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288Y1 - 인출 꼬임 장치 - Google Patents

인출 꼬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288Y1
KR200444288Y1 KR2020080000027U KR20080000027U KR200444288Y1 KR 200444288 Y1 KR200444288 Y1 KR 200444288Y1 KR 2020080000027 U KR2020080000027 U KR 2020080000027U KR 20080000027 U KR20080000027 U KR 20080000027U KR 200444288 Y1 KR200444288 Y1 KR 200444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orm
worm wheel
wheel gear
tw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용철
박상구
Original Assignee
차용철
박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용철, 박상구 filed Critical 차용철
Priority to KR2020080000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2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4Devic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6Yarns or threads made from mineral substances
    • D02G3/18Yarns or threads made from mineral substances from glas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전성(導電性)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 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기체(400)의 일 측 중앙부에 웜기어(411)가 감착된 고정 중공축(404)을 체착 고정하고 인출롤러(405)와 전동기어(413)가 웜휠기어(412)와 연동하게 장설된 회전프레임(402)을 고정 중공축에 접촉 회전되게 축설하고, 기체(400)의 타 측 중앙부에 상기 회전프레임(40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벨트(410)가 감착된 회전 중공축(403)을 체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웜휠기어(412)는 웜기어(41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윔기어의 외주(外周)를 접촉하며 공전(公轉) 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웜휠 기어의 공전 운동에 의한 윔휠 기어의 자전(自轉) 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웜휠 기어와 연동하는 전동기어(413)와 인출 롤러(405)를 통해 합사 할 유리실의 꼬임이 구성되는 인출 꼬임 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웜기어, 합연사, 도전성 고무 용액, 인출 꼬임, 링연사기

