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025Y1 -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025Y1
KR200442025Y1 KR2020080003399U KR20080003399U KR200442025Y1 KR 200442025 Y1 KR200442025 Y1 KR 200442025Y1 KR 2020080003399 U KR2020080003399 U KR 2020080003399U KR 20080003399 U KR20080003399 U KR 20080003399U KR 200442025 Y1 KR200442025 Y1 KR 200442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belt
opening
presen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만
Original Assignee
조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종만 filed Critical 조종만
Priority to KR2020080003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32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88Lamellar or like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는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풀리, 벨트, 지지선 등을 이용하여 커튼을 상하로 이동시키며, 벨트 고정돌기 및 스위치에 의하여 커튼의 닫힘을 제한하고, 벨트 고정선 및 스위치에 의하여 커튼의 열림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수개의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1 개의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여러 개 설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되거나, 동시에 커튼을 개폐하는 스위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버스 등의 자동차에서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획기적으로 도와주고, 복수의 커튼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커튼을 열고 닫는 효과가 있다.
커튼 자동 개폐 장치, 상하, 자동차, 스위치.

Description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Automatically in the Up-and-down}
본 고안은 커튼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상하 방향으로 커튼을 자동으로 열고 닫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튼은 차양 및 장식 효과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집, 사무실, 자동차 등에 사용되며, 보통 수동으로 커튼을 열고 닫게 된다. 하지만, 요즘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1994-7556호 "커텐자동 개폐장치"에서는 정역 모터의 작동으로 커튼을 좌우로 왕복하면서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좌우의 커튼이 동시에 대칭으로만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스 등의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튼의 경우, 커튼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경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위하여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커튼을 닫거나, 시야 확보를 위하여 커튼을 열어야 할 필요성이 대단히 크고, 운전 중에 빈 좌석의 창문의 커튼을 선택적으로 열고 닫아야 할 경우도 대단히 많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술한 종래의 자동 개폐 장치 및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튼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자동차의 안전 운행을 도와 주는 커튼 자동 개폐 장치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스 등의 자동차에서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획기적으로 도와주는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커튼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커튼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는, 복수개의 커튼 고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양단 각각에 달려 있는 커튼; 상기 커튼의 열림 제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벨트 고정선 및 커튼의 닫힘 제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벨트 고정돌기가 설치된 벨트; 상기 열림 제한 스위치 및 상기 닫힘 제한 스위치의 작동으로 공급 전원을 온/오프 스위칭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커튼의 좌우 양단의 상부와 하부 근처에 각각 상부 및 하부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벨트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는 한쌍의 풀리(pulley); 및 상기 커튼의 좌우 양단 근처에 상하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커튼 고리가 각각 연결된 지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풀리는 모터의 기어부와 연결되어 스위칭이 가능한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직접 회전하고, 상기 복수개의 커튼 고리 중 최상단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커튼 고리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선 또는 상기 상부 지지대에 고정되고, 그 외의 커튼 고리는 지지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최하단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커튼 고리는 커튼고리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벨트의 이동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수개의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1 개의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되거나, 동시에 커튼을 개폐하는 스위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버스 등의 자동차에서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획기적으로 도와주고, 복수의 커튼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커튼을 열고 닫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풀리, 벨트, 지지선 등을 이용하여 커튼을 상하로 이동시키며, 벨트 고정돌기에 의하여 커튼의 닫힘을 제한하고, 벨트 고정선에 의하여 커튼의 열림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자동 개폐 장치의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풀리(1)는 상하의 지지대(미도시)에 고정 설치되고, 1쌍의 풀리(1)가 1개의 벨트(2)와 맞물린다. 이때, 1쌍의 풀리(1) 및 1개의 벨트(2)는 커튼(4)의 좌우 양단 근처에 각각 설치된다.
