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119Y1 -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19Y1
KR200446119Y1 KR2020080000949U KR20080000949U KR200446119Y1 KR 200446119 Y1 KR200446119 Y1 KR 200446119Y1 KR 2020080000949 U KR2020080000949 U KR 2020080000949U KR 20080000949 U KR20080000949 U KR 20080000949U KR 200446119 Y1 KR200446119 Y1 KR 200446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ustpan
spring
handle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540U (ko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김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희 filed Critical 김동희
Priority to KR2020080000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1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쓰레받기의 덮개를 열어서 쓰레기를 쓸어 담은 다음 쓰레받기의 덮개를 닫음으로써, 쓰레받기에 모아진 쓰레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쓰레받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A DUSTPAN HAVING A COVER ABLE TO OPEN AND SHUT}
본 고안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 쓰레받기 몸체의 상부에 여닫을 수 있는 덮개가 설치되어, 쓸어 담아 놓은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쓰레받기는 먼지나 협잡물 등의 쓰레기를 쓸어모으기 위한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쓰레받기는 몸체에 해당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좌우 양측의 측벽 및 상기 바닥면 후측에 형성된 후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후측벽의 중앙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면의 선단은 넓고 납작하게 되어 먼지나 협잡물 등의 쓰레기를 쓸어모으기 용이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쓰레받기는 많은 양의 쓰레기를 쓸어 모으다 보면, 쓰레기가 좌우측 측벽 및 후측벽을 넘어 쓰레받기로부터 이탈하게 되거나, 또는 상기 모아진 쓰레기를 위해 이동하다 보면 쓸어 모은 먼지나 협잡물 등이 쓰레받기로부터 이탈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쓰레받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쓰레받기 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설치하여, 쓰레받기에 쓰레기를 담은 후 덮개를 씌움으로써 쓸어 담은 쓰레기가 쓰레받기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덮개를 갖는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쓰레받기 몸체(3); 상기 몸체를 덮기 위한 덮개(4); 상기 몸체(3)와 상기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부(7); 및 상기 덮개를 여닫을 수 있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2);을 포함하는 덮개가 있는 쓰레받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쓰레받기의 덮개(4)와 몸체(3)는 각각 손잡이(5a, 5b)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7)로는, 몸체에 형성된 제 1 지지체(7b); 덮개에 형성된 제 2 지지체(7a); 및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축핀(7c);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7)의 제 1 지지체(7b)는 몸체의 손잡이 앞 부분에 형성되며, 제 2 지지체(7a)는 덮개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도 2 및 도 4 참조).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2)으로서 비틀림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2)은 상기 힌지부(7)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2 내지 도 4), 힌지부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7 내지 도 9).
상기 스프링이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2)은 상기 힌지부(7)의 축핀(7c)에 감겨져서 상기 힌지부(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쓰레받기의 몸체쪽으로 인출되어 몸체의 후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덮개(4)쪽으로 인출되어 덮개의 손잡이 앞부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4).
본 고안에 의한 쓰레받기는 상기 몸체와 덮개의 손잡이에 힘을 가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덮개는 닫혀 있는 상태이며, 상기 몸체와 덮개의 손잡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손잡이를 누르면 덮개가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쓰레받기는 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어, 쓰레기를 쓸어모은 후 덮개를 씌울 수가 있기 때문에 쓸어 담아 놓은 쓰레기가 쓰레받기를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쓰레받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쓰레받기의 측단면도 및 힌지부(7)와 스프링(2)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쓰레받기의 측단면도로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쓰레받기의 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힌지부(7)와 스프링(2)의 모습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쓰레받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쓰레받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모습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따른 쓰레받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스프링(2)이 힌지부(7)와 별개로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나타난 쓰레받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9은 상기 도 7에 나타난 쓰레받기의 측단면도로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쓰레받기 2: 스프링
3: 몸체 4: 덮개
5a: 덮개 손잡이 5b: 몸체 손잡이
6: 몸체의 후측벽 7: 힌지부
7a: 제 1 지지체 7b: 제 2 지지체
7c: 축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받기의 일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상기 쓰레받기의 측단면도로서 도 2는 덮개가 닫힌 상태의 모습이고, 도 3은 덮개가 열린 상태의 모습이다. 또한 도 2에는 힌지부(7)와 스프링(2)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준다.
