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817Y1 -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817Y1
KR200444817Y1 KR2020080016201U KR20080016201U KR200444817Y1 KR 200444817 Y1 KR200444817 Y1 KR 200444817Y1 KR 2020080016201 U KR2020080016201 U KR 2020080016201U KR 20080016201 U KR20080016201 U KR 20080016201U KR 200444817 Y1 KR200444817 Y1 KR 200444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rt
container
contents
stopper
inje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2020080016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8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사 용기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사 용기의 내용물 배출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개구공을 가지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 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 용기의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 및 개구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누르는 위치에 이동된 상태로 상기 이동부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이동부를 감싼 채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와, 상기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보호부의 일 부분에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변위 된 일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가 돌출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보호부보다 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이동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CAP FOR SPRAYING CAN AND SPRYAING CAN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내용물을 강제로 분사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된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연료나 향기, 또는 살충제 등의 내용물은 액체 또는 기체 상태로서 일정한 용기(CAN)에 담긴 채로 유통되고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연료 용기, 방향제 용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총괄적으로 분사 용기라 칭해질 수도 있다.
분사 용기 중에 연료 용기 등은 분사를 위한 고압 가스 등과 함께 내용물이 충진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내용물은 휴대용 가스 레인지 등에 분사 용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노즐 조립체가 작동되어 분사되도록 예정되어 있다.
분사 용기에 충진된 내용물은 위와 같은 예정된 방식에 의해 대부분이 외부로 분사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량의 내용물이 잔존하는 채로 용기가 버려지게 된다.
이러한 용기는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어서 그 잔존하는 내용물(및 고압 가 스)을 강제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망치나 못을 이용하여 용기에 구멍을 뚫는 등의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삭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방식으로 분사 용기 내의 내용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면서도 분사 용기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강제로 분사시키기 위한 구성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강제 분사를 위한 구성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위의 그를 방지하는 구성이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사 용기용 마개는 분사 용기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사 용기의 내용물 배출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개구공을 가지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 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 용기의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 및 개구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누르는 위치에 이동된 상태로 상기 이동부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이동부를 감싼 채로 상기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와, 상기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보호부의 일 부분에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변위 된 일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가 돌출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보호부보다 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이동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 된다. 상기 이동부는 외주의 대부분이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의 상기 분사 용기에 장착되는 부분과 상기 보호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 부분 및 보호부와 일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지부는 상기 몸체에서 돌출된 고정 돌기이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돌기를 가압하며 이동된 후에 상기 고정돌기의 자유단에 걸려서 상기 이동된 위치에 유지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노출부는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 조립체는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며 상기 내용물의 분사를 위한 노즐 조립체가 일 부분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노즐 조립체를 감싸도록 장착 가능하며 위와 같은 마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즐 조립체의 일 부분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노즐 조립체가 장착되며, 상기 마개의 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각각 마주하는 내벽과 외벽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벽에 억지 끼움 되도록 하는 걸림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관련된 분사 용기용 마개는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와 그를 내용물의 분사 가능한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부를 구비하면서도 이동부를 보호부를 통해 감싸도록 구성됨에 따라, 이동부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출부에 의해 보호부에 의해 이동부가 감싸지는 상황의 일부가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이동부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에 대한 접근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분사 용기의 내용물을 마개를 이용하여 강제 배출하게 함에 따라, 강제 배출을 위한 추가적인 부품이나 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이에 의하면, 소비자는 야외에서도 별도의 도구를 준비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분사용기의 내용물을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개가 분사 용기에 고정됨에 따라서는, 분사 용기와 별도로 마개가 버려지지 않고 분사 용기와 일체로 관리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분사 용기뿐만 아니라 마개 역시 재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을 강제 배출 가능한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 조립체의 종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 용기는 하우징(100) 및 노즐조립체(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용물 및 분사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S)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는 하부 및 상부 밀봉캡(120 및 130)을 포함한다. 하부 밀봉캡(120)은 내부 공간(S)에 일정 수준의 과압이 걸린 경우 내부 공간(S)의 체적을 확대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기 위하여 내부 공간(S)을 향해 만곡 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밀봉캡(130)에는 노즐조립체(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40)가 결합 된다.
노즐조립체(200)는 일 단부가 내부 공간(S)에 배치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채로 지지부재(14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에 내부 공간(S)에 충전된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분사되게 한다.
지지부재(140)에는 마개(300)가 결합 될 수 있다. 마개(300)는 지지부재(140)와 밸브 조립체(200)의 일 부분을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우징(100))과 노즐조립체(200) 외에 마개(300)를 더 포함하여 분사 용기 조립체라 칭한다.
도 2는 도 1의 노즐 조립체(200)의 미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조립체(200)는 노즐 몸체(210)와, 밸브스템(220)과, 개폐부재(230)를 포함한다.
