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928Y1 -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928Y1
KR200444928Y1 KR2020070017032U KR20070017032U KR200444928Y1 KR 200444928 Y1 KR200444928 Y1 KR 200444928Y1 KR 2020070017032 U KR2020070017032 U KR 2020070017032U KR 20070017032 U KR20070017032 U KR 20070017032U KR 200444928 Y1 KR200444928 Y1 KR 200444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irror
housing
clip
memo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863U (ko
Inventor
윤영구
Original Assignee
윤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구 filed Critical 윤영구
Priority to KR2020070017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2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9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holding means for person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 용지를 간단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에서 비추는 전조등에 의해 규빅과 같은 보석이 박히지 않아도 멋있게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탑 실링에 브라켓트와 지지대로 고정된 룸미러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10)의 하우징(13)에 착탈가능하게 보조미러(110)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조하우징(120)의 중앙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메모지착탈클립(130)이 설치되되,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은 보조하우징(120)의 전면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착설치되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의 앞으로 메모지를 밀착시켜 상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과 보조하우징(120)의 배면과의 사이에 메모지가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룸미러, 메모지착탈클립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룸미러{ROOM MIRROR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 용지를 간단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에서 비추는 전조등에 의해 규빅과 같은 보석이 박히지 않아도 멋있게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후방과 측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미러는 실내에 구비된 룸미러(ROOM MIRROR)와, 양도어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룸미러는 자동차 실내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탑 실링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룸미러가 도 107에 도시되어 있는바, 탑 실링에 브래키트(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브래키트(1)에 지지대(2)가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2)의 하단에 미러(4)가 표면에 부착된 하우징(3)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의 하단에는 야간주행시, 후속차량 전조등으로부터 미러(4)를 통해 운전자의 눈으로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가 눈이 부시게 되지 않도록 미 러(4)의 각도를 조정하는 노브(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룸미러는 오직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확보해 주는 기능 밖에 없기 때문에, 자동차의 여러 설비들이 다기능화가 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볼 때,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따라서, 종래에도 룸미러의 단순기능에 부가하여 여러 기능을 보조룸미러에 구비시키므로써, 보조룸미러의 다기능화란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는 메모지와 같은 것은 운전자의 시야에서 쉽게 볼 수 없는 곳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를 감안하여 제조된 보조룸미러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메모지를 쉽게 고정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으며, 또한 아름다움과 빛의 발산을 강조하기 위해 보석류를 부착하여 고가로 제작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보조하우징의 하부에 메모지착탈클립이 돌출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메모지를 메모지착탈클립에 밀착시켜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메모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메모지착탈클립의 설치시 조립이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보조룸 미러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메모지착탈클립에 메모지나 명함등을 끼웠을 때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된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를 제공함에 제 3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미러를 감싸는 보조하우징의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반구홈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후방의 전조등에 의해 빛을 받으면 빛의 산란이 우수하여 보석처럼 빛나도록 된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를 제공함에 제 4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의 탑 실링에 브라켓트와 지지대로 고정된 룸미러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는, 상기 룸미러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보조미러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조하우징의 중앙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메모지착탈클립이 설치되되, 상기 메모지착탈클립은 보조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착설치되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의 앞으로 메모지를 밀착시켜 상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과 보조하우징의 배면과의 사이에 메모지가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의 돌출된 상부면에는 광고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는, 상기 보조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이 끼워져 소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모지착탈클립은,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결합부가 상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은 상부면에 일정한 길이로 상기 고정부와 끼워져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광고부의 사이에는 끼워지는 메모지가 일정 깊이만 들어가도록 스톱퍼가 구비되며, 상기 광고부의 상부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이 상기 보조미러가 안착고정된 보조하우징쪽으로 가압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는, 상기 보조하우징의 고정부 주위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의 결합부가 형성된 부분이 고정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또는,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상기 보조하우징의 