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697Y1 - 차량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차량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697Y1
KR200443697Y1 KR2020070005723U KR20070005723U KR200443697Y1 KR 200443697 Y1 KR200443697 Y1 KR 200443697Y1 KR 2020070005723 U KR2020070005723 U KR 2020070005723U KR 20070005723 U KR20070005723 U KR 20070005723U KR 200443697 Y1 KR200443697 Y1 KR 200443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s
housing
lens guid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529U (ko
Inventor
변희석
Original Assignee
(주)고려다이나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다이나믹스 filed Critical (주)고려다이나믹스
Priority to KR2020070005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69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6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렬한 햇볕으로 인한 역광에 따른 카메라 노출불량 및 빗물유입으로 발생하는 영상데이터의 불량을 개선하도록 하는 렌즈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는, 하우징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개구부(10)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 전면판(F)과; 상기 개구부(10)의 배면 외주연부상에 그 선단부가 접촉상태로 결합되며,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되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의 렌즈가이드(20)와; 상기 렌즈가이드(20)의 후방 단부를 밀폐하는 렌즈커버(40)와: 상기 렌즈커버(40) 후방의 렌즈가이드 중심축 연장선상에 고정되는 카메라(5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입사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70)와; 상기 카메라(50)와 조도센서(7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시카메라, 차량, 카메라, 렌즈, 커버

Description

차량감시카메라{Car recogniting camera having lens guid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감시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차량감시카메라의 렌즈커버에 부착된 빗방울을 닦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개구부 20 : 렌즈가이드 30 : 제어부
40 : 렌즈커버 50 : 카메라 60 : 차량감시카메라
70 : 조도센서 80 : 제습부 81 : 제습용 토출구
82 : 공기유로관 83 : 팬 h : 관통공 H : 하우징
본 고안은 강렬한 햇볕으로 인한 역광에 따른 카메라 노출불량 및 빗물유입 으로 발생하는 영상데이터의 불량을 개선하도록 하는 렌즈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공공주차장 및 대형 주차장 등에는 차량관리에 관련된 많은 설비들이 설치되는바, 차량 통행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차량통행차단기, 주차통제기 및 주차권발행기 등이 설치되고,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통행차량에 대하여 요금을 부과하거나 불법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감시카메라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통과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통과차량에 대하여 특정한 통제를 하거나 불법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감시카메라는, 함상의 하우징 내부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지면에 설치되는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신호처리부와 제어부의 연산 처리 등에 의하여 신호처리되어,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는 중앙통제실 등으로 전송되어 각종의 목적에 맞게 활용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감시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감시카메라는, 지면(G) 등에 설치되는 관체의 지지봉(1) 상단부에 결합되는 함체의 하우징(2) 내부에 감시용의 카메라(3)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2)의 전방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는 강화유리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투명한 렌즈커버(4)가 밀폐가능하게 부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3)는 특히 렌즈커버(4)의 바로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서, 렌즈커버(4)를 통하여 입사된 교통상황 및 대상차량에 대한 영상신호가 입력되 어, 신호처리되어 활용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성의 차량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차량감시카메라 전방에 있는 교통상황 혹은 대상차량(C)에 대한 영상은 렌즈커버(4)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카메라(3)의 렌즈로 입사되는바, 이때 상기 교통상황 혹은 대상차량(C)에 대한 영상외에도 햇볕에 의한 빛도 함께 입사되어서 역광에 의한 빛의 노출에 따른 문제로 인하여, 영상신호처리부(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의 연산 처리 등에 의하여 신호처리된 영상 데이터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즉, 역광에 의하여 교통상황 혹은 대상차량(C)에 대한 영상이 뿌옇게 인식되며, 이를 전송받은 중앙통제실에서는 불명확한 영상으로 인하여 정확한 교통통제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우기, 상기 렌즈커버(4)는 대기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바,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등에는 렌즈커버(4)의 전방부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면서 이를 통과한 영상은 왜곡된채로 카메라(3)의 렌즈로 입사되는바, 정확한 영상 획득이 곤란해지며, 초봄에 중국 측으로부터 불어 오는 황사 등과 같은 대기중의 미세 불순물이 표면의 수분과 혼합반응하면서, 햇볕 등에 의하여 사라지는 물방울과는 달리 렌즈커버(4) 표면에 지속적으로 고착되어 정확한 영상 획득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은 종래 차량감시카메라의 렌즈커버에 부착된 빗방울을 