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137Y1 -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 Google Patents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137Y1
KR200444137Y1 KR2020070009791U KR20070009791U KR200444137Y1 KR 200444137 Y1 KR200444137 Y1 KR 200444137Y1 KR 2020070009791 U KR2020070009791 U KR 2020070009791U KR 20070009791 U KR20070009791 U KR 20070009791U KR 200444137 Y1 KR200444137 Y1 KR 200444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abrasive
stone
piece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339U (ko
Inventor
상 돈 이
Original Assignee
(주)인성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인성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2020070009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13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04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flaps or strips arranged around th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06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the flaps or strips being individually atta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의 가공시 여러 형태의 모서리 부분이나 불규칙한 부분에 대하여 형상에 따라 접촉력을 증대시키며 연마할 수 있어 석재의 형상 보존 및 연마력을 증대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연마가공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의 둥근형상, 모따기형상의 모서리부분 및 불규칙한 연마 부분을 연마하도록 중앙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보스와,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로 고정되며, 외측 끝단이 곡률연마면, 모따기연마면, 절개연마편으로 각각 이루어진 다수개의 연마편과, 연마편들의 사이에는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마입자가 부착된 보조연마편으로 구성되어 석재의 고유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연마 부분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로 인해 연마 접촉면이 증대되어 연마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석재 가공, 모서리, 연마편, 연마면, 다이아몬드, 보스, 절취

Description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The polishing wheel which uses the diamond seat}
도 1a 내지 1c는 종래의 샌드페이퍼 연마휠의 사시도, 정면도, 사용상태도,
도 2a 및 2b는 곡률모서리를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휠의 저면사시도 및 정면도,
도 3a 내지 3c는 모따기모서리를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휠의 사시도, 정면도, 연마편사시도,
도 4a 내지 4c는 불규칙한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휠의 사시도, 정면도, 연마편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마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곡률모서리를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모따기모서리를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불규칙한 부분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 보스 30 : 연마편
31 : 접착제 32 : 곡률연마편
40 : 보조연마편 50 : 연마편
51 : 접착제 52 : 절개선
53 : 모따기연마면 60 : 연마편
61 : 접착제 62 : 연결편
63 : 절개선 64 : 절개연마면
65 : 절개연마편 32a,53a,64a : 페이퍼
32b,53b,64b : 접착용수지 100,200,300 : 연마휠
400 : 핸드그라인더
본 고안은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재의 가공시 여러 형태의 모서리 부분이나 불규칙한 부분에 대하여 형상에 따라 접촉력을 증대시키며 연마할 수 있어 석재의 형상 보존 및 연마력을 증대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연마가공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비롯하여,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각종 블럭 및 내화물 등은 1차 가공후에, 표면에 남아있는 미세돌기나 흠집을 제거하여 매끄럽게 다듬질하기 위해 2차 마무리 가공공정을 거친다. 이때에는 주로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 샌드페이퍼 연마휠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a 내지 1c에 도시 되어 있다.
이러한, 연마작업을 위하여 사용되기 위해 핸드그라인더(400)에 부착되는 샌드페이퍼 연마휠(1)은 중앙부 상하측에 위치되는 보스(2,3)와, 보스(2,3)의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실리콘 등의 접착제(4a)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다수개의 샌드페이퍼 연마편(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샌드페이퍼 연마휠(1)을 핸드그라인더(400)에 결합브라켓(도면상 미도시)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후, 핸드그라인더(4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샌드페이퍼 연마휠(1)이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때, 샌드페이퍼 연마휠(1)의 샌드페이퍼 연마편(4)을 연마작업을 수행할 석재의 둥근, 모따기 모서리 부분 및 불규칙한 형상의 부분에 접촉하면서 형상의 표면을 따라 핸드그라인더(400)를 선회시키며 연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샌드페이퍼 연마휠은 연마편의 끝단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석재의 둥근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둥근 곡률을 따라 핸드그라인더 자체를 선회시켜야 하는 작업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샌드페이퍼 연마휠은 연마편의 끝단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모따기 각도에 따라 핸드그라인더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모따기의 모서리 각도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샌드페이퍼 연마휠은 연마편의 끝단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불 규칙한 곡선 및 각도를 이루는 형상의 표면을 연마하지 못하는 제약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샌드페이퍼 연마휠은 연마편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하더라도 연마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연마 대상물과 접촉되는 연마편들이 연마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구부러져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연마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샌드페이퍼 연마휠은 연마편들이 휘어지는 현상에 의해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연마 대상물의 연마입자 들이 연마편들의 사이에 끼인 후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 및 연마편들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해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연마열이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연마편의 수명을 단축시켜 교체의 기간이 짧아짐으로써 비용의 증가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연마 대상물 특히 석재의 둥근 형상, 모따기 형상의 모서리 부분 및 불규칙한 부분의 연마가 가능하며, 연마편들의 간격을 유지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연마입자의 배출이 용이한 동시에 연마열의 방출이 