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238Y1 -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238Y1
KR200445238Y1 KR2020090003191U KR20090003191U KR200445238Y1 KR 200445238 Y1 KR200445238 Y1 KR 200445238Y1 KR 2020090003191 U KR2020090003191 U KR 2020090003191U KR 20090003191 U KR20090003191 U KR 20090003191U KR 200445238 Y1 KR200445238 Y1 KR 200445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air discharge
discharge valve
sen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주)대한펌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펌프테크 filed Critical (주)대한펌프테크
Priority to KR2020090003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2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관 내에 에어가 차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릴레이에 의해서 에어 배출용 밸브를 가동시켜 신속히 대량의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기설치된 배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재에 의해서 감지수단을 배관 단부에 장착시 원터치 스냅방식으로 신속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관과의 장착 부위 간의 수밀성을 보장한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는, 설치부재에 의해서 배관 단부에 장착되고, 배관 내의 에어 감지수단; 상기 배관 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에어 배출용 밸브; 및 상기 감지수단의 에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릴레이는 상기 감지수단의 에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의 가동 전원을 온(ON)시키게 되고, 전원이 온(ON)된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를 통하여 배관 내의 에어를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포, 불순물, 에어, 배출, 벤트, 배관, 상수도, 보일러, 난방장치

Description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AIR AUTOMATIC EXHAUST APPARATUS OF PIPING}
본 고안은 배관 내에 에어가 차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에 의해서 릴레이가 에어 배출용 밸브인 솔레노이드 밸브로의 차단된 전원을 해제하여 작동되는 밸브를 통해 자동으로 배관 내의 에어를 대량으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나 상수도 등의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 내의 기포 및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 중,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0379648호(2005.03.23, 공고, 이하에서는 '선행기술'이라 함) 『에어벤트장치』에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유체에 포함된 기포가 배출하도록 배출노즐이 구비된 커버와; 상기 배출노즐을 통해 유체에 포함된 기포가 배출되는 것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에어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을 통해 유체에 포함된 기포가 배출되는 것을 개폐하도록 부력체를 형성하되, 상부 외주면 이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그 내측은 유체로부터 부력이 증가되도록 부력홀이 형성되며, 그 하면은 연장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부력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기존 에어벤트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조립공정이 쉬우며 생산단가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기존 에어벤트와 마찬가지로 배관 내의 기포 및 불순물 제거시(배출시)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배출량이 극히 소량이여서 배출되기까지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기존 배관의 에어벤트에 비해서 대량의 에어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자 제어를 담당하는 릴레이와, 상기 배관 내의 상태(즉, 에어가 차 있는 상태)를 체크하는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또 기존 배관에 상기 감지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설치부재를 도입하여 수밀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신속하면서 간편한 장착을 가능토록 한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배관 내에 에어가 차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릴레이에 의해서 에어 배출용 밸브를 가동시켜 신속히 대량의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감지수단의 통전부를 두 전극봉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배관 내의 전도성 유체에 잠길 경우 통전되고, 에어가 차있는 경우 단절될 수 있도록 한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기설치된 배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재에 의해서 감지수단을 배관 단부에 장착시 원터치 스냅방식으로 신속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관과의 장착 부위 간의 수밀성을 보장한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는,
설치부재에 의해서 배관 단부에 장착되고, 배관 내의 에어 감지수단;
상기 배관 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에어 배출용 밸브; 및
상기 감지수단의 에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릴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릴레이는 상기 감지수단의 에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의 가동 전원을 온(ON)시키게 되고,
전원이 온(ON)된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를 통하여 배관 내의 에어를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호 이격된 두 전극봉을 갖는 통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통전부의 두 전극봉이 배관 내의 전도성 유체에 잠기면 통전되고, 에어가 차있어 단절되면 에어 감지신호를 상기 릴레이에 전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배관 단부에 내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장착공, 탄성편을 갖고 상기 장착공 상단에 배열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을 상기 배관에 고정하는 캡, 그리고 상기 통전부가 중심을 지나고 나선부와 비나선부를 갖고 상기 캡 상단에 끼워져 상기 나선부가 상기 고정링의 탄성편에 걸려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는,
기존 배관에 설치된 에어벤트와 함께 배관 내의 에어를 신속히 대량으로 배출할 수 있고,
또 배관 내에 에어가 차 있는 상태에 대해 정보표시부를 통하여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 기존 배관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부재를 구비하여 감지수단을 배관에 장착할 수 있고,
또 장착시 원터치 스냅방식의 장착부와 고정링을 통해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또 장착 결합 부위의 수밀성을 보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자동 배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감지수단이 설치부재에 의해서 배관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설치부재의 고정링과 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고정링과 장착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장착부의 로드에 인입된 두 전극봉의 이격 거리에 따라 고정링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을 기준으로 감지수단 측을 상부 또는 상측이라 정하고, 차단밸 브 측을 하부 또는 하측이라 정한다.
