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082Y1 - 다용도 옷걸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082Y1
KR200445082Y1 KR2020070020060U KR20070020060U KR200445082Y1 KR 200445082 Y1 KR200445082 Y1 KR 200445082Y1 KR 2020070020060 U KR2020070020060 U KR 2020070020060U KR 20070020060 U KR20070020060 U KR 20070020060U KR 200445082 Y1 KR200445082 Y1 KR 200445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ger
hook portion
upper hook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996U (ko
Inventor
이두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70020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08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0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50Hooks on hangers for supporting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6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complete outf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는 상의지지대가 양쪽으로 대칭 형성되며, 각 상의지지대의 하부 좌ㆍ우측에 대향 형성된 연결공이 구비된 상의걸이부; 일 측은 상의걸이부의 일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은 상이걸이부의 타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막대로 구비된 하의걸이부; 상의걸이부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후크부; 상의걸이부의 타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의걸이부를 탈착시키는 탈착부재; 및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상의지지대의 각 연결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의걸이부를 지지하는 하의걸이부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는, 탈착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하의걸이부를 하의의 벨트고리에 삽입시켜 하의를 걸기 때문에, 하의에 발생하는 주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의걸이부에 하의걸이부지지대가 설치되어, 무거운 하의에 의해 옷걸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의걸이부지지대를 상의걸이부의 상부로 배치하여 모자, 양말 및 장갑 등을 걸 수 있어, 빨레건조용으로 사용될 시에는 하의를 주름지지않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양말, 장갑 등을 하의걸이부지지대에 끼워 건조하기 때문에 양말 및 장갑 등의 내부의 통풍이 원활해져 건조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옷걸이, 주름방지, 양말걸이, 장갑걸이, 탈착식 옷걸이

Description

다용도 옷걸이 {MULTIPURPOSE CLOTHES RACK}
본 고안은 다용도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의걸이부에 하의를 주름이 생기지 않게 걸 수 있고, 또한 무거운 하의에 의해 하의걸이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의걸이부를 지지하며, 나아가 빨래 건조시 양말, 장갑 등의 내부가 통풍이 되게 걸 수 있는 다용도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옷을 걸어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되는 옷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옷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도구이다. 또한, 세탁한 옷을 건조할 때에도 옷걸이에 걸어서 건조하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옷걸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후크부(10), 상의걸이부(20) 및 하의걸이부(30)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옷걸이는 하의걸이부(30)에 하의를 접어서 거는 방식을 취하므로, 주름이 없던 하의에도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빨래 걸이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상의 또는 하의를 걸 수 있을 뿐 모자, 양말, 장갑 등을 걸기가 용이하지 아니하였고, 양말, 장갑 등을 접어서 걸 수는 있으나, 잘 펴서 걸 수 있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하의걸이부를 탈착방식으로 하여, 하의를 거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런데 하의걸이부를 탈착방식으로 하는 것은 종래에도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4923호와 같은 고안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안은 옷걸이의 휴대를 위하여 하의걸이부를 접을 수 있는 관점에서 탈착방식이 구현된 것이다. 따라서, 일정한 무게가 있는 하의를 튼튼하게 거는 관점에서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가진다.
첫째, 하의를 옷걸이에 걸 때 하의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둘째, 무거운 하의를 걸 때 하의지지부가 파손되지 않는 기술적 구성을 구비하고자 한다.
