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07B1 -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607B1
KR102193607B1 KR1020180170415A KR20180170415A KR102193607B1 KR 102193607 B1 KR102193607 B1 KR 102193607B1 KR 1020180170415 A KR1020180170415 A KR 1020180170415A KR 20180170415 A KR20180170415 A KR 20180170415A KR 102193607 B1 KR102193607 B1 KR 102193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ed
hot water
sensor
toilet sea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698A (ko
Inventor
문지환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8017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6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의 기계식 착좌센서에 정전 용량 방식을 적용한 것이고, 이에 따라 착좌 센서 부품수를 절감하고 모듈을 소형화하며 착좌 감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Seating perception device of bidet}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에 이용되는 착좌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숙박 업소 또는 일반 가정에서 화장실의 좌변기 상에 위치해서 좌변 설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비데는 이용자의 용변 후에 비데 노즐 장치를 통하여 이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에 온수를 분사시켜서 이용자의 신체로부터 용변 관련 더러움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러한 비데에는 변좌상에 이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04702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등록특허공보는 구동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의 서로 겹쳐지는 타면에 설치되어 구동 브라켓의 일측에 마이크로 스위치가 접촉하고 있도록 구동 브라켓에 상향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시트가 일측으로 회동하면 힌지축을 가압하여 구동 브라켓의 하향 구동으로 마이크로 스위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수단을 구비한 기계식 착좌센서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공보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모듈 자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70218호(공고일 2005.02.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수세정기의 착좌 센서 부품수를 절감하고 모듈을 소형화하며 착좌 감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는, 온수 세정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변좌의 변좌축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일단에 배치되는 금속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금속 부재와 접촉 또는 비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부재; 및, 상기 변좌에 사용자 착좌가 없을 때 상기 이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리턴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변좌축에 인접하는 온수 세정기 본체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승,하강 이동홀이 형성되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의 일면에서 걸림홀과 축홀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몸체의 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센서 부재가 안착되는 센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저면측에 감지 홀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 부재가 안착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을 위한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체에 안착되는 상기 센서 부재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에 밀착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제 2 몸체; 상기 제 2 몸체의 일면에서 상기 변좌축이 안착되는 상기 안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걸림홀에 체결되는 후크, 그리고 상기 축홀을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축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내에서 상기 제 2 몸체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몸체의 타면에 연장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승,하강 이동홀을 통과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 부재가 안착되는 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 부재는 공기 보다 유전율이 큰 금속박막인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금속 부재가 접촉시 정전 용량 변화에 따른 비착좌의 온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금속 부재가 비접촉시 정전 용량 변화에 따른 착좌의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센서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의 기계식 착좌센서에 정전 용량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착좌 센서 부품수를 절감하고 모듈을 소형화하며 착좌 감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온수 세정기에 착좌 감지 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착좌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착좌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변좌에 사용자의 착좌가 없을 때 금속 부재와 센서 부재가 접촉된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와 후면 사시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변좌에 사용자 착좌시 금속 부재와 센서 부재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와 후면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온수 세정기에 착좌 감지 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착좌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착좌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S10)는 기계적인 작동 메커니즘을 가지는 것으로, 고정 부재(10), 이동 부재(20), 금속 부재(30), 