고정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밀착돌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는, 상기 보조하우징의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양측면에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양단측면으로 개구되는 일정깊이의 반구홈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보조미러를 감싸는 보조하우징의 상부 중앙에 소정 각도의 호형상 이미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미지부에 우드형상이나 광고물등의 다양한 문양을 형성한 이미지부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의하면, 메모지와 같은 것을 운전자의 시야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곳에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메모지를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의하면, 보조하우징의 하부에 메모지착탈클립이 돌출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메모지를 메모지착탈클립에 밀착시켜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메모지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의하면, 메모지착탈클립에 메모지나 명함등을 끼웠을 때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의하면, 미러를 감싸는 보조하우징의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반구홈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후방의 전조등에 의해 빛을 받으면 빛의 산란이 우수하여 보석처럼 빛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의하면, 보조미러를 감싸는 하우징의 상부 중앙에 소정 각도의 호형상 이미지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보조룸미러의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중인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보조룸미러(1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차의 탑 실링에 브라켓트와 지지대로 고정된 룸미러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룸미러(10)의 하우징(13)에 착탈가능하게 보조미러(110)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조하우징(120)의 중앙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메모지착탈클립(130)이 설치되되,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은 보조하우징(120)의 전면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착설치되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의 앞으로 메모지를 밀착시켜 상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과 보조하우징(120)의 배면과의 사이에 메모지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의 전면이 미러(110)가 고정된 보조하우징(120)에 밀착되어 있어서 메모지를 메모지착탈클립(130)의 전면으로 밀착하여 상부로 밀어올리면 보조하우징(120)과 메모지착탈클립(130)의 전면 사이에 메모지가 끼워져 메모지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의 돌출된 상부면에는 광고부(1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을 와이어 부재로 할 경우와는 달리 광고부(135)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물론 상기 광고부(135)는 부착하는 타입이나 인쇄하는 타잎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광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이 끼 워져 소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부(125)가 구비되고,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은, 상기 고정부(125)에 의해 지지되는 결합부(136)가 상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5)와 결합부(13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메모지착탈클립(130)을 상부로 밀어 넣으면 후크 타입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면 나사못 같은 것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뿐만 아니라 체결력에 의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이 보조하우징(120)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은 상부면에 일정한 길이로 상기 고정부(125)와 끼워져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경사면(130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6)와 광고부(135)의 사이에는 끼워지는 메모지가 일정 깊이만 들어가도록 스톱퍼(138)가 구비되며, 상기 광고부(135)의 상부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이 상기 보조미러(110)가 안착고정된 보조하우징(120)쪽으로 가압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편(139)이 구비된다.
즉, 상기 경사면(130a)에 의해 메모지착탈클립(130)은 상기 고정부(125)에 밀어 넣기가 용이하고, 또 상기 스톱퍼(138)은 메모지가 너무 깊이 들어가 꺼내기가 곤란한 점을 해소하게 되며, 상기 탄성편(139)은 메모지착탈클립(130)이 보조하우징(120)에 지속적으로 밀착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고정부(125) 주위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의 결합부(136)가 형성된 부분이 고정부(125)에서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돌기(126)가 또는, 상기 결합부(136)의 사이에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고정부(125)에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밀착돌기(137)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돌기(126)와 밀착돌기(137)는 메모지착탈클립(130)을 고정부(125)에 조립후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 메모지착탈클립(13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광고부(135)와, 결합부(136), 스톱퍼(138), 탄성편(139)등이 형성되는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보조룸미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미러와 이미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자동차의 탑 실링(20)에 브라켓트와 지지대로 고정된 룸미러(10)의 하우징(1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13)에 착탈가능하게 보조미러(110)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조하우징(120)이 고정되되,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양측면에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양단측면으로 개구되는 일정깊이의 반구홈(121)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반구홈(121)으로 후방에서 빛이 들어오면 빛이 산란하면서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빛이 보석같이 발산하게 되므로 아름답고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
