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599Y1 - 다용도 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599Y1
KR200442599Y1 KR2020070003403U KR20070003403U KR200442599Y1 KR 200442599 Y1 KR200442599 Y1 KR 200442599Y1 KR 2020070003403 U KR2020070003403 U KR 2020070003403U KR 20070003403 U KR20070003403 U KR 20070003403U KR 200442599 Y1 KR200442599 Y1 KR 200442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ead
contact portion
contain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683U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락앤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락앤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락앤락
Priority to KR2020070003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59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5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의 내측에 밀착부가 구비됨으로써 보관중에 넘어지거나 이동중에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아 기밀성이 향상되고, 헤드에 대하여 조절 부재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입경을 갖는 조미료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이다.
다용도 용기, 조미료, 입경, 기밀성, 조절 부재

Description

다용도 용기{Versatile container}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조미료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 중 바디의 저면도,
도 4a는 도 2 중 헤드의 저면도,
도 4b는 도 2 중 헤드의 평면도,
도 5a는 도 2 중 캡의 수직 단면도,
도 5b는 밀착부가 장착된 캡의 수직 단면도,
도 6a는 도 2 중 밀착부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서로 다른 배출홀을 갖는 조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300 - 다용도 용기 210, 310 - 바디
220, 320 - 헤드 222, 322 - 배출구
230, 330 - 캡 232, 332 - 밀착부
234, 334 - 결합공
본 고안은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의 내측에 밀착부가 구비됨으로써 보관중에 넘어지거나 이동중에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아 기밀성이 향상되고, 헤드에 대하여 조절 부재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입경을 갖는 조미료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는 크기와 용도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주방 용기들이 비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과립상의 소금, 설탕, 조미료 등을 담는 용기, 액상의 간장, 식초 등을 담는 용기 등이 있다. 이러한 용기들은 주방에서 음식물의 양념과 간을 맞추기 위해 빈번히 사용된다. 조미료 등을 담는 일반적인 주방 용기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주로 액상의 조미료가 수용되는 조미료 용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조미료 용기(100)는, 도 1a를 참조하면, 바디(110)와 헤드(120) 및 캡(130)으로 구성된다. 바디(110)는 액상의 조미료가 수용되는 부분이고, 헤드(120)는 바디(110)에 결합되어 조미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캡(130)은 조미료 용기(100)의 사용 후 헤드(120)의 배출구를 막아, 조미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조미료 용기(100)의 경우 캡(130)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 사용 후 캡(130)으로 헤드(120)의 배출구를 막는 작업에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시력이 떨어지고 손놀림의 정교함이 떨어지는 노인의 경우, 조미료 용기(100)의 밀봉 작업에 굉장한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조미료 용기(100)는 반복 사용시 캡(130)을 헤드(120)에 연결하는 연결부(132)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캡(130)이 헤드(120)의 배출구에 정확하게 끼워지지 않은 경우 내용물이 누출되어 찬장이나 주방 바닥을 더럽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 중 캡(130)의 내측에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끼기 쉬워, 주기적으로 이를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1b는 주로 과립상의 조미료가 수용되는 조미료 용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조미료 용기(100')는, 도 1b를 참조하면, 과립상의 조미료를 수용하는 바디(110'), 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조미료를 배출하는 헤드(120') 및 헤드(120')의 배출구를 막는 캡(130')으로 구성된다. 헤드(120')의 배출구에는 일정량의 조미료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개의 조미료 배출홀(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미료 용기(100')의 경우 헤드(120')와 일체형으로 조미료 배출홀(122')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입경을 갖는 조미료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헤드(120')에 조미료 배출홀(12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헤드(120')의 청소시 구석구석에 낀 이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조미료 용기(100')는 헤드(120')에 캡(130')을 씌운 후에도 조미료 용기(100')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면 용기 내부의 조미료가 조미료 배출홀(122')을 통해 헤드(120')와 캡(130') 사이의 공간에 누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되면 조미료 용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캡(130') 을 제거하면 누출된 조미료가 그대로 흘러내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캡의 내측에 밀착부가 구비됨으로써 보관중에 넘어지거나 이동중에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아 기밀성이 향상되고, 헤드에 대하여 조절 부재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입경을 갖는 조미료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용도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는 조미료를 포함한 물질을 수용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며 배출구를 구비하는 헤드; 및 상기 배출구의 상단부에 밀착하는 탄성 재질의 밀착부를 내측 상단 저면에 구비해서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의 내측 상단 저면에는 링 형상의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동심원을 이루되 상기 제1돌기보다 작은 직경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상기 밀착부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트렌치(trench)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단부와 접하는 상기 헤드의 내측에는 탄성 재질의 밀봉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의 상단에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guide)가 구 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된 조절 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부재는 측벽에 복수개의 분리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또한, 상기 밀착부는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캡에 탈착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외곽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캡과 상기 밀착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중 바디의 저면도이다. 도 4a는 도 2 중 헤드의 저면도이며, 도 4b는 도 2 중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2 중 캡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5b는 밀착부가 장착된 캡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2 중 밀착부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A-A'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200)는, 도 2를 참조하면, 바디(210), 헤드(220) 및 캡(2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220)는 배출구(222), 가이드(224) 및 밀봉부재(226, 도 4a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캡(230)은 밀착부(232)와 결합공(23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바디(210)는 양념, 간장, 식초와 같은 조미료를 포함한 물질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상기 바디(210)는 하부와 상부에 비해 중앙부가 완만하게 돌출된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2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홈(212)은 다수개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트렌치(trench)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홈은 메시(mesh) 형상 또는 서로 교차하는 사선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홈(212)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210)는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리 또는 비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바디(210)는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210)는 합성수지 재질인 경우 사출 성형 등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바디(210)의 제조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210)의 저면에는, 도 3을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요철(2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 요철(214)은 도 3과 같이 바디(2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무판(미도시)이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210)의 상부에는 헤드(22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220)는 바디(2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21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헤드(220)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220)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캡 착탈홈(221, 도 2 참조), 배출구(222), 가이드(224), 및 밀봉부재(226)를 포함한다.
