure with image
KR20110002370U (ko) 위조방지용 캡
CN217674286U (zh) 瓶盖
CN212149959U (zh) 一种具有防伪结构的瓶盖
KR101084463B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101831269B1 (ko) 놀이용 카드 포장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