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196Y1 -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 Google Patents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196Y1
KR200442196Y1 KR2020070017264U KR20070017264U KR200442196Y1 KR 200442196 Y1 KR200442196 Y1 KR 200442196Y1 KR 2020070017264 U KR2020070017264 U KR 2020070017264U KR 20070017264 U KR20070017264 U KR 20070017264U KR 200442196 Y1 KR200442196 Y1 KR 200442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atient
holder
receiving pocke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078U (ko
Inventor
이희성
Original Assignee
이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성 filed Critical 이희성
Priority to KR2020070017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19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0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1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45Patients' garments for the upp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거액 등의 각종 주사액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자유로운 거동이 가능한 환자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복 상의의 몸통부는 전면판의 일측에 가늘고 긴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거치대수용포켓이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되 상기 거치대수용포켓은 몸통부의 전면판 하부에서 겨드랑이 높이까지 수직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내측에 주사액거치대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액거치대는 몸통부보다 긴 막대형상으로 상단부에는 거치고리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주사액거치대의 하부쪽 1/2 ~ 2/3가 거치대수용포켓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주사액거치대를 꽂고 환자가 거동시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인체의 심장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거치고리가 위치되어 통상의 병이나 팩에 담긴 주사액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환자복 상의, 몸통부, 거치대수용포켓, 주사액거치대, 주사액수용포켓

Description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A patient shirt which is able to hang an injection}
본 고안은 링거액 등의 각종 주사액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자유로운 거동이 가능한 환자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복 상의의 몸통부는 전면판의 일측에 가늘고 긴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거치대수용포켓이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되 상기 거치대수용포켓은 몸통부의 전면판 하부에서 겨드랑이 높이까지 수직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내측에 주사액거치대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액거치대는 몸통부보다 긴 막대형상으로 상단부에는 거치고리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주사액거치대의 하부쪽 1/2 ~ 2/3가 거치대수용포켓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주사액거치대를 꽂고 환자가 거동시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인체의 심장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거치고리가 위치되어 통상의 병이나 팩에 담긴 주사액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원환자에게 장시간 주입을 요하는 링거액 등의 각종 주사액을 주사하는 경우에는 병이나 팩(pack)에 담긴 주사액을 별도의 수직거치대에 매달아 환자에게 주사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수직거치대는 통상적으로 환자의 키보다 긴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둥에는 상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주사액용기를 걸어놓은 상태에서 주사액이 환자에게 주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 