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405Y1 - 디지털식 도어록 - Google Patents

디지털식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405Y1
KR200444405Y1 KR2020070017912U KR20070017912U KR200444405Y1 KR 200444405 Y1 KR200444405 Y1 KR 200444405Y1 KR 2020070017912 U KR2020070017912 U KR 2020070017912U KR 20070017912 U KR20070017912 U KR 20070017912U KR 200444405 Y1 KR200444405 Y1 KR 200444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idle wheel
driven bevel
drive motor
dea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405U (ko
Inventor
류호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70017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40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4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식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잠금장치와 패닉장치가 동시에 작동될 경우에 패닉장치의 조작력이 구동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패닉장치의 조작력에 의한 구동모터의 과부하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티스를 가지며, 모티스는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데드볼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내측핸들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정시키는 패닉장치와, 도어를 닫음에 따라 구동모터를 역구동시켜서 데드볼트를 록킹시키는 자동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는,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와, 구동베벨기어와 치합되도록 모티스에 설치되는 종동베벨기어와, 종동베벨기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모티스에 설치되는 아이들휠과, 아이들휠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도록 아이들휠에 설치되는 작동레버 및;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종동베벨기어로부터 아이들휠로 전달될 수 있도록 종동베벨기어와 아이들휠을 연결하되, 자동잠금장치와 패닉장치가 동시에 작동할 시에는 아이들휠로 전달된 내측핸들의 조작력이 아이들휠로부터 종동베벨기어로 역전달되지 않도록 종동베벨기어와 아이들휠을 차단하는 클러치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지털식 도어록{DIGITAL DOOR LOCK}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을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디지털식 도어록을 구성하는 클러치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모티스(Mortise) 3: 데드볼트(Dead Bolt)
5: 래치볼트(Latch Bolt) 7: 외측본체
9: 내측본체 10: 외측핸들
12: 내측핸들 20: 패닉장치(Panic System)
22: 푸시편 24: 연동레버
30: 자동잠금장치 32: 눌림편
34: 센서 36: 콘트롤러(Controller)
40: 구동모터 42: 모터축
50: 동력전달장치 52: 구동베벨기어
54: 종동베벨기어 56: 작동레버
80: 아이들휠(Idle Wheel) 100: 클러치수단
110: 웨이브스프링와셔(Wave Spring Washer)
본 고안은 디지털식 도어록(Door Lock)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잠금장치와 패닉장치가 동시에 작동될 경우에 패닉장치의 조작력이 구동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패닉장치의 조작력에 의한 구동모터의 과부하 현상과 그로 인한 구동모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식 도어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에 내장되는 모티스(1)를 갖추고 있으며, 모티스(1)는 데드볼트(3)와 래치볼트(5)를 구비하고 있다.
데드볼트(3)는, 도어(D)의 록킹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측본체(7)의 버튼(7a)을 조작함에 따라 해정되거나 또는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도시하지 않음)를 접촉부(7b)에 접촉함에 따라 해정되거나 또는 내측본체(9)에 설치된 수동조작장치(9a)를 조작함에 따라 해정되도록 구성된다.
래치볼트(5)는, 도어(D)의 닫침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외측본체(9, 7)에 설치된 외측핸들(10) 또는 내측핸들(12)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해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이하, 도어록"이라 약칭함)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내측에서 내측핸들(12)을 한번만 조작하면 데드볼트(3)와 래치볼트(5)를 동시에 해정시킬 수 있는 패닉장치(Panic System)(20)를 구비한다.
패닉장치(20)는, 내측핸들(12)의 중심축(12a)에 설치되는 푸시편(22)과, 푸시편(22)에 눌리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모티스(1)에 설치되는 연동레버(24)를 구비한다. 특히, 연동레버(24)는 말단부가 데드볼트(3)와 연결된다. 따라서, 푸시편(22)에 눌려져 회전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를 록킹위치(A1)에서 해제위치(A2)로 해정시킨다.
