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959Y1 -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959Y1
KR200442959Y1 KR20070009759U KR20070009759U KR200442959Y1 KR 200442959 Y1 KR200442959 Y1 KR 200442959Y1 KR 20070009759 U KR20070009759 U KR 20070009759U KR 20070009759 U KR20070009759 U KR 20070009759U KR 200442959 Y1 KR200442959 Y1 KR 200442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height
disabled
us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9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323U (ko
Inventor
김성래
Original Assignee
(주)유진메디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메디케어 filed Critical (주)유진메디케어
Priority to KR20070009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95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9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2009/00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inclined slidabl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지 근력이 약한 장애인의 근력 강화, 골밀도 증가, 심폐력 향상, 변형과 합병증 예방, 작업수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스탠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링크방식으로 연동되는 프레임 구조물 및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가스식 액추에이터 수단을 채용하여 테이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전체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을 손쉽고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측면이나 취급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등 작업수행이나 기립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체의 운동발달이 늦거나 하지 근력이 약하여 서기가 어려운 장애인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는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을 제공한다.
장애인, 스탠딩 테이블, 작업수행, 기립훈련, 높낮이 조절, 각도 조절

Description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Standing table for the disabled}
도 1은 종래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4(b)는 도3에 도시된 스탠딩 테이블 작동시에 사용자 및 프레임을 포함한 테이블의 하중에 따른 힘의 분산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
도 5는 도3에 도시된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퀴 11 : 베이스
12 : 프레임 13 : 테이블
14 : 스트랩 15 : 샌달
16 : 지지대 17a,17b,17c : 조절레버
18 : 가스실린더 18a : 실린더 본체
18b : 실린더 로드 19 : 브라켓
20 : 슬릿홈 21 : 고정홈
본 고안은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가스식 액추에이터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신체의 운동발달이 늦거나 하지 근력이 약하여 서기가 어려운 장애인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에 맞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하는 측면이나 취급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장애인에 대한 대우가 많이 개선되고 장애인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시설이 많이 확충되고 있는 추세이다.
장애인의 재활을 돕는 각종 장비나 시설물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고, 또한 장애인의 평소 생활을 돕는 보조 기구들의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보조 기구들 중의 하나로서 스탠딩 테이블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스탠딩 테이블은 하지 근력이 약한 장애인의 근력 강화, 골밀도 증가, 심폐력 향상, 변형과 합병증 예방, 작업수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일종의 기립 훈련기로서, 뇌성마비, 발달장애 등 하지 근력이 약하여 서기가 어려운 장애인에게 적합하며, 학교, 병원, 생활시설 등의 물리치료실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딩 테이블은 바퀴(10)가 달린 베이스(11), 상기 베이스(11)상에 세워지는 프레임(12) 및 테이블(13), 가슴과 골반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2개 정도의 스트랩(14), 발의 움직임을 막아주는 샌달(15), 테이블의 각도 조절을 위한 2개의 지지대(16)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12)의 경우 2개의 부재가 슬라이드 조합된 형태로 되어 있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2개의 스트랩(14)을 이용하여 가슴과 골반을 고정시킨 상태로 설 수 있고, 조절레버(17a),(17b)를 조작하여 키높이에 맞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테이블(13)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스탠딩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다.
첫째, 높낮이와 테이블 각도를 수조작으로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작동 중에 스탠딩 테이블이 환자의 체중에 의해 급격하게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있어 이를 막기 위해 보조자는 큰 힘으로 프레임을 지지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급격하게 앞으로 쓰러지는 것을 막아야 하는데, 힘이 부족한 보조자의 경우에는 매우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테이블 각도만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체중에 따른 부하의 분산 효과가 없고,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취하는데 한계가 있는 등 작업수행시나 기립훈 련시 그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셋째,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테이블의 높이를 어느 정도 해야 할지 기준이 없어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절레버(17a),(17b)가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긴 슬릿홈에 직접 나사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 기립 훈련중에 프레임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조절레버(17a),(17b)의 나사가 풀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테이블이 의도하지 않게 체중에 의해 하강하여 예기치 않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테이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전체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을 손쉽고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측면이나 취급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등 작업수행이나 기립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체의 운동발달이 늦거나 하지 근력이 약하여 서기가 어려운 장애인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는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기립훈련 중에 사용자의 팔이 얹혀지는 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을 지지함과 동시에 앞뒤로 회동가능한 프레임과, 상기 테이블을 포함한 프레임 전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베이스상에 지지되는 가스실린더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가스실린더는 상기 테이블을 포함한 프레임 전체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가스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실린더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은 스탠딩 테이블이 앞쪽으로 60도 각도로 기울어질 때 기울어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용자 체중과 테이블 무게가 작용하는 힘이 5~7Kgf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바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이동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바는 조절레버에 의해 슬라이드 동작이 구속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에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테이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장표시선과 기준선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에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중에 상기 조절레버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의 일측에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 완료시에 상기 조절레버가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레버 고정홈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틀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11)의 저면에는 4개 정도의 바퀴(10)가 부착되어 있어서 용이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베이스(11) 상면 일측에는 플레이트상의 샌달(15)이 갖추어져 있어서, 이곳을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11)의 상부에는 2개의 나란한 바 부재로 이루어진 두 쌍의 바 구조물 형태의 프레임(12)이 양편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이렇게 세워지는 프레임(12), 즉 바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테이블(13)이 지지된다.