닦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등에 렌즈커버(4)의 전방부 표면 에 물방울이 맺힌 것을 제거하거나, 초봄에 불어 오는 황사 등과 같은 대기중의 미세 불순물이 표면의 수분과 혼합반응하면서 렌즈커버(4) 표면에 지속적으로 고착된 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커버(4)의 전방부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와이퍼(wiper)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상기 렌즈커버(4) 전방부의 상측 하우징(20) 일측에는 회동하는 축이 결합되며, 축의 단부에 유리표면을 깨끗하게 닦아내는 브러쉬가 구비된 와이퍼(W)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하는 축의 타단부에는 별도의 구동원인 모터(미도시)를 결합하여, 브러쉬가 작동되면서 렌즈커버(4) 표면상의 물방울이나 고착된 미세먼지 등을 떨어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와이퍼(W)가 설치된 차량감시카메라는 와이퍼(W)가 고장나서 작동을 멈춘 경우에는 렌즈커버(4) 표면상의 물방울이나 고착된 미세먼지 등을 닦아내지 못하게 되며, 더우기 상기 와이퍼(W)의 브러쉬가 렌즈커버(4)의 중앙부에서 작동이 멈친 채 방치되면, 와이퍼(W)로 인하여 오히려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기가 더 곤란해 진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역광에 의하여 대상차량 등에 대한 영상이 뿌옇게 인식되어, 이를 전송받은 중앙통제실에서 정확한 교통통제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감시카메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우기, 렌즈커버가 대기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더라도,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등에는 렌즈커버의 전방부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대기중의 미세 불순물 등이 렌즈커버(4) 표면에 지속적으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영상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차량감시카메라를 제공함을 따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햇볕으로부터 오는 강한 빛이 렌즈커버를 통하여 후장에 위치하는 카메라의 렌즈로 직접 입사되지 않도록 하는 렌즈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는, 함상으로서 외부와 밀폐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감시카메라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개구부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 전면판과; 상기 개구부의 배면 외주연부상에 그 선단부가 접촉상태로 결합되며,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되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의 렌즈가이드와; 상기 렌즈가이드의 후방 단부를 밀폐하는 렌즈커버와: 상기 렌즈커버 후방의 렌즈가이드 중심축 연장선상에 고정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입사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카메라와 조도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는, 상기 렌즈가이드의 내주면 후방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커버에 제습용 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제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의 하우징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들이 담겨지며, 일측면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여닫이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거나, 나사 등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플레이트 등을 구비하여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즉, 감시대상 차량을 향하는 방향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이를 통하여 차량 혹은 교통상황에 따른 영상이 입사되며, 하측면은 지면과 같은 지지면에 고정되는 관체상의 지지봉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을 취한다.
그리고,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의 렌즈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배면에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밀폐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커버는 상기 렌즈가이드의 길이만큼 후방에 위치하게 되며, 그 형상은 원뿔 혹은 각뿔 형태를 취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의 조도센서는, 상기 하우징 일측에 고정되어서 본 고안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외부의 빛의 밝기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바, 감지된 조도를 비교하여 카메라의 조리개의 개구율과 연동되도록 제어부에 연결·구성하게 되며, 이로써 제어부의 연산에 의하여 카메라 조리개의 작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조도센서를 하우징 일측에 다수개 설치하되, 그 설치되는 위치 를 각각 달리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조리개 제어를 위한 조도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의 렌즈커버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하우징의 밀폐상태를 유지시키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상기 렌즈가이드의 후방 관통공에 결합되는바,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렌즈가이드의 전장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의 제습부는, 상기 렌즈가이드 내주면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공기가 분출되는 제습용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습용 토출구에는 관체의 공기유로관이 연결되고, 모터에 연결된 팬(fan)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관을 경유하여, 제습용 토출구를 통하여 분출되어 렌즈커버 전면에 부착된 미세 먼지 혹은 습기에 의하여 발생된 수막 등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습용 토출구는 하측보다는 상측에 구비하여 작은 물방울 등이 자연스럽게 굴러내리면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유로관 일단부에 연결된 팬(fan)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작동되거나 작동이 멈춰지도록 작동된다.