원활한 개선된 연마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마편의 끝단을 곡률되게 형성시켜 곡률이 진 석재의 둥근 모서리 부분을 매끄럽게 다듬거나 연마할 때 석재의 고유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곡률로 인한 연마 접촉면이 증대되어 연마의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개선된 페이퍼 연마휠을 제 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마편의 끝단을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시켜 모가진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을 매끄럽게 다듬거나 연마할 때 석재의 고유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절개선에 의해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로 인해 연마 접촉면이 증대되어 연마의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개선된 페이퍼 연마휠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편의 끝단을 절개하여 여러 개의 절개연마편을 형성시켜 일정하지 않은 불규칙한 석재의 연마 부분을 매끄럽게 다듬거나 연마할 때 석재의 고유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뷸규칙한 연마 부분을 여러 개의 절개연마편들이 분할되어 접촉함에 따라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연마의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개선된 페이퍼 연마휠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마편의 연마가 이루어지는 연마면에 다이아몬드 연마입자를 부착시켜 연마편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매끄러운 연마면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페이퍼 연마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석재의 둥근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용 연마휠에 있어서,
중앙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보스와,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로 고정되며, 외측 끝단이 곡률지게 형성된 곡률연마면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연마편과,
연마편들의 사이에는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마입자가 부착된 보조연마편으로 구성되어; 석재의 둥근 모서리에 접촉력을 증대시키며 연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을 제공한다.
한편,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용 연마휠에 있어서,
중앙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보스와,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로 고정되며, 외측 끝단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사다리꼴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절개선이 형성된 모따기연마면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마편과,
연마편들의 사이에는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마입자가 부착된 보조연마편으로 구성되어;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에 접촉력을 증대시키며 연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을 제공한다.
더불어, 석재의 불규칙한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용 연마휠에 있어서,
중앙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보스와,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로 고정되며, 절개되지 않은 연결편에 연결되게 절개선에 의해 절개되어진 여러 개의 절개연마면을 구비하는 절개연마편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마편과,
연마편들의 사이에는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마입자가 부착된 보조연마편으로 구성되어; 석재의 불규칙한 부분에 접촉력 및 형상을 따라 이동되며 연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편의 곡률,모따기,절개연마면에는 페이퍼에 연마를 위한 다이아몬드입자가 마름모 형상으로 부착된 상부표면에 접착용수지가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a 및 2b는 곡률모서리를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휠의 저면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3a 내지 3c는 모따기모서리를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휠의 사시도, 정면도, 연마편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불규칙한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휠의 사시도, 정면도, 연마편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마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곡률모서리를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모따기모서리를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불규칙한 부분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은 석재의 둥근형상, 모따기 형상의 모서리부분 및 뷸규칙한 연마부분을 연마하도록 핸들그라인더(400)에 결합브라켓(도면상 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의 둥근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400)용 연마휠(10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연마휠(100)은 중앙부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보스(10,20)가 형성되는 데 상부에 위치된 보스(10)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보스(20)의 직경이 작게 구성된다.
그리고, 보스(10,20)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31)로 고정되며, 외측 끝단이 곡률지게 형성된 곡률연마면(32)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연마편(30)이 구성된다.
여기서, 연마편(30)은 정면에서 투영시 장화와 같은 형상으로 보스(10,20)에 접촉되는 면은 직선을 이루며 반대측은 곡률을 이루는 곡률연마면(32)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연마편(30)은 보스(10,20)의 사이에 위치된 후 접착제(31)를 내측으로 도포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 접착제(31)은 경화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고정력의 향상 및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연마편(30)들의 사이에는 연마입자가 부착된 보조연마편(40)이 접착제(31)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즉, 보조연마편(4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마 작업을 시행할 때 직접적인 연마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연마편(30)들의 연마 작업시 접촉력에 의해 과도하게 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보조연마편(40)은 연마편(30)이 접착제(31)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과정에서 함께 고정되는 것이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400)용 연마휠(2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모따기는 대부분 직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끝단부의 날카로운 부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여러 각도로 절단되는 경우가 많으나 본 고안에서는 45°로 절단되 모따기 모서리 부분을 예시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이때, 보스(10,20)는 연마휠(100)에 사용되는 보스(10,20)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 보스(10,20)에 결합되는 연마편(50)은 보스(10,20)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51)로 고정된다.