이러한 패닉장치(20)에 의하면, 내측핸들(12)을 한번만 조작하면 데드볼트(3)와 래치볼트(5)를 동시에 해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비상시 도어(D)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어록은, 도어(D)를 닫으면, 해제위치(A2)의 데드볼트(3)를 자동으로 록킹위치(A1)로 이동시키는 자동잠금장치(30)를 구비한다.
자동잠금장치(30)는, 도어(D)가 닫침에 따라 도어프레임(D1)에 눌려지도록 모티스(1)에 설치되는 눌림편(32)과, 눌림편(32)의 눌림운동을 감지하는 센서(34)와, 센서(34)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콘트롤러(36)로 구성된다.
특히, 콘트롤러(36)는, 센서(34)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도어(D)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모터(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데, 이때,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40)의 동력은 동력전달장치(50)를 통해 데드볼트(3)로 전달되 고, 역방향 구동력이 전달된 데드볼트(3)는 해제위치(A2)에서 록킹위치(A1)로 이동하면서 자동적으로 도어프레임(D1)에 록킹된다.
이러한 자동잠금장치(30)에 의하면, 도어(D)가 닫침에 따라 상기 도어(D)를 도어프레임(D1)에 자동적으로 록킹시키는 구조이므로, 도어(D)를 록킹시키기 위한 별도로 수동 조작이 필요 없다. 따라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한편,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데드볼트(3)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50)는, 구동모터(40)의 모터축(42)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52)와, 구동베벨기어(52)와 치합(齒合)되는 종동베벨기어(54)와, 종동베벨기어(54)의 회전중심축(54a)에 설치되는 작동레버(56)로 구성된다.
특히, 작동레버(56)는, 종동베벨기어(54)가 회전되면, 제 1위치(C1)와 제 2위치(C2) 사이에서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를 록킹위치(A1)에서 해제위치(A2)로, 또는 해제위치(A2)에서 록킹위치(A1)로 운동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은, 자동잠금장치(30)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도어(D)를 다시 개방하고자 내측핸들(12)을 회전 조작할 경우, 패닉장치(20)가 동시에 작동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그 결과, 구동모터(40)의 구동력과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상호 충돌하여 구동모터(40)에 과부하가 걸린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자동잠금장치(30)가 작동될 경우에는,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이 데드볼트(3)를 해제위치(A2)에서 록킹위치(A1) 방향으로 운동시키려 하고, 패닉장치(20)가 작동될 경우에는,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데드볼트(3)를 록킹위치(A1)에서 해 제위치(A2) 방향으로 운동시키려 한다.
따라서, 자동잠금장치(30)와 패닉장치(20)가 동시에 작동될 경우, 데드볼트(3)를 록킹위치(A1)로 운동시키려는 구동모터(40)의 구동력과, 데드볼트(3)를 해제위치(A2)로 운동시키려는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상호 충돌하게 되고, 그 결과, 구동모터(40)에 과부하가 걸리는 단점이 발생된다. 특히, 구동모터(40)에 과부하가 걸림으로써, 구동모터(40)가 소손되거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잠금장치와 패닉장치가 동시에 작동될 경우, 패닉장치의 조작력이 구동모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닉장치의 조작력에 의한 구동모터의 과부하 현상을 방지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닉장치의 조작력에 의한 구동모터의 과부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과부하로 인한 구동모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디지털식 도어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티스를 가지며, 상기 모티스는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데드볼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내측핸들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정시키는 패닉장치와, 도어를 닫음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역구동시켜서 상기 데드볼트를 록킹시키는 자동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모티스에 설치되는 종동베벨기어와, 상기 종동베벨기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티스에 설치되는 아이들휠과, 상기 아이들휠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데드볼트를 밀어서 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휠에 설치되는 작동레버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종동베벨기어로부터 상기 아이들휠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종동베벨기어와 아이들휠을 연결하되, 상기 자동잠금장치와 패닉장치가 동시에 작동할 시에는 상기 아이들휠로 전달된 상기 내측핸들의 조작력이 상기 아이들휠로부터 종동베벨기어로 역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종동베벨기어와 아이들휠을 차단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도어록의 패닉장치(20)와 자동잠금장치(30)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패닉장치(20)는, 내측핸들(12)의 중심축(12a)에 설치되는 푸시편(22)과, 푸시편(22)에 눌려지면서 회전하는 연동레버(24)를 구비한다. 특히, 연동레버(24)는 푸시편(22)에 눌려져 회전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를 록킹위치(A1)에서 해제위치(A2)로 해정시킨다.