이하,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차량감시카메라는, 지지면에 고정되는 상단부에 저면이 고정되는 함으로서 외부와 밀폐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바닥면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감시카메라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개구부(10)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 전면판(F)과; 상기 개구부(10)의 배면 외주연부상에 그 선단부가 접촉상태로 결합되며,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되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의 렌즈가이드(20)와; 상기 렌즈가이드(20)의 후방 단부를 밀폐하는 렌즈커버(40)와: 상기 렌즈커버(40) 후방의 렌즈가이드 중심축 연장선상에 고정되는 카메라(5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입사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70)와; 상기 카메라(50)와 조도센서(7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차량감시카메라는 상기 조도센서(70), 카메라(50) 및 제습부(8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감시카메라(60)를 통하여 차량 혹은 교통상황에 대한 영상이 입사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상기 개구부(10)를 통하여 영상이 최초로 입사되고, 개구부(10)의 후방에 연장·결합되는 렌즈가이드(20)를 거친후, 렌즈가이드(20) 후방 단부에 결합된 렌즈커버(40)를 통한 후, 비로소 카메라(50)에 입사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감시카메라와 달리 본 고안은, 개구부(10)와 렌즈커버(40)사이에 원뿔 혹은 각뿔 형상의 렌즈가이드(20)가 결합·설치되는바, 상기 렌즈커버(40)가 그만큼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차량 혹은 교통상황에 대한 영상은 입 사되는 반면, 상측에 위치하는 태양(S)으로부터의 햇볕은 입사되지 않으므로 역광에 의하여 영상 테이터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상기 렌즈가이드(20)의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렌즈커버(40)가 그만큼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유기철의 빗물 등이 표면에 맺혀지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미세먼지 혹은 안개 등에 의한 작은 입자의 물방물 등은 상기 제습부(8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불어져서 제거된다.
본 고안의 차량감시카메라는, 역광에 의하여 대상차량 등에 대한 영상이 뿌옇게 인식되어, 이를 전송받은 중앙통제실에서 정확한 교통통제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렌즈커버가 대기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더라도,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등에는 렌즈커버의 전방부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대기중의 미세 불순물 등이 렌즈커버 표면에 지속적으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영상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함상으로서 외부와 밀폐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감시카메라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개구부(10)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 전면판(F)과;
    상기 개구부(10)의 배면 외주연부상에 그 선단부가 접촉상태로 결합되며,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되는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의 렌즈가이드(20)와;
    상기 렌즈가이드(20)의 후방 단부를 밀폐하는 렌즈커버(40)와:
    상기 렌즈커버(40) 후방의 렌즈가이드 중심축 연장선상에 고정되는 카메라(5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입사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70)와;
    상기 카메라(50)와 조도센서(7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감시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이드(20)의 내주면 후방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커버(40)에 제습용 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제습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감시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80)는, 렌즈가이드(20)의 내주면 후방의 상측에 관통형성되는 제습용 토출구(81)와, 일단부가 제습용 토출구(81)에 결합되는 공기유로관(82)과,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팬(83)에서 발생한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관(82)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감시카메라.
KR2020070005723U 2007-04-06 2007-04-06 차량감시카메라 KR200443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23U KR200443697Y1 (ko) 2007-04-06 2007-04-06 차량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23U KR200443697Y1 (ko) 2007-04-06 2007-04-06 차량감시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29U KR20080004529U (ko) 2008-10-09
KR200443697Y1 true KR200443697Y1 (ko) 2009-03-13

Family

ID=4132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723U KR200443697Y1 (ko) 2007-04-06 2007-04-06 차량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6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20B1 (ko) * 2009-04-08 2011-04-07 (주)모나드아이엔씨 투명판 세척수단을 갖는 무인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29U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7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obstructions in a camera field of view
KR101042302B1 (ko) 차량 외부 영상 장치용 하우징
JP5014306B2 (ja) 支援システムのための光学モジュール
US11279287B2 (en) Vehicle camera lens dirt protection via air flow
KR100874461B1 (ko) 차량의 외부 조명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자동 제어 장치
KR101181405B1 (ko) 이물질 제거 및 광 차단 기능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WO2014007294A1 (ja) 車載装置
JP2008288720A (ja) カメラドームの清掃装置
US20210162958A1 (en) Sensing apparatus
US20150085118A1 (en) Method and camera assembly for detecting raindrops on a windscreen of a vehicle
KR200443697Y1 (ko) 차량감시카메라
KR101259836B1 (ko) 우적 감응형 와이퍼 장치
JP2022075077A5 (ko)
JP2020023293A (ja) 車両
KR101074877B1 (ko) 발수 기능이 있는 감시카메라
CN114248726B (zh) 摄像头系统
CN114103877B (zh) 车辆监控装置
JP3531482B2 (ja) 自動デフロスタ装置
CN107433915A (zh) 一种外置车载摄像装置和车辆
JP2000025576A (ja) 自動ワイパー装置
US20240147036A1 (en) Vehicular camera assembly with enhanced lens cleaning
US20230227007A1 (en) Compressor cooling system for cleaning a vehicle sensor
JP2020203522A (ja) 雨滴検出用カメラ装置
Pallaro et al. Multifunctional sensor to detect environmental parameters
KR20160132673A (ko) 우적 감응형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