센서 부재(40), 그리고 탄성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 부재(10)는 변좌(200)의 변좌축(201)에 인접하는 온수 세정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 1 몸체(11), 제 1 가이드부(12), 센서 고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몸체(11)는 상기 변좌(200)의 변좌축(201)에 인접하는 온수 세정기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되며, 승,하강 이동홀(11a)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몸체(11)는 원판형 구조물로서 그 면상에는 이동 부재(20)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승,하강 이동홀(11a)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2)는 상기 제 1 몸체(11)의 일면에서 가장자리측에 서로 마주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1 몸체(11)의 일면에서 걸림홀(12a)과 축홀(12b)이 형성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홀(12a)은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축홀(12b)은 상기 걸림홀(1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 고정부(13)는 상기 센서부재(40)가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몸체(11)의 타면으로 연장되며, 이는 고정체(131)와 덮개(13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체(131)는 상기 센서부재(40)가 안착되는 것으로, 저면측에 감지 홀(131a)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걸림돌기(131b)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덮개(132)는 상기 고정체(13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31b)의 걸림을 위한 걸림홀(132a)을 형성하여둔 것으로서, 상기 고정체(131)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덮개(132)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체(131)에 안착되는 상기 센서부재(40)를 가압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13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 부재(20)는 상기 고정 부재(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변좌(100)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며, 제 2 몸체(21), 제 2 가이드부(22), 연결플레이트(2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몸체(21)는 상기 제 1 몸체(11)에 밀착되는 원판형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3)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11)의 승,하강 이동홀(11a)에서 승,하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 2 가이드부(22)는 상기 제 2 몸체(21)의 일면에서 상기 변좌축(201)이 안착되는 안착홈(22a)을 형성하면서, 상기 걸림홀(12a)에 체결되는 후크(22b), 그리고 상기 축홀(12b)을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50)가 결합되는 축부(22c)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12)내에서 상기 제 2 몸체(2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3)는 상기 제 2 몸체(21)의 타면에 연장되어 상기 제 1 몸체(11)의 승,하강 이동 홀(11a)을 통과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부재(30)가 안착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금속 부재(30)는 공기보다 유전율이 큰 금속박막으로서, 이는 상기 이동 부재(2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 부재(40)는 상기 금속부재(30)이 접촉 또는 비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C) 변화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는 정전용량센서로서, 상기 고정부재(10)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2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금속부재(30)와 접촉 또는 비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변좌(200)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센서부재(40)는 상기 금속부재(30)가 접촉시 정전 용량(C) 변화에 따른 비착좌의 온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금속부재(30)가 비접촉시 정전 용량(C) 변화에 따른 착좌의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이동 부재(20)의 제 2 가이드부(22)에 형성되는 축부(22c)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좌(200)에 사용자 착좌시 하강하는 상기 이동 부재(20)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변좌(200)에 사용자 착좌가 없을 때 상기 이동부재(20)를 원래 위치로 리턴시켜 상기 금속부재(30)와 상기 센서부재(40)를 접촉시키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S10)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변좌(200)에 사용자 착좌가 없을 경우,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부재(20)의 연결 플레이트(23)는 고정 부재(10)에 포함되는 제 1 몸체(11)의 승,하강 이동홀(11a)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 부재(20)에 포함되는 제 2 가이드부(22)에 형성되는 안착홈(22a)에 안착되어 있던 변좌축(201) 또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23)에 안착되어 있는 금속 부재(30)는 감지 홀(131a)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부재(10)에 고정되는 센서 부재(40)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따라 정전용량센서인 센서 부재(40)는 사용자가 변좌(200)에 착좌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는 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변좌(200)에 착좌하는 경우, 그 착좌 압력으로부터 이동부재(20)는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부재(20)에 포함되는 제 2 몸체(21)와 제 2 가이드부(22) 및 연결 플레이트(23)는 상기 제 1 몸체(11)에 형성되는 승,하강 이동홀(11a)을 통해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가이드부(22)에 형성되는 후크(22b)는 걸림홈(12a)을 따라 하강하고, 축부(22c)는 축홀(12b)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22)는 상기 축부(22c)에 결합된 탄성부재(50)를 압축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 플레이트(23)에 안착되어 있는 금속부재(30)는 상기 고정 부재(10)에 고정되는 센서부재(40)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에따라 상기 센서부재(40)는 상기 변좌(200)에 사용자가 착좌된 것으로 감지하는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고정 부재 11; 제 1 몸체
