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233Y1 - 위생 젓가락 받침대 - Google Patents

위생 젓가락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233Y1
KR200446233Y1 KR2020070020396U KR20070020396U KR200446233Y1 KR 200446233 Y1 KR200446233 Y1 KR 200446233Y1 KR 2020070020396 U KR2020070020396 U KR 2020070020396U KR 20070020396 U KR20070020396 U KR 20070020396U KR 200446233 Y1 KR200446233 Y1 KR 200446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anitary
pedestal
cutlery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252U (ko
Inventor
이건홍
Original Assignee
이건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홍 filed Critical 이건홍
Priority to KR2020070020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23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2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적인 수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식당 등 불특정 다수인이 출입하는 대형업소와 단체 급식소 등에 사용되는 수저류, 특히 젓가락에 대하여 이용시의 소음을 줄이고 고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수저받침대에 비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위생적인 젓가락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고안이다.
그러므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젓가락의 전면부를 거치시키는 사다리 형상의 받침부와, 젓가락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후면지지부 및 사용 중 젓가락의 길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길이조정부를 두되, 젓가락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와 고정시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충격완화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한편, 받침대의 상면과 젓가락의 하중을 받는 상기 받침부의 좌, 우 경사면의 표면 등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일정한 두께의 폴리에틸렌 코팅처리를 함으로써 완성된다.
또한, 상기 수저 받침부에는 다수개가 적층되도록 할 수 있고, 삽입 가능한 구조의 코팅 처리된 이동용 수저받침부가 별도로 장착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회용 수저 받침대가 갖는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에 의하면, 기존의 종이 수저 받침대의 받침부와 길이 맞춤부에, 별도의 젓가락 유동방지부를 둠으로써, 식사중에 수저받침대의 이동으로 인한 수저류의 낙하를 방지하고, 음식물의 비산으로 인한 불편함과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위생, 젓가락 받침대, 충격완화부, 유동방지부, 덮개부

