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23Y1 - 회전 접속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회전 접속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123Y1
KR200443123Y1 KR2020070004499U KR20070004499U KR200443123Y1 KR 200443123 Y1 KR200443123 Y1 KR 200443123Y1 KR 2020070004499 U KR2020070004499 U KR 2020070004499U KR 20070004499 U KR20070004499 U KR 20070004499U KR 200443123 Y1 KR200443123 Y1 KR 200443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hole
rotating memb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021U (ko
Inventor
신태식
홍창환
Original Assignee
신태식
홍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식, 홍창환 filed Critical 신태식
Priority to KR2020070004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23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가 끼워지는 플러그 삽입구멍을 가지는 콘센트 본체와,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로 이루어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경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거치홈들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들 사이사이로 다수개의 통과구멍들이 관통 형성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외면에 끼워지며 일단에는 외부의 전선이 결속되는 전선연결부가 구비되고, 내면에는 상기 통과구멍에 끼워지는 돌출편이 돌출 형성된 전원 입력단자와, 상기 결합구 내에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부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봉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한 플러그의 단자봉과 접속하는 플러그접속단자와,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구의 거치홈과 통과구멍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며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와 전원입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단자가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접속형 콘센트를 제공한다.
콘센트 본체, 결합구, 전원입력단자, 회동부재, 플러그접속단자, 연결단자