그리고, 연마편(50)의 외측 끝단에는 내측으로 내입 절단된 사다리꼴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절개선(52)이 형성된 모따기연마면(53)으로 형성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즉, 연마편(50)은 모따기 부분의 형상을 유지하며 연마 작업을 시행하여 보다 매끄러운 연삭면을 얻고자 하는 것으로 모따기연마면(53)이 모따기 부분에 접촉하게 되면 모따기의 크기 및 각도에 따라 절개선(52)에 의해 모따기연마면(53)의 면적이 증대되어 석재와 닿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연마편(50)은 석재의 모따기 면적 및 각도에 제한받지 않으며 연마작업을 시행할 수 있어 모따기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며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보조연마편(40)은 연마휠(100)에 사용되는 보조연마편(40)과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연마편(50)들이 접착제(51)를 이용하여 고정될 때 연마편(50)들의 사이로 삽입되어 접착제(51)로 고정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의 불규칙한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400)용 연마휠(30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보스(10,20)은 연마휠(100,200)에 이용되는 동일한 형상과 기능으로 구성된다.
한편, 연마편(60)은 보스(10,20)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61)로 고정된다.
더불어, 연마편(60)은 절개되지 않은 연결편(62)에 연결되게 절개선(63)에 의해 절개되어진 여러 개의 절개연마면(64)을 구비하는 절개연마편(65)으로 형성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때, 연마편(6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보스(10,20)에 고정되는 반대편 끝단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는 절개선(63)에 의해 보스(10,20)을 향하도록 일부분 절개된다.
그리고, 연결편(62)은 절개선(63)에 의해 절개되지 않은 연마편(60)의 내측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며, 절개선(63)에 의해 다수 개의 절개연마편(65)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연마편(65)은 절개선(63)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연결편(62)에 연결되어 있어 석재의 불규칙한 연마 부분을 연마할 때 절개연마편(65)들이 각각 불규칙한 연마 부분을 따라 접촉하며 연마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보조연마편(40)은 연마휠(100,200)에 사용되는 보조연마편(40)과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연마편(60)들이 접착제(61)를 이용하여 고정될 때 연마편(60)들의 사이로 삽입되어 접착제(61)로 고정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휠(100,200,300)을 형성하는 연마편(30,50,60)의 곡률,모따기,절개연마면(32,53,64)에는 페이퍼(32a,53a,64a)에 연마를 위한 다이아몬드입자가 마름모 형상으로 부착된 상부표면에 접착용수지(32b,53b,64b)가 도포되어 구성된다.
즉, 연마편(30,50,60)은 연마 작업을 시행하지 않는 반대측으로부터 페이퍼(32a,53a,64a)가 각각 구성된다.
이러한, 페이퍼(32a,53a,64a)의 연마 작업을 위한 측의 표면에 다이아몬드 입자가 내진방식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적층되어 부착된다.
아울러, 다이아몬드입자의 상부로 접착용수지(32b,53b,64b)가 도포되어 다이아몬드 입자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며 습기의 침투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휠(100,200,300)은 공통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보스(10)가 상부측을 향하도록 핸드그라인더(400)에 결합한 후 결합브라켓(도면상 미도시)을 이용하여 보스(20)에 접촉되며 회전시 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후, 핸드그라인더(400)를 작동시키게 되면 회전력에 의해 연마 휠(100,200,300)이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연마를 시행할 연마부분에 접촉시켜 다이아몬드입자에 의해 연마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휠(100)은 석재의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부분을 연마하는 것으로서 외측 끝단이 곡률되게 절단된 곡률연마면(32)이 형성된 연마편(30)을 석재에 접촉시키면 곡률연마면(32)이 둥근 모서리를 매끈하게 연마시키게 된다.
