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770Y1 -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770Y1
KR200442770Y1 KR2020070006838U KR20070006838U KR200442770Y1 KR 200442770 Y1 KR200442770 Y1 KR 200442770Y1 KR 2020070006838 U KR2020070006838 U KR 2020070006838U KR 20070006838 U KR20070006838 U KR 20070006838U KR 200442770 Y1 KR200442770 Y1 KR 200442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air conditioning
guide basket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011U (ko
Inventor
남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피에스
Priority to KR2020070006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77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7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사무실이나 교회 등 공공장소에서 공조를 하기 위하여 이중바닥과 기초 바닥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난류성 선회기류를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회기류의 토출량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형성되며, 서로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내외측급기구가 형성된 상·하부판을 구비하여서 된 급기수단과; 급기수단이 안착되며, 바닥면에 형성된 설치공과 밀착되는 둘레면을 갖는 취부링과, 취부링과 결합되며, 둘레면에 장방형태이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가 구비된 외측안내바스켓과, 둘레면에 외측안내바스켓과 같은 형상이며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가 구비된 내측안내바스켓을 구비하되,
전술한 내측안내바스켓의 바닥 중심에 세워 설치되고, 그 상단에 정합공을 구비하여서 된 돌봉과, 전술한 급기수단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과,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방에 돌봉의 정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단부와, 그 상단에 조절노브가 구비된 회동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회동 조절 수단을 회동시킴에 따라 내측안내바스켓이 회동하고, 이에 따라 내측안내바스켓과 외측안내바스켓의 직사각형태이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간의 교차 면적이 회동 조절 수단의 회동 각도에 상응하여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그 결과, 본 고안은 외부에서 회동 조절 수단을 조절함에 따라 극히 용이하게 토출되는 공조공기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공조가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Diffuser of Under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도 1 내지 도 9은 종래의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13는 본 고안에 의한 급기장치의 시공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4,15는 본 고안에 의한 급기장치의 토출량 감소 및 증가 상태를 보인 내, 외측안내바스켓의 횡단면도.
도 16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공조공기도입구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급기수단 2: 내외측급기구
3, 4: 상·하부판 5: 통공
6: 회동 조절 수단 6a: 조절 노브
6b: 결합단부 6c: 홈
10: 내측안내바스켓 11, 21: 공조공기도입구
12, 22, 31: 단턱 13: 돌봉
14: 정합공 15: 리브
20: 외측안내바스켓 30: 취부링
40: 결착링 41: 가스켓
본 고안은 바닥분출 공조(UFAC; Under Floor Air-Conditioning) 시스템의 급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사무실이나 교회 등 공공장소에서 공조를 하기 위하여 이중바닥과 기초 바닥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난류성 선회기류를 취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대표적인 구성의 급기장치를 도 1 내지 도 9로 도시하였다.
먼저, 대한민국특허등록 제 227604호(발명의 명칭: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 장치;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을 살펴보면 이는 도 1내지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형성되며, 서로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내, 외측급기구(112, 114)와, 상기 외측 및 내측급기구를 상하부에서 각각 지지하는 상·하부판(116, 118)으로 형성된 급기수 단(110)과; 상기 급기수단의 외측 및 내측급기구를 통해 급기되는 선회류를 상부로 가이드 하도록 다수의 수직관통구멍(126a)이 형성된 원통체(126)와, 상기 원통체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뻗어서 플로워(실내바닥) 상부면에 당접지지되는 환형상의 외측플랜지부(128)로 형성된 가이드수단(120)과, 상기 외측 및 내측급기구 및 가이드수단의 수직관통구멍(126a)에 안내하도록 공조공기도입구(132)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안내바스켓(130)에 있어서, 상기 내측안내바스켓(130)의 외주면에 감입되며 공조공기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에 도입하도록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공조공기도입구(132)에 대향해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142)가 형성된 외측안내바스켓(140) 더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므로, 이는 실내의 바닥에 배설되어서 공조된 공기를 실내를 향해 일정각도의 선회류로 급기하는 급기수단과, 상기 급기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원통체에 결합되어 공조공기의 도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입된 공조공기를 상기 급기수단 및 가이드수단에 안내하도록 공조공기도입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안내바스켓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외주면에 