Description

인출 꼬임 장치{drawing twister}
본 고안은 도전성(導電性) 실리콘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유실 실에 도전성 고무 용액을 함침하고, 상기 함침된 다수의 유리실을 꼬임·합사 하며 건조·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합연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 내용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출원번호 10-2007-0018532 내용을 인용하고자 한다.
제직준비기는 기종별로 권사기, 연사기, 가호기, 정경기, 연경기, 통경기, 주변기기 등 7개 분야의 섬유생산설비를 총칭하고 있다. 제직준비기가 이와 같이 다양한 범주의 서로 다른 기종들로 세세하게 분류되어 있는 원인은 원사입고(방적사 또는 필라멘트 장섬유사, 가연사 등) 이후 제직이 가능하도록 적정의 본수(本數)를 정경기에 감은, 빔상태에서 직기상에 걸고 통경작업으로 마무리하기까지 많은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입고된 원사는 바로 직기에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제직용 준비과정들, 즉 감고(권취), 나누고(정경), 합치고(합사), 꼬임을 주고(가연), 풀칠하고, 직기 바디 의 잉아(目)까지 낱낱이 이어주는 다수의 작업이 까다롭게 진행되어 있어 각 세부공정 단계별로 실을 처리할 수 있는 최적의 설비는 형태와 기능도 다른 각각의 생산설비를 요구하고 있다.
제직준비기계는 일반적으로 권사, 정경, 가호, 통경 등의 공정으로, 이들 설비는 생산비용에서 원가절감기술로서 Process monitoring과 Data 입·출력기능, 원격진단, 혹은 Telemaintenace와 생산능력의 범용성과 유연성 부여이다.
구체적인 연사기의 기술동향은 다음과 같다.
Twisting machine은 획기적인 신기술 또는 신제품의 출현 없이, 기존 제품의 기능 향상 및 다변화가 Keypoint이다. Allma(Germany)사의 의류용 연사기(HT), 산자용 연사기(Techno Corder)와 ICBT(France)사의 Carpet yarn용 연사기(CDDT510), Tirecord용 연사기 등이다.
Two-for one twister로서 ICBT사의 DT354는 세번수 Yarn에 최고 3,400 t/m의 강연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Spindle 직경이 90/110mm, 공급 Pirn은 0.7~1.5kg 범위이며, Double flanged bobbin의 평행 권취와 개별 원추형 권취 시스템이 있다.
또한, DT360은 중번수 및 세번수 Yarn에 중연과 약연을 부여하기 위하여 Spindle 직경이 140mm이며, Tangential belt로 Spindle을 구동하고, 고속 권취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염색용 Soft take-up package도 생산 가능하다. Flat yarn과 가공사용으로는 170mm spindle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Murata사는 독창적인 원추형 스핀들과 Tensor를 적용한 다단계 장력 System으로 안정된 Balloon 장력과 안정된 Balloon 형상을 유지하며, 가공된 실에 루프와 잔털의 형성을 방지하고, 각 부분마다 간단한 장력 조절도 할 수 있다. 스핀들과 o-ring 사이에 고정 Disk를 갖추고 있어서 스핀들의 진동이 직접적으로 Yarn에 전달되지 않는다. Tensor를 적용한 다단계 장력으로 30~300 denier yarn, 방적사, High multi-filament yarn, 불규칙 단면사 그리고 인터레이스사 등을 연사할 수 있다.
Three-for-one twister는 Saure Tritec Twister라는 이름으로 Hamel사에서 1993년 개발되어 출시되었는데, One-for one twister의 3배 또는 Two-for one twister의 1.5배에 이르는 생산성이 있어 향후 연사기의 주종을 이룰 것이다. Spindle shaft가 있는 외부 시스템과 평행으로 감긴 공급 Bobbin이 있는 내부 시스템은 같은 속도이지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두 시스템은 원통 모양의 Thread-guiding으로부터 Yarn이 풀려나오고, Thread-guiding device에 집속된다. 실은 Hollow spindle 안으로 끌려 들어가고 상반 회전 시스템에 의해 즉시 두 번의 꼬임이 얻어지며, 실은 다시 외부 Thread-guiding device에 집속(集束)되고 Delivery roller에 감기기 전에 세 번째 꼬임이 얻어진다.
또한, 산업용 연사기의 용도는 Tire cord, 어망사, Timing belt용 Yarn, Rope용 Yarn, BCF carpet용 Yarn 및 Glass fiber의 연사이며 굵고 강한 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Individual spindle system을 많이 적용하고, 특히 Glass fiber 연사에는 Ring twister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Direct cabling 방법은 한번의 작업으로 균형 잡힌 꼬임을 가진 2합 연사를 Cabling 하기 위한 것이다.
ICBT의 CP510/CP560을 나타내었는데, 꼬임이 없는 Single end는 Spindle의 아래로 들어가고, Ceramic disk의 구멍으로 나온다. Balloon이 형성되면서 이 첫 번째 실은 두 번째 실이 감긴 공급 보빈 주위를 회전하여 꼬임이 부여된 2합연사가 생성된다.
그러나 기존 유리실의 합연사는 내굴곡성과 내마찰성이 나빠서 접히는 부분과 스치는 부분이 쉽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인출 꼬임 장치(출원번호 10-2007-0018532)는 전동장치인 베벨기어(bevel gear)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베벨기어의 기어비율(gear ratio)를 크게 하지 못하여 전동기어의 수가 많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전성(導電性)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 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인출 꼬임 장치를 속도비가 매우 큰 웜 기어(worm gear)의 감속장치로서, 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도전성(導電性)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 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섬유의 불연성과 내구성이 큰 특성과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특성으로, 도전성(導電性)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 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는 전기저항체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인출 꼬임 장치의 하중을 극소화시킴으로써, 고속 회전에 의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전성(導電性)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 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기체(400)의 일 측 중앙부에 웜기어(411)가 감착된 고정 중공축(404)을 체착 고정하고 인출롤러(405)와 전동기어(413)가 웜휠기어(412)와 연동하게 장설된 회전프레임(402)을 고정 중공축에 접촉 회전되게 축설하고, 기체(400)의 타 측 중앙부에 상기 회전프레임(40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벨트(410)가 감착된 회전 중공축(403)을 체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웜휠기어(412)는 웜기어(41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윔기어의 외주(外周)를 접촉하며 공전(公轉) 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웜휠 기어의 공전 운동에 의한 윔휠 기어의 자전(自轉) 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웜휠 기어와 연동하는 전동기어(413)와 인출 롤러(405)를 통해 합사 할 유리실의 꼬임이 구성되는 인출 꼬임 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출 꼬임 장치를 웜 기어(worm gear)에 의한 꼬임 인출 기능을 나타낸 추상도로서, 웜기어는 전동장치(傳動裝置)의 하나로 2축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어로서,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나사선으로 되어 있는 웜(411)과 이(齒) 홈의 중앙이 오목하게 되어있어, 이것과 맞물리는 웜휠(412)과의 한 쌍을 말한다.
