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760Y1 - 슬립기어유닛 - Google Patents

슬립기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760Y1
KR200441760Y1 KR2020070019904U KR20070019904U KR200441760Y1 KR 200441760 Y1 KR200441760 Y1 KR 200441760Y1 KR 2020070019904 U KR2020070019904 U KR 2020070019904U KR 20070019904 U KR20070019904 U KR 20070019904U KR 200441760 Y1 KR200441760 Y1 KR 200441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put
friction member
output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운
백오현
Original Assignee
(주)다사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사로봇 filed Critical (주)다사로봇
Priority to KR2020070019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4Construction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립기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은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입력단기어; 상기 입력단기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입력단기어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출력단기어와, 상기 출력단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입력단기어의 측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입력단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단기어를 상기 마찰부재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입력단기어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기어와 상기 마찰부재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회전구동력이 상기 입력단기어에 전달되면 상기 출력단기어는 상기 입력단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입력단기어와 상기 마찰부재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회전구동력이 상기 입력단기어에 전달되면 상기 출력단기어는 상기 입력단기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립기어유닛{Slip gear unit}
본 고안은 슬립기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된 값 이상의 회전구동력이 입력부로 전달되면 그 회전구동력이 출력부로 전달되지 않는 슬립기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2개의 다리 또는 4개의 다리를 구비한 인간 형상의 각식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각식 로봇들은 다수 개의 관절을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로서 각종 모터가 사용되고, 이러한 모터의 회전구동력은 다수 개의 기어를 구비한 기어박스를 통하여 각각의 관절에 전달된다.
이러한 각식 로봇은 보행시 예상치 못한 장애물과 충돌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각식 로봇의 다리를 꺾는다든지 각식 로봇을 높은 곳에서 지면으로 떨어뜨린다든지 등 각식 로봇에 과도한 힘을 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일들은 구동장치인 모터 및 동력전달장치인 기어박스의 파손이나 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외력으로부터 로봇의 구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기어박스를 구성하는 기어의 치차를 크게 하거나 재료 강도를 높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기어박스에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러 나, 이러한 조치들로 인해 기어박스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어박스의 치차를 크게 하고 재료 강도를 높이게 되면, 작동되는 로봇의 관절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압착될 경우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상이 되면 입력부로부터 출력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과도한 외력으로부터 기어박스 자체뿐만 아니라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며,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슬립기어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슬립기어유닛은,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입력단기어; 상기 입력단기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입력단기어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출력단기어와, 상기 출력단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입력단기어의 측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단기어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출력부에 결합되며, 상기 입력단기어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입력단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단기어를 상기 마찰부재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입력단기어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기어와 상기 마찰부재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회전구동력이 상기 입력단기어에 전달되면 상기 출력단기어는 상기 입력단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입력단기어와 상기 마찰부재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회전구동력이 상기 입력단기어에 전달되면 상기 출력단기어는 상기 입력단기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단기어와 상기 마찰부재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요철 형상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1요철부; 및 상기 함몰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마찰부재에 형성되며, 다수의 요철 형상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2요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입력단기어가 상기 마찰부재 측으로 탄성 가압되어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출력부에 나사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부재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연장축부에 나사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스프링(wave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기어유닛.
본 고안에 따르면,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상이 되면 입력부로부터 출력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과도한 외력으로부터 기어박스 자체뿐만 아니라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기어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입력단기어의 함몰부에 마찰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입력단기어와 마찰부재가 용이하게 다시 맞물릴 수 있고,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슬립기어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작동 중인 각식 로봇의 관절 사이에 압착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슬립기어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베이스부재와 마찰부재 사이의 마찰력이 조정 가능하여 입력단기어와 출력단기어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구동력의 한계값을 조정할 수 있는 슬립기어유닛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슬립기어유닛이 적용된 각식 로봇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각식 로봇은 본 고안인 슬립기어유닛이 내장되며 4개의 다리를 구비하고 있는 애완용 로봇으로서, 로봇 몸체, 머리부 유닛, 꼬리부 유닛, 및 다리관절 유닛으로 구성되고, 다리관절 유닛은 각각 3 개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슬립기어가 적용되는 부위는 어깨 기어박스(1), 상박 기어박스(2) 및 하박 기어박스(3)이다.
도 2는 도 1의 각식 로봇의 어깨 기어박스(1)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도 1 의 각식 로봇의 상박 기어박스(2) 또는 하박 기어박스(3)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기어박스(2)(3)를 구성하는 기어유닛들 가운데 하나가 슬립기어유닛(100)이다.
도 4는 도 2의 어깨 기어박스(1)에 적용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100)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도 3의 상박 기어박스(2) 또는 하박 기어박스(3)에 적용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100)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슬립기어유닛(10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슬립기어유닛(100)은 입력단기어(110), 출력부, 베이스부재(121) 및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단기어(110)는 구동장치인 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입력단기어(110)의 중앙 부위에는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후술할 마찰부재(130)와 밀착되는 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요철부(1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으로 배열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130)가 접촉되어 밀착되는 입력단기어(110)의 측면에는 마찰부재(130)를 수용할 수 있을 크기로 카운터보어(Counterbore) 가공된 함몰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요철부(112)는 마찰부재(130)를 마주보도록 함몰부(113)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출력부는 출력단기어(120)와 마찰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단기어(120)는 입력단기어(110)에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입력단기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마찰부재(130)는 출력단기어(120)에 결합되며 입력단기어(110)의 측면 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마찰부재(130)에서 