감입되며 공조공기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에 도입하도록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공조공기도입구에 대향해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를 가진 외측안내바스켓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회류 강도와 확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실내 온도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류 및 온도 분포를 난방시에는 선회류 강도와 확산각도를 크게 취하여 기류 및 온도 분포를 실내에 넓게 분포시켜서 따뜻하게 공 조할 수 있고, 냉방시에는 선회류 강도와 확산각도를 작게 취하여 실내온도를 낮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또는 온방에 따라 실내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 발명1에 의하면, 이는 선회류의 강도와 확산 각도의 조절을 위하여 반드시 시공 완료되어 내측 바스켓(130)의 내주면에 결합된 급기수단(110)과 가이드 수단(120)을 뽑아내고, 내측안내바스켓(130)을 회전시켜 내측의 공조공기도입구(132)가 외측안내바스켓(140)의 공조공기도입구(142)와 더욱 일치되도록 하여 더 많은 공기가 도입되도록 하거나 어긋나도록 하여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작업은 매우 불편하며, 특히 수시로 조절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상의 불편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인용 발명과 유사한 형태의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227602호(발명의 명칭: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이하 '인용발명2'라 함)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도 4 및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급기되고 천장으로 환기되는 급기구가 다수개의 길다란 급기구를 가짐과 동시에,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길다란 급기구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길다란 급기구 사이에 배설되는 짧은 급기구를 가진 취출그릴인 급기수단을 갖는 바닥취출공조시스템에 있어서, 공조된 공기를 선회하면서 배출시키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20°내지 80°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22.50°의 각도를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길다란 급기구와,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길다란 급기구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길다란 급기구 사이에 각각 배설되는 짧은 급기구와, 상기 길다란 급기구 및 짧은 급기구를 상하부에서 각각 지지하는 상·하부판(216, 218)이 형성된 급기수단(210)과, 상기 급기수단 상부판의 형성된 오목홈(216a)과, 상기 상부판의 오목홈(216a)에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부중앙에 돌출형성된 돌기부(230a)가 형성된 커버(230)와, 상기 급기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중앙에 상기 급기수단이 삽입배설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급기수단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에서 내측을 향해 환형상으로 돌출된 내측플랜지부와, 공조된 공기를 수직으로 배출시켜서 상기 급기수단의 외측 및 내측급기구를 통해 급기되는 선회류를 상부로 가이드 하도록 다수의 수직관통구멍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뻗어서 플로워(실내바닥) 상부면에 당접지지 되는 환형상의 외측플랜지부 안내하도록 외측부에 수직관통구가 형성된 가이드수단(220)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용발명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에 의하면, 실내의 바닥에 배설되어서 공조된 공기를 실내를 향해 일정각도의 선회류로 급기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길다란 급기구와 짧은 급기구가 교호로 설치되어 있는 급기수단과, 상기 급기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실내로 공조공기를 장시간동안 배출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수단의 상부판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에 감입되어 상기 급기수단에 형성된 짧은 급기구 및 길다란 급기구를 통한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커버(23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회류 강도와 확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실내 온도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류 및 온도 분포를 난방시에는 선회류 강도와 확산각도를 크게 취하여 기류 및 온도 분포를 실내에 넓게 분포시켜서 따뜻하게 공조할 수 있고, 냉방시에는 선회류 강도와 확산각도를 작게 취하여 실내온도를 낮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또는 온방에 따라 실내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인용발명2는 배출되는 선회류를 조절하기 위하여 커버(230)를 회동시켜 급기수단의 짧은 급기구 및 길다란 급기구가 일치되거나 어긋나도록 하여 개폐 시킬 수 있을 뿐, 이들 커버(230) 및 급기수단에 형성된 짧은 급기구 및 길다란 급기구가 모두 중심이 동일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된 것이어서, 방사상으로 불규칙한 면적으로 교차하면서 닫히거나 연통되는 것이므로, 선회류를 조절하기보다는 개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선회류의 풍량 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커버(230)는 그 위를 통행하거나 다른 물체가 스쳐가는 경우 커버(230)가 회전되면서 그 각도가 변화되어 안정적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유사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227603호(발명의 명칭: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이하 '인용발명3'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도 6,7,8,9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각도(θ)가 