상기 캡 착탈홈(221)은 캡(230)과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캡(230)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캡(230)의 내측 하부에는 캡 착탈홈(221)과 들어맞는 캡 착탈돌기(24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22)는 헤드(2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22)는 액상의 조미료가 적량 배출될 수 있도록 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22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압력 조절을 위한 공기유입홀(223)이 형성되어, 액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24)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배출구(222)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224)는 배출구(222)의 상단이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새부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224)의 중앙은 양측에 비해 오목하도 록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재(226)는 헤드(220)의 내측 중, 바디(210)의 상단부와 접하는 부분에 삽입된다. 상기 밀봉부재(226)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디(21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226)는 바디(210)와 헤드(220)의 결합부위를 통해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230)은 헤드(220)의 캡 착탈홈(221)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배출구(222)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222)로부터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캡(23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부에 비해 상부의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230)도 헤드(220)와 마찬가지로 반투명 혹은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230)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캡 착탈돌기(242), 제1돌기(244), 제2돌기(246), 결합공(234) 및 밀착부(2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캡 착탈돌기(242)는 캡(230)의 내측 하단에 둘레를 따라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 착탈돌기(242)는 헤드(220)에 형성된 캡 착탈홈(221)에 꼭 들어맞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캡(230)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제1돌기(244)는 캡(230)의 내측 상단 저면에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244)와 제2돌기(246) 및 결합공(234)은 직경이 다른 동심원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1돌기(244)는 후술할 밀착부(232)의 마감부(236)와 접하도록 형 성된다. 상기 제1돌기(244)는 마감부(236)와 함께 밀착부(232)와 캡(230)의 저면(보다 상세하게는 제1돌기(244)와 제2돌기(246) 사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배출구(222)에 보다 강한 탄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간은 후술할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322)의 상단이 상기 공간 아래에 위치할 경우에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제2돌기(246)는 결합공(234)의 하방에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돌기(246)는 제1돌기(244)에 비해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돌기(246)는 밀착부(232)의 고정부(235) 하방에 구비된 단턱(237)과 접촉되어 밀착부(232)와 캡(230)의 저면 사이에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2돌기(246)는 특히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222)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단턱(237)을 통하여 강한 탄성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공(234)은 캡(230)의 상면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밀착부(232)의 고정부(235)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결합공(234)은 밀착부(232)가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고정부(235)의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232)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대략 냄비 뚜껑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232)는 배출구(222)를 밀봉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232)는 중앙에 형성되어 캡(230)에 탈착되도록 하는 고정부(235)와, 외곽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캡(230)과 밀착부(23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감부(236), 캡(230)의 제2돌기(246)와 밀착되어 배출구(222) 상단에 강한 탄성을 제공하는 단턱(237), 및 마감부(236)에 비해 얇은 두께와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캡(230)과의 사이에 소정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제공부(2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235)는 결합공(234)에 끼워지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대략 버섯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232)를 결합공(234)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젓가락 등을 이용하여 아래로 밀면 된다. 상기 공간제공부(238)와 캡(2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은 공기로 채워져 있어 배출구(222) 상단에 보다 강한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밀착부(232)는 캡(230)과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밀착부(232) 주위에 낀 이물질 등을 청소하기에 용이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서로 다른 배출홀을 갖는 조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내용물이 입상(粒狀)인 경우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부재(324)가 더 구비된다는 점 이외에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용기(300)는, 도 7을 참조하면, 홈(312)이 형성된 바디(310), 배출구(322)와 조절 부재(324)를 구비하는 헤드(320), 및 밀착부(332)와 결합공(334)을 구비하는 캡(3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디(310)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헤드(320)의 내측에는 밀봉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배출구(322)는 도 2의 실시예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 구(322)의 상단에는 조절 부재(324)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조절 부재(324)의 하단과 배출구(322)의 상단 내측에는 서로 원터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조절 부재(324)의 하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22)의 상단 내측에는 이러한 돌기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입상의 내용물이 수용된 경우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부재(324)를 끼울 수 있고,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된 경우와 같이 조절 부재(324)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출구(322)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조절 부재(324)와 배출구(322)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조절 부재(324)의 배출홀(326)이 막히는 경우, 조절 부재(324)를 배출구(322)로부터 분리한 후 청소하면 편리하다.
