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869Y1 - 차량용 통풍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풍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869Y1
KR200443869Y1 KR2020070016433U KR20070016433U KR200443869Y1 KR 200443869 Y1 KR200443869 Y1 KR 200443869Y1 KR 2020070016433 U KR2020070016433 U KR 2020070016433U KR 20070016433 U KR20070016433 U KR 20070016433U KR 200443869 Y1 KR200443869 Y1 KR 200443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chair
hose
blow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근
Original Assignee
최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근 filed Critical 최정근
Priority to KR2020070016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8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날개를 갖는 냉,온기 배출구와 의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의자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기둥을 갖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수개의 관통공을 갖는 다수개의 홈부가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자바라 구조의 호스와 상기 호스의 타단부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감싸며 그 배출구의 방향날개에 걸림,고정되는 한조의 후크가 구비된 거치부로 구성되어, 차량의 온, 냉기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차량용 통풍시트의 거치부를 장착하고, 그 차량용 통풍시트의 시트를 차량의 의자에 설치하여, 별도의 송풍수단이 필요없이 그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온, 냉기를 시트를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송풍수단이 필요치않아 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그 송풍수단을 가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필요치않아 별도의 유지비용이 들지않는 효과가 있다.
통풍시트, 시트, 호스, 의자

Description

차량용 통풍시트{VENTILATING SHEET FOR A CAR}
본 고안은 차량용 통풍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온, 냉기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차량용 통풍시트의 거치부를 장착하고, 그 차량용 통풍시트의 시트를 차량의 의자에 설치하여, 별도의 송풍수단이 필요없이 그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온, 냉기를 시트를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송풍수단이 필요치않아 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그 송풍수단을 가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필요치않아 별도의 유지비용이 들지않는 차량용 통풍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와 같이 땀이 많은 환경하에서 자동차에 탑승할 경우 자동차의 시트와 직접 접하게 되는 신체 부위에는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다량의 땀이 흘러 탑승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조장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악취발생 및 각종 피부질환까지 초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에 송풍수단을 구비하여 시트내에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한 통풍시트가 기히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풍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풍시트(300)는 내부에 공간부(310)가 마련되고, 다수개의 통공(320)이 구비된 방석 및 등받이로 구성된 시트(330)와 외부전원에 의해 가동되어 시트(330)의 공간부(310)에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수단(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풍시트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송풍수단의 송풍모터가 가동되어 공간부에 바람을 공급하게 되고, 그 바람이 통공을 통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어 쾌적한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된다.
그러나 종래의 통풍시트는 공간부에 바람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송풍수단이 마련되야 함으로, 통풍시트의 제작비용이 상승됨은 물론 송풍수단에 전력이 공급되야 함으로, 전력소모 및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송풍수단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과도하게 차지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방향날개를 갖는 냉,온기 배출구와 의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의자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기둥을 갖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수개의 관통공을 갖는 다수개의 홈부가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자바라 구조의 호스와 상기 호스의 타단부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감싸며 그 배출구의 방향날개에 걸림,고정되는 한조의 후크가 구비된 거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의 일단부에는 그 시트와 연통되게 직립된 구조의 등받이가 더 구비되되, 그 등받이에는 수개의 통기공을 갖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와 상기 등받이에는 연결밴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에는 한조의 레일이 구비시키고, 상기 후크의 일단에는 걸 림편을 형성시켜 상기 후크가 상기 레일을 따라 안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온, 냉기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차량용 통풍시트의 거치부를 장착하고, 그 차량용 통풍시트의 시트를 차량의 의자에 설치하여, 별도의 송풍수단이 필요없이 그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온, 냉기를 시트를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송풍수단이 필요치않아 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그 송풍수단을 가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필요치않아 별도의 유지비용이 들지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 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1)는 방향날개(110)를 갖는 냉,온기 배출구(100)와 의자(200)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트(2)와 호스(3)와 거치부(4)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2)는 상기 의자(200)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기둥(211)을 갖는 공간부(2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수개의 관통공(221)을 갖는 다수개의 홈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2)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쿠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211)에 탄성스프링(도시생략)을 끼움,체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시트(2)에는 연결밴드(B)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의자(200)에 상기 시트(2)를 견고히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호스(3)는 자바라 구조로 구성되며, 양단부에는 연결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2)의 측면과 상기 거치부(4)에 구비되는 체결부(23,4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31)의 외주면과 체결부(23,43)에 내주면에 나사산(도시생략)을 형성시켜 상기 연결부(31)가 상기 체결부(23,43)에 나사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호스(3)는 자바라 구조 이외에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통상의 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는 일면에 개구부(44)가 형성되고, 상기 호스(3)의 연결부에 연결,설치되도록 상기 개구부(44)와 대응되는 면에 체결부(43)가 형성되며, 그 배출구(100)의 방향날개(110)에 걸림,고정되는 한조의 후크(41)를 상기 개구부(44)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차량용 통풍시트(1)를 자동차의 내부에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탑승자는 연결밴드(B)를 의자에 체결하여 시트(2)를 의자(200)에 견고하게 장착시킨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를 파지한 상태에서 배출구(100)의 방향날개(110)에 후크(41)를 걸어 개구부(44)가 배출구(100)를 감싸면서 고정되게 함으로써, 모든 체결과정을 종료하게 되며, 배출구(100)를 통해 배출되는 온,냉기(바람)가 순차적으로 거치부(4)와 호스(3)를 지나 시트(2)의 공간부(21)에 전달된 후 관통공(2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됨으로 탑승자는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며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탑승자는 차량에 구비된 온기 또는 냉기 버튼을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온기 또는 냉기를 차량용 통풍시트(1)를 통해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44) 외곽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오링(도시생략)을 부착시켜 상기 배출구(100)와 거치부(4)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의자(200)에 시트(2)가 설치되어 탑승자가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며, 배출구(100)의 온, 냉기(바람)를 관통공(221)을 통해 엉덩이 부분에 제공해 주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2)의 일단부에 그 시트(2)와 연통되게 직립된 구조의 등받이(5)가 더 구비시키되, 그 등받이(5)에 수개의 통기공(511)을 갖는 다수개의 홈(51)을 형성시킨다. 즉 등받이는 상기 시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탐승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며 배출구의 온, 냉기를 그 등 부분에 제공함으로써, 쾌적한 상태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5)에는 연결밴드(B)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의자(200)에 상기 등받이(5)를 견고히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시트(2)의 구성과 동일하게 내부에 다수개의 기둥(52)이 구비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거치부(4)의 개구부(44) 내측에 한조의 후크(41)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향날개(110)에 그 후크(41)가 걸림,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4)에 한조의 레일(42)이 구비시키고, 상기 후크(41)의 일단에 걸림편(411)을 형성시켜 상기 후크(41)가 상기 레일(42)을 따라 안내 되도록 한다. 즉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갖는 방향날 개(110)에 대응되게 상기 후크(41)를 이동시켜 그 방향날개(110)에 걸림,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거치부(4)를 다양한 차종 및 다양한 배출구에 적용(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통풍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통풍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차량용 통풍시트 2 : 시트
3 : 호스 4 : 거치부
5 : 등받이 21 : 공간부
221 : 기둥 22 : 홈부
221 : 관통공 23 : 체결부
31 : 연결부 41 : 후크
411 : 걸림편 42 : 레일
43 : 체결부 44 : 개구부
5 : 등받이 51 : 홈
511 : 통기공 B : 연결밴드
100 : 배출구 110 : 방향날개
200 : 의자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방향날개(110)를 갖는 냉,온기 배출구(100)와 의자(200)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의자(200)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기둥(211)을 갖는 공간부(2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수개의 관통공(221)을 갖는 다수개의 홈부(22)가 형성된 시트(2)와 상기 시트(2)의 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자바라 구조의 호스(3)와 상기 호스(3)의 타단부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배출구(100)를 감싸며 그 배출구(100)의 방향날개(110)에 걸림,고정되는 한조의 후크(41)가 구비된 거치부(4)로 구성된 통풍시트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4)에는 한조의 레일(42)이 구비시키고, 상기 후크(41)의 일단에는 걸림편(411)을 형성시켜 상기 후크(41)가 상기 레일(42)을 따라 안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
KR2020070016433U 2007-10-10 2007-10-10 차량용 통풍시트 KR200443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33U KR200443869Y1 (ko) 2007-10-10 2007-10-10 차량용 통풍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33U KR200443869Y1 (ko) 2007-10-10 2007-10-10 차량용 통풍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869Y1 true KR200443869Y1 (ko) 2009-03-23