이때의 상기 바 구조물은 그 하단이 베이스(11) 측에 핀을 통한 힌지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바 구조물은 힌지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바 구조물의 회동시 2개의 나란한 바는 테이블(13)에 의해 서로 일체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함께 연계적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즉, 2개의 나란한 바는 서로 간의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앞뒤로 젖혀지면서 바로 세워지거나 경사지게 눕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쪽의 바 구조물 중에서 앞쪽에 배치되는 양쪽의 각 바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가로 걸쳐지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곳에 사용자의 허리나 가슴 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스트랩(14)이 설치된다. 이때의 스트랩(14)은 밴드식으로 묶을 수 있는 통상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 구조물은 베이스(11) 측에 핀으로 고정된 고정바(12b)와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바(12a)가 서로 요철 구조로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나사 결합되는 조절레버(17c)의 조작을 통해 고정바(12b)와 이동바(12a) 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테이블(13)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키에 맞춰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조절레버(17c)의 체결을 통해 테이블의 조절된 높이를 고정시키는 방식은 서로 슬라이드 조합되어 있는 고정바(12b)와 이동바(12a) 중 1곳에는 조절레버의 나사부분이 관통되면 하면서 나머지 1곳에 나사부분이 체결되게 하는 등과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테이블(13)을 포함하는 프레임(12)의 전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11) 측에는 후단 회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실린더 본체(18a)와, 바 구조물 사이를 가로지르는 브라켓(19) 측에 선단 회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실린더로드(18b)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스실린더(18)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테이블(13)을 포함하는 프레임(12) 전체는 가스실린더(18)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가 되고, 결국 가스실린더(18)의 동작에 의해 테이블(13) 및 프레 임(12) 전체의 각도가 다양하게, 즉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에 맞게 조절될 수 있게된다.
이러한 가스실린더(18)는 적어도 2개를 균형있게 설치하여 테이블(13) 및 프레임(12)의 각도 조절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실린더(18)는 사용자의 체중지지능력에 맞게 테이블(13)을 포함하는 프레임(12) 전체를 회동가능하게 한다. 즉, 가스실린더(18) 내부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가스가 충전되어 기립 훈련 중에 테이블(13)을 포함하는 프레임(12)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반력을 줌으로써 프레임(12)이 급격하게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브레이크 기능이 구비된다.