이러한, 곡률연마면(32)이 형성된 연마편(30)을 이용하여 석재의 둥근 모서리부분을 연마하게 되면 둥근 모서리의 곡률을 따라 핸드그라인더(400)을 선회시켜야 하는 작업의 불편함이 제거되는 동시에 곡률연마면(32)에 의해 둥근 곡률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석재의 거칠거칠한 돌기 부분을 정교하게 연마하여 석재의 질감은 유지하며 매끄러운 연마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연마휠(200)은 석재의 모서리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연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휠(200)의 연마편(50)을 형성하는 모따기연마면(53)을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에 접촉시켜 모따기 모서리의 고유의 각을 변화시키지 않고 날카롭게 돌출된 모서리의 끝선을 매끈하게 연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마편(50)이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에 접촉함에 따라 모따기연마면(53)의 각진 부분이 절개선(52)에 의해 갈라지게 되어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에 대해 넓은 면적으로 연마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45°로 형성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형성된 모따기 모서리부분을 연 마할 때 모따기연마면(53)의 면적은 한정되어 있으나 절개선(52)에 의해 면적이 증대될 수 있어 모따기를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 및 면적에 제한받지 않는 상태로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휠(300)은 회전되는 동시에 석재의 불규칙 연마 부분에 연마편(60)을 접촉하게 된다.
이때, 연마편(60)의 절개연마편(65)은 절개선(63)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갈라지며 석재의 불규칙 연마부분을 표면을 따라 절개연마면(64)이 접촉하여 연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직사각형 형상의 기존의 연마편이나 본 고안에서 제안된 연마편(30,50)으로 연마작업이 불가능한 불규칙한 곡선부분이나 각진 부분에 절개선(63)에 의해 각각 분리되는 절개연마편(65)들이 접촉되어 석재의 고유 형상을 유지하면 불규칙한 곡률이나 각진 부분을 매끈하게 연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마휠(100,200,300)에 공통적으로 보조연마편(40)을 연마편(30,50,60)들의 사이에 삽입시켜 연마작업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연마편(30,50,60)들의 최초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더불어, 보조연마편(40)에 의해 연마편(30,50,60)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연마작업시 연마된 석재입자 등이 연마편(30,50,60)들의 간극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연마 작업시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연마편(30,50,60)들의 사이에 존재하지 않고 방출되어 열에 의한 연마편(30,50,60)들의 수명 및 내구력의 감소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장시간에 걸쳐 연마편(30,50,60)을 사용하게 되면 석재와 접촉시 발생되는 열 및 마찰력에 의해 탄력성이 감소되어 연마휠(100,200,3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연마력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마편(30,50,60)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하여, 곡률, 모따기, 불규칙한 형상의 석재 모서리 및 부분을 연마 할 수 있어, 작업의 특성에 따라 적용성이 우수한 연마휠(100,200,300)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 및 범용성이 증대된다.
아울러, 연마편(30,50,60)들의 사이에 보조연마편(40)을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석재입자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연마열을 쉽게 방출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연마력의 감소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마편(30,50,60)에 다이아몬드입자를 내진방식을 이용하여 부착시켜 연마력을 향상시켰으며 수명의 연장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을 핸드그라인더(400)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용도가 국한된 듯이 보이나, 이러한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은 석재를 가공할 수 있는 연삭기계, 석재가공머신 등에 장착하여 매우 다양하게 사용가능한 것으로서, 도면은 다만 일 실시 예일 뿐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연마편의 끝단을 곡률되게 형성시켜 곡률이 진 석재의 둥근 모서리 부분을 매끄럽게 다듬거나 연마할 때 석재의 고유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곡률로 인한 연마 접촉면이 증대되어 연마의 효율이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마편의 끝단을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시켜 모가진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을 매끄럽게 다듬거나 연마할 때 석재의 고유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절개선에 의해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로 인해 연마 접촉면이 증대되어 연마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연마편의 끝단을 절개하여 여러 개의 절개연마편을 형성시켜 일정하지 않은 불규칙한 석재의 연마 부분을 매끄럽게 다듬거나 연마할 때 석재의 고유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뷸규칙한 연마 부분을 여러 개의 절개연마편들이 분할되어 접촉함에 따라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연마의 효율이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마편의 연마가 이루어지는 연마면에 다이아몬드 연마입자를 부착시켜 연마편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매끄러운 연마면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중앙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보스와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연마편이 고정되어 석재의 둥근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용 연마휠에 있어서,