또 도 4a의 하단 좌측 일점쇄선 원형 내에 도시된 도면은 장착부 로드의 나선부가 탄성편에 걸리지 않으면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의 하단 우측 일점쇄선 원형 내에 도시된 도면은 삽입된 장착부를 일측으로 90도 회전시켜 나선부가 탄성편에 걸리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4a 및 도 4b의 하단 우측 일점쇄선 원형 내에 도시된 도면은 다른 구현예로써, 나선부와 탄성편의 수가 3개일 때에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의 일점쇄선 원형 내에 도시된 도면은 두 전극봉의 거리 D1이고 두 탄성편의 거리 D2일 때에 장착부의 로드가 고정링의 탄성편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배관(1)에는 퇴수용 밸브(2)와, 상기 배관(1)이 설치된 곳에서 배관(1) 내의 유체(즉, 물이 해당)를 사용하기 위한 설치 밸브(3)와, 상기 각 밸브(2, 3) 및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20)로의 유체 흐름을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통합차단밸브(4)와, 배관(1) 내의 기포 및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에어벤트(5)와, 내부 압력을 측정 표시하는 압력게이지(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는,
크게 감지수단(10), 에어 배출용 밸브(20) 및 릴레이(3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감지수단(10)은
설치부재(40)에 의해서 배관(1) 단부에 장착되고, 배관(1) 내부에 배치되는 통전부(11)를 갖는 것으로,
상기 통전부(11)는 배관(1) 내의 전도성 유체에 잠기게 되는 경우 통전되도록 상호 이격된 두 전극봉(1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전극봉(111)은 끝단의 피복을 벗겨낸 상태에서 피복이 벗겨진 끝단이 상기 배관(1) 단부 내에 위치하게 되고, 또 상기 두 전극봉(111)은 수압 등을 고려하여 적정 강도를 갖는 텅스텐, 흑연, 구리 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10)은 상기 두 전극봉(111)의 통전 및 단절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표시부(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부재(40)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배관(1) 단부에 내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장착공(41),
중심에 삽입공(421)과 상기 삽입공(421) 주변에 형성된 탄성편(422)을 갖고 상기 장착공(41) 상단에 배열되는 고정링(42),
상기 고정링(42)을 상기 배관(1)에 고정하는 캡(43), 그리고
상기 통전부(11)가 중심을 지나고 나선부(441)와 비(非)나선부(442)를 갖고 상기 캡(43) 상단에 끼워져 상기 나선부(441)가 상기 고정링(42)의 탄성편(422)에 걸려 고정되는 장착부(4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관(1)은 장착공(41) 형성 위치의 외주면에 결합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캡(43)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부(411)와의 체결을 위한 대응결합부(431)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결합부(411)와 상기 대응결합부(431)는 암수 결합을 위한 나사선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장착공(41)과 상기 결합부(411)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1)은 새로이 제작할 수 있으나, 비용 대비 효율성을 감안하여 기존 기설치된 배관(1)에 단부를 천공하여 상기 장착공(41)을 형성하고, 또 외주면을 탭 가공하여 상기 결합부(411)를 형성함으로써, 기설치된 배관(1)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43)은 상기 나선부(441)와 비나선부(44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삽입홀(432)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432)은 상기 나선부(411)와 상기 비나선부(442)의 단면적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통과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44)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장착부(44)는
플랜지(443),
상기 플랜지(443) 하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상호 번갈아 형성된 나선부(441)와 비나선부(442)를 갖는 로드(441A), 그리고
상기 플랜지(443)와 상기 로드(441A)의 중심을 관통하는 인입공(44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입공(444)으로 상기 두 전극봉(111)이 삽입되어 배관(1) 내에 배치되는데,