여기서, 가스실린더(18)에 충전되는 가스의 압력은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스탠딩 테이블(13)이 앞쪽으로 60도 각도로 경사질 때 경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용자 체중과 테이블 무게가 작용하는 힘이 5~7Kgf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몸무게가 30kg이며 테이블(13)을 포함하는 프레임(12)의 무게가 15kg이고 테이블(13)이 대략 60도 각도로 앞으로 기울어진다고 가정하면, 테이블(13)의 경사방향과 이 경사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분산비가 2;1이 되어 경사방향으로는 30kgf가 작용하고 경사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으로는 15kgf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에 가스실린더(18)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을 8~10kgf로 설정하면 프레임(12)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방향(경사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8~10kgf의 가스실린더(18)에 의한 반력이 발생하고, 이 반력은 프레임(12)이 앞쪽으로 기울지는 방향으로의 작용하는 힘을 감쇄시켜 보조자는 5~7Kgf의 적은 힘으로도 스탠딩 테이블(13)의 경사 조절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가스실린더의 동작을 위한 제어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브레이크 기능이 구비된 가스실린더를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가스식이나 유압식 실린더의 스탠딩 테이블과 같이 환자의 체중에 의해 급격하게 앞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테이블 높이 조절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종래의 스탠딩 테이블은 신체규격 표시가 없어 테이블의 높이를 어느 정도 해야할지 기준이 없어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사용자가 높이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자가 높이를 정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높이를 알 수 없어 눈대중으로 정할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12)을 구성하는 바 구조물 중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바(12a)에 사용자의 신장, 예를 들어 130cm, 135cm, 140cm, 150cm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장표시선(A)이 표시되어 있고, 고정바(12b)의 상단 끝에는 기준선(B)이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시 기준선(B)에 신장표시선(A)의 눈금을 맞추기만 하면 한번에 편리하게 테이블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테이블 높이의 조절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규격치수가 표시되어 있어 보조자가 높이를 조절하기 쉬운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신장이 다른 여러 명의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테이블 높이 조절시의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갖는 프레임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종래의 스탠딩 테이블은 높이 조절시 나사 체결된 조절레버를 돌려서 어느 정도 체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테이블을 승강시키면 조절레버도 이와 함께 프레임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긴 슬릿홈을 따라 승강하는 구조로,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테이블 높이가 조절된 경우에 다시 조절레버를 돌려서 테이블의 조절된 높이를 고정시키는 방식이었다(도1 및 도2 참조).
그러나, 조절레버가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긴 슬릿홈에 직접 나사 체결되는 구조는 사용자가 기립 훈련중 프레임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조절레버의 나사가 풀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의도하지 않게 테이블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예기치 않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12)을 구성하는 바 구조물 중에서 베이스(11)측에 지지되는 고정바(12b)에 그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긴 슬릿홈(20)이 형성되고, 슬릿홈(20)의 일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오목형 조절레버 고정홈(21)이 형성된다.
따라서, 테이블(13)의 높이 조절시에 조절레버(17c)의 나사 체결을 어느 정도 해제한 상태에서 테이블(13)을 승강시키면 조절레버(17c) 역시 테이블의 승강과 동시에 슬릿홈(2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테이블(12) 높이가 조절되며, 이 상태에서 조절된 테이블(13)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장 인접한 조절레버 고정홈(21)에 조절레버(17c)를 삽입 고정시킨 후에 재차 조절레버(17c)를 나사 체결하면 테이블(13)의 조절된 높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사용중 조절레버(17c)의 나사가 풀리는 경우에도 조절레버(17c)가 고정홈(2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테이블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기립훈련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탠딩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테이블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프레임(12) 에 있는 양쪽의 조절레버(17c)의 체결상태를 어느 정도 해제하면 프레임(12) 바 구조물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가 되고, 계속해서 테이블을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이동바(12a, 도3참조)에 표시된 사용자 신장에 따른 신장표시선을 고정바(12b, 도3참조)의 기준선에 맞추어 테이블의 높이를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조절레버(17c)를 테이블(13)이 설정된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조절레버고정홈(2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재차 조절레버(17c)를 체결하면 이동바(12a)의 슬라이드 상태가 구속되면서 테이블(13)은 높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다음, 테이블(13) 및 프레임(12)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가스실린더(18)의 작동, 즉 실린더로드(18b)의 수납 및 인출 정도에 따라 테이블(13) 및 프레임(12) 전체가 앞쪽으로 젖혀지면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가스실린더(18)의 실린더로드(18b)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 프레임(20)이 힌지부위를 통해 회동하면서 프레임을 포함하는 테이블(13) 전체가 바로 세워지거나 앞쪽으로 눕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스실린더(18)의 작동을 통해 손쉽게 테이블(13) 및 프레임(12)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면서 작업수행이나 기립훈련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가스실린더(18)는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되어 테이블(13)이 앞쪽으로 눕혀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반력이 발생되므로 보조자는 적은 힘으로도 기립훈련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레이크 기능이 구비된 가스식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하는 스탠딩 테이블을 제공함으로써, 보조자가 테이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전체의 각도를 손쉽게 보조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등 작업수행이나 기립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규격치수가 표시되어 있어 보조자가 높이를 조절하기 쉬운 이점이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갖는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테이블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기립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와, 기립훈련 중에 사용자의 팔이 얹혀지는 테이블(13)과, 상기 베이스(11)와 상기 테이블(13)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13)을 지지함과 동시에 앞뒤로 회동가능한 프레임(12)과, 상기 테이블(13)을 포함한 프레임(13) 전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베이스(11)상에 지지되는 가스실린더(18)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13)에 있어서,
    상기 가스실린더(18)에는 상기 테이블(13)을 포함한 프레임(12) 전체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압축된 가스가 충전되고, 상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바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되는 고정바(12b)와 상기 고정바(12b)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이동바(12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실린더(18)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은 스탠딩 테이블(13)이 앞쪽으로 60도 각도로 기울어질 때 기울어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용자 체중과 테이블 무게가 작용하는 힘이 5~7Kgf 정도가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12a)는 조절레버(17c)에 의해 슬라이드 동작이 구속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12a)와 상기 고정바(12b)에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테이블(13)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장표시선(A)과 기준선(B)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테이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2b)에는 테이블(13)의 높이 조절중에 상기 조절레버(17c)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20)의 일측에는 테이블(13)의 높이 조절 완료시에 상기 조절레버(17c)가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레버 고정홈(21)이 다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테이블.