노즐 몸체(21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S)에 배치되는 중공체일 수 있다. 노즐 몸체(210)의 중공 부분은 내용물 등이 유동하는 공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 공간(S)으로부터 내용물 등이 유입되는 유입로(211)와 밸브스템(220)이 배치되는 공간부(212)를 포함한다.
밸브스템(220)은 공간부(212)에 자신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스템(220)은 노즐 몸체(210)의 일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체(2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 되며, 상기 탄성력에 반하여 또는 그의 도움을 받아 이동하게 된다.
밸브스템(220) 역시 내부에 일정 공간을 구비하여 내용물 등이 유동할 수 있 게 한다. 상기 공간은, 구체적으로 밸브스템(220)의 외주 상에 개구된 유입구(221)와, 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 또는 유출로(222)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 등의 유동을 위한 통로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유입로(211)는 유입구(221)를 거쳐 유출로(222)와 연결되면서, 내부 공간(S)이 외부와 연통 되게 한다.
개폐부재(230)는 밸브스템(220)에 변형 가능하게 장착되어, 밸브스템(220)과 연동 되어 변형되면서 상기와 같은 내용물 등의 유출 통로를 개폐하게 된다. 본 도면과 같이, 밸브스템(220)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폐부재(230)가 유입구(221)를 차단하기에, 내부 공간(S)에서 유입로(211)를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 등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된다.
도 3은 밸브스템(220)이 눌려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밸브스템(220)에 힘이 가해져서 눌려지게 되면, 밸브스템(220)은 유입로(211)와 가까워지는 방향(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개폐부재(23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변형된다.
그 결과로, 개폐부재(230)가 유입구(221)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밸브스템(220)에 대하여 상대 변위 되어 유입구(221)가 개방된다. 개방된 유입구(221)로 유입된 내용물 등은 배출구(22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분사 용기를 이용하는 소정의 목적(내용물 분사)이 달성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지지부재(140)는 링 형태의 수용부(141)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수용부(141)를 이루는 지지부재(140)의 마주하는 면들은 각각 내벽(142)과, 외벽(143)으로 칭해질 수 있다.
노즐 조립체(200)의 밸브스템(220)의 상부를 감싸도록 지지부재(140)에 결합 되는 마개(300)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은 위 수용부(141)에 수용된다(이상, 도 1 참조).
이러한 수용 상태에서, 노즐 조립체(200)의 밸브스템(220)은 마개(300)에 의해 눌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마개(300)는 노즐조립체(200)의 밸브스템(220)을 보호만 할 뿐 그가 작동되게 하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300)를 일 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마개(300)는 몸체(310)와, 이동부(320), 및 유지부(330)를 포함한다.
몸체(310)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가져서, 그의 개구된 부분에는 노즐조립체(200)의 일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이동부(320)는 몸체(3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부(320)는 외주의 대부분이 몸체(310)와 이격되고 일 부분만 몸체(310)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동부(320)는 위 일 부분을 중심으로 몸체(310)에 대하여 선회될 수 있다. 이동부(320)의 중앙에는 개구공(321)이 형성된다. 개구공(321)은 노즐조립체(200)의 배출구(222, 도 2 참조)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다.
유지부(330)는 이동부(320)의 일 부분에 대응하여 몸체(310)에 형성된다. 이 동부(320)는 유지부(330)를 가압하면서 선회하게 되고, 선회된 위치에 유지부(330)에 의해 유지된다. 이는 이동부(320)의 일 부분이 유지부(330)를 이루는 고정 돌기의 자유단에 걸림으로써 가능해 진다.
이동부(320)가 원치 않게 눌려지게 되더라도, 이동부(320)는 유지부(330)에 걸려서 원 상태로 복귀되기가 어렵다. 이동부(320)가 원치 않게 눌려지게 되는 것은, 이동부(320)를 보호하는 보호부(340)를 추가로 구비함에 의해 일정 수준까지 예방될 수 있다.
보호부(340)는 이동부(320)를 감싸도록 몸체(310)에서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310)가 대체로 원형인 단면적을 가지는바, 보호부(340) 역시 대체로 원형인 단면을 가지고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진다. 보호부(340)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는 보강 리브(341)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341)는 보호부(340)의 강성을 보완하게 된다.
