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941Y1 -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941Y1
KR200443941Y1 KR2020070009044U KR20070009044U KR200443941Y1 KR 200443941 Y1 KR200443941 Y1 KR 200443941Y1 KR 2020070009044 U KR2020070009044 U KR 2020070009044U KR 20070009044 U KR20070009044 U KR 20070009044U KR 200443941 Y1 KR200443941 Y1 KR 200443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filter housing
bottom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978U (ko
Inventor
박주용
Original Assignee
박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용 filed Critical 박주용
Priority to KR2020070009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94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9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뚜껑으로 밀폐된 상태에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 중의 오염물질을 내부 필터를 통해 걸러내어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을 하우징 결착 밴드가 결착하여 필터 하우징을 지지하는 필터 하우징 지지부; 상기 필터 하우징 지지부 저면에 형성되어 볼트 너트 방식으로 설치장소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장치{FILTER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 하우징과 필터 하우징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 하우징이 필터 하우징 지지부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 하우징 뚜껑의 밀폐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하우징 지지부가 프레임에 설치된 도면.
본 고안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이나 빌딩 내부에서 사용되고 배출되는 오염된 유체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장치의 필터 하우징 지지부 저면에 평평한 바닥판을 구비시켜, 공장이나 빌딩 등의 기계실 프레임과 볼트 너트 방식의 결합만으로 필터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트리지 필터장치의 필터 하우징은 정화된 유체가 아래의 배출구로 빠 져나오기 때문에 지지다리를 하우징에 설치하여 설치면에서 이격시켜 놓아야 하는데, 지지다리를 하우징에 용접하는 경우에는 교체가 곤란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필터하우징에 결착밴드를 결착하고 밴드에 다리를 용접하여 설치하였다.
그리고 필터장치의 필터 하우징 지지부를 기계실 프레임 등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종래 필터장치의 필터 하우징 지지부가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어, 필터장치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할 때 용접된 필터 하우징 지지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내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역시 있었다.
또한, 필터장치를 최초 설치시에 기존의 공장에 설치된 사각 프레임 상에 다리부를 용접하는 필터 하우징 지지부를 필터장치가 설치될 프레임부분과 재용접을 해야하며, 재용접된 부분을 다시 도장해야함에 따라 공수{工數}의 소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개 기존의 사각프레임에 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적당한 사각 프레임이 없을 경우에는 추가의 보조프레임을 설치한 후에 필터다리를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고, 무엇보다도 기존에는 설치할 공장의 구조를 현장조사 하여 파악한 뒤에 보조프레임과 설치용 다리를 주문제작하여 설치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 하우징 지지부에 평평한 바닥판을 부착시키고, 평평한 바닥판에는 필터장치가 프레임과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볼트 너트장치를 구비시켜, 필터장치를 최초 설치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하고자 할 때 볼트 너트의 체결하고 분리하는 간편한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는 밀폐뚜껑(14)으로 밀폐된 상태에서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 중의 오염물질을 내부 필터(12)를 통해 걸러내어 배출구(13)로 배출시키는 필터 하우징(10); 상기 필터 하우징(10)을 하우징 결착 밴드(21)가 결착하여 필터 하우징(10)을 지지하는 필터 하우징 지지부(20); 상기 필터 하우징 지지부(20) 저면에 형성되어 볼트 너트 방식으로 설치장소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판(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판(24)은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결착 밴드(21)와 바닥판(24)은 4개의 지지다리(23)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다리(23)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우징 결착 밴드(21)에서 상기 바닥판(24)으로 내려갈수록 넓어지는 피라미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14)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한 홈(17)에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의 필터(12)에 형성된 볼록한 돌기(16)가 삽입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10)이 완전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 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는 크게 필터 하우징(10)과 필터 하우징 지지부(2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필터 하우징(10)은 오염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 오염된 유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2), 오염된 유체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여과된 깨끗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3), 밀폐뚜껑(14)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11)는 사무실 건물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되고 배출되는 오염된 유체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유입펌프에 의해 유입되어 상기 사무실 건물이나 공장 등의 벽면과 천장 등에 설치된 파이프 관을 따라 유입되는 곳이다.
또한, 상기 필터(12)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유체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체 중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나 기타 다른 오염물질들은 상기 필터(12)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는 물리적인 원리에 의해 여과되고, 반면 유체 중의 냄새는 상기 필터(12)에 발라진 화학약품에 의해 제거되는 화학반응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배출구(13)는 상술한 물리적인 원리와 화학반응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유체를 다시 상기 사무실 건물이나 공장 등의 벽면과 천장 등에 설치된 파이프 관을 통해 배출한다.
상기 밀폐뚜껑(14)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큰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밀폐뚜껑(14)이 없다면, 큰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는 상기 필터 하우징(10) 상부로 흘러넘치게 되고, 필터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바닥을 젖게 만들어 유체 등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악취들로 필터의 설치장소가 오염시키게 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10) 내의 내압이 줄어들어 상기 배출구(13)로의 유체의 배출량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12)는 일정기간이 지나서 교체하거나 세정하기 용이하도록 필터 손잡이(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15)의 중앙에는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 손잡이(15)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16)는 상기 밀폐뚜껑(14)이 닫히면, 상기 밀폐뚜껑(14)의 중앙에 형성된 홈(17)에 삽입되게 된다.
