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010Y1 - 작업용 레일 전동카 - Google Patents

작업용 레일 전동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010Y1
KR200443010Y1 KR20070005785U KR20070005785U KR200443010Y1 KR 200443010 Y1 KR200443010 Y1 KR 200443010Y1 KR 20070005785 U KR20070005785 U KR 20070005785U KR 20070005785 U KR20070005785 U KR 20070005785U KR 200443010 Y1 KR200443010 Y1 KR 200443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ail
vehicle body
suppor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5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569U (ko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이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희 filed Critical 이충희
Priority to KR20070005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01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5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with wheels for moving around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용 레일 전동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수용하며,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고, 임의의 위치와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하고 수확할 때 작업자를 과수에 근접한 높이까지 상승시키므로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함은 물론이고 방향전환도 용이한 작업용 레일 전동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는 구동륜의 내측에 환턱이 형성되어지므로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수용하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고, 승하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임의의 위치와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하고 수확할 때 작업자를 과수에 근접한 높이까지 상승시키므로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함은 물론이고 좌우이동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므로 방향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작업용 레일 전동카, 유압펌프, 유압실린더, 구동륜, 회동륜

Description

작업용 레일 전동카{A rail motor car for a work}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레일 전동카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 차축, 구동륜, 전원공급부 및 좌우이동수단을 후방에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축과 구동륜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의 "가"와 "나"는 구동륜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을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7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수단을 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개략적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
도 9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레일 전 동카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작업용 레일 전동카 110 : 차체
120 : 차축 122 : 베어링
124 : 구동스프라켓 130 : 구동륜
132 : 전륜 134 : 후륜
135 : 환턱 136 : 체인
140 : 구동모터 150 : 전원공급부
160 : 조작부 170 : 승하강수단
171 : 하부프레임 171a : 레일부
172 : 제1암 173 : 제2암
174 : 하부작동부재 175 : 제1암
176 : 제2암 177 : 상부작동부재
178 : 상부프레임 179 : 손잡이부
180 : 하부지지대 182 : 힌지
184 : 상부지지대 186 : 유압실린더
188 : 유압펌프 190 : 좌우이동수단
191 : 링부재 192 : 지지축
192a : 제1지지봉 192b : 제2지지봉
193 : 전륜 194 : 후륜
195 : 회동륜 196 : 회동수단
197a : 제1암 197b : 제2암
197c : 제3암 197d : 제4암
197e : 제5암 197f : 제6암
198 : 작동대 199 : 보조암
200,210 : 레일 B : 볼트봉
C : 캐스터 P : 핀
S : 복원스프링
본 고안은 작업용 레일 전동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수용하며,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고, 임의의 위치와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하고 수확할 때 작업자를 과수에 근접한 높이까지 상승시키므로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함은 물론이고 방향전환도 용이한 작업용 레일 전동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는 차체와, 상기 차체 하면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륜 및 후륜으로 구성되는 구동륜과, 상기 차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레일 전동카는 하우스 내에 설치된 레일에 설치 구비되며, 작업자가 차체에 탑승한 후 조작부를 통해 전후진하면서 과수를 관리하거나 수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레일 전동카는 구동륜에 의해서 전후방으로만 이동되므로 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이 레일 전동카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들어서 옮기거나 기기의 힘을 빌려 이동시켜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구동륜은 그 형상의 한계에 의해 이에 맞게 제작된 한정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임의의 높이에 있는 과수 등의 관리 및 수확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수용하며,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고, 임의의 위치와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하고 수확할 때 작업자를 과수에 근접한 높이까지 상승시키므로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함은 물론이고 방향전환도 용이한 작업용 레일 전동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와, 상기 차체 하면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륜 및 후륜으로 구성되는 구동륜과, 상기 차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조작부와, 상기 차체 상면에 설치되어져 작업자를 임의의 높이로 승 하강시킬 수 있는 2단 접철식 승하강수단 및 상기 차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체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좌우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작업용 레일 전동카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기 차체의 좌우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링부재; 상기 