환자가 거동시에는 직접 상기 수직거치대를 손으로 직접 밀어 이동시키거나 또는 간호사나 간병인이 동행하면서 주사액이 거치된 수직거치대를 이동시키면서 주사액이 환자에게 계속적으로 주사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주사액의 주입을 위해 별도의 수직거치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환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수직거치대를 이동시키면서 환자 자신도 이동해야하므로 거동에 불편함이 많아 대부분 환자를 보호하는 간호사나 간병인이 함께 동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1998-0008250호에서는 환자의 어깨에 걸 수 있는 어깨걸이를 구비한 견착구와, 주사액용기를 걸어놓는 현수봉과, 환자의 몸체에 고정시키는 벨트로 구성된 견착식 주사액용기 현수장치가 개시되었고,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1999-0014839호에서는 링겔착용대에 있어서, 상단부에 링겔 주사액 팩걸이를 구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그 양단에 형성된 버 클수단에 의하여 환자의 가슴을 감싸 둘러서 환자의 몸에 고정시키는 가슴 고정대와, 상기 가슴고정대와 지지대를 고정하는 어깨 밴드부로 이루어진 보행용 링겔 착용대가 개시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모두 환자복 상의 위에 견착구나 가슴고정대와 벨트 등이 구비된 소정의 착용구를 별도로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착용구에 구비된 수직의 긴 현수봉 또는 지지대에 주사액을 걸은 다음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소정의 착용구를 이동시 마다 별도로 착용하기가 더욱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이동후 침상에 눕거나 기댈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착용구를 벗고 거치된 주사액을 별도의 수직거치대에 걸어 놓아야만 환자가 편안히 눕거나 자세의 변경이 가능하여 환자의 행동이 매우 제한적이고 상기와 같은 착용구를 입거나 벗는 것이 수직거치대를 끌고 다니는 것보다 더욱 불편하고 착용감이 크게 저하되어 환자들이 거의 착용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환자복 상의는 부드러운 면 등의 재질로 통상의 윗옷과 같은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환자의 체온유지를 위해 긴팔소매가 통상적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실제 이를 착용할 경우 환자에게 링거액 등의 각종 주사액을 주사하기 위하여는 환자복 상의를 전부 탈의한 상태에서 링거액 등의 주사바늘을 팔에 꽂아 주사하거나 또는 긴팔소매를 걷어올린 상태에서 소매속으로 주사바늘 주사해야만 하므로 환자복 상의를 탈의하거나 주사바늘을 꽂기가 매우 불편하고 환자가 주사바늘을 꽂은 상태에서 이동하거나 움직이는 경우에는 소매가 흘러내려 주사바늘을 꽂은 부분이 오염되거나 심지어는 소매에 걸려 주사바늘이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거나 벗는 것 뿐 아니라 착용시에도 불편한 별도의 착용구를 착용하지 않고 단순히 환자복 상의만 입고도 상기 환자복 상의에 주사액의 거치가 직접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의 이동시 간편하게 주사액을 거치하여 주사되도록 할 수 있고 침상에 누울 경우에도 상기 주사액이 간단하게 탈착되어 환자가 번거롭지 않고 간호사나 간병인의 도움없이 손쉽게 주사액을 거치하여 이동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환자복 상의에 주사액이 거치된 상태에서 환자복 상의의 소매를 걷지 않고 소매에 형성된 지퍼부 또는 개폐부덮개를 통해 주사액의 주사바늘을 용이하게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복 상의의 몸통부는 전면판의 일측에 가늘고 긴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거치대수용포켓이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되 상기 거치대수용포켓은 몸통부의 전면판 하부에서 겨드랑이 높이까지 수직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내측에 주사액거치대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액거치대는 몸통부보다 긴 막대형상으로 상단부에는 거치고리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주사액거치대의 하부쪽 1/2 ~ 2/3가 거치대수용포켓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주사액거치대를 꽂고 거동시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 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인체의 심장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거치고리가 위치되어 통상의 병이나 팩에 담긴 주사액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환자복 상의의 몸통부는 전면판의 일측 어깨부분에 내부에 통상의 팩에 담긴 주사액이 수용되는 주사액수용포켓이 부착되어 있되 상기 주사액수용포켓은 인체의 심장부분보다 상부쪽에 위치되며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타측은 "ㄴ"자형상의 봉제부가 형성되어 몸통부의 전면판에 일체로 봉제되어 있고 일측의 상하 모서리부분에는 각각 암,수벨크로테잎이 고정부착되어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주사액수용포켓을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에 주사액을 넣고 암,수벨크로테잎으로 고정하여 주사액이 주사액수용포켓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주사액의 공급관은 봉제부와 하부쪽 암,수벨크로테잎 사이 또는 상하 암,수벨크로테잎 사이를 통해 환자의 팔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입거나 벗는 것 뿐 아니라 착용시에도 불편한 별도의 착용구를 착용하지 않고 단순히 환자복 상의만 입고도 상기 환자복 상의에 주사액의 거치가 직접 이루어질 수 있어 환자의 이동시 간편하게 주사액을 거치하여 주사되도록 할 수 있고, 침상에 누울 경우에도 상기 주사액이 간단하게 환자복 상의로부터 탈착되어 환자가 번거롭지 않고 간호사나 간병인의 도움없이 손쉽게 주사액을 거치하여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환자복 상의에 주사액이 거치된 상태에서 환자복 상의의 소매를 걷지 않고 소매에 형성된 지퍼부 또는 개폐부덮개를 통해 주사액의 주사바늘을 용이하게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주사액의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1)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면 등의 천재질로 되어 있고 환자가 통상적인 상의로 착용할 수 있도록 몸통부(2)의 양측에는 각각 긴팔 소매(3a)(3b)가 구비되어 있는 있으며, 상기 환자복 상의(1)의 몸통부(2)는 전면판(4)의 일측에 가늘고 긴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거치대수용포켓(5)이 수직으로 봉제(縫製)된 상태로 일체로 부착되어 있되 상기 거치대수용포켓(5)은 몸통부(2)의 전면판(4) 하부에서 겨드랑이 높이까지 수직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상부쪽에서 내측으로 주사액거치대(6)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사액거치대(6)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보다 긴 막대형상으로 상단부에는 거치고리(7)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주사액거치대(6)의 하부 쪽 1/2 ~ 2/3가 거치대수용포켓(5) 내측에 부합되어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주사액거치대(6)를 거치대수용포켓(5)에 꽂은 상태에서 환자가 거동시에도 주사액거치대(6)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주사액거치대(6)의 상부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인체의 심장부분보다 높은 위치로 위치되며 그 상단부의 거치고리(7)에는 통상의 병이나 팩(pack)에 담긴 주사액(8)의 거치용끈(9)이 걸림체결되어 거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주사액(8)을 주사중인 환자가 거동할 경우에는 간단하게 주사액거치대(6)를 거치대수용포켓(5)에 꽂고 병이나 팩에 담긴 주사액(8)을 거치고리(7)에 걸어 거치가 완료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환자가 침상에 눕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액거치대(6)를 거치대수용포켓(5)에서 빼내어 세워두거나 또는 주사액(8)의 거치용끈(9)을 통상의 수직거치대(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두기만 하면 간편하게 계속적으로 주사액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환자복 상의(1)의 몸통부(2)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4)의 일측 어깨부분에 통상의 팩(pack)에 담긴 주사액(8)이 내부에 수용되는 주사액수용포켓(10)이 부착되어 있되 상기 주사액수용포켓(10)은 인체의 심장부분보다 상부쪽에 위치되며 하부는 일부가 막혀있고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타측은 "ㄴ"자형상의 봉제부(11)가 형성되어 몸통부(2)의 전면판(4)에 일체로 봉제(縫製)되어 있으며 일측의 상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주사액 수용포켓(10)의 내측면에는 각각 암벨크로테잎(12a)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암벨크로테잎(12a)과 부합되는 위치의 몸통부(2)의 전면판(4)에는 각각 수벨크로테잎(13a)이 고정부착되어 상기 암,수벨크로테잎(12a)(13a)에 의해 주사액수용포켓(10)의 일측이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주사액수용포켓(10)의 일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에 주사액(8)을 넣고 암,수벨크로테잎(12a)(13a)으로 고정하여 주사액수용포켓(10)의 내부에 주사액(8)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액(8)으로부터의 공급관(14)은 봉제부(11)와 하부쪽 암,수벨크로테잎(12a)(13a) 사이 또는 상하에 위치된 암,수벨크로테잎(12a)(13a) 사이를 통해 환자의 