11a; 승,하강 이동홀 12; 제 1 가이드부
12a; 걸림홀 12b; 축홀
13; 센서 고정부 131; 고정체
131a; 감지 홀 131b; 걸림돌기
132; 덮개 132a; 걸림홀
132b; 가압돌기 20; 이동부재
21; 제 2 몸체 22; 제 2 가이드부
22a; 안착홈 22b; 후크
22c; 축부 23; 연결플레이트
30; 금속부재 40; 센서부재
50; 탄성부재 100; 온수세정기 본체
200; 변좌 201; 변좌축

Claims (7)

  1. 온수 세정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변좌의 변좌축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일단에 배치되는 금속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금속 부재와 접촉 또는 비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부재; 및, 상기 변좌에 사용자 착좌가 없을 때 상기 이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리턴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금속 부재가 접촉시 정전 용량 변화에 따른 비착좌의 온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금속 부재가 비접촉시 정전 용량 변화에 따른 착좌의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변좌축에 인접하는 온수 세정기 본체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승,하강 이동홀이 형성되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의 일면에서 걸림홀과 축홀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몸체의 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센서 부재가 안착되는 센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저면측에 감지 홀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 부재가 안착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을 위한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체에 안착되는 상기 센서 부재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에 밀착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제 2 몸체;
    상기 제 2 몸체의 일면에서 상기 변좌축이 안착되는 상기 안착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걸림홀에 체결되는 후크, 그리고 상기 축홀을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축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부내에서 상기 제 2 몸체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몸체의 타면에 연장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승,하강 이동홀을 통과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 부재가 안착되는 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공기보다 유전율이 큰 금속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7. 삭제
KR1020180170415A 2018-12-27 2018-12-27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KR102193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415A KR102193607B1 (ko) 2018-12-27 2018-12-27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415A KR102193607B1 (ko) 2018-12-27 2018-12-27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98A KR20200080698A (ko) 2020-07-07
KR102193607B1 true KR102193607B1 (ko) 2020-12-22

Family

ID=7160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415A KR102193607B1 (ko) 2018-12-27 2018-12-27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6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28Y1 (ko) * 2001-05-16 2001-10-29 주식회사 노비타 착좌스위치를 가진 위생세정기
JP2008008831A (ja) * 2006-06-30 2008-01-17 Toto Ltd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及びそれを搭載した温水洗浄便座装置と浴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218B1 (ko) 2001-12-06 2005-02-04 주식회사 노비타 위생세정기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28Y1 (ko) * 2001-05-16 2001-10-29 주식회사 노비타 착좌스위치를 가진 위생세정기
JP2008008831A (ja) * 2006-06-30 2008-01-17 Toto Ltd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及びそれを搭載した温水洗浄便座装置と浴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98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0435A (en) Push button switch
JP4673321B2 (ja) 操作領域とその下方にセンサー素子を有する電気器具のための操作装置及びこの操作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EP3113661B1 (en) Blender
JP6409047B2 (ja) キーボードのキー用キーモジュールのためのキーリフタ、キーボードのキー用キーモジュール、およびキーボードのキー用キー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50003245A (ko) 유리-세척장치
US5938009A (en) Key switch for a keyboard
KR101422394B1 (ko) 전자 개폐 장치
KR102193607B1 (ko) 온수세정기의 착좌 감지 장치
KR101677183B1 (ko) 정전용량 무접점 키보드
US20170222646A1 (en) Photoelectric switch
KR200422984Y1 (ko) 온수세정기용 인체감지 스위치
US20220240668A1 (en) Electromotive adjusting device for a piece of furniture, in particular a piece of table furniture
KR20180092589A (ko) 이동식 싱크대 물막이
CN109555762B (zh) 夹具安装座
CN209863707U (zh) 洗碗机
CN108284795B (zh) 升降机构和具有其的车辆
KR101076450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JPH09170389A (ja) シャッターの障害物感知装置
JP2002301410A (ja) 踏み板噴水装置
JP2012035919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CN210228054U (zh) 洗碗机
KR200230066Y1 (ko) 승강기용 버튼
TWI803305B (zh) 升降機構及機器人
CN210325590U (zh) 一种智能座便器及其防止误操作的按键结构
KR101978283B1 (ko) 트리플 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