링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삽입 설치되는 제1,2지지봉으로 구성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양 단부에 차체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전륜 및 후륜으로 이루어지는 회동륜; 상기 지지축의 제1,2지지봉의 일측 끝단부를 연결하되, 접철 작동에 의해 제1,2지지봉을 동시에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회동수단; 및 상기 회동수단의 일측 끝단부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채 외부로 돌출되어져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동수단을 작동시키게 되는 작동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차체의 상면 좌우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으로 레일부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핀봉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제1,2암을 X자로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1암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에 볼트봉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암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도록 캐스터가 설치되어져 레일부에 결합되는 하부작동부재; 상기 하부작동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접철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핀봉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제1,2암을 X자로 연결하여 구성된 상부작동부재; 상기 상부작동부재의 제1,2암 상단과 하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는 작업자가 승차한 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레일 전동차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작동부재의 제1암과 제1암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가 구비되는 하부지지대; 상기 상부작동부재의 제2암과 제2암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가 구비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의 힌지에 선단이 결합되고, 후단이 하부지지대의 힌지에 결합되어 신축에 의해 상, 하부작동부재가 승 하강작동 되게 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차체에 장착되며, 전원공급부의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체 하면 전후방에 구비되는 구동륜의 전륜 및 후륜은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수용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에 환턱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지지축의 제1지지봉의 내측에서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부착되는 제1암; 상기 지지축의 제2지지봉에 상기 제1암과 대칭되도록 부착되는 제2암; 상기 제2암 후방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부착되는 제3암; 상기 제 1암과 제3암을 연결하되 핀봉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암; 상기 제2암에 일단이 핀봉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제1암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제5암; 및 상기 제5암의 타단에 일단이 핀봉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에 구비된 작동대의 일측에 핀봉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6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레일 전동카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100)는 크게 차체(110), 차축(120), 구동륜(130), 구동모터(140), 전원공급부(150), 조작부(160), 승하강수단(170) 및 좌우이동수단(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체(110), 차축(120), 구동륜(130), 구동모터(140), 전원공급부(150) 및 조작부(160)는 통상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이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토록 하겠다.
먼저, 상기 차체(1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물이다.
다음으로, 상기 차축(120)은 상기 차체(110)의 전 후방에 베어링(12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써, 후방에 설치된 차축(120)에는 상기 구동모터(140)와 체인(136)으로 연결될 구동스프라켓(124)이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륜(130)은 상기 차축(120)의 양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륜(132)과 후륜(134)을 포함하며, 상기 전륜(132)과 후륜(134)은 다양한 형상의 레일(200)(210)에 쉽게 적용되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새로운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하기에서 더욱 상술하겠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140)는 상기 차체(110)에 부착되며, 체인(136)을 매개로 상기 차축(120)의 구동스프라켓(124)과 연결되어져 차축(120)을 회동시키게 되는데, 이 구동모터(140)는 정방향은 물론이고 역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한 구동모터(140)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차체(110) 내부에 장착되어져 상기 구동모터(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후술할 승하강수단(170)의 유압펌프(188)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충전이 가능한 통상의 축전지이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부(16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 후진버튼과 승 하강버튼으로 셋팅되어져 상기 승하강수단(170)의 상부프레임(178) 상에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발로서 구동모터(140)의 회동작동과 승하강수단(170)의 승 하강작동을 조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160)는 승하강수단(170)의 손잡이부(179)에 부착되어져 작업자가 손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부(160)는 작업자의 편의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승하강수단(170)의 상부프레임(178)과 손잡이부(179)에 동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수단(170)은 상기 차체(110)의 상면에 설치되어져 탑 승된 작업자를 임의의 높이로 승 하강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 구성과 작동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술하겠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수단(190)은 상기 차체(110)의 하면에 설치되어져 차체(110)가 쉽게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레일(200)(210)을 따라 이동되는 레일 전동카(100)의 특성상 별도의 조향수단이 없으므로 장소 이동시 발생되는 문제를 극복하도록 구현된 것이다. 이 좌우이동수단(190)의 구성과 작동은 하기에서 더욱 상술토록 하겠다.