상기 입력단기어(110)의 제1요철부(112)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1요철부(112)와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2요철부(131)가 형성되어 원형으로 배열되는데, 마찰부재(130)가 입력단기어(110)의 함몰부(113)에 삽입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제1요철부(112)와 제2요철부(131)가 맞물리게 되면 슬립기어유닛(100)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출력단기어(120)와 상기 마찰부재(130)는 입력단기어(11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111)를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21)는 상기 출력부에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단기어(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21)는 입력단기어(110)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결합되어 후술할 탄성부재(140)의 일단부를 탄성 지지하며, 입력단기어(110)는 탄성부재(140)의 타단부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베이스부재(121)와 입력단기어(110) 사이에 배치되어 입력단기어(110)를 마찰부재(13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로서 웨이브 스프링(wave spring)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40)가 입력단기어(110)을 마찰부재(13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입력단기어(110)의 제1요철부(112)와 마찰부재(130)의 제2요철부(131)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슬립기어유닛(100)의 작동원리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단기어(110)가 구동장치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면 제1요철부(112) 와 맞물린 제2요철부(131)를 통하여 마찰부재(130)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마찰부재(130)와 결합된 출력단기어(120)에 그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출력단기어(120)는 입력단기어(1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입력단기어(110)와 마찰부재(130)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회전구동력이 입력단기어(110)에 전달되면 입력단기어(110)와 마찰부재(130)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입력단기어(110)의 회전력은 출력단기어(120)측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단기어(110)와 마찰부재(130)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회전구동력이 입력단기어(110)에 전달되면, 입력단기어(110)가 출력단기어(120) 방향으로 밀려나고, 입력단기어(110)를 탄성 가압하고 있던 탄성부재(140)가 압축된다. 마찰부재(130)의 제2요철부(131)와 입력단기어(110)의 제1요철부(112)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입력단기어(110)와 마찰부재(130)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한다. 따라서, 입력단기어(110)는 출력단기어(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구동장치로부터 입력단기어(110)로 전달된 회전구동력은 출력단기어(120)로 전달되지 않는다.
만약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작동 중인 각식 로봇의 관절 사이에 압착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입력단기어(110)가 출력단기어(120) 방향으로 밀려나고, 입력단기어(110)를 탄성 가압하고 있던 탄성부재(140)가 압축되면서 입력단기어(110)의 제1요철부(112)가 마찰부재(130) 제2요철부(131)를 타고 넘어가는 슬립 현상이 발생되어 구동장치의 회전구동력이 각식 로봇의 관절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은, 입력단기어(110)로부터 출력단기어(120)로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입력단기어(110)로부터 출력단기어(120)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과도한 외력으로부터 기어박스 자체뿐만 아니라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단기어(110)의 함몰부(113)에 마찰부재(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제1요철부(112)와 제2요철부(131)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맞물려지는 상태로 복귀할 때 마찰부재(130)를 함몰부(113) 내부로 가이드하여 제1요철부(112)와 제2요철부(131)가 용이하게 다시 맞물릴 수 있도록 하고, 슬립기어유닛(100)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요철부(112)와 제2요철부(131)의 볼록부 높이 및 오목부의 깊이를 조정하여 입력단기어(110)와 마찰부재(13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입력단기어(110)와 출력단기어(12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회전구동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작동 중인 각식 로봇의 관절 사이에 압착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입력단기어(110)와 마찰부재(130) 사이에서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구동장치의 회전구동력이 각식 로봇의 관절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슬립기어유닛의 분해단면도이다.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벽체의 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슬립기어유닛(200)은 출력단기어(220)와 마찰부재(2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마찰부재(23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축부(240)가 형성되며 그 연장축부(240)의 단부에는 출력단기어(22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축부(240)에는 수나사부(2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재(221)는 도 4의 베이스부재(121)와 달리, 출력단기어(22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마련된다. 베이스부재(221)의 중앙부에는 암나사부(222)가 형성되며, 연장축부(240)의 수나사부(241)와 상기 암나사부(222)가 나사결합됨으로써 베이스부재(221)와 출력부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21)는 입력단기어(110)로부터 이격되게 출력부에 결합되며, 베이스부재(221)가 입력단기어(110)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조정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재(221)는 출력부 즉, 연장축부(24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을 따라 입력단기어(11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재(221)가 입력단기어(110)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입력단기어(110)와 출력단기어(22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구동력의 한계값을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221)가 입력단기어(110)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탄성부재(140)는 신장하고, 탄성부재(140)에 의해 입력단기어(110)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이 작아지고, 입력단기어(110)와 마찰부재(230)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입력단기어(110)와 출력단기어(22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구동력의 한계값은 작아지게 된다. 반면에, 베이스부재(221)가 입력단기어(110) 측으로 가까워지게 되면 탄성부재(140)는 압축되고, 탄성부재(140)에 의해 입력단기어(110)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이 커지고, 입력단기어(110)와 마찰부재(230) 사이의 마찰력이 커진다. 따라서, 입력단기어(110)와 출력단기어(22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구동력의 한계값은 커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은, 베이스부재(221)가 출력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탄성부재의 신장과 압축을 조정함으로써, 입력단기어와 출력단기어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구동력의 한계값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슬립기어유닛(200)에 있어서는 마찰부재, 연장축부 및 출력단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장축부와 베이스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구조이지만, 출력단기어와 마찰부재가 분리되어 형성되어 출력단기어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출력단기어와 베이스부재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슬립기어유닛(200)에 있어서는 베이스부재와 출력부가 나사결합되는 구조이지만, 가이드와 부싱을 이용하여 베이스부재가 출력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 고정시 셋스크류(set screw)를 이용하는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슬립기어유닛(100)(200)은 각식 로봇의 관절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기어의 조합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모든 기어박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도 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든 구동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용수단의 부가나 삭제, 공지기술의 전환, 수치한정, 단순한 설계변경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슬립기어유닛이 적용된 각식 로봇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각식 로봇의 어깨 기어박스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각식 로봇의 상박 기어박스 또는 하박 기어박스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2의 어깨 기어박스에 적용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3의 상박 기어박스 또는 하박 기어박스에 적용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슬립기어유닛의 분해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슬립기어유닛 110: 입력단기어
111: 중공부 112: 제1요철부
113: 함몰부 120: 출력단기어
130: 마찰부재 131: 제2요철부
140: 탄성부재