팔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환자복 상의(1)는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소매(3a)부분에 암,수벨크로테잎(12b)(13b)에 의해 착탈되는 개폐부덮개(15)가 구비되어 있어 주사액(8)이 몸통부(2)의 전면판(4) 일측에 구비된 상기 주사액거치대(6) 또는 주사액수용포켓(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소매(3a)를 걷지 않고 상기 소매(3a)에 형성된 개폐부덮개(15)를 개방하여 주사액(8)의 주사바늘(16)을 용이하게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개폐부덮개(15)는 사각형의 천으로 되어 있고 소매(3a)의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개방부(17)를 덮고 있으며 상단부는 개방부(17)의 상단부와 일체로 봉제되어 있고 개폐부덮개(15)의 내측면 둘레에는 다수개의 암벨크로테잎(12b)이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17)의 외측면 둘레에는 다수개의 수벨크로테잎(13b)이 상기 암벨크로테잎(12b)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개폐부덮개(15)가 용이하게 개폐되면서 개방부(17)를 통해 주사액(8)의 주사바늘(16)을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환자복 상의(1)는 타측 소매(3b)부분에 소매(3b)의 가운데부분을 따라 소매(3b)의 하부에서 어깨부분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통상의 슬라이드파스너에 의해 개폐되는 지퍼부(1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퍼부(18)로 소매(3b)부분의 가운데부분을 개방하여 팔의 혈압 등을 재거나 또는 팔이 부러지거나 다친 환자의 경우에는 지퍼부(18)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한쪽 팔을 외측으로 뺀 상태에서 깁스(Gips)용 붕대를 목에 걸어 소매를 접거나 잘라내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 상의에 주사액거치대가 결합되는 상태의 정면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 상의에 주사액거치대가 결합되고 주사액이 거치된 상태의 정면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환자복 상의에 주사액수용포켓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환자복 상의에 형성된 주사액수용포켓에 팩에 담긴 주사액이 수용되는 상태의 정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환자복 상의 2. 몸통부
3a, 3b. 소매 4. 전면판
5. 거치대수용포켓 6. 주사액거치대
7. 거치고리 8. 주사액
9. 거치용끈 10. 주사액수용포켓
11. 봉제부 12a, 12b. 암벨크로테잎
13a, 13b. 수벨크로테잎 14. 공급관
15. 개폐부덮개 16. 주사바늘
17. 개방부 18. 지퍼부

Claims (4)

  1. 몸통부의 양측에 각각 긴팔 소매가 구비되어 있는 환자복 상의에 있어서, 상기 환자복 상의(1)의 몸통부(2)는 전면판(4)의 일측에 가늘고 긴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거치대수용포켓(5)이 수직으로 봉제된 상태로 일체로 부착되어 있되 상기 거치대수용포켓(5)은 몸통부(2)의 전면판(4) 하부에서 겨드랑이 높이까지 수직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상부쪽에서 내측으로 주사액거치대(6)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주사액거치대(6)는 몸통부(2)보다 긴 막대형상으로 상단부에는 거치고리(7)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주사액거치대(6)의 하부쪽 1/2 ~ 2/3가 거치대수용포켓(5) 내측에 부합되어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주사액거치대(6)를 거치대수용포켓(5)에 꽂은 상태에서 환자가 거동시에도 주사액거치대(6)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주사액거치대(6)의 상부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인체의 심장부분보다 높은 위치로 위치되며 그 상단부의 거치고리(7)에는 통상의 병이나 팩에 담긴 주사액(8)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2. 몸통부의 양측에 각각 긴팔 소매가 구비되어 있는 환자복 상의에 있어서, 환자복 상의(1)의 몸통부(2)는 전면판(4)의 일측 어깨부분에 통상의 팩에 담긴 주사액(8)이 내부에 수용되는 주사액수용포켓(10)이 부착되어 있되 상기 주사액수용포 켓(10)은 인체의 심장부분보다 상부쪽에 위치되며 하부는 일부가 막혀있고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타측은 "ㄴ"자형상의 봉제부(11)가 형성되어 몸통부(2)의 전면판(4)에 일체로 봉제되어 있으며 일측의 상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주사액수용포켓(10)의 내측면에는 각각 암벨크로테잎(12a)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암벨크로테잎(12a)과 부합되는 위치의 몸통부(2)의 전면판(4)에는 각각 수벨크로테잎(13a)이 고정부착되어 상기 암,수벨크로테잎(12a)(13a)에 의해 주사액수용포켓(10)의 일측이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주사액수용포켓(10)의 