한편, 본 고안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100)는 레일(200)(210)을 따라 이동되므로 별도의 조향장치는 필요치 않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 차축, 구동륜, 전원공급부 및 좌우이동수단을 후방에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차체(11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차체(110) 상면을 커버하는 덮개(112)는 후술할 승하강수단(170)의 하부지지대(180) 작동에 방해하지 않도록 후방 일부는 커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110) 하면 전 후방에는 베어링(12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차축(120)이 결합되며, 상기 차축(12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전륜(132)과 후륜(134)으로 구성된 구동륜(13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륜(134)이 부착되는 차축(120)에는 구동스프라켓(124)이 부착되어져 구동모터(140)와 체인(136)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140)는 차체(110) 내부에 장착된 전원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전원공급부(150)는 일측에 부착된 승하강수단(170)의 유압펌프(188)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차체(110)의 하면에는 후술할 좌우이동수단(19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좌우이동수단(19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술토록 하겠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서 구동모터(140)가 조작부(160)의 신호에 의해 회동하게 되면 체인(136)을 매개로 연결된 차축(120)과 후륜(134)이 강제 회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차체(110)는 전진하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140)를 반대로 회동시키게 되면 차체(110)는 후진하게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축과 구동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가"와 "나"는 구동륜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로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110)의 전 후면에 베어링(12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축(12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전륜(132) 및 후륜(134)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134)이 부착된 차축(120)에는 구동모터(140)와 체인(136)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라켓(124)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륜(132) 및 후륜(134)은 내측으로 돌설되는 환턱(135)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환턱(135)은 상기 전륜(132) 및 후륜(134)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제, 도 4의 "가"를 참조로 하면,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의 레일(20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 고안의 후륜(132) 및 전륜(134)은 종래의 후륜 및 전륜처럼 상기 레일(200)에 삽착되어 이동될 것이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단면이 ㄷ자 형상의 레일(200)이 아니라 파이프 레일(21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후륜과 전륜은 이를 수용하지 못해 레일(210)을 따라 이동 자체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후륜(134) 및 전륜(132) 내측에 환턱(1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환턱(135)이 파이프 레일(210) 상면에 안치되고, 외측은 후륜(134) 및 전륜(132)이 지지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후륜(134) 및 전륜(132)의 내측에는 환턱(1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러 형상을 가지는 레일(200)(210)을 수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을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승하강수단(170)은 크게 하부프레임(171), 하부작동부재(174), 상부작동부재(177), 상부프레임(178), 하부지지대(180), 상부지지대(184), 유압실린더(186) 및 유압펌프(1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부프레임(171)은 차체(110)의 상면 좌우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으로 레일부(171a)가 구비된 단면상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작동부재(174)는 상기 하부프레임(171)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핀봉(P)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제1,2암(172)(173)을 X자로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1암(172)은 상기 하부프레임(171)의 일단에 볼트봉(B)을 매개로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암(173)은 상기 하부프레임(171)의 레일부(171a)를 따라 이동되도록 캐스터(C)가 설치되어져 레일부(171a)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작동부재(177)는 상기 하부작동부재(174)의 상단과 하단에 핀봉(P)을 매개로 접철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2암(175)(176)을 X자로 연결하되 핀봉(P)을 축으로 접철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78)은 상기 상부작동부재(177)의 제1,2암(175)(176) 상단과 하면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혹은 핀봉(P)으로 결합되며, 상면 에는 작업자가 승차한 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79)가 설치되고, 레일 전동차(100)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지지대(180)는 상기 하부작동부재(174)의 제1암(172)과 제1암(172)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182)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지지대(184)는 상기 상부작동부재(177)의 제2암(176)과 제2암(176)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이 역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182)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압실린더(186)는 상기 상부지지대(184)의 힌지(182)에 선단이 결합되고, 후단이 하부지지대(180)의 힌지(182)에 결합되어 신축에 의해 상, 하부작동부재(174)(177)를 승 하강작동 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압펌프(188)는 상기 유압실린더(186)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차체에 장착되며, 전원공급부(150)의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이제, 