20° 내지 80°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외측 급기구(302)와, 공조된 공기를 선회하면서 배출시키도록 수직 방향에 대해 각도가 20°내지 80°로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급기구(304)와, 상기 외측 및 내측급기구를 상하부에서 각각 지지하는 상·하부판(306, 308)으로 형성된 제1급기수단(301)과; 상기 제1급기수단의 하부판(308)아래에 회전가능하게 배설되어 공조공기 분출시에 상기 제1급기수단에 형성된 외측급기구(302)와 연통되며 서로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외측급기구(312)와, 상기 제1급기수단에 형성된 내측급기구(304)와 연통되도록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된 내측급기구(314)와, 상기 제1급기구수단의 하부판에 형성된 돌기부(309)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오목홈(319)이 형성되어 공조된 공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공조공기의 실내유출이 불필요한 경우에 공조공기의 실내유출을 차단하는 제2급기수단(310)과; 상기 제1 및 제2급기수단이 배설되도록 중앙에 관통구멍(3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급기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320)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원통체에 결합되어 도입된 공조공기를 상기 제1, 제2급기수단의 외측 및 내측급기구 및 가이드수단의 수직관통구멍(326a)에 안내하도록 공조공기도입구(332)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안내바스켓(33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용발명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에 의하면,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하는 제1급기수단과, 상기 제1급기수단의 하부판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배설되어 공조된 공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공조공기의 실내유출이 불필요할 경우에 공조공기의 실내유출을 차단하는 제2급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급기수단이 배설되도록 중앙에 관통구멍(322)이 형 성되고 상기 제1급기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원통체에 결합되어 도입된 공조공기를 상기 제1, 제2급기수단의 외측 및 내측급기구 및 가이드수단의 수직관통구멍에 안내하도록 공조 공기도입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안내바스켓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회류 강도와 확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실내 온도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류 및 온도 분포를 난방시에는 선회류 강도와 확산각도를 크기 취하여 기류 및 온도 분포를 실내에 넓게 분포시켜서 따뜻하게 공조할 수 있고, 냉방시에는 선회류 강도와 확산각도를 작게 취하여 실내온도를 낮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또는 온방에 따라 실내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용발명 3 역시 배출되는 선회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급기수단을 회동시켜 제2급기수단의 을 회동시키게 되는 바, 이 역시 내측 급기구(304)와 외측 급기구(302)가 교차하는 것은 그 중심이 동일한 것이어서 방사상으로 교차한 후 닫히거나 연통되는 것이므로, 선회류를 조절하기보다는 개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어서 선회류의 풍량 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인용발명에서는 제 2급기수단보다 중량이 무거운 제1급기수단이 위에 있으므로, 제 1급기수단을 회동시키면 제 2급기수단도 함께 회동하므로, 이를 조작하기 위하여 부득이 제 1,2급기수단 모두를 들어내어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선회기류의 토출량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형성되며, 서로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내외측급기구가 형성된 상·하부판을 구비하여서 된 급기수단과; 급기수단이 안착되며, 바닥면에 형성된 설치공과 밀착되는 둘레면을 갖는 취부링과, 취부링과 결합되며, 둘레면에 장방형태이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가 구비된 외측안내바스켓과, 둘레면에 외측안내바스켓과 같은 형상이며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가 구비된 내측안내바스켓을 구비하되,
전술한 내측안내바스켓의 바닥 중심에 세워 설치되고, 그 상단에 정합공을 구비하여서 된 돌봉과, 전술한 급기수단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과,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방에 돌봉의 정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단부와, 그 상단에 조절노브가 구비된 회동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회동 조절 수단을 회동시킴에 따라 내측안내바스켓이 회동하고, 이에 따라 내측안내바스켓과 외측안내바스켓의 직사각형태이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간의 교차 면적이 회동 조절 수단의 회동 각도에 상응하여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그 결과, 본 고안은 외부에서 회동 조절 수단을 조절함에 따라 극히 용이하게 토출되는 공조공기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공조가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본 고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의 구조를 분리 사시도로 도시하였으며, 조립된 상태를 도 11으로 보였고, 시공된 상태를 도 12,13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먼저 그 시공을 위하여 기초 바닥위에 이중 바닥을 설치하고, 그 사이의 공간에 냉, 온풍 공조 설비를 연결하며, 이중 바닥의 적정한 개소에 취부링(30)의 외경보다 다소 큰 직경의 설치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한 후, 취부링(30)의 하방으로 결착링(40)을 체결하여 취부링(30)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한 후, 외측안내바스켓(20)에 내측안내바스켓(10)을 넣고, 취부링(30)의 내부 단턱(31)에 외측안내바스켓(20)의 둘레 단부가 걸리도록 상방에서 하방으로 끼워 넣는다.
