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533Y1 -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533Y1
KR200445533Y1 KR2020070015482U KR20070015482U KR200445533Y1 KR 200445533 Y1 KR200445533 Y1 KR 200445533Y1 KR 2020070015482 U KR2020070015482 U KR 2020070015482U KR 20070015482 U KR20070015482 U KR 20070015482U KR 200445533 Y1 KR200445533 Y1 KR 200445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m
cover rail
rai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810U (ko
Inventor
조남기
Original Assignee
조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기 filed Critical 조남기
Priority to KR2020070015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3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8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45Hinges for the movabl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90)는 상부문틀(F)의 하면에 고정되어 안내 기능을 하는 커버레일(100)과, 상기 커버레일(100)에 장착되어 왕복 이송하는 이송부(200)와,상기 이송부(200)와 도어(D)에 힌지 연결되는 아암(400)으로 구성됨으로써, 갑작스럽게 도어(D)가 닫히면서 손 등의 신체 일부가 문틀과 도어(D) 사이에 끼이어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D)를 원하는 만큼만 개방시킨 후, 제동할 수 있으므로 개방정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커버레일, 도어제동장치

Description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Door brake having a cover rail}
본 고안은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갑자기 회동 되면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도어가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식 도어는 개방구의 측방에 부착된 문틀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장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도어의 경우, 회동이 제동되지 않음으로써, 안전 사고 내지는 큰 불편을 야기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일례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도어가 갑자기 빠른 속도로 닫힐 경우, 사람의 손 등 신체 일부가 문틀과 도어 사이에 끼이게 되어 큰 상처를 입는 경우가 다반사다. 또한, 통풍 등을 목적으로 도어를 필요한 만큼 개방시켜 놓을 필요가 있을 때에도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도어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는 여닫이식 도어의 회동을 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도어가 닫히면서 손 등의 신체 일부가 문틀과 도어 사이에 끼이어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를 원하는 만큼만 개방시킨 후, 제동할 수 있으므로 개방정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부문틀의 하면에 고정되어 안내 기능을 하는 커버레일과 상기 커버레일에 장착되어 왕복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도어에 힌지 연결되어 도어의 회동이 이송부의 직선 운동이 되도록 하는 바 형상의 아암으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의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는 여닫이식 도어의 회동을 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도어가 닫히면서 손 등의 신체 일부가 문틀과 도어 사이에 끼이어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를 원하는 만큼만 개방시킨 후, 제동할 수 있으므로 개방정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과 작동례 및 실시예 그리고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가 상부문틀과 도어에 부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이송플레이트가 하강함으로써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이송플레이트가 하강함으로써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이송플레이트가 상승함으로써 제동이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이송플레이트가 상승함으로써 제동이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를 표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 장착되는 이송부의 하방을 표현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 장착되는 가이딩블럭에 이송플레이트가 조립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여닫이식 도어(D)는 벽에 형성된 개방구의 측방에 부착된 문틀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장착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틀에서 상방에 가로놓여 형성된 상부문틀(F) 및 도어(D)에 부착되어 도어(D)의 회동방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부문틀(F)의 하면에 고정되어 안내 기능을 하는 커버레일(100)과 상기 커 버레일(100)에 장착되어 왕복 이송하는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와 도어(D)에 힌지 연결되어 도어(D)의 회동이 이송부(200)의 직선 운동이 되도록 하는 바 (BAR) 형상의 아암(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레일(100)은 상부문틀(F)의 하면에 고정되는 배관 형상의 커버 (110)와 상기 커버(110)의 하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슬로터(120)와 상기 하부슬로터(120)의 양측에 형성된 내측면(150)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14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커버레일(100)에 