KR20070009759U 2007-06-14 2007-06-14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KR200442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9759U KR200442959Y1 (ko) 2007-06-14 2007-06-14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9759U KR200442959Y1 (ko) 2007-06-14 2007-06-14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23U KR20080006323U (ko) 2008-12-18
KR200442959Y1 true KR200442959Y1 (ko) 2008-12-26

Family

ID=4132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9759U KR200442959Y1 (ko) 2007-06-14 2007-06-14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95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18B1 (ko) * 2010-08-17 2011-01-14 (주)코지라이프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KR101104977B1 (ko) 2010-03-25 2012-0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축 토크제어가 가능한 동적 자세균형훈련시스템
WO2012053726A1 (ko) * 2010-10-22 2012-04-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적자세균형훈련시스템
KR101325100B1 (ko) 2011-12-26 2013-11-06 주식회사이지무브 쉽게 기립할 수 있는 프론 스탠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102B1 (ko) * 2011-12-26 2013-11-06 주식회사이지무브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KR101318768B1 (ko) * 2011-12-26 2013-10-18 주식회사이지무브 프론 스탠더
CN108606910B (zh) * 2018-05-24 2020-08-18 广州加泰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防护儿童站立康复的治疗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977B1 (ko) 2010-03-25 2012-0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축 토크제어가 가능한 동적 자세균형훈련시스템
KR101007518B1 (ko) * 2010-08-17 2011-01-14 (주)코지라이프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WO2012053726A1 (ko) * 2010-10-22 2012-04-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적자세균형훈련시스템
US9114274B2 (en) 2010-10-22 2015-08-25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ystem for dynamically training postural balance
KR101325100B1 (ko) 2011-12-26 2013-11-06 주식회사이지무브 쉽게 기립할 수 있는 프론 스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23U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959Y1 (ko)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KR101110212B1 (ko) 억제, 재위치, 견인 및 운동 장치와 그 방법
US8151812B2 (en) Sit down and stand up walker with seat assembly
CN104203187B (zh) 站立训练器
US5746236A (en) Knee crutch
US4627423A (en) Portable traction device
WO2010140560A1 (ja) 移乗・移動装置
US10744362B2 (en) Exercise machine
US20080020911A1 (en) Squatting apparatus without spinal column compression
WO2021228041A1 (zh) 床面板组件、护理床及其一键变椅的控制方法
KR101556851B1 (ko) 하지 운동장치
KR101354760B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CN109984892A (zh) 多功能室内活动椅
EP0121642B1 (en) Combined gravity and auto traction bench
CN210991600U (zh) 二自由度悬吊式姿势矫正减重步行训练器
US4690133A (en) Inversion apparatus
CN211747732U (zh) 一种具有运动装置的智能办公桌
JP3003091B2 (ja) 患者載せ台せり出し介助車椅子並びに患者 載せ台せり出しストレッチャー
US5002043A (en) Inversion apparatus
CN209107997U (zh) 一种多功能复健移动架
KR101527593B1 (ko) 전보행 재활 훈련기
CN210785277U (zh) 一种髋部防摔辅助装置
CN108013977A (zh) 一种辅助康复电动轮椅
JP2005111092A (ja) 自立訓練用テーブル
GB2359751A (en) Self controlled orthopaedic traction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