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356Y1 -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356Y1
KR200442356Y1 KR2020080005185U KR20080005185U KR200442356Y1 KR 200442356 Y1 KR200442356 Y1 KR 200442356Y1 KR 2020080005185 U KR2020080005185 U KR 2020080005185U KR 20080005185 U KR20080005185 U KR 20080005185U KR 200442356 Y1 KR200442356 Y1 KR 200442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itchen
props
blade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서
Original Assignee
정재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서 filed Critical 정재서
Priority to KR2020080005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3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off slices one by 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용 소도구의 구성 부품인 주방도구와 연결가드 및 손잡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하여 연결고정함으로써, 구성품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단, 용이하여 생산비가 절감되며, 연결가드와 손잡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슴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몸체(11) 후단부(13)에 슴베(12)가 일체로 형성된 주방도구(10)와; 상반부 내측에 상기 슴베(12)가 끼움되는 결합홀(22)이 형성되고, 후단면에는 상기 결합홀(22)의 좌우측으로 블레이드(24)가 서로 마주보며 돌출형성되어 스페이스(25)를 형성한 연결가드(20) 및; 몸체(31) 전단부 내측에 상기 블레이드(24) 및 슴베(12)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홀(32)을 형성한 손잡이(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방, 소도구, 연결가드, 손잡이, 슴베, 블레이드, 결합홀, 고정홀

Description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handle connecting structure of kitchen tools}
본 고안은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용 소도구의 구성 부품인 주방도구와 연결가드 및 손잡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하여 연결고정함으로써, 구성품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단, 용이하여 생산비가 절감되며, 연결가드와 손잡이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슴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칼, 숟가락, 뒤집게, 국자, 포크, 튀김망, 주걱과 같은 주방용 소도구는 판상의 강재를 소성 가공하여 만들거나, 제품의 손잡이 부분을 좌우 대칭되도록 판상 소재를 소성 변형한 후 용접, 경납땜 방법으로 붙여 만든 일반 판상 제품과 홀로 핸들 제품이 있으며, 손잡이 부분을 플라스틱 또는 목제 부품으로 조립부착한 플라스틱 손잡이 제품과 목제 손잡이 제품이 있다.
이와 같은 제조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주방용 소도구 제품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을 플라스틱 부품으로 조립부착하는 손잡이의 연결구조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13506호(2003.12.18 등록) '주방도구용 손잡이의 조립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주방도구용 손잡이의 조립방법'은 셀룰로즈 아세테이트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하되, 일측단면에는 슴베구멍, 타측 끝단에는 나사구멍을 가지도록 제작된 손잡이와,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제작하되, 캡부분과 그 안쪽으로 돌출된 나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앤드캡과,
상기 손잡이의 재질과 동일한 성분인 셀룰로즈 아세테이트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분말과 아세톤 또는 트리클로로 에틸렌 중 어느 한가지의 용합액을 준비하는 소재준비공정과;
상기 손잡이 사출성형공정에서 만들어진 손잡이의 나사구멍에 합성수지재 분말과 상기 용합액을 주입하는 1차 분말투입공정;
상기 1차 분말투입공정에서 합성수지재 분말과 상기 용합액이 주입된 나사구멍에 별도의 제조공정에서 만들어진 앤드캡의 나사부를 끼워, 그 앤드캡의 캡부분이 손잡이의 끝단부를 마감하도록 끼워 넣고 일정시간 경화시키는 앤드캡 조립공정;
상기 앤드캡 조립공정을 거친 손잡이를 별도의 조립지그에 세우고 슴베구멍에 적당량의 합성수지재 분말과 상기 용합액을 주입하는 2차 분말투입공정;
상기 2차 분말투입공정에서 합성수지재 분말과 상기 용합액이 주입된 슴베구멍에 별도의 공정에서 미리 제작된 주방도구의 슴베를 꽂아 넣고 일정시 간 경화시키는 슴베삽입공정;
상기 슴베삽입공정을 거친 제품들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는 품질검사공정을 차례로 거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방도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은 주방용 소도구의 부품을 주방도구와 손잡이로 구성하여, 유도홈과 요홈이 형성된 슴베를 합성수지재 분말과 용합액이 주입된 슴베구멍에 꽂아 넣어 일정시간 경화시켜 고정하고 있으나,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조하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판상의 강재를 소성 가공하여 만든 일반 판상 제품과, 제품의 손잡이 부분을 좌우 대칭되도록 판상 소재를 소성 변형한 후 용접, 경납땜 방법으로 붙여 만든 홀로 핸들 제품은 소성, 롤링, 절삭가공 과정에서 스테인리스 재질로 된 제품표면의 연마가 완전하지 못하여 생기는 해로운 연마 자국이나 얼룩이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지고, 소성가공되는 손잡이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하기 어려워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주방용 소도구의 구성 부품인 주방도구와 연결가드 및 손잡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하여 연결고정함으로써, 구성품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단, 용이하여 생산비가 절감되며, 연결가드와 손잡이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슴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몸체 후단부에 슴베가 일체로 형성된 주방도구와;