끼워져서 이송되는 가이딩블럭(210)과 상기 가이딩블럭(210)에 장착되어 레일(140)을 가압 및 해제함으로써 이송을 제어하는 제동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딩블럭(210)은 블럭 형상의 바디(212)와 상기 바디(212)의 양 측면(214, 레일에 대향하는 면)에 레일(140)이 끼워지도록 상방에는 상부플랜지 (211), 하방에는 하부플랜지(21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하방에는 이송플레이트(310)가 삽입되도록 하면(Q)에서 하부플랜지(21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오목부 (21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15)의 하면(216)에는 압축스프링(218)이 수용되는 스프링홀(217)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홀(217)에는 압축스프링(218)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동부(300)는 판상으로서 상기 오목부(215)에 삽입되어 레일(140)을 가압 및 해제하는 이송플레이트(310)와 상기 이송플레이트(310) 하방으로 레버 (330)가 위치하도록 가이딩블럭(210)의 바디(212) 하면(Q)에 형성되며, 내측공 (327)이 상기 오목부(215)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관(320)과 상기 하부관(320)에 내입되어 핀이음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되고, 상단에는 상방으로 첨예하도록 대향하는 경사면(331, 333)이 형성된 레버(33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310)는 상기 오목부(215)에 삽입되도록, 판상의 바디 (311)와 상기 바디(311)의 상면(312) 양 측방에서 돌출되어 레일(140)을 가압하도록 형성된 측벽(313)이 형성되고, 하면(314)에는 레버(330)의 회동에 따라 바디(311)를 승강시키는 가압돌기(315)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압돌기(315)는 상기 레버(330)의 경사면(331)에 접하도록 경사진 접촉면(317)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317)에 대향하는 상대측면(319)은 상기 접촉면(317)보다 급경사 또는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관(320)은 오목부(215)에 노출되는 상면에 이송플레이트(310)가 하강하여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325)이 형성된다.
상기 아암(400)은 도어(D)에 힌지연결되지 않은 일측에 관통구(410)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320)의 외측에 끼워져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관(320)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와셔(420)를 하부관(320)에 끼워 아암(400)을 받치도록 한 후, 스냅링(430)이 하부관(320)에 체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와셔(420) 하방으로 너트가 체결되도록 하부관(320)의 외측 표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서처럼, 바디(212)의 상면(P)에 아암(400)이 회동하도록 힌지 연결되어 구성되며, 커버레일(100)의 커버(110) 측방으로는 아암(4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측방슬로터(130)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아암(400)은 도 10 내지 도 14에서처럼,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아암(400)은 절곡되어 구성되는데, 이송부(200)에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아암(440)과 도어(D)에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아암(450)이 힌지연결되어 구성되는데, 도 12에서처럼, 제1아암(440)과 제2아암(450)의 접촉면(445, 455)의 전방(도어 쪽)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접촉면(445, 455)은 전방에서 각각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각 접촉면(445, 455)이 접하게 되면 후방을 향하여 절곡된 V형의 아암(400)이 된다. (상기에서 전방, 후방의 기준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쪽을 전방, 그 반대쪽인 상부문틀 쪽을 후방으로 편의상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1아암(440)과 제2아암(450)은 각 접촉면(445, 455)이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장스프링(480)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인장스프링 (480)이 개재되는 일례로서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후방과 접촉면(445, 455) 쪽으로 개방된 홈(460, 470)이 형성되고, 상기 홈(460, 470)에 인장스프링(480)이 삽입되며, 상기 인장스프링(480)의 고정을 위해 제1아암(440)과 제2아암(450)을 관통하여 상기 인장스프링(480)을 관통하는 볼트(494, 49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아암(440)에서 제2아암(450)에 연결되지 않은 일측이 하부관(320) 내지는 가이딩블럭(210)의 바디(212) 상면(P)에 회동하도록 연결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처럼, 레버(330)를 회동시켜 상단의 일측 경사면(331)이 가압돌기(315)의 접촉면(317)에 접하도록 하면, 이송플레이트(310)가 하강되어 하부관(320)의 안착홈(325)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218)이 이송플레이트 (310)를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이송플레이트(310)의 하강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상기 압축스프링(218)이 없다면, 가이딩블럭(210)의 이송 시, 이송플레이트 (310)는 상하로 진동하게 되고, 레버(330)도 좌우로 흔들리면서 소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D)를 회동시키게 되면 아암(400)이 가이딩블럭(210)을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것은 아암(400)이 가이딩블럭(210)과 도어(D)에 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가이딩블럭(210)은 