나아가, 풀리(1)는 1 개 이상이 모터(미도시)의 기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스위칭이 가능한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직접 회전한다. 상기 모터의 기어부와 직접 결합되는 풀리(1)는 4 개의 풀리(1) 중 1 개 이상이 모터의 동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개의 모터가 사용되면서, 모터의 기어부와 직접 맞물린 풀리도 1 개일 수 있으며, 그 풀리(1)는 상하좌우 풀리 중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이때, 기어부에 맞물리지 않은 3개의 풀리(1)는 벨트(2)를 통하여 회전할 수 있는데, 기어부가 없는 쪽의 벨트(2)는 커튼 고리 고정부(42)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는 1 개의 모터가 사용되면서, 모터의 기어부는 좌우 양쪽 총 2개의 풀리(1)에 확장 연결될 수도 있고, 좌우 양쪽에 2 개의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 모터의 개수, 기어부와 확장 연결되는 풀리(1)의 개수, 4 개중 기어부와 직접 연결되는 풀리의 선택은 특별히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풀리(1)와 모터의 기어부의 연결 방법, 스위칭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하는 방법 자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커튼(4)의 좌우 양단 근처에는 상부 및 하부 지지대에 지지선(3)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선(3)에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모든 커튼 고리(41)가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커튼(4)에는 커튼(4)의 좌우 양단에 복수개의 커튼 고리(4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달려 있다. 이때, 복수개의 커튼 고리(41) 중 최상단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커튼 고리(41)는 고정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지지선(3)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그 외의 커튼 고리(41)는 지지선(3)을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최상단에 위치한 커튼 고리(41)는 지지선(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부 지지대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는 것으로,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 수단 및 고정 방법 자체는 통상의 기술에 해당한다. 또한, 최하단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커튼 고리(41)는 커튼고리 고정부(42)에 의하여 벨트(2)에 고정되고, 풀리(1) 및 벨트(2)가 회전할 때 벨트(2)에 붙어 있는 좌우 한쌍의 커튼 고리 고정부(42)가 상하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커튼(4)도 상하로 움직인다.
나아가, 본 고안의 커튼(4)은 하단에 무게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커튼(4)을 무겁게 함으로써, 커튼(4)의 상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게부는 무게를 가진 봉 형상의 막대가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커튼이 열리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부(5)를 켜면 모터와 그 기어부가 회전하고, 기어부에 맞물린 풀리(1)가 회전한다. 그러면, 기어부에 직접 맞물리지 않은 풀리(1) 및/또는 좌우 벨트(2)가 회전하면서, 벨트(2)에 고정된 좌우 커튼고리 고정부(42)가 아래서 위로 이동한다. 최하단의 커튼 고정부(42)가 위로 이동함에 따라, 그 고정부(42) 및 커튼 고리(41)에 연결된 커튼(4)의 하단부가 위로 올라가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커튼(4)은 위로 올라가서 커튼(4)이 거의 열렸을 때, 자동으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자동 개폐 장치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커튼이 열리다가 정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커튼(4)의 열림을 제한하는 스위치(51)와 벨트 고정선(21)의 작동에 의하여 커튼(4)이 정지한다. 벨트 고정선(21)의 일단은 벨트(2)의 일정부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은 열림 제한 스위치(51)에 고정되어 있다. 벨트(2)의 하단부에 고정된 고정선(21)이 벨트(2)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함께 올라가고, 일정한 길이의 고정선(21)이 팽팽해지면 열림 제한 스위치(51)을 위로 당겨서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고정선(21)의 길이는 커튼(4)이 모두 열렸을 때 고정선(21)이 팽팽해지도록 조절한다. 상기 열림 제한 스위치(51)에 의하여 모터의 작동이 중지되는 방법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커튼이 닫히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부(5)를 켜면 모터가 회전하는데, 회전 방향은 커튼(4)이 열릴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고, 이러한 모터 자체는 공지의 제품이다. 모터의 기어부, 풀리(1), 벨트(2)의 회전에 의하여 커튼 고리 고정부(42) 한 쌍이 아래로 내려오며, 그에 따라 커튼 고리(41)에 연결된 커튼(4)이 닫힌다.
본 고안에 따른 커튼(4)은 아래로 내려와서 커튼(4)이 거의 닫혔을 때, 자동으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자동 개폐 장치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커튼이 닫히다가 정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커튼(4)의 닫힘을 제한하는 스위치(52)와 벨트 고정돌기(22)의 작동에 의하여 커튼(4)이 정지한다. 벨트 고정 돌기(22)는 벨트(2)의 일정부에 고정되어 있다. 커튼(4)이 열렸을 때, 고정 돌기(22)는 벨트(2)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커튼(4)이 닫힘에 따라 동시에 내려온다. 커튼(4)이 거의 닫혔을 때, 고정 돌기(22)가 닫힘 제한 스위치(52)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부(5)의 작동에 의하여 모터가 정지한다. 닫힘 제한 스위치(52)에 의하여 모터의 작동이 중지되는 방법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고정돌기(22), 고정선(21), 스위치부(5), 열림 및 닫힘 제한 스위치(51, 52), 및 커튼 고리 고정부(42)의 설치 위치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구체예로서,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1 개의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개폐 장치가 버스 등의 자동차의 창문부의 안쪽에 좌우 방향으로 여러 개의 커튼 자동 개폐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설치된 여러 개의 커튼 자동 개폐 장치들은 각각 해당하는 스위치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위치에 의하여 여러 개의 커튼이 동시에 열리고 닫힐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여러 개의 개폐 장치를 물리적으로 고정 설치하는 방법, 전기적 회로 설치에 의하여 물품을 독립적으로 스위칭하거나, 동시에 동일하게 스위칭하는 방법 자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따른 복수개의 자동 개폐 장치를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 운전자가 승객의 탑승과 무관하게 스위칭을 이용하여 직접 여러 개의 커튼을 운전 자가 원하는 대로 개폐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획기적으로 보조한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자동 개폐 장치의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자동 개폐 장치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커튼이 열리다가 정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자동 개폐 장치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커튼이 닫히다가 정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풀리(pulley) 2: 벨트
3: 지지선 4: 커튼
5: 스위치부
21: 벨트 고정선 22: 벨트 고정돌기
41: 커튼 고리 42: 커튼고리 고정부
51: 열림 제한 스위치 52: 닫힘 제한 스위치