도 6의 "가"를 참조로 하면, 상기 승하강수단(170)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차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져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승하강수단(170)의 하부지지대(180)는 차체(110) 하부로 돌설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110) 상면을 커버하는 덮개(112)가 후방 일부는 커버하지 않으므로 이 하부지지대(180)가 차체(110) 하부로 돌설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상부프레임(178)에 구비된 조작부(16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승하강수단(170)의 유압펌프(188)가 유압실린더(186)를 신장시킴에 따라 하부작동부재(174)의 제2암(173)은 하부프레임(171)의 레일부(171a)를 따라 이동을 시작하고, 각각 접철되도록 구성된 하부작동부재(174)의 제1암(172)과 제2암(173) 및 이에 접철되도록 연결된 상부작동부재(177)의 제1암(175)과 제2암(176)은 서서히 기립하면서 상부프레임(178)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작동부재(174)의 제2암(173) 하단에는 캐스터(C)가 장착되어져 하부프레임(171)의 레일부(171a)를 따라 이동되므로 상기 하부작동부재(174)와 상부작동부재(177)의 기립은 아주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부(160)의 신호에 따라 기립된 상기 하부작동부재(174) 및 상부작동부재(177)를 접는 작업은 기립하는 작동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유압실린더(186)의 수축에 의해 상부작동부재(177)의 제2암(176)이 하향으로 당겨지면서 접혀짐과 동시에 하부작동부재(174)의 제1암(172)의 하단부에 부착된 캐스터(C)가 원상 복귀됨에 따라 상기 하부작동부재(174)와 상부작동부재(177)는 서서히 접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승하강수단(170)은 제1암(172), 제2암(173)이 크로스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작동부재(174)와 제1암(175), 제2암(176)이 크로스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작동부재(174)에 연결되는 상부작동부재(177)가 2단 접철식으로 구성되어져 상부프레임(178)을 더 높이 승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수단을 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먼저, 도 7의 "가"와 "나"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좌우이동수단(190)은 크게 링부재(191), 지지축(192), 회동륜(195), 회동수단(196) 및 작동대(1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링부재(191)는 상기 차체(110)의 좌우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부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축(192)은 상기 링부재(191)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삽입 설치되는 제1,2지지봉(192a)(192b)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륜(195)은 상기 지지축(192)의 양 단부에 차체(110)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전륜(193) 및 후륜(194)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수단(196)은 상기 지지축(192)의 제1,2지지봉(192a)(192b)의 일측 끝단부를 연결하되, 접철 작동에 의해 제1,2지지봉(192a)(192b)을 동시에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수단(196)은 상기 지지축(192)의 제1지지봉(192a)의 내측에서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부착되는 제1암(197a)과, 상기 지지축(192)의 제2지지봉(192b)에 상기 제1암(197a)과 대칭되도록 부착되는 제2암(197b)과, 상기 제2암(197b) 후방 상면에 수직되게 부착되는 제3암(197c)과, 상기 제 1암(197a)과 제3암(197c)을 연결하되 핀봉(P)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암(197d)과, 상기 제2암(197b)에 일단이 핀봉(P)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제1지지봉(192a)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제5암(197e) 및 상기 제5암(197e)의 타단에 일단이 핀봉(P)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에 구비된 작동대(198)의 일측에 핀봉(P)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6암(197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대(198)는 상기 회동수단(196)의 제6암(197f) 끝단부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채 외부로 돌출되어져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동수단(196)을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4암(197d)의 일측에는 보조암(199)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암(199)에는 반대쪽 차체(110)에 연결되는 복원스프링(S)이 체결된다.
여기서, 도 8을 참조로 하면, 회동륜(195)이 펼쳐져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도 7의 "가" 상태에서 회동륜(195)이 펼쳐지는 작동을 상술하겠다.
먼저, 차체(1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작동대(198)를 화살표 방향 즉,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대(198)의 일단에 부착된 제6암(197f)은 좌측으로 회동되고, 이 제6암(197f)에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5암(197e) 역시 좌측으로 회동되면서 제2암(197b)을 좌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2암(197b)의 좌측 회동에 의해서 차체(110)에 링부재(191)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제2지지봉(192b) 역시 좌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제 내측에 부착된 회동륜(195)이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봉(192b)의 회동과 동시에 상기 제2지지봉(192b)의 상부에 부착된 제3암(197c)과 제3암(197c)에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4암(197d) 및 상기 제4암(197d)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제1지지봉(192a)에 부착된 제1암(197a) 및 제1지지봉(192a)은 각 우측으로 회동되면서 내측에 부착된 회동륜(195)을 펼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륜(195)이 펼쳐지면서 구동륜(130)을 지면에서 살짝 상승시키게 되며, 차체(110)는 이 회동륜(195)이 지지된 채 좌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륜(195)을 접는 방법은 작동대(198)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각 암(197a)(197b)(197c)(197d)(197e)(197f)들이 상기 작동과 반대로 작동되면서 회동륜(195)이 차체 내측으로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4암(197d)은 보조암(199)에 연결된 복원스프링(S)에 의해서 보다 쉽게 접히게 된다.