상기 윔휠(412)은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와 비슷해서 이의 홈이 비스듬히 새겨져 있고 웜(411)의 나사선에 의해서 이송된다. 또한, 웜기어는 1/300 정도 의 큰 감속비(減速比)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웜휠기어의 공전(公轉) 운동에 의한 윔휠 기어의 자전(自轉) 운동으로 합연사의 꼬임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 웜 기어의 특징은 웜 기어의 회전과 토크를 웜휠에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본 고안은 기존 웜 기어의 기능을 역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웜휠기어(412)는 웜기어(41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윔기어의 외주(外周)를 접촉하며 공전(公轉) 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웜휠 기어의 공전 운동에 의한 윔휠 기어의 자전(自轉) 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웜휠 기어와 연동하는 인출 롤러(405)를 통해 합사 할 유리실의 꼬임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베벨기어(bevel gear)는 두 축이 교차는 원추마찰차(圓錐摩擦車)의 접촉면을 피치원으로 하는 전동장치로서, 기어비율(gear ratio)를 크게하는 못하여 전동기어의 수가 많게 해야하는 단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기어비율을 크게 할 수 있는 웜 기어(worm gear)를 이용하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출 꼬임 장치를 웜 기어(worm gear)에 의한 꼬임 인출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와 사시도로서, 다수의 본으로 집속된 유리실을 인출 꼬임 장치(400)에 의해 꼬임(twisting)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인출 꼬임 장치(400)의 회전프레임(402)의 회전수(RPM)는 인출 롤러(405)의 사속(m/min)과 연수(TM, 실의 꼬임수)의 곱이 된다.
상기 회전프레임(402)에 설치된 윔휠 기어(412)가 웜 기어(411)의 축을 중심으로 윔기어의 외주(外周)를 접촉하며 공전(公轉) 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웜휠 기어의 공전 운동에 의한 윔휠 기어의 자전(自轉)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웜휠 기어의 자전운동은 전동기어(413)를 통해 인출롤러(405)에 연동으로 전달되어 합연사의 인출 사속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합연사의 연수는 회전프레임(402) 상에 설치된 웜휠기어(412)와 전동기어(413)의 연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도전성(導電性)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 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기체(400)의 일 측 중앙부에 웜기어(411)가 감착된 고정 중공축(404)을 체착 고정하고 인출롤러(405)와 전동기어(413)가 웜휠기어(412)와 연동하게 장설된 회전프레임(402)을 고정 중공축에 접촉 회전되게 축설하고, 기체(400)의 타 측 중앙부에 상기 회전프레임(40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벨트(410)가 감착된 회전 중공축(403)을 체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웜휠기어(412)는 웜기어(41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윔기어의 외주(外周)를 접촉하며 공전(公轉) 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웜휠 기어의 공전 운동에 의한 윔휠 기어의 자전(自轉) 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웜휠 기어와 연동되는 전동기어(413)와 인출 롤러(405)를 통해 합사할 유리실의 꼬임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인출 롤러(405)는 서로 접하는 상태로 한 쌍의 롤러 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웜 기어의 축을 중심으로 웜휠 기어(412), 전동기어(413), 인출롤러(405)가 순차적이고 대칭적으로 연동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출롤러(405)가 서로 접하며 가압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어 도전성 합연사(401)를 인출하며 꼬임 역할을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인출롤러(405)의 인출 회전은 웜 기어의 축을 중심으로 웜휠 기어(412), 전동기어(413), 인출롤러(405)가 순차적이고 대칭적으로 연동하게 구성되어 있어 서로 접하는 인출롤러(405) 모두에 회전과 토크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인출 꼬임 장치의 연(撚) 방향이 좌연(Z꼬임)시 링연사기(500)도 좌연(左撚)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출 꼬임 장치(400)와 링연사기(500)의 연(撚) 방향이 동일하게 함으로써 도전성(導電性)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 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출 꼬임 장치를 웜 기어(worm gear)에 의한 꼬임 인출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기체(400)의 양측 중앙부에 설치된 고정 중공축(404)과 회전 중공축(403)의 중심을 유리실이 관통하며, 상기 고정 중공축(404)과 회전 중공축(403) 사이에 상기 유리실을 인출하며 꼬임을 주기 위해서 인출롤러(40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출롤러(405)는 유리실의 사속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2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고, 서로 접하게 배열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 롤러(405)는 다 수의 롤러로 서로 접하며 가압 되게 배열함으로써 유리실을 인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회전프레임(402) 상에 상기 인출 롤러(405)를 부착 설치함으로써 유리실이 일정한 꼬임 수(연수, number of twist)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프레임(402)은 상기 기체(400)의 양측 중앙부에 설치된 고정 중공축(404)과 회전 중공축(40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프레임(402)과 링연사기(500)의 회전수(RPM)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유리실이 일정한 꼬임 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인출 꼬임 장치(400)의 인출 롤러(405)를 통해 합사 할 유리실을 연사하여 링연사기(500)에 장치된 트래블러에 공급하여 같은 방향으로 연사하면서 연사 보빈에 감아 도전성 합연사를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베벨기어(bevel gear)는 두 축이 교차는 원추마찰차(圓錐摩擦車)의 접촉면을 피치원으로 하는 전동장치로서, 기어비율(gear ratio)를 크게하는 못하여 전동기어의 수가 많게 해야하는 단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기어비율을 크게 할 수 있는 웜 기어(worm gear)를 이용해 본 고안을 제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출 꼬임 장치를 웜 기어(worm gear)에 의한 꼬임 인출 기능을 나타낸 추상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출 꼬임 장치를 웜 기어(worm gear)에 의한 꼬임 인출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출 꼬임 장치를 웜 기어(worm gear)에 의한 꼬임 인출 기능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출 꼬임 장치를 웜 기어(worm gear)에 의한 꼬임 인출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인출 꼬임 장치
401: 도전성 합연사
402: 회전 프레임
403: 회전 중공축
404: 고정 중공축
405: 인출 롤러
408: 베어링
409: 지지대
410: 벨트(belt)
411: 웜(worm) 기어
412: 윔휠(worm wheel) 기어
413: 전동(傳動)기어
500: 링연사기

