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358Y1 - 락바 조립체 - Google Patents

락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358Y1
KR200444358Y1 KR2020080016605U KR20080016605U KR200444358Y1 KR 200444358 Y1 KR200444358 Y1 KR 200444358Y1 KR 2020080016605 U KR2020080016605 U KR 2020080016605U KR 20080016605 U KR20080016605 U KR 20080016605U KR 200444358 Y1 KR200444358 Y1 KR 200444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ck bar
drawer
ba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2020080016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3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서랍의 열림 및 잠김 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락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함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을 열리거나 잠기도록 하는 락바 조립체에 있어서, 함체(1)의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체(10)와, 지지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바(20)와, 지지체와 락바를 체결하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하며, 지지체(10)에는 락바(20)가 체결되는 결합공(41)을 구비하는 결합부(40)와, 지지체(10)로부터 락바(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 리브(50)를 구비하며, 락바(2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장공(21)이 마련되고, 서랍이 잠김 상태에서 서랍이 상기 함체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서랍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리브(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락바 조립체는 락바를 지지체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며, 지지체에 결합된 락바가 그 지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락바 조립체{Apparatus for locking drawer}
본 고안은 락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체에 락바를 용이하게 조립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체에 결합된 락바가 그 지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락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함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이 열리거나 잠기도록 하기 위해서 락바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 락바 조립체의 일례가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락바 조립체는 함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체(3)와, 상기 지지체(3)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바(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3)는 함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부(3a)와, 상기 고정부(3a)로부터 돌출되며 슬라이딩되는 서랍(2)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설치되는 돌출부(3b)와, 락바(5)가 고정되도록 결합공(4a)을 구비하는 결합부(4)로 이루어진다.
상기 락바(5)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장공(5a)과,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5b)를 구비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바(5)와 상기 지지체(3)는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는데,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4a)과 상기 락바(5) 사이에는 제1 보호팩킹부재(6)가 끼워지고, 상기 락바(5)의 전면에 제2 보호팩킹부재(7)를 배치시켜서, 볼트(8)로 체결한다.
상기 제1 보호팩킹부재(6)에는 결합부(4)에 끼워지는 돌기(6a)가 형성되며, 그 돌기(6a)는 결합공(4a)에 인접하여 형성된 구멍(4b)에 끼워져 결합된다.
사용자는 열쇄를 이용하여 락바(5)를 지지체(3)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켜서 서랍(2)의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를 선택한다. 락바(5)가 지지체(3)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락바(5)의 리브(5b)가 서랍(2)과 간섭하여 그 서랍(2)의 진출을 막으면 잠금 상태에 놓이고, 락바(5)의 리브(5b)가 서랍(2)의 진출을 허용하면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락바 조립체는, 조립자의 숙련도에 따라 락바의 상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조립자가 볼트(8)를 너무 꽉 조이게 되면 장공(5a)을 따라 락바(5)가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되지 않게 되며, 볼트(8)를 느슨하게 조이면 반복적으로 진출입되는 서랍(2)이 상기 락바(5)의 리브(5b)를 타격하여 상기 지지체(3)로부터 락바(5)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락바(5)의 마찰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하지 하면서 락바(5)가 원활하게 지지체(3)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1,2 보호팩킹부재(6,7)를 사용하는데, 조립자는 이들 다수의 부품을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에 결합공(4a)을 형성한 후에 버링 공정에 의하여 결합공(4a)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4c)를 형성하고, 볼트의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가공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지체에 락바를 용이하게 조립하고, 상기 지지체에 결합된 락바가 그 지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된 락바를 지지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작업 등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한 락바 조립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락바 조립체는, 함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을 열리거나 잠기도록 하는 락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바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락바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락바가 체결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락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락바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서랍이 잠김 상태에서 상기 서랍이 상기 함체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서랍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락바에 접촉되어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며 탄성변형가능하도록 내부에 탄성변형유도공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중단부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 을 구비하여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락바의 장공 및 상기 지지체의 결합공을 관통한 후,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락바와 상기 지지체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락바 조립체는, 지지체에 결합된 락바가 제1 리브에 의하여 지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반복적으로 락바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지체로부터 락바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체와 락바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는, 삽입부를 락바의 장공과 지지체의 결합공에 관통시키고 지지체의 결합공 내주면이 삽입홈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체에 락바를 체결하므로, 지지체에 락바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락바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락바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삽입부가 장공 및 결합공을 관통하도록 걸림부를 가압하며 삽입홈에 결합공의 외주면이 걸리게 하는 방식으로 락바를 지지체에 결합시키므로, 지지체의 결합부에 별도의 버링공정 및 암나사산 형성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개선한다.