도 9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레일 전동카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100)의 구동륜(130)은 파이프 레일(210)에 안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승하강수단(170)의 상부프레임(178)에 탑승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부프레임(178)상에 구비된 조작부(160)의 전진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40)는 우측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차축(120)과 구동륜(130)은 작업자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륜(130)은 내측에 환턱(1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이프 레일(210)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자가 조작부(160)의 후진버튼을 누르게 되면 구동모터(140)는 반대로 회동되어져 차체(110)를 후진시키게 될 것이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게 되면, 이번에는 상기 작업자가 임의의 위치로 상승하기 위해, 조작부(160)의 상승버튼을 누르게 되면 승하강수단(170)의 유압실린더(186)의 신축에 의해 하부작동부재(174)와 상부작동부재(177)가 기립되어져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작업자가 조작부(160)의 하강버튼을 누르게 되면 유압실린더(186)의 수축에 의해 상승되었던 하부작동부재(174)와 상부작동부대(177)가 접히게 되면서 작업자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일(210)을 따라 전후진되는 전동카(100)를 장소 이동시키고자 할 때 작업자는 좌우이동수단(190)을 매개로 보다 쉽게 이동시키게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100)는 구동륜(130)의 내측에 환턱(135)이 형성되어지므로 다양한 형상의 레일(200)(210)을 수용하며, 구동모터(140)의 작동에 의해 레일(200)(210)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고, 승하강수단(170)의 작동에 의해 임의의 위치와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하고 수확할 때 작업자를 과수에 근접한 높이까지 상승시키므로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함은 물론이고 좌우이동수단(190)이 추가로 구비되므로 방향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 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업용 레일 전동카는 구동륜의 내측에 환턱이 형성되어지므로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수용하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고, 승하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임의의 위치와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하고 수확할 때 작업자를 과수에 근접한 높이까지 상승시키므로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함은 물론이고 좌우이동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므로 방향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차체(110)와, 상기 차체(110) 하면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차축(120)과, 상기 차축(120)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륜(132) 및 후륜(134)으로 구성되는 구동륜(130)과, 상기 차축(12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구동모터(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와, 조작부(160)와, 상기 차체(110) 상면에 설치되어져 작업자를 임의의 높이로 승 하강시킬 수 있는 2단 접철식 승하강수단(170) 및 상기 차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체(11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좌우이동수단(19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작업용 레일 전동카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190)은,
    상기 차체(110)의 좌우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링부재(191);
    상기 링부재(191)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삽입 설치되는 제1,2지지봉(192a,192b)으로 구성되는 지지축(192);
    상기 지지축(192)의 양 단부에 차체(110)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전륜(193) 및 후륜(194)으로 이루어지는 회동륜(195);
    상기 지지축(192)의 제1,2지지봉(192a,192b)의 일측 끝단부를 연결하되, 접철 작동에 의해 제1,2지지봉(192a,192b)을 동시에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회동수단(196); 및
    상기 회동수단(196)의 일측 끝단부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은 차체(1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채 외부로 돌출되어져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동수단(196)을 작동시키게 되는 작동대(19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레일 전동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170)은
    상기 차체(110)의 상면 좌우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으로 레일부(171a)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71);
    상기 하부프레임(171)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핀봉(p)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제1,2암(172,173)을 X자로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1암(172)은 상기 하부프레임(171)의 일단에 볼트봉(B)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암(173)은 상기 하부프레임(171)을 따라 이동되도록 캐스터(C)가 설치되어져 레일부(171a)에 결합되는 하부작동부재(174);