이러한 패닉장치(20)는, 내측핸들(12)을 회전 조작하면, 내측핸들(12)과 연 동되는 래치볼트(5)가 걸림위치(B1)에서 해방위치(B2)로 이동하면서 해정된다. 이와 동시에, 내측핸들(12)에 설치된 푸시편(22)도 회전하면서 연동레버(24)를 눌러서 회전시킨다. 그러면, 연동레버(24)와 연결되는 데드볼트(3)도 록킹위치(A1)에서 해제위치(A2)로 해정된다. 따라서, 내측핸들(12)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래치볼트(5)와 데드볼트(3)가 동시에 해정된다.
자동잠금장치(30)는, 도어(D)가 닫침에 따라 도어프레임(D1)에 눌려지는 눌림편(32)과, 눌림편(32)의 눌림운동을 감지하는 센서(34)와, 센서(34)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콘트롤러(36)로 구성된다.
특히, 콘트롤러(36)는, 센서(34)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도어(D)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모터(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40)의 동력은 동력전달장치(50)를 통해 데드볼트(3)로 전달되며, 역방향 구동력이 전달된 데드볼트(3)는 해제위치(A2)에서 록킹위치(A1)로 이동하면서 자동적으로 도어프레임(D1)에 록킹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의 특징부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의 도어록은, 구동모터(40)와 데드볼트(3)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장치(50)를 구비하되, 상기 동력전달장치(50)는 구동모터(40)의 모터축(42)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52)와, 구동베벨기어(52)와 치합(齒合)되는 종동베벨기어(54)와, 종동베벨기어(54)에 대해 회전가능한 아이들휠(80)을 구비한다.
종동베벨기어(54)는, 축중심에 형성되는 축구멍(54b)을 구비한다.
아이들휠(80)은 아이들휠회전중심축(82)을 가지며, 이 아이들휠회전중심축(82)은 일측이 종동베벨기어(54)의 축구멍(54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모티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아이들휠(80)은, 아이들휠회전중심축(82)의 일측이 종동베벨기어(54)의 축구멍(54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종동베벨기어(5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아이들휠(80)은, 아이들휠회전중심축(82)의 타측이 모티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종동베벨기어(5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모티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종동베벨기어(54)와 동일한 회전축선(L)을 가지면서 상기 종동베벨기어(54)에 대해 회전운동한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50)는, 아이들휠(8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휠(80)에 설치되는 작동레버(56)를 더 구비한다.
작동레버(56)는, 작동레버회전중심축(56a)을 갖는다. 작동레버회전중심축(56a)은 일측이 아이들휠회전중심축(82)에 형성된 축구멍(84)과 키(Key)(56b)결합되고, 타측이 모티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레버(56)는, 아이들휠(80)의 아이들휠회전중심축(82)과 키결합되므로, 아이들휠(80)과 동일한 회전축선(L)을 가지면서 일체로 회전된다. 특히, 아이들휠(80)과 함께 제 1위치(C1)와 제 2위치(C2) 사이에서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를 록킹위치(A1)에서 해제위치(A2)로, 또는 해제위치(A2)에서 록킹위 치(A1)로 운동시킨다.(도 2참조)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50)는,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을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수단(100)을 구비한다.