본 고안은 락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체에 락바를 용이하게 조립하고, 상기 지지체에 결합된 락바가 그 지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체에 결합된 락바를 지지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작업 등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한 락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락바 조립체는 사무용, 가정용 가구에 사용되는 서랍 또는 캐비넷 등이 열림상태 또는 잠김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사용자는 열쇄를 이용하여 락바를 그 락바를 지지하는 지지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켜서 서랍 등의 잠금상태 또는 열림상태를 선택한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이러한 락바 조립체는 함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을 열리거나 잠기도록 하는 락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바(20)와, 상기 지지체(10)와 상기 락바를 체결하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0)에는 상기 락바(20)가 체결되는 결합공(41)을 구비하는 결합부(40)와, 상기 지지체(10)로부터 상기 락바(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 리브(50)를 구비하며, 상기 락바(2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장공(21)이 마련되고, 상기 서랍이 잠김 상태에서 상기 서랍이 상기 함체(1)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서랍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리브(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락바 조립체의 지지체(3)와 마찬가지로, 함체(1)의 내면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지지체(10)는 상기 함체(1)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1)와, 그 고정부(11)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2)와, 후술할 락바(20)가 체결되는 결합부(40)와, 지지체(10)에 결합된 락바(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리브(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12)는 서랍이 함체(1) 내부에서 슬라이딩될 때 그 서랍을 안내 하는 안내레일(13)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40)는 상기 지지체(10)의 고정부(1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돌출된 표면에 결합공(41)이 마련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0)의 결합공(41) 내주면에는 별도의 암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버링공정에 의해서 결합공(41)으로부터 연장되는 별도의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리브(50)는 상기 돌출부(12)로부터 서랍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락바(20)는 상기 지지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21)이 형성된다. 상기 락바는(20)는 상기 장공(21)의 상하 길이만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락바(20)에는 서랍이 함체(1) 외부로 슬라이딩될 때 그 서랍과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복수의 제2 리브(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리브(22)는 상기 서랍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락바(2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열쇄를 사용하여 서랍을 열림 또는 잠김 상태로 위치시, 그 열쇄와 연결되어 함께 동작하도록 하는 열쇄연결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락바(20)에 접촉되어 걸리는 걸림부(31)와, 상기 걸림부(31)로부터 연장되며 탄성변형가능하도록 내부에 탄성변형유도공(32a)이 형성된 삽입부(32)와, 상기 삽입부(32)의 중단부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41)의 내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33)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32)가 상기 락바의 장공(21) 및 상기 지지체의 결합공(41)을 관통한 후 상기 결합공(41)의 내주면이 상 기 삽입홈(33)에 삽입되어 상기 락바(20)와 상기 지지체(10)를 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재(3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걸림부(31)의 직경은 장공(21)의 폭(W)보다 크게 형성되며, 삽입부(32)는 장공(21) 및 결합공(41)을 관통하도록 그 걸림부(31)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재(30)의 삽입부(32)는 걸림부(31)로부터 지지부(35), 삽입홈(33), 머리부(34) 순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34)는 상기 장공(21) 및 결합공(41)을 관통하며, 머리부(34)의 최대 직경은 상기 결합공(41)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공(41)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5)는 지지체(10)에 체결된 락바(20)를 지지하며, 상기 락바(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장공(21)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상기 삽입홈(33)은 삽입부(32)의 중단부 외주면 즉, 상기 머리부(34)와 지지부(35) 사이에 마련되며, 결합공(41)의 내주면이 삽입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변형유도공(32a)은 삽입부(32)의 지지부(35)로부터 머리부(34)까지 그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락바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지지체(10)와 상기 락바(20)를 체결부재(30)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락바(20)의 장공(21) 내부에 상기 지지체(10)의 결합공(41)이 배치되도록 상기 락바(20)를 상기 지지체(10)에 겹쳐 놓고 체결부재(30)의 삽입부(32)를 삽입한다.
이때, 체결부재(30)의 걸림부(31)를 결합공(41) 측으로 밀어 가압하면 머리 부(34)는 탄성변형유도공(32a)의 내부 공간 측으로 압축되면서 탄성변형되어 결합공(41)에 삽입되고, 결합공(41)의 내주면은 삽입홈(33)에 삽입되어 지지체(10)에 락바(20)가 결합된다.
그 후, 락바(20)가 결합된 지지체(10)를 함체(1)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바(20)가 지지체(1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면, 락바(20)의 제2 리브(22)가 함체(1)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나오는 서랍과 간섭되지 않게 되어 함체(1)의 외부로 서랍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바(20)가 지지체(1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되면, 락바(20)의 제2 리브(22)가 함체(1)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나오는 서랍과 간섭되게 되어 서랍이 잠긴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체(10)에 체결된 락바(20)는 제1 리브(50)에 의해서 지지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예컨대, 서랍의 사용 중 서랍이 잠겨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사용자가 서랍을 당기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락바(20)는 상기 제1 리브(50)에 의해 지지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즉, 서랍이 락바(20)의 제2 리브(22)를 가격하여 제2 리브(22)가 위치한 락바(20)의 반대편이 지지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더라도 제1 리브(50)가 락바(20)를 커버하고 있으므로 지지체(10)로부터 락바(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락바 조립체는 상기한 가압식 체결부재(30)를 이용하여 락바(20)를 지지체(10)에 결합하므로, 종래 지지체(3)와 락바(5)를 볼트로 체 결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며, 사용중 파손 등을 이유로 락바(20)를 지지체(10)로부터 분리해 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락바(20)를 분리해 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락바 조립체는, 조립자의 숙련도와는 무관하게 락바(20)가 지지체(10)에 대하여 일정하게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즉본 고안에 따른 락바조립체는, 종래에 락바(5)를 지지체(3)에 과도하게 밀착시켜 결합하면 락바가(3)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되지 않으며, 락바(5)를 지지체(3)에 느슨하게 결합하면 사용 중 볼트가 풀려서 락바(5)가 지지체(3)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종래 락바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
도2는 종래 락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락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락바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5는 도4의 락바 조립체의 락바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락바 조립체에 채용된 체결부재의 사시도,
도7은 도4의 Ⅶ-Ⅶ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함체 10... 지지체
20... 락바 21... 장공
22... 제2 리브 30... 체결부재
31... 걸림부 32... 삽입부
33... 삽입홈 40... 결합부
41... 결합공 50... 제1 리브