상부플랜지(211)와 하부플랜지 (213) 사이에 상기 레일(140)이 위치함으로써 커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딩블럭(210)은 커버(110) 내부에서 이송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부플랜지(211), 하부플랜지(213)와 레일(140) 사이에 끼이어 이송을 저해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110)가 없다면 도어(D)의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머리카락이 끼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지만, 커버(110)가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D)을 제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레버(33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측경사면(331)과 상대측경 사면(333)이 만나는 첨예부가 가압돌기(315)의 첨예부 즉, 접촉면(317)과 상대측면 (319)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송플레이트(310)를 상방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측벽(313)은 레일(140)을 가압하게 되어, 자연히 제동이 걸리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218)은 이송플레이트(310)에 의해 가압됨은 물론이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암(400)은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제1아암 (440)과 제2아암(450)이 힌지연결된 경우, 인장스프링(480)에 의해 접촉면(445, 455)이 접한 상태가 되어 후방으로 절곡된 상태이므로, 도 10에서처럼, 도어(D)를 180도로 개방시킬 수 있는데, 만약, 아암(400)이 일직선형일 경우, 상기처럼 개방시킬 수는 없다. 그리고 도어(D)를 회동시켜 닫게 되면, 제1아암(440)과 제2아암(450)은 힌지부에서 회동하여 접촉면(445, 455)이 벌어지게 되어 용이하게 도어(D)를 닫을 수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도어(D)를 다시 개방시키게 되면 인장스프링(480)에 의해 다시 접촉면(445, 455)이 접하면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과 작동례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D)의 회동을 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도어(D)가 닫히면서 손 등의 신체 일부가 문틀과 도어(D) 사이에 끼이어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D)를 원하는 만큼만 개방시킨 후, 제동할 수 있으므로 개방정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가 상부문틀과 도어에 부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이송플레이트가 하강함으로써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이송플레이트가 하강함으로써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이송플레이트가 상승함으로써 제동이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이송플레이트가 상승함으로써 제동이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를 표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 장착되는 이송부의 하방을 표현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 장착되는 가이딩블럭에 이송플레이트가 조립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암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암이 장착되어 도어가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암이 장착되어 도어가 닫힌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에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아암으로서 인장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한 국부절개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의해 도시된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커버레일 110: 커버
120: 하부슬로터 130: 측방슬로터
140: 레일 200: 이송부
210: 가이딩블럭 212: 바디
211: 상부플랜지 213: 하부플랜지
215: 오목부 218: 압축스프링
300: 제동부 310: 이송플레이트
311: 바디 313: 측벽
315: 가압돌기 320: 하부관
325: 안착홈 330: 레버
400: 아암

Claims (4)

  1. 상부문틀(F)의 하면에 고정되어 안내 기능을 하는 커버레일(100)과,
    상기 커버레일(100)에 장착되어 왕복 이송하는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와 도어(D)에 힌지 연결되는 아암(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레일(100)은 상부문틀(F)의 하면에 고정되는 배관 형상의 커버 (110)와,
    상기 커버(110)의 하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슬로터(120)와,
    상기 하부슬로터(120)의 양측에 형성된 내측면(150)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140)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커버레일(100)에 끼워져서 이송되는 가이딩블럭 (210)과,
    상기 가이딩블럭(210)에 장착되어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블럭(210)은 블럭 형상의 바디(212)와,
    상기 바디(212)의 양 측면(214)에 레일(140)이 끼워지도록 상하방에 형성된 상부플랜지(211) 및 하부플랜지(213)와,
    상기 바디(212)의 하면(Q)에서 하부플랜지(21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오목부 (215)와,
    상기 오목부(215)의 하면(216)에 압축스프링(218)이 수용되는 스프링홀(217)과,
    상기 스프링홀(217)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218)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동부(300)는 판상으로서 상기 오목부(215)에 삽입되어 레일(140)을 가압 및 해제하는 이송플레이트(310)와,