    보스(10,20)의 외주면을 따라 직립되게 다수개의 연마편(30)이 위치된 후 접착제(31)로 고정되고, 연마편(30)의 외측 끝단이 곡률지게 형성된 곡률연마면(32)으로 이루어지며, 연마편(30)들의 사이에는 보조연마편(40)이 고정되고, 보조연마편(40)에는 접착제(31)로 연마입자가 부착되어 석재의 둥근 모서리에 접촉력을 증대시키며 연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마편(30)의 곡률연마면(32)에는 페이퍼(32a)에 연마를 위한 다이아몬드입자가 마름모 형상으로 부착되도록 상부표면에 접착용수지(32b)가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2. 중앙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보스와,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연마편이 직립되게 고정되어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용 연마휠에 있어서,
    보스(10,2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연마편(50)이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51)로 고정되고, 연마편(50)의 외측 끝단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사다리꼴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절개선(52)이 형성된 모따기연마면(53)으로 형성되며, 연마편(50)들의 사이에는 접착제(51)로 고정되는 연마입자가 부착된 보조연마편(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마편(50)의 모따기연마면(53)에는 페이퍼(53a)에 연마를 위한 다이아몬드입자가 마름모 형상으로 부착된 상부표면에 접착용수지(32b,53b,64b)가 도포되며, 연마편(50)과 보조연마편(40)이 석재의 모따기 모서리에 접촉력을 증대시키며 연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3. 중앙부의 상하측에 위치한 보스와,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연마편이 직립되게 고정되어 석재의 불규칙한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핸드그라인더용 연마휠에 있어서,
    보스(10,2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연마편(60)이 직립되게 위치된 후 접착제(61)로 고정되고, 절개되지 않은 연결편(62)에 연결되게 절개선(63)에 의해 절개되어진 여러 개의 절개연마면(64)을 구비하는 절개연마편(65)이 형성되며, 연마편(60)들의 사이에는 접착제(61)로 고정되는 연마입자가 부착된 보조연마편(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마편(60)의 절개연마면(64)에는 페이퍼(64a)에 연마를 위한 다이아몬드입자가 마름모 형상으로 부착된 상부 표면에 접착용수지(64b)가 도포되어 구성되며, 석재의 불규칙한 부분에 접촉력 및 형상을 따라 이동되며 연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4. 삭제
KR2020070009791U 2007-06-14 2007-06-14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KR200444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791U KR200444137Y1 (ko) 2007-06-14 2007-06-14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791U KR200444137Y1 (ko) 2007-06-14 2007-06-14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39U KR20080006339U (ko) 2008-12-18
KR200444137Y1 true KR200444137Y1 (ko) 2009-04-10

Family

ID=4132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791U KR200444137Y1 (ko) 2007-06-14 2007-06-14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1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495B1 (ko) * 2019-07-31 2021-07-30 주식회사 덕성 커버글라스 연마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39U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24021A1 (en) Diamond impregnated polishing pad with diamond pucks
US20050164620A1 (en) Rotary tool and its cutting part
JP6529210B2 (ja) 研磨ディスクを用いる研磨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物品
US20090053982A1 (en) Fibrous pad for cleaning/polishing floors
JP2001526593A (ja) 複合研磨組立体および方法
WO2011021087A1 (en) Support for abrasive elements in sheet form for tools or machine tools
TWI577502B (zh) The method of dressing the elastic stone
KR200444137Y1 (ko) 다이아몬드 시트를 이용한 연마휠
US9682461B2 (en) Sloped polishing pad with hybrid cloth and foam surface
US9687964B2 (en) Polishing pad with hybrid cloth and foam surface
US7833088B1 (en) Construction method and tool supporting said method
KR20130143414A (ko) 그라인더용 연마휠
CN212145977U (zh) 一种新型弹性磨块
US20090049634A1 (en) Fibrous pad for cleaning/polishing floors
US8360831B2 (en) Sanding tool
US6808447B2 (en) Tool, in particular diamond sector for machines for polishing surfaces such as agglomerates, tiles or the like
JP3072671U (ja) 研削工具
JPS62259759A (ja) 回転体を有する表面研削仕上装置
CN204686686U (zh) 一种金刚石研磨磨块
KR101243154B1 (ko) 석재측면가공용 연마패드
CN204686680U (zh) 一种金刚石研磨磨块
EP1698434A1 (en) Geinder
KR102515527B1 (ko) 교차적층 구조의 그라인드휠
CN213289960U (zh) 一种千页轮
JP2022062794A (ja) 研磨具及び研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