    상기 하부작동부재(174)의 상단과 하단에 접철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핀봉(p)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제1,2암(175,176)을 X자로 연결하여 구성된 상부작동부재(177);
    상기 상부작동부재(177)의 제1,2암(175,176) 상단과 하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는 작업자가 승차한 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79)가 설치되고, 레일 전동차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78);
    상기 하부작동부재(174)의 제1암(172)과 제1암(172)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182)가 구비되는 하부지지대(180);
    상기 상부작동부재(177)의 제2암(176)과 제2암(176)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182)가 구비되는 상부지지대(184);
    상기 상부지지대(184)의 힌지(182)에 선단이 결합되고, 후단이 하부지지대(180)의 힌지(182)에 결합되어 신축에 의해 상, 하부작동부재(174,177)가 승 하강작동 되게 하는 유압실린더(186); 및
    상기 유압실린더(186)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차체(110)에 장착되며, 전원공급부(150)의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18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레일 전동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10) 하면 전후방에 구비되는 구동륜(130)의 전륜(132) 및 후륜(134)은 다양한 형상의 레일을 수용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에 환턱(1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레일 전동카.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196)은
    상기 지지축(192)의 제1지지봉(192a)의 내측에서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부착되는 제1암(197a);
    상기 지지축(192)의 제2지지봉(192b)에 상기 제1암(197a)과 대칭되도록 부착되는 제2암(197b);
    상기 제2암(197b) 후방 상면에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부착되는 제3암(197c);
    상기 제1암(197a)과 제3암(197c)을 연결하되 핀봉(p)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암(197d);
    상기 제2암(197b)에 일단이 핀봉(p)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제1암(197a)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제5암(197e); 및
    상기 제5암(197e)의 타단에 일단이 핀봉(p)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에 구비된 작동대(198)의 일측에 핀봉(p)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6암(197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레일 전동카.
KR20070005785U 2007-04-09 2007-04-09 작업용 레일 전동카 KR200443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5785U KR200443010Y1 (ko) 2007-04-09 2007-04-09 작업용 레일 전동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5785U KR200443010Y1 (ko) 2007-04-09 2007-04-09 작업용 레일 전동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69U KR20080004569U (ko) 2008-10-14
KR200443010Y1 true KR200443010Y1 (ko) 2008-12-26

Family

ID=4150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5785U KR200443010Y1 (ko) 2007-04-09 2007-04-09 작업용 레일 전동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0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095B1 (ko) * 2022-01-29 2022-05-18 김성호 농업용 레일 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4625B (zh) * 2016-07-29 2018-10-02 宁德师范学院 一种多角度平稳攀爬的载物机构
CN107720611A (zh) * 2017-11-08 2018-02-23 贵州大学 一种便于移动的采矿设备用升降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095B1 (ko) * 2022-01-29 2022-05-18 김성호 농업용 레일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69U (ko) 200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7543A (en) Mechanized wheelchair
US3142351A (en) Stair climbing wheelchair
WO2014012291A1 (zh) 一种可折叠的老年代步车
KR200443010Y1 (ko) 작업용 레일 전동카
CN105564565B (zh) 一种防卡死的折叠装置
CN105599845B (zh) 一种带减振装置的折叠车架
CN208925559U (zh) 一种折叠式沙发床
CN105584574B (zh) 一种便携式交通工具的锁定与解锁机构
CN105584573B (zh) 一种带减振装置的折叠车架
CN105480356B (zh) 一种防卡死的折叠装置
CN105539693B (zh) 一种便携式交通工具的折叠车架
US4915573A (en) Stair lift
CN207550394U (zh) 一种折叠电动车
CN105539692B (zh) 一种便携式交通工具的锁定与解锁机构
US4036474A (en) Portable jack
CN206351729U (zh) 一种两轮车支撑起落架
WO2017094312A1 (ja) 折畳車両
RU2297206C2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209519001U (zh) 具有可伸缩轮的轮椅及轮椅系统
JP3142758U (ja) 起床式電動ベッド
CN211598475U (zh) 一种新型便于移动的人字梯
CN215131864U (zh) 一种升降折叠轮椅
CN204527479U (zh) 一种箱式可收合伸展电动自行车
US20090057635A1 (en) Motorcycle righting jack
CN219451997U (zh) 一种消防车折叠式扶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