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015Y1 - 실내바닥용 디퓨져 - Google Patents

실내바닥용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015Y1
KR200461015Y1 KR2020100005133U KR20100005133U KR200461015Y1 KR 200461015 Y1 KR200461015 Y1 KR 200461015Y1 KR 2020100005133 U KR2020100005133 U KR 2020100005133U KR 20100005133 U KR20100005133 U KR 20100005133U KR 200461015 Y1 KR200461015 Y1 KR 200461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housing
ai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881U (ko
Inventor
양홍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00005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1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Abstract

본 고안은 냉난방공기 토출공기량을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필요에 의해서 완전차단 및 재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실내바닥용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바닥덕트(D)로 송풍되는 냉난방공기가 내부공(11)을 가진 고정하우징(10)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통기공(12) 을 통해 상부에 구비되는 기류토출판부재(20)에 다수 구비하는 경사취출공(21)으로 토출 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류토출판부재(20)에 지지되어 회전되게 조작되는 조절구(30)와; 상기 조절구(30)와 연결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공(41)을 형성하는 외주면부(42)에 통기공(11)을 개폐하는 개방공(43)과 폐쇄부(44)가 원주면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게 구비되는 개폐하우징(40)과; 상기 개폐하우징(40)의 바닥부(45) 저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51)와, 상기 걸림돌기(51)의 회전범위를 제어하기 위해 고정하우징(10)의 바닥부(13) 내면에 구비하는 회전제어부(52)을 갖는 조절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내에 공급되는 냉난방공기를 구월하게 완전 차단할 수 있 다시 재공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바닥용 디퓨져{Interior floor of diffuser}
본 고안은 건물의 실내바닥에 설치되어 냉난방공기를 실내로 확산 되게 하는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난방공기 토출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거나 필요에 의해서 완전차단 및 재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실내바닥용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바닥에 디퓨져를 설치하여 냉난방공기가 실내바닥으로부터 천장방향으로 확산 되게 하고 있으며,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729801호의 바닥용 디퓨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디퓨져는 바닥덕트로부터 공급되는 냉난방공기(이하 취출공기라고도 함)가 일방적으로만 토출 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공기량을 전혀 조절할 수 없고 완전히 차단할 수도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실내온도 조절 등 필요에 의해서 토출공기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취출공기를 차단할 필요가 있을 때 전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실내온도 조절을 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KR 10-0729801 B1 2007.06.20
본 고안은 냉난방공기 토출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필요에 의해서 완전차단 및 재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실내바닥용 디퓨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토출공기량 조절 및 취출공기의 완전차단과 재공급을 위한 조작이 매우 수월한 실내바닥용 디퓨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바닥덕트로 송풍되는 냉난방공기가 내부공을 가진 고정하우징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통기공 을 통해 상부에 구비되는 기류토출판부재에 다수 구비하는 경사취출공으로 토출 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류토출판부재에 지지되어 회전되게 조작되는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와 연결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공을 형성하는 외주면부에 통기공을 개폐하는 개방공과 폐쇄부가 원주면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게 구비되는 개폐하우징과; 상기 개폐하우징의 바닥부 저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회전범위를 제어하기 위해 고정하우징의 바닥부 내면에 구비하는 회전제어부을 갖는 조절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구는 상면에 드라이버홈이 있고 외주면에 오링이 결합 된 상단부가 기류토출부재의 중심결합공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회전되고, 상기 상단부 하부에 있는 길다란 로드봉 하단에 있는 십자형의 끼움돌기부가 개폐하우징 바닥부 내면 중심부에 돌출되는 연결부의 십자형의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연결되게 구성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제어부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원호형의 이동홈부와, 상기 이동홈부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한쌍의 스톱턱부를 갖도록 구성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개폐하우징의 바닥부 저면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되게 구비하고 그 중에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가 이동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하우징의 바닥부 내면 중심부나 개폐하우징의 바닥부 외면 중심부 중에 어느 하나의 바닥부 중심부에 회동중심돌륜부를 갖도록 구성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하우징은 실내바닥부재에 고정되는 바닥프레임부재의 결합공으로 끼움 결합 되고, 상기 고정하우징 상부쪽으로 끼움 결합 되는 