Description

위생 젓가락 받침대{CHOPSTICKS SUPPORTING APPARATUS WITH SANITARY}
본 고안은 위생적인 수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젓가락에 대하여 이용시의 소음을 경감하고, 식사중에 젓가락의 고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수저받침대에 비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생적인 젓가락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 전용 받침대는 별도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사용되더라도 식탁위에 나무 또는 도기류 등으로 만들어진 간단한 수저 받침대를 사용하여 식사중에 스푼 또는 젓가락과 음식물의 접촉부분이 되는 부분을 상기 받 침대에 올려놓는 수저받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도기류 등으로 만들어진 받침대는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저렴하여 일반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것으로, 식사 중에 수저와 음식물이 접촉하는 부위는 상기 받침대에 올려놓고 사용하고, 식사 후에는 식기와 같이 세척하여 재사용되고 있다.
즉,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숟가락(5)과 젓가락(6)은 식사 중에 홈이 형성된 받침대(2')에 올려놓고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세척제와 함께 세척수를 사용함으로써, 세척제의 사용으로 인한 수질오염과 함께 물의 낭비를 가져오며, 특히 사람이 일시에 많이 이용하는 대형 음식점 등에서는 음식준비와 함께 이를 세팅(배치)하는데 번거롭고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수저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식사 중에 별도의 젓가락의 길이를 맞추는 등의 행위시에 마찰음(소음)이 발생되고, 식탁과 접촉되는 수저의 부위가 다시 음식물과 사용자의 신체와 아무 제한없이 접촉되는 등 위생적으로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이로 제작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가 제안된 바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저류를 지지하는 받침부(2)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는 몸체부의 상단일부를 절개하여 홈부(7)을 형성하고, 상기 받 침대는 양측의 일부를 절곡하여 직립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 도기 등이 갖는 문제점 중 세척제와 세척수의 사용으로 인한 수질오염은 방지할 수 있으나, 일회용이어서 사용 후에는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과 자원낭비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받침부(2)를 방수기능이 없는 얇은 종이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저 받침대가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에 의하여 쉽게 오손이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대가 수저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발생되는 좌굴(찌그러짐)현상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비산될 수 있고, 한번 손상을 입은 받침대는 단지 수저를 올려놓는 기능밖에는 할 수 없는 것이어서,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는 절개되는 받침부(2)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수저류를 지지하는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종이의 두께가 현저하게 두꺼워짐으로 인하여 생산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재질을 종이 또는 표면을 코팅처리한 위생 수저받침대가 제안되었으나, 숟가락(5)과 같이 사용되는 구조이어서, 젓가락(6)만을 주로 사용하는 면류등의 식사시에는 젓가락의 고정이 어렵고 사용중에 식탁과의 접촉음 등으로 인하여 식사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도기 및 종이류의 수저받침대가 갖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젓가락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조정부와 젓가락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의 사이에 젓가락의 유동과 소음을 방지하는 한쌍의 유동방지부와 충격완화부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충격완화부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부의 중간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식사중에 수저 받침대의 이동으로 인한 수저류의 낙하를 방지하고, 음식물의 비산으로 인한 불편함과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위생 젓가락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위생 수저 받침대는,
젓가락의 하중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와 상기 젓가락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그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조정부와, 젓가락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종이로 형성되는 젓가락 받침대에 있어서,
젓가락의 길이를 조정하는 상기 길이조정부와, 젓가락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와의 사이에 젓가락의 유동과 소음을 방지하는 한쌍의 유동방지부 및 충격완화부가 각각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충격완화부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부의 중간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젓가락 받침대는 제작과 관리상의 편의성 및 사용시의 위생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복사용지(A4) 또는 상기 복사용지에 코팅처리가 된 재질을 사용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지지부의 일측(좌측 또는 우측)길이방향으로는 별도의 덮개부가 장착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준비 및 식탁정리(셋팅)시에 발생되는 먼지와 오물등이 젓가락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는 길이 조정부와 후면 지지부의 사이에 별도의 젓가락 유동방지부와 충격완화부를 둠으로써, 간편한 구성으로도 식사중에 젓가락의 낙하를 방지하여 음식물의 비산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식사중의 소음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특히 다중이 모이는 대형식당에서 식사중의 소음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제작이 용이하고 위생적이어서 집단급식을 하는 학교나 대형 음식점등에서 사용시에는 위생적인 급식 및 식당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젓가락의 전면부를 지지하는 전면지지부의 좌측 길이방향으로는 별도의 덮개부가 장착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준비시에 발생되는 먼지와 오물등이 젓가락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아울러 기대된다.
이하, 본 고안인 위생 수저 받침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 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 이다.
또한, 도 4a는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의 전개도이고, 도 4b는 이를 완성한 조립도이고, 도 5a와 도 5d는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식사준비중에 발생되는 먼지나 오염을 방지하는 덮개부의 사시도이고, 도 5c는 덮개부가 장착된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종래 위생 수저 받침대의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는,
젓가락의 전반부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받침대(100) 전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전면지지부(10)와, 상기 젓가락의 앞부분을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받침부(20) 및 식사중에 젓가락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조정부(30)와, 젓가락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40)로 이루어지는 종이로 형성되는 젓가락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부(30)와 후면지지부(40)의 사이에 젓가락의 유동과 소음을 방지하는 한쌍의 유동방지부(50)와 충격완화부(60)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충격완화부(60)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부(50)의 중간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그 폭은 일반적인 젓가락 단면 길이의 2.2배 내지 2.5배 내외가 되도록 한다.
이는 충격완화부(60)의 폭이 상기 폭보다 작으면 젓가락의 뒷부분의 이중 겹침 등으로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않고, 상기 폭보다 클 경우에는 식사중에 젓가락 이 쉽게 유동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20)의 상부 중앙부에는 가로방향폭의 1/3이 되며, 그 높이는 중심부가 받침대(20)높이의 25% ~ 30% 가 되는 원호형상의 오목부(112)를 두어 젓가락의 전반부가 효과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오목부(112)는 음식물과 자주 접촉되는 점을 고려하여, 무늬목 또는 비닐 코팅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힘부(Y-Y, Y'-Y')에는 별도의 절개부(70, 80, 90)를 둠으로써, 받침대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젓가락의 앞부분을 덮는 역할을 하는 덮개부(110)의 일단에는 삽입홈(113)에 끼워지는 삽입부(111)가 장착되도록 하여, 식사 준비중에 덮개부(110)가 쉽게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받침대(100)를 제작하는 방법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면지지부(10)의 길이에 받침부(20)길이의 2배의 길이를 더하여, Y-Y선과 X-X선을 기준으로 각각 접어서 전면지지부(10)와 받침부(20)가 이중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하고, Z-Z선과 X'-X'을 중심으로 접어서 받침부(20)와 위생지(8)의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전면지지부(10)의 끝단이 되는 Y-Y선과 유동방지부(50)와 충격완화부(60)의 기준선인 Y'-Y'선의 일단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하여 받침부(1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한다.
식사 중에 젓가락과 직접 접촉을 하는 받침부 상면(21)과 오목부(112) 및 길이조정부(30)등에는 인체에 무해한 두께 0.02㎜ ~ 0.05㎜정도의 비닐(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코팅처리를 하고, 사용되는 원지를 복사용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70g/㎡ ~ 90g/㎡을 기본중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팅되는 두께와 사용되는 원지의 규격이 상기 규격보다 작을 경우에는 사용시에 수저(젓가락 등)의 중량으로 인한 받침부의 좌굴발생 우려와 함께 음식물이 열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받침대의 변형이 예상되며, 상기 규격보다 클 경우에는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제작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시의 편의와 제작비의 절감을 고려하여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젓가락 받침부(20)를 유동방지부(50')와 충격완화부(60')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동방지부(50)와 충격완화부(60)를 받침부(20')로 각각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는, 전체가 절단되지 않는 종이 구조가 갖는 이점을 가지면서, 종래 수저 받침대가 갖는 환경오염과 자원낭비를 최소로 하는 위생 젓가락 받침대를 제공함과 아울러, 별도의 덮개부(110)를 설치함으로써, 식사 준비중에 비산되는 먼지 등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종래 일반적인 수저 받침대에 비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세척으로 인한 세제와 물절약이 가능하며, 식사중의 소음이 감소되어 정숙한 식당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증진된 효과도 기대된다.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 이다.
도 4a는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의 전개도이고,
도 4b는 이를 조립한 조립도이다.
도 5a 와 도 5d는 본 고안인 위생 젓가락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식사준비중의 먼지나 오염을 방지하는 덮개부의 사시도이고,
도 5c는 덮개부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종래 위생 수저 받침대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지지부 20 : 받침부
30 : 길이조정부 40 : 후면지지부
50 : 유동 방지부 70, 80, 90 : 절개부
110 : 덮개부

