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339Y1 -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339Y1
KR200445339Y1 KR20070016802U KR20070016802U KR200445339Y1 KR 200445339 Y1 KR200445339 Y1 KR 200445339Y1 KR 20070016802 U KR20070016802 U KR 20070016802U KR 20070016802 U KR20070016802 U KR 20070016802U KR 200445339 Y1 KR200445339 Y1 KR 200445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water level
humidifier
vibra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6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719U (ko
Inventor
박훈
Original Assignee
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훈 filed Critical 박훈
Priority to KR20070016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3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내부에 리드스위치(151)가 내장되고 하단부가 수실하우징(130)에 고정되는 안내관(110)과, 안내관(1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수실하우징(13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며 내장된 자석에 의해 리드스위치(151)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부력체(120)와, 통형으로서 그 상단부가 안내관(110)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부력체(120)가 안내관(110)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체(1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통형으로서 그 상단부가 안내관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부력체가 안내관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체를 구비함으로써 진동자의 진동파음과 진동자에 의한 분무에 의해 수실하우징 내부의 물이 출렁거리게 되고 이로 인해 수실하우징의 수위변화가 발생되더라도 고정체 내부에 수용되는 부력체가 진동자의 진동파음과 진동자에 의한 분무에 의한 수위변화에 대해서는 승하강되지 않고, 수실하우징(40)에 채워지는 물의 량의 부족할 시에만 부력체가 하강되도록 하여 진동자가 수시로 온 또는 오프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습기, 수위감지, 리드스위치, 안내관

Description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water level detector of humidifier}
본 고안은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을 분무화시키는 진동자가 설치된 가습기의 수실에 설치하여 수실의 수위가 일정수위로 유지될 때에는 진동자를 온시키고 수실의 수위가 한계수위로 하강할 때에는 진동자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진동자의 진동파음과 진동자의 분무에 의해 가습기의 수실하우징 내부의 수위변화가 발생되더라도 진동자가 수시로 온 또는 오프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내부에 리드스위치(1)와 전선(3)이 내장되고 하부에는 제어편(5)이 돌출되고 상부에는 고정홈(7)이 형성된 안내관(10)과, 안내관(1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수실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여 내장된 자석(21)에 의해 리드스위치(1)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부력체(20)와, 상기 안내관(10)의 고정홈(7)에 결합되어 부력체(20)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링(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가습기의 수실하우징(40)의 구멍(41)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10)의 하부를 삽입하고, 안내관(10) 하부의 나사부(9)에 너트(11)를 체결하여 안내관(10)을 수실하우징(40)에 고정결합한다. 미설명부호 13은 패킹부재이다.
수실하우징(40)에 고정된 종래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수실하우징(40)에 채워지는 물의 량에 따라 부력체(20)가 하강시에는 리드스위치(1)의 접점편(1a,1b)이 떨어져 접점편(1a,1b)의 전선(3)과 연결된 진동자는 작동하지 않게 되고, 부력체(20)의 상승시에는 자석(21)에 의하여 접점편(1a,1b)이 서로 접촉되어 리드스위치(1)는 온되고 진동자에는 전류가 인가되어 진동자는 작동되어 분무가 발생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진동자의 진동파음과 진동자에 의한 분무에 의해 수실하우징 내부의 물이 출렁거리게 되고 이로 인해 수실하우징의 수위변화가 발생되어 부력체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켜 진동자가 수시로 온 또는 오프되어 진동자가 오동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통형으로서 그 상단부가 안내관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부력체가 안내관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체를 구비함으로써 진동자의 진동파음과 진동자에 의한 분무에 의해 수실하우징 내부의 물이 출렁거리게 되고 이로 인해 수실하우징의 수위변화가 발생되더라도 고정체 내부에 수용되는 부력체가 진동자의 진동파음과 진동자에 의한 분무에 의한 수위변화에 대해서는 승하강되지 않고, 수실하우징에 채워지는 물의 량의 부족할 시에만 부력체가 하강되도록 하여 진동자가 수시로 온 또는 오프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내부에 리드스위치가 내장되고 하단부가 수실하우징에 고정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실하우징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며 내장된 자석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부력체를 구비한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통형으로서 그 상단부가 상기 안내관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기 부력체가 상기 안내관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관의 상단부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력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편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의 상단부에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고정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통형으로서 그 상단부가 안내관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부력체가 안내관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체를 구비함으로써 진동자의 진동파음과 진동자에 의한 분무에 의해 수실하우징 내부의 물이 출렁거리게 되고 이로 인해 수실하우징의 수위변화가 발생되더라도 고정체 내부에 수용되는 부력체가 진동자의 진동파음과 진동자에 의한 분무에 의한 수위변화에 대해서는 승하강되지 않고, 수실하우징에 채워지는 물의 량의 부족할 시에만 부력체가 하강되도록 하여 진동자가 수시로 온 또는 오프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내부에 리드스위치(151)가 내장되고 하단부가 수실하우징(130)에 고정되는 안내관(110)과, 안내관(1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수실하우징(13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며 내장된 자석에 의해 리드스위치(151)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부력체(120)와, 통형으로서 그 상단부가 안내관(110)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부력체(120)가 안내관(110)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체(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100)는 상기 통형의 몸체(103)와, 상기 몸체(103)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판(101)과, 상판(101)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내관(110)의 상단부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력편(10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력편(105)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105a)가 형성되고, 안내관(110)의 상단부에는 제1고정홈(111)이 형성되어 걸림돌기(105a)가 제1고정홈(111)에 결합되며, 상판(101)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01a)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인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110)과 부력체(120)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안내관(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부력체(120)를 삽입시켜 부력체(120)는 안내관(110)의 외주면에 헐겁게 결합되고, 부력체(120)는 안내관(110)의 상단부의 제2고정홈(113)에 결합되는 스토퍼링(141)과 안내관(110) 하단부의 제어편(115) 사이에서 수실하우징(130)의 물의 량에 따라 승하강되어 부력체(120)에 내장된 자석(121)에 의해 리드스위치(111)는 온 또는 오프되어 진동자의 동작 유무가 제어된다.
안내관(110)에 장착된 부력체(120)는 상판(101)과 몸체(103)로 형성된 고정체(100) 내부에 수용되며, 안내관(110) 상부를 고정체(100)의 상판(101)에서 돌출된 탄성편(105)에 삽입하여 탄성편(105)의 상단부의 걸림돌기(105a)가 안내관(110)의 제1고정홈(111) 내에 결합되도록 하여 안내관(110)과 고정체(100)는 상호 결합된다.
종래와 동일하게 안내관(110)의 하단부에는 나사부(119)를 형성하고 나사부(119)를 수실하우징(130)의 구멍에 삽입한 후 나사부(119)에 너트(143)를 체결하여 본 고안의 수위감지장치를 수실하우징(130)에 장착한다.
미설명부호 117는 패킹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물의 량이 일정 수위 이상이면 부력체(120)는 상승위치에 있게 되며, 부력체(120) 내에 내장된 자석(121)은 리드스위치(151)의 접점편(151a,151b)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여 리드스위치(151)는 온되며 전선(153)에 연결된 진동자에는 전류가 인가되어 진동자는 계속적으로 작동되어 분무가 발생된다.
진동자의 작동에 따른 진동파음과 진동자의 동작에 따른 분무에 의해 수실하우징(130) 내부의 물은 출렁거리게 된다. 본 고안의 고정체(100)의 몸체(103)에 의해 수실하우징(130) 내부의 물이 출렁거리더라도 고정체(100) 내부에 수용된 부력체(120)는 출렁거리는 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부력체(120)는 승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는 진동자의 작동에 따라 수실하우징(130) 내부의 물이 출렁거리더라도 부력체(120)는 전혀 영향을 받 지 않으므로 진동자가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체(100)의 상단부의 상판(101)과 부력체(120)의 상면과의 공간부는 진공상태가 되어 부력체(120)는 수실하우징(130) 내부의 물의 량이 감소되면 바로 하강동작이 이루어지 않으나, 본 고안의 경우 고정체(100)의 상판(101)에 형성된 구멍(101a)에 의해 수실하우징(130) 내부의 압력과 고정체(100)의 상단부의 상판(101)과 부력체(120)의 상면과의 공간부의 압력을 동일하게 하여 수실하우징(130) 내부의 물의 량이 감소되면 바로 부력체(120)는 하강동작이 이루어진다.
몸체(103)의 하단부에 다수의 유입홈(103a)을 형성하여 수실하우징(130) 내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본 고안의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작동단면도이다.