Description

회전 접속형 콘센트.{Rotating contact plug socket}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콘센트의 구성을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접속형 콘센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회전 접속형 콘센트의 내구 구조를 절개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접속형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센트 본체 14: 베이스
16: 결합구 18: 통과구멍
20: 거치홈 22: 전원입력단자
26: 돌출편 28: 회동부재
32: 축 36: 플러그 접속단자
42: 연결단자 50: 플러그
52: 단자봉 100: 회전 접속형 콘센트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전기적인 접속 및 접속해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 접속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콘센트는 콘센트 본체에 전원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입력단자에 플러그의 단자봉을 접속시킴으로서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해지시, 상기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내는 동작에 의해서만 접속이 해지될 수 있게 됨으로서 사용에 번거로움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첨부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0)에 별도의 스위치(210)를 장착하여 상기 스위치(210)의 스위칭동작으로 플러그(300)와 콘센트 본체(200)의 접속 및 접속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개량된 콘센트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플러그(300)들이 접속되는 멀티탭방식의 콘센트에 설치되는 스위치(210)는 모든 플러그(300)들을 일시에 접속 및 접속해지 시키게 됨으로서 각 플러그(300) 마다 개별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개선된 종래의 콘센트는 전원 제어수단인 스위치(210)가 콘센트 본체(200)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함에 따라 사용상의 부주위로, 예를 들어 발로 밟는 동 작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지 않더라도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전기적인 접속 및 접속해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 접속형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플러그들을 개별적으로 접속 및 접속해지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 접속형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러그가 끼워지는 플러그 삽입구멍을 가지는 콘센트 본체와,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로 이루어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경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거치홈들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들 사이사이로 다수개의 통과구멍들이 관통 형성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외면에 끼워지며 일단에는 외부의 전선이 결속되는 전선연결부가 구비되고, 내면에는 상기 통과구멍에 끼워지는 돌출편이 돌출 형성된 전원 입력단자와, 상기 결합구 내에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부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봉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한 플러그의 단자봉과 접속하는 플러그접속단자와,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구의 거치홈과 통과구멍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며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와 전원입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단자가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시되는 콘센트는 두개이상의 플러그들이 삽입되도록 한 멀티탭 방식의 콘센트를 도시한 것이며, 따라서 각각의 플러그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조의 회전 접속방식이 구비되어 지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플러그의 접속 및 접속 해지를 위한 회전 접속구성을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접속형 콘센트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접속형 콘센트(100)는 단자봉(52)을 가지는 플러그(5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구멍(12)들을 가지는 콘센트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콘센트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콘센트 본체(10)의 내부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베이스(14)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결합구(16)들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6)는 원통체 형태로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거치홈(20)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20)들 사이사이로 다수개의 통과구멍(18)들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결합구(16)에는 플러그(50)를 회전시켜 전원의 접속 및 접속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 접속수단들이 장착되어 진다.
상기 회전 접속수단으로는 전원입력단자(22), 회동부재(28), 플러그접속단자(36) 및 연결단자(4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원입력단자(22)는 반원형태로 두개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하나의 결합구(16) 외면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단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60)이 연결되는 전선연결부(24)가 구비되고, 내면에는 다수개의 돌출편(26)들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26)들은 결합구(16)의 외면에 전원입력단자(22)가 조립되면 상기 결합구(16)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18)에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동부재(28)는 결합구(16)의 내면에 끼워지며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플러그 삽입구멍(12)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원통체 형태로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상면에는 두개의 관통구멍(30)이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관통구멍(30)으로는 플러그 삽입구멍(12)으로 삽입된 플러그(50)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봉(52)이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8)의 하단 양측으로는 개구부(35)를 각각 절개시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28)의 중앙에는 축(32)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축(32)을 중심으로 회동부재(28)는 정,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28)의 내부에는 상기 축(32)을 지지하는 가이드부(34)를 일체로 연장하여 구성한다.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36)는 회동부재(28)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단자봉 삽입부(38)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회동부재(28)의 하단부에 절개 형성된 개구부(35)에 위치하는 접속부(40)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단자봉 삽입부(38)는 회동부재(28)의 관통구멍(30)을 통과한 플러그(50)의 단자봉(52)이 삽입되어 지고, 상기 접속부(40)로는 연결단자(42)의 일측이 접촉하게 된다.
상기 연결단자(42)는 플러그 접속단자(36)의 접속부(40)에 일측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회동부재(28)의 개구부를 통해 회동부재(28) 외면에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단자(42)는 회동부재(28)의 회동동작에 따라 플러그 접속단자(36)와 함께 회동하며 전술한 결합구(16)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홈(20)들과 통과구멍(18)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연결단자(42)가 통과구멍(18)에 끼워질 경우에는 상기 통과구멍(18)에 끼워져 있는 전원입력단자(22)의 돌출편(26)들과 접촉하게 됨으로서 전원입력단자(22)에서 출력된 전류를 플러그 접속단자(36)로 인가시켜 플러그(50)와 콘센트(10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42)가 회동부재(28)의 회동에 따라 통과구멍(18)에 이탈한 후, 거치홈(20)에 끼워지게 되면 전원입력단자(22)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서 플러그(50)로는 더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플러그(50)와 콘센트(100)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단자(42)는 회동과정에서 결합구(16)의 통과구멍(180과 거치홈(20)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접속형 콘센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회전 접속형 콘센트(100)와 플러그(50)의 전기적인 접속은 도 3에서와 같이 플러그 접속단자(36)의 접속부(40)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단자(42)를 결합구(16)의 통과구멍(18)에 끼워넣게 되면 상기 연결단자(42)는 전원입력단자(22)의 돌출편(26)과 접촉하게 됨으로서 전원입력단자(22)에서 출력된 전류를 플러그 접속단자(36)로 인가시키게 되며, 이 상태에서 플러그(50)를 콘센트 본체(10)의 플러그 삽입구멍(12)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플러그(50)의 단자봉(52)은 회동부재(28)의 관통구멍(30)에 끼워진 다음, 플러그 접속단자(36)의 단자봉 삽입부(38)에 끼워지게 됨으로서 플러그(50)와 콘센트(100)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져 전류를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플러그(50)와 콘센트(100)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지할 때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플러그(5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회동부재(28)가 축(3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동부재(28)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플러그(50)의 단자봉(52)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 접속단자(36)와,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36)의 접속부(40)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단자(42)는 회동부재(28)와 함께 일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연결단자(42)는 결합구(16)의 통과구멍(18)에서 이탈한 후, 거치홈(20)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플러그 접속단자(36)와 전원입력단자(22)간의 접촉을 해지시키게 되며, 따라서 플러그 접속단자(36)로는 더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됨으로서 플러그(50)와 콘센트(100)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지시켜 사용처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전기적인 접속 및 접속해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콘센트를 멀티탭으로 구성할 경우, 각각의 플러그들을 개별적으로 접속 및 접속해지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플러그(50)가 끼워지는 플러그 삽입구멍(12)을 가지는 콘센트 본체(10)와, 상기 콘센트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4)로 이루어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4)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경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거치홈(20)들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20)들 사이사이로 다수개의 통과구멍(18)들이 관통 형성되는 결합구(16)와;
    상기 결합구(16)의 외면에 끼워지며 일단에는 외부의 전선이 결속되는 전선 연결부(24)가 구비되고, 내면에는 상기 통과구멍(18)에 끼워지는 돌출편(26)이 돌출 형성된 전원 입력단자(22)와;
    상기 결합구(16) 내면에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12)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축(3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50)의 단자봉(52)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멍(30)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 양측에는 개구부(35)가 절개 형성된 회동부재(28)와;
    상기 회동부재(28)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으로는 상기 회동부재(28)의 관통구멍(30)을 관통한 플러그(50)의 단자봉(52)이 삽입되기 위한 단자봉 삽입부(38)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회동부재(28)의 하단 양측에 절개 형성된 개구부(35)에 위치하는 접속부(40)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50)와 접속하게 되는 플러그 접속단자(36) 및 ;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36)의 접속부(40)에 일측이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회동부재(28)의 개구부(35)를 통해 상기 회동부재(28) 외면으로 노출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재(28)의 회동동작에 따라 상기 결합구(16)의 거치홈(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거치홈(20) 사이사이에 형성된 통과구멍(18)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며 상기 통과구멍(18)에 끼워져 있는 전원입력단자(22)의 돌출편(26)과 접촉하며 플러그 접속단자(36)와 전원입력단자(2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단자(42)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20070004499U 2007-03-16 2007-03-16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443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499U KR200443123Y1 (ko) 2007-03-16 2007-03-16 회전 접속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499U KR200443123Y1 (ko) 2007-03-16 2007-03-16 회전 접속형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21U KR20080004021U (ko) 2008-09-19
KR200443123Y1 true KR200443123Y1 (ko) 2009-01-13

Family

ID=4149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499U KR200443123Y1 (ko) 2007-03-16 2007-03-16 회전 접속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242B1 (ko) * 2018-04-26 2020-02-10 곽덕영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21U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30967A (ja) 電気接続端子
KR20100043215A (ko) 전기 연결장치
FI71445B (fi) Elkopplingsanordning
KR200443123Y1 (ko)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302445Y1 (ko) 회전형 플러그 아답터
JPH03149771A (ja) 電線接続装置
JP5888507B2 (ja) コンセント
EP1887660A2 (en)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block
KR20050013310A (ko)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KR19990039614U (ko) 온·오프 기능을 보유한 콘센트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KR200330733Y1 (ko) 2극 차단 접속콘센트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KR100608145B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100404925B1 (ko) 회전 스위치 플러그
GB2319671A (en) Plug with integral adapter socket
KR200248554Y1 (ko) 플러그로타리스위치
JP3222881U (ja) 取り外し容易な電源アダプタ
KR200299285Y1 (ko) 콘센트
KR20110008481U (ko) 회전형 전기접속장치
KR200189076Y1 (ko) 전원제어가 용이한 멀티콘센트
KR200351397Y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200192591Y1 (ko) 콘센트
KR101063719B1 (ko) 전선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