Family

ID=4134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433U KR200443869Y1 (ko) 2007-10-10 2007-10-10 차량용 통풍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8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7675B2 (en) Motor vehicle seat
JP5664421B2 (ja) 車両用シート
US10279646B2 (en) Ventilated seatbelt for efficient cooling and heating of vehicle passengers
US7591507B2 (en) Tie strap for climate controlled seat
JP3786701B2 (ja) 車両の椅子に通気する装置
US20090218855A1 (en) Climate control systems and devices for a seating assembly
KR101054489B1 (ko) 전면 통기성 재질을 가진 통풍 시트
KR20110051693A (ko) 냉·난방을 위한 차량용 시트
US20080122275A1 (en) Backrest For a Vehicle Seat
JP2000333782A (ja) 車両用シート
CN104276066A (zh) 用于车辆座椅总成的装饰物附接装置
JP2008523854A (ja) 空気供給装置を備える自動車の座席のシートバック
US20120187740A1 (en) Seat pad that promotes cooling and ventilation
US20130134764A1 (en) Vehicle comfort seat
KR101244881B1 (ko) 차량용 통풍시트의 송풍덕트 구조
CN100431870C (zh) 一种汽车通气坐靠垫
KR101662786B1 (ko) 통풍시트
EP1075984A3 (de) Gepolsterter Sitz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KR200443869Y1 (ko) 차량용 통풍시트
KR200485005Y1 (ko) 차량용 통풍시트
JP5742419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447096Y1 (ko) 차량용 통풍시트
KR200222066Y1 (ko) 자동차용 통풍시트
CN212373110U (zh) 车辆送风结构和汽车
JP2002211298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