    상기 이송플레이트(310) 하방으로 레버(330)가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212) 하면(Q)에 형성되며, 내측공(327)이 오목부(215)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관 (320)과,
    상기 하부관(320)에 내입되어 핀이음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되고, 상단에는 상방으로 첨예하도록 대향하는 경사면(331, 333)이 형성된 레버(33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관(320)은 오목부(215)에 노출되는 상면에 이송플레이트(31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325)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10)는 상기 오목부(215)에 삽입되도록, 판상의 바디 (311)와,
    상기 바디(311)의 상면(312) 양 측방에서 돌출되어 레일(140)을 가압하도록 형성된 측벽(313)과,
    상기 바디(311)의 하면(314)에 레버(330)의 회동에 따라 바디(311)를 승강시키도록 형성된 가압돌기(315)가 구성되고,
    상기 가압돌기(315)는 상기 레버(330)의 경사면(331)에 접하도록 경사진 접 촉면(317)과,
    상기 접촉면(317)에 대향하며 상기 접촉면(317)보다 급경사 또는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상대측면(319)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12)의 상면(P)에 아암(400)이 힌지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00)은 이송부(200)에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아암(440)과,
    상기 제1아암(440)에는 도어(D)에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아암(450)이 구성되고,
    상기 제1아암(440)과 제2아암(450)의 접촉면(445, 455)의 전방이 힌지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접촉면(445, 455)은 전방에서 각각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아암(440)과 제2아암(450)은 접촉면(445, 455)이 접하도록 인장스프링(480)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KR2020070015482U 2007-09-17 2007-09-17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KR200445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482U KR200445533Y1 (ko) 2007-09-17 2007-09-17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482U KR200445533Y1 (ko) 2007-09-17 2007-09-17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10U KR20090002810U (ko) 2009-03-20
KR200445533Y1 true KR200445533Y1 (ko) 2009-08-07

Family

ID=4135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482U KR200445533Y1 (ko) 2007-09-17 2007-09-17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53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2378U (ko) 1981-06-02 1982-12-06
JPS6125470U (ja) 1984-07-19 1986-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開き窓調整器
JPH03197781A (ja) * 1989-12-25 1991-08-29 Nakanishi Eng:Kk 窓のあおり止め装置
EP0649965A1 (en) 1993-10-15 1995-04-26 Von Duprin, Inc. Spring plunger latch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2378U (ko) 1981-06-02 1982-12-06
JPS6125470U (ja) 1984-07-19 1986-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開き窓調整器
JPH03197781A (ja) * 1989-12-25 1991-08-29 Nakanishi Eng:Kk 窓のあおり止め装置
EP0649965A1 (en) 1993-10-15 1995-04-26 Von Duprin, Inc. Spring plunger la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10U (ko)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574B2 (en) Sliding member for use with a life-line
US9192792B2 (en) Fall arrest safety apparatus with blocking on a rope
US7040081B2 (en) Low noise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EP1174955A3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FR2757774A1 (fr) Appareil antichute sur cable vertical
CA2479548A1 (fr) Dispositif a volet presentant des bords lateraux flexibles
JP2006327455A (ja) 収納容器
KR200445533Y1 (ko) 커버레일이 구성된 도어제동장치
US6892786B2 (en)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guide rail and one slide for a roll-up sun screen in a motor vehicle
KR910021319A (ko) 안전벨트 견인기
WO2001025574A3 (en) Exit door latch assembly
JP2014177829A (ja) 引戸用クローザ装置
KR100905374B1 (ko) 엘리베이터 도어행거의 슬라이드장치
JP3161387U (ja) 引き戸の制動装置
WO2003069107A3 (en) Releasable cord apparatus and breakaway end portion for window treatments
JP2008308883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装置
KR100873347B1 (ko) 도어 브레이크
KR20090002809U (ko) 안내바가 장착된 도어제동장치
KR100888198B1 (ko) 도어제동장치
WO1997020122A1 (en) Lock mechanism device
US7357051B2 (en) Ratchet-type adjustment device
KR10090069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3711934B2 (ja) 上下スライド引戸装置
JP4020852B2 (ja) 吊り引き戸の制動装置
JP5051597B2 (ja) スライド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