이어서, 본 고안의 급기수단(1)을 그 위에서 끼워 넣은 다음, 회동 조절 수단(6)을 급기 수단(1) 중심의 통공(5)에 끼워 넣으며, 그 하단의 결합단부(6b)가 돌봉(13) 상단의 정합공(14)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돌봉(13) 상단의 정합공(14)은 그 단면이 팔각형 등 다각형이 되도록 하고, 이에 결합되는 회동 조절 수단(6)의 결합단부(6b) 역시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되었을 시 회동 조절 수단(6)과 내측안내바스켓(10)이 함께 연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 온풍 공조 설비를 가동하면, 설비에서 토출되는 공조 공기가 기초 바닥과 이중 바닥 사이의 공간으로 흐르면서 외측안내바스켓(20)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외측안내바스켓(20)과 내측안내바스켓(10)의 공조공기도입구(11, 21)의 교차 면적에 상응하는 량의 공조 공기가 내측안내바스켓(10)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되고, 진입된 공조 공기는 상승하면서 급기수단(1)의 내외측급기구(2)를 통하여 배출되는 바, 이러한 급기수단(1)의 내외측급기구(2)가 형성되는 방향은 도 10 및 인용 발명 1,2,3과 마찬가지로 경사상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토출되는 기류는 선회를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원하는 범위까지 효율적으로 도달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실내의 공기와 효과적인 혼합에 의하여 온기나 냉기가 고루 확산됨으로써 냉, 난방 효율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이러한 경우에 토출되는 공기량이 부족하거나 과도하게 많은 경우 회동 조절 수단(6)의 조절 노브(6a)를 조작함으로써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조절되는 양을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조절 노브(6a)의 중심에 홈(6c)을 깍아 설치하여 동전이나 납작한 물건을 조절 노브(6a) 상단의 홈(6c)에 끼우고 회동시켜 주면 회동 조절 수단(6)이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결합단부(6b)가 정합공(14)에 결합되어 내측안 내바스켓(10) 중앙의 돌봉(13)을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내측안내바스켓(10)이 회동하게 되고, 외측안내바스켓(20)은 고정된 설치공에 고정된 취부링(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측안내바스켓(10)이 회동하면서 내측안내바스켓(10)의 공조공기도입구(11)와 외측안내바스켓(20)의 공조공기도입구(21)가 점차로 어긋나도록 하여 공기 토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를 도 15로 도시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내측안내바스켓(10)이 회동하면서 내측안내바스켓(10)의 공조공기도입구(11)와 외측안내바스켓(20)의 공조공기도입구(21)가 점차로 일치하도록 하여 공기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를 도 14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내, 외측안내바스켓(10, 20)의 공조공기도입구(11, 21)의 교차 면적을 조절노브(6a)의 조작으로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내측안내바스켓(10)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것과 같이 그 위의 요소들을 해체하고 조절완료 후 재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조절 노브(6a)를 회동시켰을 때 내측안내바스켓(10)과 외측안내바스켓(20)의 공조공기도입구(11, 21)의 교차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현재 토출량과 조절 후 토출되는 공기량의 변화를 관찰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 관찰 결과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의 회동 조작이 공기 토출량을 증가, 감소시키는 지를 판단하여 적절히 조절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연질고무로 된 가스켓(41)을 사용하여 설치공과 취부링(30)간의 오차에도 불구하고 공조공기가 임의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내측안내바스켓(10)의 중심에 세워 설치된 돌봉(13)이 견고로 되도록 리브(15)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내, 외측안내바스켓(10, 20)은 중간에 서로 맞물리는 단턱(12, 22)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력이나 열풍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내, 외측안내바스켓(10, 20)의 공조공기도입구(11, 21) 중 어느 하나를 횡상으로 된 삼각형태의 것으로 하여, 내측안내바스켓(10)의 회동 시 외측안내바스켓(20)의 공조공기도입구(21)와 내측안내바스켓(10)의 공조공기도입구(11)가 교차하면서 변화하는 면적이 회동 각도의 증감에 상응하여 증감되므로 공조공기 토출량이 회동 각도의 증감에 상응하여 증감 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바닥에서 취출된 기류는 거주역 공기와 혼합되어 거주역 온도를 형성하게 되며, OA기기 등 실내에 설치된 각종 발열체로부터 열을 흡수한 공기는 부양효과에 의하여 천정으로 상승되고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어 기류 방향이 자연대류와 일치하므로 환기효율이 높아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빠른 시간에 배출할 수 있으며, 하향식 일반 공조시스템에 비하여 20% 내지 30%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에 있어서,