상기 인입공(444)의 수는 1개이고, 상기 통전부(11)의 두 전극봉(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인입공(444) 상부에 끼워져 밀폐성을 보장하는 마감부재(445)가 구비될 수 있고,
다른 구현예로, 상기 인입공(444)의 수는 2개이고, 상기 통전부(11)의 두 전극봉(111) 각각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인입공(444) 각각에 끼워져 밀폐성을 보장하는 마감부재(445)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인입공(444)에 삽입된 상기 두 전극봉(111)의 상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입공(444)에 절연성 충진제(445)를 채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관(1)과 상기 캡(43), 상기 캡(43)과 상기 장착부(44)의 결합부위에 대한 수밀성(水密性)을 보장하기 위하여 오링(45)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42)의 탄성편(422)은 상기 장착부(44)의 로드(441A)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로드(441A)의 나선부(441)와 상기 탄성편(422)의 수는 동일하며,
본 고안에서 상기 나선부(441)와 상기 탄성편(422)의 수는 2개이나, 3개 이상으로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고정링(42)과 상기 장착부(44)의 결합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캡(43)에 의해서 배관(1) 단부에 고정된 고정링(42)의 삽입공(421)으로 상기 장착부(44)의 로드(441A)를 삽입하되,
상기 로드(441A)의 나선부(441)가 상기 탄성편(422)에 대응되지 않게 즉, 상기 비나선부(442)가 상기 탄성편(422)에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로 삽입하여,(도 4a를 참조)
상기 장착부(44)의 플랜지(443) 하부가 상기 캡(43) 또는 상기 캡(43) 상단에 장착된 오링(45)과 접촉하게 되었을 때에 일측으로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로드(441A)의 나선부(441)가 상기 탄성편(422)에 대응되게 위치하면서 걸려 고정된다.(도 4b를 참조)
이때 상기 나선부(441)가 상기 탄성편(422)에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삽입할 수도 있는데,
즉, 상기 나선부(441)가 상기 탄성편(422)에 걸린 상태에서 그대로 밀어 삽입하여 상기 장착부(44)를 상기 고정링(42)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공(444)을 지나 배관(1) 내에 위치한 상기 통전부(11)의 두 전극봉(111) 이격 거리를 도 5에서와 같이 거리 D1 만큼 보장되어야 하는 경우, 달 리 표현하면 마주보는 두 탄성편(422)의 거리 D2 보다 거리 D1 이 더 큰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장착부(44)의 로드(441A)를 상기 고정링(42)의 삽입공(421)에 삽입하게 될 때에 D1 만큼의 이격 거리를 갖는 두 전극봉(111)은 상기 두 탄성편(422)에 걸리게 되므로,
이때에는 두 탄성편(422)의 마주보는 직선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두 전극봉(111)을 삽입공(421)에 삽입하면 된다.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20)는
상기 배관(1) 단부 일측에 연결되어 배관(1) 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벤트(5)와 함께 배관(1) 내의 기포 및 불순물(이하에서는 '에어'로 통칭한다)을 배출하게 되는데,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20)는 전자 제어에 의해서 밸브를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릴레이(30)는
상기 감지수단(10)의 에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2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것으로,
즉, 상기 감지수단(10)의 통전부(11)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2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통전부(11)의 스위칭이라 함은 전도성 유체에 잠기어 상기 두 전극봉(111)의 통전이 일어나거나 또는 에어가 차있어 상기 두 전극봉(111)의 단절이 일어나는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릴레이(30)는 상기 감지수단(10)의 두 전극봉(111)이 전도성 유체에 잠기어 통전시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반대로 상기 감지수단(10)의 두 전극봉(111)이 에어가 차 있는 공간으로 인하여 단절시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20)를 통해 배관(1) 내의 에어를 배출시키게 된다.