클러치수단(100)은,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 사이에 설치되는 웨이브스프링와셔(Wave Spring Washer)(110)로 구성된다.
웨이브스프링와셔(110)는, 파도 형상의 와셔로서,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의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특히,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의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양쪽 방향으로 스프링 반력이 작용하는데, 이때에 작용하는 스프링 반력은 웨이브스프링와셔(110)의 양쪽 측면을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 각각에 마찰 접촉시킨다. 따라서,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을 일체화시킨다.
이러한 웨이브스프링와셔(110)는,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 상호간에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구동베벨기어(52)와 종동베벨기어(54)로 전달된 구동모터(40)의 정,역구동력이 아이들휠(80)을 통해서 작동레버(56)까지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작동레버(56)로 하여금 제 1위치(C1)와 제 2위치(C2) 사이에서 회동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를 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자동잠금장치(30)의 작동시, 제 2위치(C2)에서 제 1위치(C1)로 운동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를 해제위치(A2)에서 록킹위치(A1)로 운동시킬 수 있게 한다.(도 2참조)
한편, 웨이브스프링와셔(110)는,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에 작용하 는 스프링 반력이, 구동모터(40)의 구동력보다는 커야하고, 구동모터(40)의 구동력과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 사이의 비틀림 응력(Torsional Stress)보다는 작아야 한다.
왜냐하면,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에 작용하는 웨이브스프링와셔(110)의 스프링 반력이, 구동모터(40)의 구동력보다 커야만, 구동모터(40)의 구동력보다 더 큰 압력이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에 각각 작용하기 때문이고, 구동모터(40)의 구동력보다 더 큰 압력이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에 각각 작용해야만, 구동모터(40)의 정,역 구동시, 종동베벨기어(54)와 웨이브스프링와셔(110)와 아이들휠(80)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며, 종동베벨기어(54)와 웨이브스프링와셔(110)와 아이들휠(80)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만, 자동잠금장치(30)의 작동시(도 2참조), 구동모터(40)의 역방향 구동력이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을 통해 데드볼트(3)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자동잠금장치(30)의 작동시, 상기 데드볼트(3)가 해제위치(A2)에서 록킹위치(A1)로 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에 작용하는 웨이브스프링와셔(110)의 스프링 반력이,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 사이의 비틀림 응력보다 작아야하는 이유는, 상기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에 작용하는 웨이브스프링와셔(110)의 스프링 반력이,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 사이의 비틀림 응력보다 작아야만, 구동모터(40)의 구동력과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상호 충돌할 경 우, 종동베벨기어(54)와 웨이브스프링와셔(110)와 아이들휠(80) 사이에서 슬립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며, 종동베벨기어(54)와 웨이브스프링와셔(110)와 아이들휠(80) 사이에서 슬립현상이 일어나야만, 자동잠금장치(30)와 패닉장치(20)가 동시에 작동될 경우,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구동모터(40)로 역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클러치수단(100)에 의하면, 평소에는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종동베벨기어(54)로 전달된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아이들휠(80)과 작동레버(56) 및 이들과 연결되는 데드볼트(3)까지 전달한다.