기류토출판부재는 외주면에 있는 회동방지홈부에 바닥프레임부재의 결합공 내주면에 있는 회동방지돌기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류토출판부재의 경사취출공이 평면상으로 S자곡선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필요에 의해서 조절구를 회전되게 조작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냉난방공기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거나 다시 재공급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로 노출되는 조절구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이므로 토출공기량 조절 및 취출공기의 완전차단과 재공급을 위한 조작이 매우 수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실내로 토출 되는 냉난방공기가 원주면 방향으로 돌아가는 상태로 토출되면서 외곽방향으로 확산되게 퍼져 나가는 상태로 토출 됨으로써 냉난방공기가 실내에 넓고 빠르게 확산 되게 하는 효과도 겸비한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내바닥용 디퓨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바닥용 디퓨져의 전체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류토출판부재의 평면 작용설명도,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 작용 설명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바닥덕트(D)로 송풍되는 냉난방공기가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통기공(12) 을 통해 내부공(11)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고정하우징(1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하우징(10)은 실내바닥부재(U)에 고정되는 바닥프레임부재(1)의 결합공(2)으로 끼움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하우징(10) 상부쪽으로 끼움 결합 되는 기류토출판부재(20)는 다수의 경사취출공(21)을 구비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있는 회동방지홈부(24)에 바닥프레임부재(1)의 결합공(2) 내주면에 있는 회동방지돌기(3)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절구(30)가 회전되어도 기류토출판부재(20)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류토출판부재(20)은 경사방향으로 냉난방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경사취출공(21)을 원주면 방향으로 다수 구비하고, 상기 경사취출공(21)은 평면상으로 볼 때 S자곡선(S)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경사취출공(21)으로 토출되는 냉난방공기는 도 2의 화살표 도시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토출되게 되는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취출공(21)이 평면상으로 볼 때 S자곡선(S)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냉난방공기가 원주면방향으로 돌아가는 상태로 토출되면서 외곽방향으로 확산되게 퍼져 나가는 상태로 토출 됨에 따라 냉난방공기가 실내에 넓고 빠르게 확산 되게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하우징(10)의 내부공(11)으로 개폐하우징(4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하우징(40)은, 상기공(41)을 형성하는 외주면부(42)에 고정하우징(10)의 통기공(11)을 개폐하는 개방공(43)과 폐쇄부(44)가 원주면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폐하우징(40)이 회전되어 통기공(11)과 개방공(43)이 일치하는 상태가 되면 냉난방공기가 상기공(41)으로 유입되고 반대로 통기공(11)과 폐쇄부(44)가 일치하게 되면 통기공(11)이 막혀 버리기 때문에 상기공(41)으로 유입되려는 냉난방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게 됨으로써 기류토출판부재(20)의 경사취출공(21)으로 냉난방공기가 토출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개폐하우징(4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고정하우징(10)의 바닥부(13) 내면 중심부에 회동중심돌륜부(60)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하우징(10)의 바닥부(13)을 평평하게 하고 개폐하우징(40)의 바닥부(45) 외면 중심부 회동중심돌륜부(60)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회동중심돌륜부(60)가 있는 경우 고정하우징(10)의 바닥부(13)와 개폐하우징(40)의 바닥부(45)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개폐하우징(40)이 원활한 회전이 도모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개폐하우징(4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제어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 조절제어수단(50)은 상기 개폐하우징(40)의 바닥부(45) 저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51)와, 상기 걸림돌기(51)의 회전범위를 제어하기 위해 고정하우징(10)의 바닥부(13) 내면에 구비하는 회전제어부(52)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제어부(52)는 걸림돌기(51)가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원호형의 이동홈부(53)와 상기 이동홈부(53)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51)가 걸림되는 스톱턱부(54,54')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5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하우징(40)의 바닥부(45) 저면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되게 구비하고 그 중에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51)가 이동홈부(53)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즉, 고정하우징(10)의 내부공(11)에 개폐하우징(40)을 삽입시킬 때 바닥부(45) 저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걸림돌기(51)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51)를 이동홈부(53)에 정확하게 맞추지 않고 아무렇게나 삽입하여도 다수의 걸림돌기(51) 중에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51)가 이동홈부(53)에 삽입되게 됨으로써 매우 수월한 조립을 도모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하우징(10)의 내부공(11)에 개폐하우징(40)을 결합한 다음에는 기류토출판부재(20)를 조립하고, 상기 기류토출판부재(20)의 중심결합공(22)으로 조절구(30)를 끼워서 조립하게 된다.