에어가 배출되면서 서서히 전도성 유체가 차오르면서 상기 두 전극봉(111)이 잠기게 되면 릴레이(30)에 의해서 전원이 차단되어 밸브(2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자동 배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감지수단이 설치부재에 의해서 배관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설치부재의 고정링과 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고정링과 장착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장착부의 로드에 인입된 두 전극봉의 이격 거리에 따라 고정링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관 2 : 퇴수용 밸브
3 : 설치 밸브 4 : 통합차단밸브
5 : 에어벤트 6 : 압력게이지
10 : 감지수단
11 : 통전부 111 : 전극봉
12 : 정보표시부
20 : 에어 배출용 밸브
30 : 릴레이
40 : 설치부재
41 : 장착공
411 : 결합부
42 : 고정링
421 : 삽입공 422 : 탄성편
43 : 캡
431 : 대응결합부 432 : 삽입홀
44 : 장착부
441A : 로드 441 : 나선부
442 : 비나선부 443 : 플랜지
444 : 인입공 445 : 마감부재
446 : 충진제
45 : 오링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설치부재에 의해서 배관 단부에 장착되고, 배관 내의 에어 감지수단;
    상기 배관 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에어 배출용 밸브; 및
    상기 감지수단의 에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릴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배관 단부에 내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장착공, 탄성편을 갖고 상기 장착공 상단에 배열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을 상기 배관에 고정하는 캡, 그리고 상기 통전부가 중심을 지나고 나선부와 비나선부를 갖고 상기 캡 상단에 끼워져 상기 나선부가 상기 고정링의 탄성편에 걸려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호 이격된 두 전극봉을 갖는 통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통전부의 두 전극봉이 배관 내의 전도성 유체에 잠기면 통전되고, 에어가 차있어 단절되면 에어 감지신호를 상기 릴레이에 전달하게 되며,
    상기 릴레이는 상기 감지수단의 에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의 가동 전원을 온(ON)시키게 되고,
    전원이 온(ON)된 상기 에어 배출용 밸브를 통하여 배관 내의 에어를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
KR2020090003191U 2009-03-19 2009-03-19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 KR200445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91U KR200445238Y1 (ko) 2009-03-19 2009-03-19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91U KR200445238Y1 (ko) 2009-03-19 2009-03-19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238Y1 true KR200445238Y1 (ko) 2009-07-10

Family

ID=4135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91U KR200445238Y1 (ko) 2009-03-19 2009-03-19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23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3877A (ja) 1982-03-24 1983-09-28 Sanden Corp 自動空気抜き装置
US5045661A (en) 1988-03-15 1991-09-03 Fanuc Ltd Wire electrode guide apparatus in a wire-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KR20040032481A (ko) * 2002-10-10 2004-04-1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수 순환라인의 오일유입 감지장치
KR100740274B1 (ko) * 2006-11-17 2007-07-18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만수감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3877A (ja) 1982-03-24 1983-09-28 Sanden Corp 自動空気抜き装置
US5045661A (en) 1988-03-15 1991-09-03 Fanuc Ltd Wire electrode guide apparatus in a wire-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KR20040032481A (ko) * 2002-10-10 2004-04-1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수 순환라인의 오일유입 감지장치
KR100740274B1 (ko) * 2006-11-17 2007-07-18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만수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065B1 (ko) 소형 제수밸브의 부식 방지 장치
GB2469145A (en) Magnetic filter
KR102217390B1 (ko) 동파 방지를 위한 냉기전도 차단수단을 갖는 부동급수전
CN104235487B (zh) 一种防盗防冻阀门
KR200445238Y1 (ko) 배관의 에어 자동 배출장치
KR101812264B1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
CN211083030U (zh) 一种浮球阀
CN103301676A (zh) 磁性过滤器
KR200389029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구조
CN102022819B (zh) 一种电热水装置
KR100875717B1 (ko) 발열선이 내장된 밀폐형 관의 팽창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압력 비례 제어식 안전장치
JP2010031920A (ja) 弁類の作動状態検出装置
CN213836706U (zh) 管井降水的潜污装置
CN206670057U (zh) 冷凝式燃气暖浴两用炉用冷凝水收集装置
CN214367983U (zh) 一种鱼缸用液动式无障碍球芯止水阀
CN205980331U (zh) 一种带防电墙的空心镁棒
JP3128929U (ja) 床暖房装置
JP3128929U6 (ja) 床暖房装置
GB2466542A (en) Fitting assembly for a drinking water heater
JP5622021B2 (ja) ドレン排出用配管部材の接続構造、及び、熱源機
JP2016095048A (ja) 配管接続具
CN216768720U (zh) 一种新型加长内丝弯管
CN107806724B (zh) 水系统保护装置、控制方法、水系统及空调器
CN112392059A (zh) 管井降水的潜污装置
JP4825147B2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