반면에, 패닉장치(20)와 자동잠금장치(30)가 동시에 작동될 경우에는,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을 차단함으로써, 아이들휠(80)로 전달된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구동모터(40)로 역전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자동잠금장치(30)와 패닉장치(20)의 동시 작동시, 구동모터(40)의 구동력과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상호 충돌하지 않게 하고, 이에 따라,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구동모터(40)에 역전달되는 것에 의한 구동모터(40)의 과부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에 의하면, 자동잠금장치와 패닉장치가 동시에 작동될 경우, 내측핸들의 조작력이 구동모터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구조이므로, 내측핸들의 조작력에 의한 구동모터의 과부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잠금장치와 패닉장치가 동시에 작동되더라도 구동모터의 과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과부하로 인한 구동모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구동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모티스(1)를 가지며, 상기 모티스(1)는 데드볼트(3)와, 래치볼트(5)와, 상기 데드볼트(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0)와,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상기 데드볼트(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50)와, 내측핸들(12)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3)와 래치볼트(5)를 동시에 해정시키는 패닉장치(20)와, 도어(D)를 닫음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0)를 역구동시켜서 상기 데드볼트(3)를 록킹시키는 자동잠금장치(30)를 포함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50)는, 상기 구동모터(40)의 모터축(42)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52)와, 상기 구동베벨기어(52)와 치합되도록 상기 모티스(1)에 설치되는 종동베벨기어(54)와, 상기 종동베벨기어(5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티스(1)에 설치되는 아이들휠(80)과, 상기 아이들휠(80)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데드볼트(3)를 밀어서 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휠(80)에 설치되는 작동레버(56) 및;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이 상기 종동베벨기어(54)로부터 상기 아이들휠(8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을 연결하되, 상기 자동잠금장치(30)와 패닉장치(20)가 동시에 작동할 시에는 상기 아이들휠(80)로 전달된 상기 내측핸들(12)의 조작력이 상기 아이들휠(80)로부터 종동베벨기어(54)로 역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을 차단하는 클러치수단(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100)은,
    상기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의 사이에 압착된 상태에서 양쪽의 측면이 상기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과 마찰 접촉되는 웨이브스프링와셔(110)이며,
    상기 웨이브스프링와셔(110)는,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이 상기 종동베벨기어(54)로 전달될 경우에는, 상기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과 마찰 접촉하면서 상기 종동베벨기어(54)와 상기 아이들휠(80)을 일체로 회전시키고,
    상기 자동잠금장치(30)와 패닉장치(20)가 동시에 작동하여, 상기 아이들휠(80)로 역전달된 상기 내측핸들(12)의 조작력과 상기 종동베벨기어(54)로 전달된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할 경우에는, 상기 종동베벨기어(54)와 아이들휠(80)에 대해 슬립(Slip)되면서 상기 아이들휠(80)로부터 상기 종동베벨기어(54)로의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KR2020070017912U 2007-11-06 2007-11-06 디지털식 도어록 KR200444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12U KR200444405Y1 (ko) 2007-11-06 2007-11-06 디지털식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12U KR200444405Y1 (ko) 2007-11-06 2007-11-06 디지털식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05U KR20090004405U (ko) 2009-05-11
KR200444405Y1 true KR200444405Y1 (ko) 2009-05-12

Family

ID=4129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912U KR200444405Y1 (ko) 2007-11-06 2007-11-06 디지털식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4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43Y1 (ko) * 2014-12-05 2016-12-21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마찰 클러치가 구비된 도어락 모터조립체
JP7094547B2 (ja) * 2018-07-24 2022-07-04 株式会社tsumug.lab 電気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05U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937B2 (en) Lock, particularly a tailgate lock for a motor vehicle
US10954702B2 (en) Leveled opening control
TWI639757B (zh) 具有鑰匙強制控制之機電圓柱鎖
US6382687B1 (en) Power-closing motor-vehicle door latch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EP1819894B1 (en) Lost motion cam actuating device
US9416567B2 (en) Two-way releasable mortise structure
JP2011226193A5 (ko)
KR200446206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장치
WO2013079321A1 (en) A servomechanism used to open a lock
JP2004143754A (ja) 電気錠
JP3788968B2 (ja) 電気錠
KR200438623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KR200444405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200402198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200443870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200443871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200443872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200457974Y1 (ko)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912381B1 (ko) 디지털 도어락
US20080164703A1 (en) Device for Assisting in Opening/Closing an Openable Unit
JPH11217962A (ja) 電気錠
KR100889484B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장치
JP4129358B2 (ja) モータ駆動電気錠の駆動力伝達機構
JP4822515B2 (ja) モータ駆動電気錠のデッドボルト制御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