보호부(340)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부(320)에 대해 사용자의 접근의 편의성을 부여하는 것은 노출부(350)를 추가로 구비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노출부(35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이동부(320)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 가능하게 몸체(310)에 형성된다. 노출부(350)가 이동부(320)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된 일 상태에서, 사용자는 별다른 장애 없이 이동부(32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노출부(350)는 몸체(310)에 일 부분만이 결합 된 채로 그에 대하여 선회되게 구성될 수 있다. 노출부(350)는 다른 상태에서는 보호부(340)의 인접한 부분들과 나란히 배치되어, 무의식적인 이동부(320)에 대한 접근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몸체(310)의 외주에는 걸림 리브(360)가 형성된다. 걸림 리브(360)가 지지부재(140)의 외벽(143)에 형성된 걸림부(144)에 걸리게 됨에 따라, 마개(300)는 분사 용기(100)에 결합 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5는 도 4의 마개(300)를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고하면, 이동부(320)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공(321)을 둘러싸고는 가압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322)는 이동부(320)의 저면에서 원통형으로 돌출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압부(322)의 내부에는 배출구(222, 도 2 참조)를 한정하는 밸브스템(220)의 일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몸체(310)의 일 부분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자유 단인 유지부(330)는 이동부(320)의 하 측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도 6은 도 4의 마개(300)를 분사 용기(100)에 장착하여 강제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마개(300)의 몸체(310)는 지지부재(140)의 수용부(141)에 수용되어 분사 용기(100)에 장착된다. 몸체(310)의 걸림 리브(360)는 지지부재(140)의 걸림부(144)에 걸린다.
노출부(350)가 이동부(320)에서 멀어지도록 선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는 이동부(320)를 밸브스템(220)을 향해 보다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이동부(320)의 유지부(330)에 대응하는 부분은 유지부(330)를 타고 넘으면서 밸브스템(220)을 향해 선회 이동하게 된다.
이동부(320)가 유지부(330)를 지나칠 정도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320)의 가압부(322)는 밸브스템(220)을 눌러 노즐 조립체(200)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분사 용기(100)의 내용물은 배출구(222) 및 개구공(321)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동부(320)는 밸브스템(220)을 누르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이동부(320)의 일 부분이 유지부(330)의 자유 단에 걸려서, 이동부(32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분사 용기(100) 내부의 내용물은 거의 전부가 강제로 배출될 수 있다. 마개(300)는 빈 분사 용기(100)와 함께 결합된 채로 수거되어 관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 조립체의 종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노즐 조립체의 미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밸브스템이 눌려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를 일 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마개를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마개를 분사 용기에 장착하여 강제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Claims (7)

  1. 분사 용기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사 용기의 내용물 배출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개구공을 가지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일 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 용기의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 및 상기 개구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누르는 위치에 이동된 상태로 상기 이동부를 유지하는 유지부;
    상기 이동부를 감싼 채로 상기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 및
    상기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보호부의 일 부분에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변위 된 일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가 돌출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보호부보다 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이동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분사 용기용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용기용 마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용기용 마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몸체에서 돌출된 고정 돌기이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돌기를 가압하며 이동된 후에 상기 고정돌기의 자유단에 걸려서 상기 이동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용기용 마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외주의 대부분이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분사 용기에 장착되는 부분과 상기 보호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 부분 및 보호부와 일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용기용 마개.
  6.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며, 상기 내용물의 분사를 위한 노즐 조립체가 일 부분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노즐 조립체를 감싸도록 장착 가능하며, 제1항에 따르는 마개를 포함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즐 조립체의 일 부분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노즐 조립체가 장착되며, 상기 마개의 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각각 마주하는 내벽과 외벽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벽에 억지 끼움 되도록 하는 걸림 리브가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KR2020080016201U 2008-12-05 2008-12-05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KR200444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01U KR200444817Y1 (ko) 2008-12-05 2008-12-05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01U KR200444817Y1 (ko) 2008-12-05 2008-12-05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817Y1 true KR200444817Y1 (ko) 2009-06-09

Family

ID=4134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201U KR200444817Y1 (ko) 2008-12-05 2008-12-05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8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584Y1 (ko)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200440663Y1 (ko) 복수의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회전식 화장품용기
JP2010131370A (ja) ユーザーに加圧されることによって移動可能な密閉部材を備えた液体吐出装置
JP2006205033A (ja) トリガー噴射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トリガー噴射装置、および噴射器
JP3814726B1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及びエアゾール噴射装置
JP2001301853A (ja) エアゾール容器の噴射装置
KR200444817Y1 (ko) 분사 용기용 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조립체
KR20090003240U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JPH1143165A (ja) 液体噴出器
JP3940252B2 (ja) 噴出容器
JP2012062090A (ja) スプレー容器のノズル安全装置
JP5562226B2 (ja) エアゾール付け替え容器
KR100936182B1 (ko) 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3852016B1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及びエアゾール噴射装置
JP5265015B2 (ja) ガス缶の安全キャップ
KR100934417B1 (ko) 가스캔의 안전캡
KR101186931B1 (ko) 과압가스 배출이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JP4381919B2 (ja) バルブ開放機構、それを用いた取り替え用エアゾール容器およびエアゾール容器の取り替えシステム。
JP2006248529A (ja) 押出し容器
JP5303200B2 (ja) エアゾール装置
JP6863639B1 (ja) エアゾール容器用押し釦
KR100903787B1 (ko) 과압 해소 기능을 구비하는 분사 용기
KR102540863B1 (ko) 리필 용기
JPH11236083A (ja) エアゾール容器
JP7446812B2 (ja) 噴射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エアゾール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