셋째, 빨래 건조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양말, 장갑 등을 접어서 널지 않고 내부에 통풍이 되게 펴서 널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구비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들에 한정되지 않으면,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는 상의지지대가 양쪽으로 대칭 형성되며, 각 상의지지대의 하부 좌ㆍ우측에 대향 형성된 연결공이 구비된 상의걸이부; 일 측은 상의걸이부의 일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은 상이걸이부의 타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막대로 구비된 하의걸이부; 상의걸이부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후크부; 상의걸이부의 타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의걸이부를 탈착시키는 탈착부재; 및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상 의지지대의 각 연결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의걸이부를 지지하는 하의걸이부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의걸이부의 연결공은 상의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연결공의 일 측에는 걸림부를 형성시켜, 하의걸이부지지대가 하의걸이부를 지지하도록 위치되면 걸림부에 하의걸이부지지대를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복수의 하의걸이부 중 일부의 하의걸이부는 탈착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에서 복수의 하의걸이부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탈착부재는 상의걸이부의 타 상의지지대의 하부 일 측에 형성된 가이드공; 타 상의지지대의 내측에서 가이드공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홈;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고정홈에 안착되며, 가이드공에서 이격형성된 제1 걸림턱 및 제1 걸림턱에서 고정홈 방향으로 이격형성된 제2 걸림턱을 갖는 체결봉; 가이드공과 제1 걸림턱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봉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의걸이부지지대는 양 상의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 및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은 하의걸이부지지대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은 안착홈에 안착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는, 탈착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하의걸이부를 하의의 벨트고리에 삽입시켜 하의를 걸기 때문에, 하의에 발생하는 주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의걸이부지지대가 설치되어, 무거운 하의에 의해 옷걸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의걸이부지지대를 상의걸이부의 상부로 배치하여 양말, 장갑 등을 내부에 통풍이 되게 건조하기 때문에 양말 및 장갑 등의 내부의 통풍이 원활해져 건조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걸이부(100), 하의걸이부(200), 후크부(300), 탈착부재(400) 및 하의걸이부지지대(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의지지대(110)가 양쪽으로 대칭 형성되며, 각 상의지지대(110)의 하부 좌우측에 대향 형성된 연결공(120)이 구비된 상의걸이부(100); 일 측은 상의걸이부(100)의 일 상의지지대(11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은 상이걸이부(100)의 타 상의지지대(110)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막대로 구비된 하의걸이부(200); 상의걸이부(100)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후크 부(300); 상의걸이부(100)의 타 상의지지대(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의걸이부(200)를 탈착시키는 탈착부재(400); 및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상의지지대(110)의 각 연결공(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의걸이부(200)를 지지하는 하의걸이부지지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의걸이부(200)는 상의지지대(110)가 양쪽으로 대칭 형성되며, 각 상의지지대(110)의 하부 좌ㆍ우측에 대향 형성된 연결공(120)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의걸이부(100)의 일 상의지지대(110)의 하측에는 하의걸이부(2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힌지부재(140)가 마련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의걸이부(100)의 연결공(120)은 상의지지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연결공(120)의 일 측에는 걸림부(121)를 형성시켜, 하의걸이부지지대(500)가 하의걸이부(200)를 지지하도록 위치되면 걸림부(121)에 하의걸이부지지대(500)를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의걸이부지지대(500)는 양 상의지지대(11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130); 및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은 하의걸이부지지대(500)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은 안착홈(130)에 안착되는 보조지지대(5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의걸이부지지대(500) 및 보조지지대(510)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및 도 3에는 일 실시예로서 사각고리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의 다양한 고리형상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의 하의걸이부의 여러 실시예에 관한 부분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의걸이부(200)는 일반적으로 하의의 벨트고리에 양쪽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하의걸이부(200)의 수도 2개가 일반적인 실시예로 될 수 있다.