즉, 상기 밀폐뚜껑(14)을 닫을 때, 상기 필터 손잡이(15)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16)가 상기 밀폐뚜껑(14)의 중앙에 형성된 홈(17)에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밀폐뚜껑(14)이 필터 하우징(10)에 정중앙에 딱 맞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손잡이(15)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16)와 상기 밀폐뚜껑(14)의 중앙에 형성된 홈(17)의 결합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높은 유압의 오염된 유체에 의해 상기 밀폐뚜껑(14)이 흔들리거나 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뚜껑을 잠그는 외부볼트의 결합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를 하우징 지지부(20)는 하우징 결착 밴 드(21), 조임부(22), 지지다리(23), 바닥판(24) 및 체결부(2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결착 밴드(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하우징(10)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22)를 조임에 따라 상기 필터 하우징(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 관리자는 상기 조임부(22)을 풀러 상기 하우징 결착 밴드(21)가 느슨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10)의 높이를 설치에 적당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시 상기 조임부(22)를 조임으로써, 상기 필터 하우징(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23)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 결착 밴드(21)의 외주면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 상태이며, 타단이 지면방향을 향하는 막대모양이다.
복수개의 상기 지지다리(23)의 일단은 등간격으로 상기 하우징 결착 밴드(21)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다리(23)의 타단은 바닥판(24)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바닥판(24)은 평평한 강철판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23)가 부착되는 테두리 부분만 남기고 그 무게가 경량화될 수 있도록 중앙이 천공된 형상이지만 꼭 중앙이 천공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4)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가 프레임(30)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 너트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하는 체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24)에 형성된 체결부(25)는 프레임으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필 터장치를 쉽게 분리하여 다른 장소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복수개의 상기 지지다리(23)들 중 임의의 두 지지다리(23) 사이로 상기 배출구(13)가 위치하여, 본 고안의 필터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배출관과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23)의 개수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배출구(13)의 방향은 필터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기설비된 배출배관의 위치에 따라 이미 정해지는데, 배관을 임의의 각도로 꺾을 수 없고 배관을 구부리는 가동인 교각이 90°나 180°교각만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너무 많은 지지다리(23)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13)가 나갈 수 있는 방향이 여러 방향이 될 수는 있지만, 상기 지지다리(23)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상기 배출구(13)가 나가지 못하거나, 설치 작업자가 상기 배출구(13)와 배출배관을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13)는 상기 바닥판(24)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4)으로 내려갈수록 상기 지지다리(23)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피라미드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필터장치의 설치공간과 상기 지지다리(23) 사이를 통과하는 배출구(13)의 구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23)는 3개인 경우로도 실시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필터장치는 바닥판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 너트방식의 체결부를 조이는 조작을 통해 설치장소의 프레임 등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체결부인 볼트 너트를 조이는 조작만을 통해 설치장소에 설치됨에 따라 재용접이나 재도장을 할 필요가 없어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 지지부가 기성품으로서 이미 제작되어 있어, 필터 하우징을 설치할 공장의 구조를 현장조사 하여 파악한 뒤에 보조프레임과 지지다리를 주문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중앙부에 오목한 홈(17)이 형성된 밀폐뚜껑(14)과,
    상기 밀폐뚜껑(14)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 완전 밀폐가능하도록 상기 오목한 홈(17)에 삽입되도록 볼록한 돌기(17)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밀폐된 상태에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 중의 오염물질을 내부 필터(12)를 통해 걸러내어 배출구(13)로 배출시키는 필터 하우징(10)과;
    상기 필터 하우징(10)을 하우징 결착 밴드(21)가 결착하여 필터 하우징(10)을 지지하는 필터 하우징 지지부(20)와;
    상기 필터 하우징 지지부(20) 저면에 형성되어 볼트 너트 방식으로 설치장소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닥판(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착 밴드(21)와 바닥판(24)은 4개의 지지다리(23)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3)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우징 결착 밴드(21)에서 상기 바닥판(24)으로 내려갈수록 넓어지는 피라미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5. 삭제
KR2020070009044U 2007-06-01 2007-06-01 필터장치 KR200443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44U KR200443941Y1 (ko) 2007-06-01 2007-06-01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44U KR200443941Y1 (ko) 2007-06-01 2007-06-01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78U KR20080005978U (ko) 2008-12-04
KR200443941Y1 true KR200443941Y1 (ko) 2009-03-27

Family

ID=4132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044U KR200443941Y1 (ko) 2007-06-01 2007-06-01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9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78U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8657B1 (en) Floor sink strainer assembly
US20220161159A1 (en) Device for Separating Debris From a Fluid
US20180304177A1 (en) Connector pipe screen
JP2013017998A (ja) ろ過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KR102399870B1 (ko) 다면체 여과망 장치
KR100589011B1 (ko) 저수조용 스크린 필터
KR200443941Y1 (ko) 필터장치
JP2012021386A (ja) 下水道マンホール用スクリーン
RU2638386C1 (ru) Фильтр
CA2744660A1 (en) Catch basin trap and mounting system
CN210685602U (zh) 一种建筑工地用喷雾降尘围挡
KR101236829B1 (ko)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CN211411245U (zh) 管道过滤器
KR100986260B1 (ko) 스트레이너 유닛
CN208565806U (zh) 一种建筑施工工地用废水排放管道
KR101552236B1 (ko) 대형 집수블록을 이용한 정수장 여과지 하부 구조
JP4630996B2 (ja) 排水装置
RU215376U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KR20150143028A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어셈블리
JP3119066U (ja) 濾過器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JP2005336747A (ja) 樋用ゴミ除けカバーとその取付構造
CN217557128U (zh) 一种多接口下水管地漏
CN220225545U (zh) 一种河道消防取水口结构
CN215406449U (zh) 一种水封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