Claims (4)

  1. 복수개의 커튼 고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양단 각각에 달려 있는 커튼;
    상기 커튼의 열림 제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벨트 고정선 및 커튼의 닫힘 제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벨트 고정돌기가 설치된 벨트;
    상기 열림 제한 스위치 및 상기 닫힘 제한 스위치의 작동으로 공급 전원을 온/오프 스위칭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커튼의 좌우 양단의 상부와 하부 근처에 각각 상부 및 하부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벨트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는 한쌍의 풀리(pulley); 및
    상기 커튼의 좌우 양단 근처에 상하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커튼 고리가 각각 연결된 지지선;
    을 포함하고, 상기 풀리는 모터의 기어부와 연결되어 스위칭이 가능한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직접 회전하고, 상기 복수개의 커튼 고리 중 최상단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커튼 고리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선 또는 상기 상부 지지대에 고정되고, 그 외의 커튼 고리는 지지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최하단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커튼 고리는 커튼고리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벨트의 이동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의 하단부는 무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3. 제1항에 따른 상기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스위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4. 제1항에 따른 상기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동시에 커튼을 개폐하는 스위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KR2020080003399U 2008-03-14 2008-03-14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KR200442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99U KR200442025Y1 (ko) 2008-03-14 2008-03-14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99U KR200442025Y1 (ko) 2008-03-14 2008-03-14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025Y1 true KR200442025Y1 (ko) 2008-09-30

Family

ID=4164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399U KR200442025Y1 (ko) 2008-03-14 2008-03-14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0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861B1 (ko) * 2016-11-24 2018-03-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하는 필터의 자동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861B1 (ko) * 2016-11-24 2018-03-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하는 필터의 자동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025Y1 (ko) 커튼 상하 방향 자동 개폐 장치
KR101992065B1 (ko) 탑차의 측면 도어 자동 오픈 및 폐쇄장치
CN201031317Y (zh) 自动晾衣架
CN109339536A (zh) 电动汽车无线充电发射器用升降式安全防护栏
CN209228161U (zh) 电动汽车无线充电发射器用升降式安全防护栏
KR20120119281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N109717709A (zh) 一种垂直升降智能窗帘
CN202152585U (zh) 单机推杆式电动开窗机窗户
CN106608162B (zh) 用于车辆的电动门帘
CN204774965U (zh) 汽车电动踏板
CN204726325U (zh) 一种车门踏步补平装置及使用该装置的车辆
CN209817719U (zh) 一种新型轻体汽车玻璃升降器
CN202731696U (zh) 汽车电动遮阳帘
CN210810188U (zh) 一种用于产品推销的展示柜
EP3069943B1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washing vehicle wheels
KR101488344B1 (ko) 창문 리프트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CN208551025U (zh) 一种自由安装的智能窗帘
CN2526310Y (zh) 一种叉剪式电动升降吊架
KR101180883B1 (ko) 상하, 좌우, 전동식 무대 모형막
KR200217970Y1 (ko) 차량용 차양장치
CN218500454U (zh) 一种车用电动遮阳窗帘
CN217022160U (zh) 一种安装于汽车车顶的便携式全自动遮阳伞
CN208544094U (zh) 一种多功能车载遮阳帘
CN210428840U (zh) 一种新型交通信号灯装置
KR100844420B1 (ko) 중대형차량의 전동식 선바이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