Claims (4)

  1. 내부에 리드스위치(151)가 내장되고 하단부가 수실하우징(130)에 고정되는 안내관(110)과, 상기 안내관(1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실하우징(13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며 내장된 자석(121)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151)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부력체(120)를 구비한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통형으로서 그 상단부가 상기 안내관(110)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기 부력체(120)가 상기 안내관(110)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체(1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0)는 상기 통형의 몸체(103)와, 상기 몸체(103)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판(101)과, 상기 상판(101)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관(110)의 상단부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력편(10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편(105)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105a)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의 상단부에는 제1고정홈(111)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05a)가 상기 제1고정홈(1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1)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0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070016802U 2007-10-17 2007-10-17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0445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802U KR200445339Y1 (ko) 2007-10-17 2007-10-17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802U KR200445339Y1 (ko) 2007-10-17 2007-10-17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19U KR20090003719U (ko) 2009-04-22
KR200445339Y1 true KR200445339Y1 (ko) 2009-07-21

Family

ID=4128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6802U KR200445339Y1 (ko) 2007-10-17 2007-10-17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867B (zh) * 2016-11-07 2019-06-11 欧兰普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自动加水器及上加水式加湿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505A (ja) * 1992-04-24 1993-11-09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KR19990009098U (ko) * 1997-08-14 1999-03-05 강상근 가습기의 수위감지프로우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505A (ja) * 1992-04-24 1993-11-09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KR19990009098U (ko) * 1997-08-14 1999-03-05 강상근 가습기의 수위감지프로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19U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828B1 (ko) 다단 수위감지 모듈
KR200445339Y1 (ko)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1527179B1 (ko) 플로트 밸브
KR101065258B1 (ko) 세탁기용 압력센서의 안전장치
RU258755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качки сточных вод
JP2018066358A (ja) 給水ユニット
KR101730420B1 (ko) 세탁기
KR102193607B1 (ko)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CN219455261U (zh) 一种具有液位传感器的电器设备
CN209863707U (zh) 洗碗机
CN219455262U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浮子以及液位传感器
CN220206800U (zh) 直管浮球式水位传感器
KR20150004237U (ko)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JP2010192317A (ja) 液位検出器及び水中ポンプ
KR200314100Y1 (ko) 감압 올림 바닥용 지지대
KR200317609Y1 (ko) 가습기용 물탱크 감지기능을 갖는 수위센서
CN215914436U (zh) 一种清洁设备水箱的水位检测结构及扫地机器人
KR0115257Y1 (ko) 플로트스위치
JP3598036B2 (ja) 液面検出装置
EP1987328A2 (en) Non-oriented fluid level sensor
KR101175543B1 (ko) 진공압력 스위치
JP2010123263A (ja) フロートスイッチ
KR101611432B1 (ko) 세탁기용 수위센서
KR200181251Y1 (ko) 수위감지용 플로트센서
CN102074412B (zh) 一种浮球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