Claims (2)

  1. 함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을 열리거나 잠기도록 하는 락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바(20)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락바를 체결하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0)에는 상기 락바(20)가 체결되는 결합공(41)을 구비하는 결합부(40)와, 상기 지지체(10)로부터 상기 락바(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 리브(50)를 구비하며,
    상기 락바(2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장공(21)이 마련되고, 상기 서랍이 잠김 상태에서 상기 서랍이 상기 함체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서랍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리브(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락바(20)에 접촉되어 걸리는 걸림부(31)와, 상기 걸림부(31)로부터 연장되며 탄성변형가능하도록 내부에 탄성변형유도공(32a)이 형성된 삽입부(32)와, 상기 삽입부(32)의 중단부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41)의 내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33)을 구비하여서,
    상기 삽입부(32)가 상기 락바의 장공(21) 및 상기 지지체의 결합공(41)을 관통한 후, 상기 결합공(41)의 내주면이 상기 삽입홈(33)에 삽입되어 상기 락바(20)와 상기 지지체(1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바 조립체.
KR2020080016605U 2008-12-15 2008-12-15 락바 조립체 KR200444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05U KR200444358Y1 (ko) 2008-12-15 2008-12-15 락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05U KR200444358Y1 (ko) 2008-12-15 2008-12-15 락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358Y1 true KR200444358Y1 (ko) 2009-05-08

Family

ID=4134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605U KR200444358Y1 (ko) 2008-12-15 2008-12-15 락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3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189A (ko) * 2014-05-21 2015-12-01 장근대 서랍장
KR20150134190A (ko) * 2014-05-21 2015-12-01 장근대 서랍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189A (ko) * 2014-05-21 2015-12-01 장근대 서랍장
KR20150134190A (ko) * 2014-05-21 2015-12-01 장근대 서랍장
KR101658697B1 (ko) * 2014-05-21 2016-09-30 장근대 서랍장
KR101688690B1 (ko) * 2014-05-21 2016-12-22 장근대 서랍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4524B2 (en) Umbrella quick frame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7357467B2 (en) Door assembly for use in a home appliance
JP5095947B2 (ja) 構成部品を保持するためのクリップ
US9557507B2 (en) Device for fixing wires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US6764151B2 (en) Guide rail for a drawer
KR20090077045A (ko) 서랍
KR20080110622A (ko) 물품설치기구
KR200444358Y1 (ko) 락바 조립체
KR20110068983A (ko) 전기 커넥터
CN101951749B (zh) 电气设备的安装装置及具有该安装装置的电路断路器
JP20110720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101059518B1 (ko)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CN210686526U (zh) 快速拼装家具及其卡扣式锁紧装置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KR10182357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US7090514B2 (en) Screw radial connector for electric wires
KR101049656B1 (ko) 고정구
CN219886402U (zh) 衣物处理装置
CN109594301B (zh) 线缆紧固结构和包括其的洗衣机
KR101068187B1 (ko) 도어 고정 장치
CN110984311A (zh) 排水塞连动装置
KR10182305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40060Y1 (ko) 구동축과 요크의 결합구조
CN211735620U (zh) 一种排水塞连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