Claims (5)

  1. 젓가락의 하중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10)와 상기 젓가락의 앞부분을 고정하는 받침부(20) 및 그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조정부(30)와 젓가락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40)로 이루어지는 종이로 형성되는 젓가락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부(30)와 후면지지부(40)의 사이에 젓가락의 유동과 소음을 방지하는 한쌍의 유동방지부(50) 및 충격완화부(60)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충격완화부(60)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부(50)의 중간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받침대(100)는 복사용지(A4) 또는 상기 복사용지에 코팅처리를 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받침대(100)에 사용되는 복사용지는 70g/㎡ ~ 90g/㎡을 기본중량으로 하고, 코팅은 그 두께를 0.02mm ~ 0.03m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받침대.
  4. 삭제
  5. 삭제
KR2020070020396U 2007-12-20 2007-12-20 위생 젓가락 받침대 KR200446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396U KR200446233Y1 (ko) 2007-12-20 2007-12-20 위생 젓가락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396U KR200446233Y1 (ko) 2007-12-20 2007-12-20 위생 젓가락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252U KR20090006252U (ko) 2009-06-24
KR200446233Y1 true KR200446233Y1 (ko) 2009-10-08

Family

ID=4132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396U KR200446233Y1 (ko) 2007-12-20 2007-12-20 위생 젓가락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2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34B1 (ko) * 2010-03-22 2011-05-09 김이경 일회용 위생 수저 받침대
JP3234229U (ja) * 2021-07-19 2021-09-30 聯安國際有限公司 箸置きの構造
KR20220127959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디에스피앤피 젓가락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7478A (zh) * 2021-05-28 2021-08-03 聂其勇 一种利于推广公筷的筷子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781U (ko) 1978-04-17 1979-10-24
JPS59123478U (ja) 1983-02-07 1984-08-20 高橋 益通 箸置きを兼ねた箸紙
JPS6341273U (ko) 1986-09-03 1988-03-17
KR100765935B1 (ko) 2007-05-01 2007-10-15 이건홍 일회용 위생 식사도구 받침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781U (ko) 1978-04-17 1979-10-24
JPS59123478U (ja) 1983-02-07 1984-08-20 高橋 益通 箸置きを兼ねた箸紙
JPS6341273U (ko) 1986-09-03 1988-03-17
KR100765935B1 (ko) 2007-05-01 2007-10-15 이건홍 일회용 위생 식사도구 받침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34B1 (ko) * 2010-03-22 2011-05-09 김이경 일회용 위생 수저 받침대
KR20220127959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디에스피앤피 젓가락 받침대
JP3234229U (ja) * 2021-07-19 2021-09-30 聯安國際有限公司 箸置き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252U (ko)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233Y1 (ko) 위생 젓가락 받침대
KR100889931B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446150Y1 (ko) 개량 위생 수저받침대
US6273005B1 (en) Public restroom shelf
KR100765935B1 (ko) 일회용 위생 식사도구 받침구조
KR20220065207A (ko) 자동으로 닦이는 식탁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200380935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WO2008066724A3 (en) Stackable chair assembly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JP3221436U (ja) 凹凸付皿
KR20230042609A (ko) 수저받침대가 있는 식기
KR20100118659A (ko) 위생 식사도구.
WO2006017225A2 (en) Edge cushion
JPH0713539Y2 (ja) 食卓テーブル
TWI552706B (zh) 金屬餐具用之降噪音配件
JPH0232270Y2 (ko)
KR101033334B1 (ko) 일회용 위생 수저 받침대
JP3083315U (ja) 食卓用台付まな板
JPH075912U (ja) 壁面取付けコップ受け
DE29900442U1 (de) Sitz- und Liegemöbel
KR20140002586A (ko) 수저
KR20130118152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DE29911768U1 (de) Sitz-Liegemöbel mit ausziehbarem Rahmenteil
NO20006536D0 (no) Höyderegulerbar toalettinnretning med sitteflate som kan helles for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