Claims (2)

  1. 도전성(導電性) 고무 용액(溶液)과 유리 실(textile glass yarns)을 이용한 도전성 합연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기체(400)의 일 측 중앙부에 웜기어(411)가 감착된 고정 중공축(404)을 체착 고정하고 인출롤러(405)와 전동기어(413)가 웜휠기어(412)와 연동하게 장설된 회전프레임(402)을 고정 중공축에 접촉 회전되게 축설하고, 기체(400)의 타 측 중앙부에 상기 회전프레임(40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벨트(410)가 감착된 회전 중공축(403)을 체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웜휠기어(412)는 웜기어(41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윔기어의 외주(外周)를 접촉하며 공전(公轉) 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웜휠 기어의 공전 운동에 의한 윔휠 기어의 자전(自轉) 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웜휠 기어와 연동하는 전동기어(413)와 인출 롤러(405)를 통해 합사 할 유리실의 꼬임이 구성되는 인출 꼬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롤러(405)는 서로 접하는 상태로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웜 기어의 축을 중심으로 웜휠 기어(412), 전동기어(413), 인출롤러(405)가 순차적이고 대칭적으로 연동하게 구성되는 인출 꼬임 장치.
KR2020080000027U 2008-01-02 2008-01-02 인출 꼬임 장치 KR200444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027U KR200444288Y1 (ko) 2008-01-02 2008-01-02 인출 꼬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027U KR200444288Y1 (ko) 2008-01-02 2008-01-02 인출 꼬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288Y1 true KR200444288Y1 (ko) 2009-04-24

Family

ID=4134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027U KR200444288Y1 (ko) 2008-01-02 2008-01-02 인출 꼬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2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841A1 (ko) *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페라자 다중 헬릭스 연성 메커니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841A1 (ko) *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페라자 다중 헬릭스 연성 메커니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5510B (zh) 直捻式捻线工艺
JPS6028936B2 (ja) 糸の製造方法
CN105506809A (zh) 一种阻燃抗熔滴高强缝纫线
CN101245511B (zh) 多用途复合直捻式捻线机
JP2020532659A (ja) 糸の製造方法および糸の製造装置
US4720943A (en) Cord structure
KR200444288Y1 (ko) 인출 꼬임 장치
KR200443570Y1 (ko) 도전성 합연사의 인출 꼬임 장치
CN212669896U (zh) 一种加捻装置和采用该加捻装置的加捻机
CN111411432B (zh) 一种复合结构剑麻包芯多股线及其生产工艺
US2946181A (en) Production of twistless yarns by direct spinning to tow, sizing the tow, false twisting and winding
KR200446959Y1 (ko) 인출 꼬임 장치
US3834146A (en) Device for twisting natural and synthetic fibre yarns into a single thread
KR200447138Y1 (ko) 볼나사식 인출 꼬임 장치
CN207845870U (zh) 复合加捻装置
KR200451238Y1 (ko) 도전성 합연사의 건조기
KR20080004551U (ko) 꼬임인출권취기
US4112667A (en) Apparatus and process suitable for twist-drawing a yarn
US4789008A (en) Creel for loom
KR100332037B1 (ko) 숭고사의 제법
WO2021100061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of double twister yarn uses cheese yarn as raw material
CN113445160A (zh) 一种加捻装置和采用该加捻装置的加捻机
KR20080005085U (ko) 도전성 합연사의 함침조
CN101591827A (zh) 一种新型并列复合纱线纺纱设备及纺纱方法
CN201010728Y (zh) 多用途捻线锭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