쓰레받기(1)의 몸체(3)는 기본적으로 넓고 납작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좌우의 측벽 및 후측의 후측벽(6)을 포함하며, 후측벽(6) 중앙부에는 손잡이(5b)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받기(1)는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의 쓰레받기에 덮개가 설치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덮개가 있는 쓰레받기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쓰레받기 몸체(3), 상기 몸체를 덮기 위한 덮개(4), 상기 몸체(3)와 상기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부(7) 및 상기 덮개를 여닫을 수 있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2)을 포함하며, 덮개(4)와 몸체(3) 에는 각각 손잡이(5a, 5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의 구조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서도 표시하였다.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7)는, 몸체에 형성된 제 1 지지체(7b) 덮개에 형성된 제 2 지지체(7a) 및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축핀(7c)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4에 의하면, 상기 힌지부(7)의 제 1 지지체(7b)는 몸체의 손잡이 앞부분에 형성되며, 제 2 지지체(7a)는 덮개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힌지부에 의하여 몸체와 덮개가 연결된 본 고안에 의한 쓰레받기는 스프링에 의하여 여닫는 것이 가능해 진다.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예를 들어 빨래집게와 같은 원리로 쓰레받기를 여닫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쓰레받기는 평소 상태는 뚜껑이 닫힌 상태이고 사용자가 손잡이에 힘을 가함으로써 쓰레받기 뚜껑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쓰레받기의 몸체와 덮개에 구비된 손잡이에 힘을 가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덮개는 닫혀 있는 상태이며,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와 덮개의 손잡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손잡이를 누르면 덮개가 열리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2)으로서 비틀림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2)은 상기 힌지부(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이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2)은 상기 힌지부(7)의 축핀(7c)에 감겨질 수 있다. 도 2에서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2)은 상기 힌지부(7)의 축핀(7c)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쓰레받기의 몸체쪽으로 인출되어 몸체의 후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덮개(4)쪽으로 인출되어 덮개의 손잡이 앞부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스프링이 풀리려는 힘이 작용하여 덮개를 몸체쪽으로 밀어서 덮개가 닫히게 한다. 하편, 사용자가 힘을 주어 쓰레받기의 손잡이(5a, 5b)를 누르면, 덮개가 열리는데 이때 스프링도 추가적으로 더 감겨진다. 만약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있던 손을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쓰레받기 덮개는 다시 덮이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각도 θ는 덮개 부분과 덮개의 손잡이 부분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상기 덮개 부분과 덮개의 손잡이 부분은 일직선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개 부분과 덮개의 손잡이 부분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르면,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2)은 상기 힌지부(7)와는 별도로 힌지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힌지부와 스프링이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역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덮개가 열리고 닫힌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또한,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르면 투명재료로 만들어진 덮개를 사용할 수 있다. 쓰레받기 덮개가 투명재료로 만들어질 경우 쓰레받기의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덮개의 표면에는 다양한 도안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쓰레받기 덮개에는 곰 문양, 만화 문양 등과 같은 다양한 도안들을 인쇄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손잡이를 구비하는 쓰레받기 몸체(3);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를 덮기 위한 덮개(4);
    상기 몸체(3)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부(7); 및
    상기 덮개를 여닫을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2);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7)는, 몸체에 형성된 제 1 지지체(7b); 덮개에 형성된 제 2 지지체(7a); 및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축핀(7c);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2)은 상기 힌지부(7)의 축핀(7c)에 감겨져서 상기 힌지부(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쓰레받기의 몸체쪽으로 인출되어 몸체의 후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덮개(4)쪽으로 인출되어 덮개의 손잡이 앞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은 비틀림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덮개의 손잡이에 힘을 가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덮개는 닫혀 있는 상태이며, 상기 몸체와 덮개의 손잡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손잡이를 누르면 덮개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KR2020080000949U 2008-01-22 2008-01-22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 KR200446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949U KR200446119Y1 (ko) 2008-01-22 2008-01-22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949U KR200446119Y1 (ko) 2008-01-22 2008-01-22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540U KR20090007540U (ko) 2009-07-27
KR200446119Y1 true KR200446119Y1 (ko) 2009-10-01

Family

ID=4129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949U KR200446119Y1 (ko) 2008-01-22 2008-01-22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78B1 (ko) * 2009-10-08 2011-07-20 송경민 쓰레받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119B1 (ko) * 2012-12-18 2013-10-23 정태욱 쓰레받기
CN115503324B (zh) * 2021-06-23 2024-04-16 宁夏易聚高显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覆膜机贴合玻璃盖板的液晶模组总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973U (ko) * 1973-06-25 1975-03-14
JPS516774U (ko) * 1974-07-01 1976-01-19
KR830003062Y1 (ko) * 1981-10-06 1983-12-30 김성인 쓰레받기 겸용 휴지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973U (ko) * 1973-06-25 1975-03-14
JPS516774U (ko) * 1974-07-01 1976-01-19
KR830003062Y1 (ko) * 1981-10-06 1983-12-30 김성인 쓰레받기 겸용 휴지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78B1 (ko) * 2009-10-08 2011-07-20 송경민 쓰레받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540U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6173B (zh) 洗衣机
US9386901B1 (en) Dust pan with closure
ATE319632T1 (de) Ausgabeverschluss
KR200446119Y1 (ko)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가진 쓰레받기
JP4176784B2 (ja) 携帯埃取り具
CN201150509Y (zh) 一种灰尘收集装置
JP4781683B2 (ja) コンパクト容器
CA2040559A1 (en) Device for picking up excrement
KR100948541B1 (ko) 휴지통 캡
JP2003245228A (ja) 清掃具
JP5917872B2 (ja) 清掃用具
JPS6041Y2 (ja) 把持具
JP3151496U (ja) ゴミ箱付ティッシュボックスケース
JP3018976U (ja) 両用拭きシートモップ
JP2006212182A (ja) 電気掃除機
JP5917871B2 (ja) 清掃用具
KR20080005705U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JP3973291B2 (ja) 化粧料容器
JP2007020768A (ja) 電気掃除機
KR200295437Y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기
JP3143775U (ja) 仕切りカバー付き塵取
KR200146549Y1 (ko) 세탁기의 도어손잡이
KR200264973Y1 (ko) 청소용 집게
JP2014211007A (ja) ストレーナ装置
KR20230125483A (ko) 슬라이딩 물티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