이에 의한 토출량을 조절함에 있어서 급기수단(1) 등 여러 요소를 분해하고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지 않고 조절 노브(6a)만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토출량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임의로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형성되며, 서로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내외측급기구(2)가 형성된 상·하부판(3, 4)을 구비하여서 된 급기수단(1)과; 급기수단(1)이 안착되며, 바닥면에 형성된 설치공과 밀착되는 둘레면을 갖는 취부링(30)과, 취부링(30)과 결합되며, 둘레면에 장방형태이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21)가 구비된 외측안내바스켓(20)과, 둘레면에 외측안내바스켓(20)과 같은 형상이며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11)가 구비된 내측안내바스켓(10)을 구비하되,
    전술한 내측안내바스켓(10)의 바닥 중심에 세워 설치되고, 그 상단에 정합공(14)을 구비하여서 된 돌봉(13)과, 전술한 급기수단(1)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5)과, 통공(5)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방에 돌봉(13)의 정합공(14)에 결합되는 결합단부(6b)와, 그 상단에 조절노브(6a)가 구비된 회동 조절 수단(6)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회동 조절 수단(6)의 조절노브(6a)는 그 상면에 홈(6c)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외측안내바스켓(20)과 내측안내바스켓(10)의 중간에 각각 단턱(22, 12)이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공조공기도입구(11, 21)는 세로가 긴 장방형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내, 외측안내바스켓(10, 20)의 공조공기도입구(11, 21) 중 어느 하나를 횡상으로 된 삼각형태의 것으로 하여, 내측안내바스켓(10)의 회동시 외측안내바스켓(20)의 공조공기도입구(11, 21)와 교차하면서 변화하는 면적이 각도에 상응하여 비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KR2020070006838U 2007-04-25 2007-04-25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KR200442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838U KR200442770Y1 (ko) 2007-04-25 2007-04-25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838U KR200442770Y1 (ko) 2007-04-25 2007-04-25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11U KR20080005011U (ko) 2008-10-29
KR200442770Y1 true KR200442770Y1 (ko) 2008-12-11

Family

ID=4132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838U KR200442770Y1 (ko) 2007-04-25 2007-04-25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7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15Y1 (ko) 2010-05-17 2012-06-20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실내바닥용 디퓨져
KR101204305B1 (ko) 2010-03-25 2012-11-23 김석훈 바닥용 디퓨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305B1 (ko) 2010-03-25 2012-11-23 김석훈 바닥용 디퓨저
KR200461015Y1 (ko) 2010-05-17 2012-06-20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실내바닥용 디퓨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11U (ko)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5270C2 (ru)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воздуха
KR10261003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200442770Y1 (ko)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1551081B1 (ko) 천장형 실내기의 기류 확산팬
KR20170111318A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101261322B1 (ko)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EP2821701B1 (en) Dual venturi for water heater
JP2009127910A (ja) 吹出口装置
EP2821704B1 (en) Dual venturi for water heater
KR101204305B1 (ko) 바닥용 디퓨저
JP3191227U (ja) 空気調和機における吹出し風拡散装置
KR101836875B1 (ko)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바이패스 전열교환기
KR10228581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EP1122501A1 (en) A ceiling-mounted device for ventilating rooms and, at the same time, cooling or heating the room air.
KR20180103534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0453512Y1 (ko)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KR102629027B1 (ko) 공기조화기
JP6982724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0473727B1 (ko) 실내 급기장치용 디퓨저
KR20210083076A (ko) 온수세정기의 변좌 어셈블리
KR102638394B1 (ko) 공조기용 각실제어 공기분배기
KR200465718Y1 (ko) 건물 냉,난방 바닥용 디퓨저
KR20180089784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