일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에 주사액(8)을 넣고 암,수벨크로테잎(12a)(13a)으로 고정하여 주사액수용포켓(10)의 내부에 주사액(8)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복 상의(1)는 일측 소매(3a)부분에 암,수벨크로테잎(12b)(13b)에 의해 착탈되는 개폐부덮개(15)가 구비되어 있어 주사액(8)이 몸통부(2)의 전면판(4) 일측에 구비된 주사액거치대(6) 또는 주사액수용포켓(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소매(3a)를 걷지 않고 상기 소매(3a)에 형성된 개폐부덮개(15)를 개방하여 주사액(8)의 주사바늘(16)을 용이하게 환자에게 주사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개폐부덮개(15)는 사각형의 천으로 되어 있고 소매(3a)의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개방부(17)를 덮고 있으며 상단부는 개방부(17)의 상단부와 일체로 봉제되어 있고 개폐부덮개(15)의 내측면 둘레에는 다수개의 암벨크로테잎(12b)이 고 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17)의 외측면 둘레에는 다수개의 수벨크로테잎(13b)이 상기 암벨크로테잎(12b)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개폐부덮개(15)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복 상의(1)는 타측 소매(3b)부분에 소매(3b)의 가운데부분을 따라 소매(3b)의 하부에서 어깨부분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통상의 슬라이드파스너에 의해 개폐되는 지퍼부(1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퍼부(18)로 소매(3b)부분의 가운데부분을 개방하여 팔의 혈압을 재거나 또는 다친 팔을 외측으로 뺀 상태에서 치료하도록 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KR2020070017264U 2007-10-25 2007-10-25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KR200442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64U KR200442196Y1 (ko) 2007-10-25 2007-10-25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64U KR200442196Y1 (ko) 2007-10-25 2007-10-25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78U KR20080000078U (ko) 2008-01-21
KR200442196Y1 true KR200442196Y1 (ko) 2008-10-16

Family

ID=4164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264U KR200442196Y1 (ko) 2007-10-25 2007-10-25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1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36Y1 (ko) * 2012-06-14 2014-01-22 전창곤 링거 휴대 및 지지 고정용 재킷
KR200481476Y1 (ko) * 2014-06-26 2016-10-07 최재주 의료용 수액 백의 거치장치
CN104489971A (zh) * 2014-12-19 2015-04-08 王静静 一种护理服
WO2022251252A1 (en) * 2021-05-24 2022-12-01 Cassandra Gray Garment for patients receiving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78U (ko)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8062A (en) Intravenous catheter holder
US6206854B1 (en) Catheter garment
KR200442196Y1 (ko) 주사액 거치가 가능한 환자복 상의
US20140215763A1 (en) Apparel with Article Holding Loop
US20220378122A1 (en) Garment for assisting holding an infant
US20190000157A1 (en) Childcare and Personal Wellness Garment
CN208837141U (zh) 一种动静脉内瘘术后抬肢专用病服
JP4492950B2 (ja) 医療チューブ固定装置及び医療チューブ保護用手袋
CN203790117U (zh) 一种乳腺癌患者术后手臂吊带
JP6887159B2 (ja) 作業用衣服
CN203777382U (zh) 便携式多功能引流袋固定装置
JP3221674U (ja) 点滴容器保持衣
CN205659180U (zh) 一种引流袋收纳包
JP3016986U (ja) 点滴薬剤容器ホルダー帽子
US20060289592A1 (en) Infant care apron
CN212488654U (zh) 一种多功能病员服
CN204888792U (zh) 一种托颈袋及使用该托颈袋的保暖外褂
JP7235833B1 (ja) 消毒液ボトル携帯機能付き医療用上着
CN104687928B (zh) 组合式保健枕
CN210248873U (zh) 一种携带微型医疗器械的腰包
CN217286257U (zh) 一种保温约束手套
CN214630135U (zh) 马甲
CN214283466U (zh) 一种用于放置引流袋的病号服
CN214630137U (zh) 一种方便患者活动的病员服
CN212488630U (zh) 一种病号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