상기 보조하우징(120)에는 상기 하우징(13)에 착탈가능하도록 체결수단이 결합되는바, 도 3 및 도 10의 123과 124는 체결수단이 설치되는 체결수단 고정부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클립(130)의 양단(131)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보조미러(110)가 부착되어 고정되는 내측면 바닥에 절곡되어 끼워진 상태로 도 11과 같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클립(130)의 소정위치(132)는 절곡되어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내측면 바닥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클립(130)의 양단(131)이 보조하우징(120)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130)이 보조하우징(12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상기 탄성클립(130)의 소정위치(132)가 절곡되어 보조하우징(120)의 내측면 바닥에 밀착되므로 상기 곡면부(133)는 상부로 들어 올려져 보조하우징(120)의 상부에 밀착되게 되므로, 상기 탄성클립(130)의 곡면부(133)에 메모지를 밀착하여 상부로 밀어올리면 보조하우징(120)과 곡면부(133)의 사이에 메모지가 끼워져 메모지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미러(110)를 감싸는 보조하우징(120)의 상부 중앙에 소정 각도의 호형상 이미지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이미지부(122)에 우드형상이나 광고물등의 다양한 문양을 형성한 이미지부재(140)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호형상 이미지부(122)에 중후한 멋을 내는 우드그레인으로된 이미지부재(140)를 부착하여 인테리어 할 수 있고, 또 이미지부재(140)에 광고를 인쇄하여 광고 또는 판촉물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이미지부(122)에는 상기 이미지부재(140)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리브(122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또 상기 이미지부재(140)에도 상기 고정리브(122a)에 끼워지는 돌기(141)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2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중인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메모지착탈클립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배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보조룸미러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미러와 이미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룸미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룸미러 13 : 하우징
110 : 보조미러 120 : 보조하우징
121 : 반구홈 122 : 이미지부
126 : 가압돌기 130 : 메모지착탈클립(탄성클립)
135 : 광고부 136 : 결합부
137 : 밀착돌기 138 : 스톱퍼
139 : 탄성편 140 : 이미지부재

Claims (7)

  1. 자동차의 탑 실링에 브라켓트와 지지대로 고정된 룸미러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룸미러(10)의 하우징(13)에 착탈가능하게 보조미러(110)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조하우징(120)의 중앙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메모지착탈클립(130)이 설치되되,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은 보조하우징(120)의 전면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착설치되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의 앞으로 메모지를 밀착시켜 상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과 보조하우징(120)의 배면과의 사이에 메모지가 고정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에 있어서,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이 끼워져 소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부(125)가 구비되고,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은, 상기 고정부(125)에 의해 지지되는 결합부(136)가 상부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일정한 길이로 상기 고정부(125)와 끼워져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경사면(130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6)와 광고부(135)의 사이에는 끼워지는 메모지가 일정 깊이만 들어가도록 스톱퍼(138)가 구비되며,
    상기 광고부(135)의 상부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이 상기 보조미러(110)가 안착고정된 보조하우징(120)쪽으로 가압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편(13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의 돌출된 상부면에는 광고부(1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고정부(125) 주위에는 상기 메모지착탈클립(130)의 결합부(136)가 형성된 부분이 고정부(125)에서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돌기(126) 또는 상기 결합부(136)의 사이에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고정부(125)에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밀착돌기(137)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양측면에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양단측면으로 개구되는 일정깊이의 반구홈(121)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미러(110)를 감싸는 보조하우징(120)의 상부 중앙에 소정 각도의 호형상 이미지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이미지부(122)에 우드형상이나 광고물등의 다양한 문양을 형성한 이미지부재(140)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KR2020070017032U 2007-10-22 2007-10-22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KR200444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32U KR200444928Y1 (ko) 2007-10-22 2007-10-22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32U KR200444928Y1 (ko) 2007-10-22 2007-10-22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63U KR20090003863U (ko) 2009-04-27
KR200444928Y1 true KR200444928Y1 (ko) 2009-06-17

Family

ID=4128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032U KR200444928Y1 (ko) 2007-10-22 2007-10-22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9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63U (ko) 200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2348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mirror
EP2159103A2 (en) Vehicular Lamp
JP3197249U (ja) 自動車用字光式led電気装飾品
KR101740268B1 (ko) 자동차용 ohc 램프 플레이트
US6758584B2 (en) Slide lock for grab handle assembly
KR200444928Y1 (ko)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US5590947A (en) Illuminated windscreen for a motorcycle fairing
US2023020418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linker module as well as a blinker module, rearview device and motor vehicle
JP6517509B2 (ja) 車両用加飾部材
JP2008006990A (ja) 照明装置
JP2007203762A (ja) 導光チュ−ブの取付装置
JP2003127768A (ja) 車両用ルームランプ
JP6931553B2 (ja) 車両用灯具
JP5745998B2 (ja) 車両用灯具の取付構造
JP2014151651A (ja) 車両用ドアミラーランプ
KR100479179B1 (ko) 차량용 광고장치
CA2437002A1 (en) Light source housing and light device with a light source securing mechanism
KR100929717B1 (ko) 차량용, 특히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
JP3321032B2 (ja) 自動車のランプカバー取付構造
US9463735B1 (en) Vehicle visor assembly with illuminating check assembly
KR200310990Y1 (ko) 차량용 광고장치
JPS629604Y2 (ko)
KR20030028210A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램프 체결구조
JPS5855459Y2 (ja) コントロ−ルパネル用操作ノブ
KR200314319Y1 (ko) 헤드 라이트용 보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