상기 조절구(30)는 상단부(31) 상면에 드라이버홈(32)이 있고, 외주면에 오링(33)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부(31) 하부에는 길다란 로드봉(34)이 있고 그 하단에는 십자형의 끼움돌기부(35)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절구(30)의 상단부(31)가 기류토출부재(20)의 중심결합공(22)으로 삽입되게 결합되어 걸림턱(23)에 걸림되는 상태가 되면서 상단부(31) 하부에 있는 길다란 로드봉(34) 하단에 있는 십자형의 끼움돌기부(35)가 개폐하우징(40) 바닥부(45) 내면 중심부에 돌출되는 연결부(46)의 십자형의 결합공(47)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연결되게 조립된다.
상기 조절구(30)는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미도시됨)를 드라이버홈(32)에 끼운 다음 도구를 회전시켜서 조절구(30)가 회전되게 한다.
이때, 오링(33)이 중심결합공(22) 내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구(30)가 강제적으로 회전시킨 다음에는 그 조절구(30)가 저절로 회동 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개폐하우징(40)이 회동된 다음에는다시 조절구(30)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개폐하우징(40)이 저절로 회동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구(30)가 회전되면 로드봉(34) 끝단부에 있는 십자형의 끼움돌기부(35)가 개폐하우징(40) 바닥부(45) 내면 중심부에 돌출되는 연결부(46)의 십자형의 결합공(47)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개폐하우징(40) 전체가 회전된다.
그러나 개폐하우징(4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제어수단(50)에 의해서 약간만 회전되게 된다.
도 7의 (a)는 개폐하우징(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를 보여 준다. 이때에는 조절제어수단(50)의 걸림돌기(5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이동되어 스톱턱부(54)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되게 이동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 경우는 개방공(43)과 통기공(12)이 일치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냉난방공기가 상기공(41)으로 유입되어 기류토출판부재(20)의 경사취출공(21)을 통해서 실내로 토출 되는 상태가 된다.
도 7의 (b)는 개폐하우징(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를 보여 준다. 이때에는 조절제어수단(50)의 걸림돌기(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이동되어 스톱턱부(54')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되게 이동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 경우는 폐쇄부(4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통기공(12)이 막혀지도록 폐쇄하게 되므로 냉난방공기가 상기공(41)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기류토출판부재(20)의 경사취출공(21)을 통해서 실내로 냉난방공기가 토출 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필요에 의해서 조절구(30)를 회전되게 조작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냉난방공기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거나 다시 재공급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폐쇄부(44)가 통기공(12)을 절반, 또는 일부만 막혀 지게 차폐하도록 조작될 수 있으므로 상기공(41)으로 유입되는 냉난방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난방공기의 유입과 완전차단 및 공기량이 조절되게 하는 조작이 조절구(30)를 회전되게 조작하는 것이므로 기류토출판부재(20)의 중심결합공(22) 주위에 조작눈금이나 조절표시문자(미도시됨)를 인쇄하여 수월하게 육안으로 식별하여 조작하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비록 일실시예에 의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바닥프레임부재 2:회동방지돌기
10:고정하우징 11;내부공
12:통기공 20:기류토출판부재
21:경사취출공 22:중심결합공
23:걸림턱 24:회동방지홈부
30;조절구 31:상단부
32:드라이버홈 33:오링
34:로드봉 35:끼움돌기부
40:개폐하우징 41:상기공
42:외주면부 43:개방공
44:폐쇄부 46:연결부
47:결합공 50:조절제어수단
51:걸림돌기 52:회전제어부
53:이동홈부 54,54':스톱턱부
60:회동중심돌륜부

Claims (7)

  1. 삭제
  2. 바닥덕트로 송풍되는 냉난방공기가 내부공을 가진 고정하우징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통기공 을 통해 상부에 구비되는 기류토출판부재에 다수 구비하는 경사취출공으로 토출 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류토출판부재에 지지되어 회전되게 조작되고, 상면에 드라이버홈이 있고, 외주면에 오링이 결합 된 상단부가 기류토출부재의 중심결합공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회전되고, 상기 상단부 하부에 있는 길다란 로드봉 하단에 있는 십자형의 끼움돌기부가 개폐하우징 바닥부 내면 중심부에 돌출되는 연결부의 십자형의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연결되는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와 연결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공을 형성하는 외주면부에 통기공을 개폐하는 개방공과 폐쇄부가 원주면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게 구비되는 개폐하우징과;