상기 조절 부재(324a, 324b)는,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직경과 개수를 갖는 배출홀(326a, 326b)을 구비하도록 다양하게 형성된다. 사용하고자 하는 조미료 등의 입경이 작아 입자가 미세할 경우, 도 8a와 같이 직경이 작고 개수가 비교적 많은 배출홀(326a)을 구비하는 조절 부재(324a)가 배출구(322)에 결합된다. 반면, 사용하고자 하는 조미료 등의 입경이 커서 입자가 조대할 경우, 도 8b와 같이 직경이 크고 개수가 비교적 적은 배출홀(326b)을 구비하는 조절 부재(324b)가 배출구(32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조미료 등의 입경에 따라 그에 적합한 조절 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조절 부재(324)는 측벽에 복수개의 분리홈(328)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홈(328)은 조절 부재(324)의 측벽이 특정 압력에서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와 폭을 갖게 된다. 상기 분리홈(328)이 형성됨으로써 조절 부재(324)의 측벽은 하단이 여러 갈래로 분리된다. 그 결과, 상기 조절 부재(324)를 배출구(322)에 삽입할 때 분리홈(328)의 공간에 의해 조절 부재(324)의 측벽 하단의 직경이 용이하게 축소된다. 더불어, 상기 조절 부재(324)가 배출구(322)에 완전히 삽입되면 복원력에 의해 측벽 하단의 직경이 확대되어 조절 부재(324)가 배출구(322) 내주면에 강하게 결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캡의 크기가 크고 하부에 비해 상부가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노인들의 경우에도 다용도 용기의 밀봉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연결부 없이 캡을 헤드에 결합하므로, 반복 사용하더라도 기존 제품과 같이 연결부가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캡의 내측에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끼는 경우 밀착부를 캡으로부터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조절 부재를 착탈식으로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입경을 갖는 조미료 등의 물질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배출구와 캡의 접촉부위에 탄성 재질의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용기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더라도 용기 내부 물질이 헤드와 캡 사이의 공간에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조미료를 포함한 물질을 수용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며 배출구를 구비하는 헤드; 및
    상기 배출구의 상단부에 밀착하는 탄성 재질의 밀착부를 구비해서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캡
    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캡의 내측 상단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의 상단부와 접하는 상기 헤드의 내측에는 탄성 재질의 밀봉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측 상단 저면에는
    링 형상의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동심원을 이루되 상기 제1돌기보다 작은 직경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상기 밀착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트렌치(trench)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상단에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guide)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된 조절 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측벽에 복수개의 분리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캡에 탈착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외곽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캡과 상기 밀착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 도록 하는 마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KR2020070003403U 2007-02-28 2007-02-28 다용도 용기 KR200442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03U KR200442599Y1 (ko) 2007-02-28 2007-02-28 다용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03U KR200442599Y1 (ko) 2007-02-28 2007-02-28 다용도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83U KR20080003683U (ko) 2008-09-02
KR200442599Y1 true KR200442599Y1 (ko) 2008-11-25

Family

ID=4132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403U KR200442599Y1 (ko) 2007-02-28 2007-02-28 다용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5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83U (ko)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8333299B2 (en) Leak resistant drinking cup
CA2879752C (en) Drinking container with removable lid
US9504342B2 (en) Closure assembly for a drinking cup
US8528756B2 (en) Leakproof closure sealing system for baby bottle
US9138088B2 (en) Leak resistant drinking cup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US4519530A (en) Self-closing dispenser
US20190152642A1 (en) Easy Wash Split Bottle Assembly
JP5896980B2 (ja) 密封容器
CN204378738U (zh) 新型吸管杯
KR20170007393A (ko) 회전 가능하고 재폐쇄 가능한 주둥이를 갖는 용기 뚜껑
KR200442599Y1 (ko) 다용도 용기
CN102659064A (zh) 用于流体的防滴漏分配阀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AU2014336211B2 (en) Lid for drinking vessel
KR101802358B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CN205076222U (zh) 一种压动出水的不漏瓶嘴组件
CN204606533U (zh) 一种可自动关闭出水口的不漏容器
KR200492816Y1 (ko) 과도한 액체 토출 방지용 캡
KR200275601Y1 (ko) 다용도 용기
JP2016135263A (ja) 密封容器
CN103974646B (zh) 用于饮水杯的封闭组件
CN104960753A (zh) 可压动出水的不漏瓶嘴组件
KR20220119253A (ko) 역류를 방지하는 다회용 위생 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