그러나 하의걸이부(200)를 예를 들어, 4개, 6개 등으로 구비하여, 여러 벌의 하의를 거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여러 벌을 거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걸이부(200) 중 탈착부재(400)와 결합되는 부분에서 복수의 하의걸이부(200)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하의걸이부(200)가 2개가 구비된 일반적인 경우이며, 하의걸이부(200)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호 간격이 동일하여도 일반적으로는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겨울하의 또는 솜바지 등과 같이 하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경우에는 하의걸이부(200)의 상호 간격이 더 커져야 하의를 걸기가 용이할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420)과 체결봉(430)의 사이를 하의걸이부(200)가 통과하여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8b 내지 도 8d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하의를 걸기 위한 간격은 충분히 주어지면서도, 탈착부재(400)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탈착부재(40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의걸이부(100)의 타 상의상의지지대(110)의 하부 일 측에 형성된 가이드공(410); 타 상의상의지지대(110)의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공(41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홈(420); 가이드공(410)을 관통하여 고정홈(420)에 안착되며, 가이드공(410)에서 이격형성된 제1 걸림턱(431) 및 제1 걸림턱에서 고정홈(420) 방향으로 이격형성된 제2 걸림턱(432)을 갖는 체결봉(430); 가이드공(410) 과 제1 걸림턱(43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봉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440); 및 제1 걸림턱(431)과 제2 걸림턱(43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4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440)은 집게구조로 마련되며, 체결봉(430)을 물고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토퍼(440)를 누르면 체결봉(430)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체결봉(430)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의걸이부(2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재(400)와 결합되는 일 측에 체결공(210)이 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를 대상으로 본 고안의 탈착부재(4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체결봉(430)은 도 4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토퍼(440)를 눌러 스토퍼(440)와 체결봉(430)간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체결봉(430)을 잡아당긴 후 누르고 있는 스토퍼(440)를 놓으면, 스토퍼(440)와 체결봉(430)이 다시 맞물림 결합을 하면서 도 4b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체결공(210)이 형성된 체결봉(430)을 결합위치에 놓고, 스토퍼(440)를 누르면 탄성부재(450)에 의해 체결봉(430)이 이동하여 하의걸이부(200)의 체결공(210)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고정홈(420)에 안착되면서 도 4a와 같이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하의걸이부(20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210)이 없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체결공(210)이 형성된 하의걸이부(200)도 도 4c의 실시예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탈착부재(400)의 체결봉(430)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턱(431)과 제2 걸림턱(432)의 상단을 상호연결하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턱 연결부(433)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복수의 하의걸이부(200)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지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탈착부재(400)에서는, 상의걸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체결봉(430)의 단부에 파지부(4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파지부(460)는 도 4a 내지 도 4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봉(430)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체결봉(430)을 잡기 좋은 다양한 형상이면 충분하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는 탈착부재(400)의 체결봉(430) 내지 그에 형성된 파지부(460)가 상의걸이부(100)의 외면으로 돌출되면 상의가 손상될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의걸이부(100)는, 가이드공(410)이 구비된 측의 상의걸이부(100)의 외면을 상의걸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a 내지 도 4d 참조)
한편, 사용자의 어깨간격이 넓은 경우 상의의 어깨간격이 넓어지므로 일반적인 옷걸이로는 상의가 잘 걸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최근에는 상의의 어 깨부분에 스폰지 등의 보형물을 삽입하는 경우도 많은 실정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의걸이부(100)는 이러한 경우에도 상의에 손상을 주지않고 잘 걸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은 상기 상의지지대(110)의 하부 외면에 대응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외면은 라운드지게 돌출형성된 보조상의걸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본 고안의 상이걸이부(100)의 각 하측에 상기 보조상의걸이부(600)를 부착한 후 상의를 편리하게 걸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의걸이부(100)의 중앙부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30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아래로 연장형성된 보조후크부(3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가 낼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옷걸이에 다른 옷걸이 또는 다른 물건 예로 모자 등을 걸 수 있는 보조후크부(310)를 추가형성시킨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를 이용하여 양말, 장갑 등을 건조시키는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의걸이지지부(500)를 상의지지대(110)의 상측으로 회전이동시키고, 하의걸이지지부(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보조지지대(510)의 일 단을 상의지지대(11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30)에 삽입안착시키면 하의걸이부지지대(500)가 상측으로 서게 된다. 그런 후 하의걸이부지지대(500)에 젖어있는 양말이나 장갑 등을 끼워 넣으면, 통풍가능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옷걸이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AA선의 부분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의 탈착부재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에서 하의걸이부를 지지하는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옷걸이의 하의걸이부의 여러 실시예에 관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의걸이부 110 : 지지대