상반부에 상기 슴베가 끼움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후단면에는 상기 결합홀의 좌우측으로 블레이드가 서로 마주보며 돌출형성되어 스페이스를 형성한 연결가드와;
몸체 전단부 내측에 상기 블레이드 및 슴베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홀을 형성한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가 드 전단면에 주방도구의 몸체 후단부가 안착되는 받침요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가드의 결합홀 내측면 및 블레이드 일측면과 맞닿이는 슴베의 표면과, 상기 손잡이의 고정홀 내측면과 맞닿이는 블레이드의 표면에 불용성과 내열성을 갖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접착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가드의 결합홀 입구부 모서리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슴베의 삽입과정에서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서 경화되어 차단막이 형성되도록함으로써 상기 결합홀 내부로 물이나 수분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에 의하면, 주방용 소도구를 구성하고 있는 주방도구와 연결가드 및 손잡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하여, 상기 주방도구의 슴베를 결합홀에 끼움결합시키고, 주방도구가 결합된 연결가드의 블레이드를 손잡이의 고정홀에 끼움결합시켜 연결고정함으로써,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가드와 손잡이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사출성형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일반 판상 제품이나 홀로 핸들 제품으로 된 종래의 주방용 소도구의 제조공정과 대비하여 볼 때,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는 구성품 조립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가드의 결합홀 입구부 및 손잡이의 고정홀 입구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슴베 및 블레이드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일부가 결합홀 및 고정홀의 마찰력에 의해 경사면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서 경화되어 차단막을 형성함으로써, 결합홀 및 고정홀 내부로 물이나 수분 또는 습기가 침투하여 슴베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도구의 내구성을 보장하고 녹물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위생적인 조리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조리용 칼, 숟가락, 뒤집게, 국자, 포크, 튀김망, 주걱과 같은 각종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주방용 칼을 일예로하여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결합상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분리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도구와 연결가드 및 손잡이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구성품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단, 용이하여 생산비가 절감되며, 연결가드와 손잡이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슴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주방도구(10)와 연결가드(20) 및 손잡이(30)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몸체(11) 후단부(13)에 슴베(12) 가 일체로 형성된 주방도구(10)가 마련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주방도구는 조리용 칼, 숟가락, 뒤집게, 국자, 포크, 튀김망, 주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주방용 소도구 중에서 주방용 칼을 일실시예로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주방도구의 재료는 KS D 3698에 규정된 STS 304, STS 410, STS 430 및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성을 가진 스테인리스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상반부 내측에 상기 슴베(12)가 끼움되는 결합홀(22)이 형성되고, 후단면에는 상기 결합홀(22)의 좌우측으로 블레이드(24)가 서로 마주보며 돌출형성되어 스페이스(25)를 형성한 연결가드(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31) 전단부 내측에 상기 블레이드(24) 및 슴베(12)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홀(32)을 형성한 손잡이(30)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주방도구(10)의 몸체(11) 후단부(13)에 마련된 슴베(12)는 연결가드(20)의 결합홀(22)로 끼워져 스페이스(25)에 위치하면서 후단면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블레이드(24) 일측면과 각각 맞닿이게 된다.