    상기 개폐하우징의 바닥부 저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회전범위를 제어하기 위해 고정하우징의 바닥부 내면에 구비하는 회전제어부을 갖는 조절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바닥용 디퓨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원호형의 이동홈부와, 상기 이동홈부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한쌍의 스톱턱부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바닥용 디퓨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개폐하우징의 바닥부 저면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되게 구비하고 그 중에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가 이동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바닥용 디퓨져.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우징은 실내바닥부재에 고정되는 바닥프레임부재의 결합공으로 끼움 결합 되고, 상기 고정하우징 상부쪽으로 끼움 결합 되는 기류토출판부재는 외주면에 있는 회동방지홈부에 바닥프레임부재의 결합공 내주면에 있는 회동방지돌기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바닥용 디퓨져.
  7. 삭제
KR2020100005133U 2010-05-17 2010-05-17 실내바닥용 디퓨져 KR200461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33U KR200461015Y1 (ko) 2010-05-17 2010-05-17 실내바닥용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33U KR200461015Y1 (ko) 2010-05-17 2010-05-17 실내바닥용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81U KR20110010881U (ko) 2011-11-23
KR200461015Y1 true KR200461015Y1 (ko) 2012-06-20

Family

ID=4687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133U KR200461015Y1 (ko) 2010-05-17 2010-05-17 실내바닥용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414B1 (ko) * 2023-01-19 2023-08-25 (주) 지원에어텍 바닥형 공조 시스템의 에어 디퓨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70Y1 (ko) 2007-04-25 2008-12-11 주식회사 삼광피에스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US20090061757A1 (en) 2007-06-14 2009-03-05 Julian Douglas Rimmer Adjustable Terminal Basket with Light Weight, Horizontal Diffuser Gril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70Y1 (ko) 2007-04-25 2008-12-11 주식회사 삼광피에스 바닥분출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US20090061757A1 (en) 2007-06-14 2009-03-05 Julian Douglas Rimmer Adjustable Terminal Basket with Light Weight, Horizontal Diffuser Gri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81U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947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JP5194023B2 (ja) 天井埋込型の空気調和機
AU2012265763B2 (en) Air-conditioning-apparatus indoor unit
KR101191414B1 (ko) 공기 혼합형 에어컨
US20060234622A1 (en) Air flow control device
KR20140132854A (ko) 공기조화장치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100935074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EP3406980B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0461015Y1 (ko) 실내바닥용 디퓨져
JP2015217927A (ja) 風向調整装置
KR20160112095A (ko) 제습 냉방기용 가변풍량 디퓨져 및 이를 이용한 제습 냉방 시스템
KR20180047817A (ko) 공조용 나선형 날개를가진 가변 댐퍼
JP2008157547A (ja) 天井設置型室内機
US11060753B2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17157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52110Y1 (ko) 다분지 배기팬의 풍량조절 장치
CA2554328C (en) Air flow control device
US10018374B1 (en) Air register
KR20160057201A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675767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6010006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공기 배출 구조
JP4542219B2 (ja) 空調装置
KR200239027Y1 (ko) 풍향조절기능이 부여된 건물용 통풍구
KR102079955B1 (ko)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