120 : 연결공 121 : 걸림부
130 : 안착홈 140 : 힌지부재
200 : 하의걸이부 210 : 체결공
300 : 후크부 400 : 탈착부재
410 : 가이드공 420 : 고정홈
430 : 체결봉 431 : 제1 걸림턱
432 : 제2 걸림턱 433 : 턱 연결부
440 : 스토퍼 450 : 탄성부재
460 : 파지부 500 : 하의걸이부지지대
510 : 보조지지부 600 : 보조상의걸이부

Claims (12)

  1. 상의지지대가 양쪽으로 대칭 형성되며, 각 상의지지대의 하부 좌우측에 대향 형성된 연결공이 구비된 상의걸이부;
    일 측은 상의걸이부의 일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은 상이걸이부의 타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막대로 구비된 하의걸이부;
    상의걸이부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후크부;
    상의걸이부의 타 상의지지대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의걸이부를 탈착시키는 탈착부재; 및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상의지지대의 각 연결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의걸이부를 지지하는 하의걸이부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걸이부의 연결공은,
    상의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의 일 측에는 걸림부를 형성시켜, 하의걸이부지지대가 하의걸이부를 지지하도록 위치되면 상기 걸림부에 하의걸이부지지대를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의걸이부 중 일부의 하의걸이부는
    탈착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에서 복수의 하의걸이부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걸이부는, 탈착부재와 결합되는 일 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걸이부의 중앙부 일측에는, 상기 후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아래로 연장형성된 보조후크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상의걸이부의 타 상의지지대의 하부 일 측에 형성된 가이드공;
    타 상의지지대의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공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홈;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고정홈에 안착되며, 가이드공에서 이격형성된 제1 걸림턱 및 제1 걸림턱에서 고정홈 방향으로 이격형성된 제2 걸림턱을 갖는 체결봉;
    가이드공과 제1 걸림턱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봉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의 체결봉은,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의 상단을 상호연결하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턱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집게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9. 제6항에 있어서,
    상의걸이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체결봉의 단부에는 파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이 구비된 상의걸이부의 외면은,
    상의걸이부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걸이부지지대는,
    양 상의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 및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은 하의걸이부지지대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은 안착홈에 안착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걸이부는
    내면은 상기 상의지지대의 하부 외면에 대응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외면은 라운드지게 돌출형성된 보조상의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옷걸이.
KR2020070020060U 2007-12-13 2007-12-13 다용도 옷걸이 KR200445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60U KR200445082Y1 (ko) 2007-12-13 2007-12-13 다용도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60U KR200445082Y1 (ko) 2007-12-13 2007-12-13 다용도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96U KR20090005996U (ko) 2009-06-17
KR200445082Y1 true KR200445082Y1 (ko) 2009-06-26

Family

ID=4129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060U KR200445082Y1 (ko) 2007-12-13 2007-12-13 다용도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0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31Y1 (ko) 2011-03-09 2011-09-16 옥민구 롤형 집게를 구비하는 옷걸이
CN105662087A (zh) * 2016-01-31 2016-06-15 广西南岜仔科技有限公司 一种防风衣架
CN106037419A (zh) * 2016-06-11 2016-10-26 杨越 一种衣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490B1 (ko) 2018-12-06 2020-04-28 권민준 다용도 스탠드 옷걸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31Y1 (ko) 2011-03-09 2011-09-16 옥민구 롤형 집게를 구비하는 옷걸이
CN105662087A (zh) * 2016-01-31 2016-06-15 广西南岜仔科技有限公司 一种防风衣架
CN106037419A (zh) * 2016-06-11 2016-10-26 杨越 一种衣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96U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082Y1 (ko) 다용도 옷걸이
JP5248688B1 (ja) 折畳み式ハンガー
JP2023548086A (ja) 風通しハンガー
CN100466946C (zh) 防止吊挂物落下用的单手夹
KR101055978B1 (ko) 절첩식 다용도 옷걸이
KR20110004673U (ko) 옷걸이
KR20090006867U (ko) 다용도 이동식 건조대
KR101227054B1 (ko) 사용이 편리한 옷걸이
CN202128275U (zh) 新型衣架
KR20130007306U (ko) 집게 바지걸이
JP3139001U (ja) 二重ハンガー
CN205697065U (zh) 一种防风防滑撑衣架
JP3033493U (ja) ハンガー
JP5908823B2 (ja) タートルネック及びフード付衣類用洗濯物干しハンガー
JP5662506B2 (ja) 乾燥用アダプタ
CN209733370U (zh) 一种联排折叠挂衣架
KR20120009286A (ko) 바지 걸이용 옷걸이
KR20110059361A (ko) 개폐형 바지걸이 겸용 다용도 옷걸이
JP3111151U (ja) 多目的物干し用具
JP2012183222A (ja) 洗濯物乾燥補助具
AU2017100613A4 (en) An improved laundry basket
CN208541080U (zh) 一种防风衣架
CN207768053U (zh) 一种多功能衣架
KR200463529Y1 (ko) 바지 걸이
JP3151386U (ja) 靴下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