상기 연결가드(20)와 손잡이(30)의 재질은 아세탈 수지, 질산셀룰로이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와 동등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가드(20) 전단면에 주방도구(10)의 몸체(11) 후단부(13)가 안착되는 받침요홈(23)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요홈(23)은 주방도구(10)의 후단부(13)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홀(22)의 양측 수직 전단면은 물이나 수분 및 습기가 결합홀(22)의 주변으로 근접하는 것을 일차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가드(20)의 결합홀(22)로 끼워져 스페이스(25)에 위치하면서 한쌍의 블레이드(24) 일측면과 각각 맞닿이는 슴베(12)의 표면과, 상기 손잡이(30)의 고정홀(32) 내측면과 맞닿이는 블레이드(24)의 표면에 불용성과 내열성을 갖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접착고정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화 후 기계적인 특성이 뛰어나고 접착력이 강하며, 내열성과 전기절연 특성이 뛰어나고, 상온에서 경화하며 반응시 부생성물이 없는 에폭시 접착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결합홀과 고정홀의 입구부 모서리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차단막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측단면도 로서, 본 고안은 상기 연결가드(20)의 결합홀(22) 입구부 모서리에 경사면(22a)을 형성하여, 슴베(1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결합홀(22) 내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슴베(12)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일부가 경사면(22a)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서 경화되도록하여 차단막(22b)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차단막(22b)에 의해 결합홀(22) 내부로 물이나 수분 또는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30)의 고정홀(32) 입구부 모서리에 경사면(32a)을 형성하여, 블레이드(24)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고정홀(32) 내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블레이드(24)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일부가 경사면(32a)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서 경화되도록하여 차단막(32b)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차단막(32b)에 의해 고정홀(32) 내부로 물이나 수분 또는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수공에 사용하는 톱, 줄, 끌, 송곳 등 수공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또는 호미, 곡괭이, 낫, 삽, 갈퀴 등 소농기구의 손잡이 연결구조에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결합상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소도구의 분리상태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도구와 연결가드 및 손잡이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주방도구 11:몸체
12:슴베 13:후단부
20:연결가드 21:몸체
22:결합홀 22a:경사면
22b:차단막 23:받침요홈
24:블레이드 25:스페이스
30:손잡이 31:몸체
32:고정홀 32a:경사면
32b:차단막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몸체(11) 후단부(13)에 슴베(12)가 일체로 형성된 주방도구(10)와; 상반부 내측에 상기 슴베(12)가 끼움되는 결합홀(22)이 형성되고, 후단면에는 상기 결합홀(22)의 좌우측으로 블레이드(24)가 서로 마주보며 돌출형성되어 스페이스(25)를 형성한 연결가드(20) 및; 몸체(31) 전단부 내측에 상기 블레이드(24) 및 슴베(12)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홀(32)을 형성한 손잡이(30)로 이루어지는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드(20)의 결합홀(22) 내측면 및 블레이드(24) 일측면과 맞닿이는 슴베(12)의 표면과, 상기 손잡이(30)의 고정홀(32) 내측면과 맞닿이는 블레이드(24)의 표면에 불용성과 내열성을 갖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접착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가드(20)의 결합홀(22) 입구부 모서리에 경사면(22a)을 형성하여 상기 슴베(12)의 삽입과정에서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서 경화되어 차단막(22b)이 형성되도록함으로써 상기 결합홀(22) 내부로 물이나 수분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의 고정홀(32) 입구부 모서리에 경사면(32a)을 형성하여 상기 블레이드(24)의 삽입과정에서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서 경화되어 차단막(32b)이 형성되도록함으로써 상기 고정홀(32) 내부로 물이나 수분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KR2020080005185U 2008-04-19 2008-04-19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KR200442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185U KR200442356Y1 (ko) 2008-04-19 2008-04-19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185U KR200442356Y1 (ko) 2008-04-19 2008-04-19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356Y1 true KR200442356Y1 (ko) 2008-10-31

Family

ID=4164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185U KR200442356Y1 (ko) 2008-04-19 2008-04-19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3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1353A (en) Implement having a thermoplastic handle molded over an intermediate portion of a working head
CN103442857A (zh) 用于手工工具的手柄保护件
RU2720395C2 (ru) Ручка для кухонной емкост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к такой емкости
KR101942309B1 (ko) 탄성 날붙이류 손잡이
KR200442356Y1 (ko) 주방용 소도구의 손잡이 연결구조
JP6553352B2 (ja) 天板構造とその製造方法
KR200415048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US6601306B1 (en) Tool and connection therefor between working portion and handle portion thereof
KR100763507B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부 고정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37870Y1 (ko) 음식용구 손잡이
JP3485824B2 (ja) 庖丁の刃体と柄の結合方法
CN217158017U (zh) 长型按键装置
KR200343538Y1 (ko) 음식용구 손잡이 결합구
EP0127780B1 (en) An improved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0413451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KR200435176Y1 (ko) 손잡이의 무늬 형성구조를 개량한 주방 및 음식용구
KR200418994Y1 (ko) 음식용구 손잡이
JPS5828787Y2 (ja) 調理用具等の柄
JP2007152476A (ja) 調理用具類の柄
KR102033446B1 (ko) 강성을 보강시킨 삽자루
KR20200121980A (ko) 플라스틱 주방기기 손잡이 조성방법
KR200441589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200263629Y1 (ko) 씽크대 상판의 조립구조
KR20100003401U (ko) 조립식 주방도구
KR200398481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