Claims (7)

  1.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입력단기어;
    상기 입력단기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입력단기어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출력단기어와, 상기 출력단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입력단기어의 측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단기어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출력부에 결합되며, 상기 입력단기어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입력단기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단기어를 상기 마찰부재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입력단기어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기어와 상기 마찰부재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회전구동력이 상기 입력단기어에 전달되면 상기 출력단기어는 상기 입력단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입력단기어와 상기 마찰부재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회전구동력이 상기 입력단기어에 전달되면 상기 출력단기어는 상기 입력단기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기어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기어와 상기 마찰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기어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요철 형상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1요철부; 및
    상기 함몰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마찰부재에 형성되며, 다수의 요철 형상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2요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입력단기어가 상기 마찰부재 측으로 탄성 가압되어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기어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출력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기어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연장축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기어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스프링(wave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기어유닛.
KR2020070019904U 2007-04-17 2007-12-11 슬립기어유닛 KR200441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904U KR200441760Y1 (ko) 2007-04-17 2007-12-11 슬립기어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427 2007-04-17
KR2020070019904U KR200441760Y1 (ko) 2007-04-17 2007-12-11 슬립기어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760Y1 true KR200441760Y1 (ko) 2008-09-05

Family

ID=4164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904U KR200441760Y1 (ko) 2007-04-17 2007-12-11 슬립기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125B1 (ko) 2009-01-09 2011-12-02 정경수 슬립기어유닛
KR101284560B1 (ko) * 2011-06-08 2013-07-11 (주)동부로봇 슬립 기어
KR101754978B1 (ko) * 2015-07-07 2017-07-06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125B1 (ko) 2009-01-09 2011-12-02 정경수 슬립기어유닛
KR101284560B1 (ko) * 2011-06-08 2013-07-11 (주)동부로봇 슬립 기어
KR101754978B1 (ko) * 2015-07-07 2017-07-06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2332B1 (en) Impact tool
EP1448343B1 (en) Electrically operated vibrating drill/driver
CN104246101B (zh) 转动扇叶驱动装置
KR200441760Y1 (ko) 슬립기어유닛
EP1384653A3 (en)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CN101018633A (zh) 具有功能性包覆模制件的机壳
CA2609437A1 (en) Articulated joint
WO2005023493A3 (en) Screwdriver with adjustable torque limiting clutch
JP5783847B2 (ja) 作業工具
IL277199B2 (en) Automatic grinder and grinding method using it
KR101634671B1 (ko) 차동기어를 이용한 가변 강성 조인트 및 방법
CN207388028U (zh) 瓷砖切割设备的切割机构以及瓷砖切割设备
CN109316313B (zh) 外骨骼机器人及其腿部伸缩连接组件
EP2498888B1 (en) A toy building set with an overload-safe linear actuator
US20130137525A1 (en) Gear mechanism
JP2003200360A (ja) スクリュードライバ装置
CN212240891U (zh) 惯性传动装置
CN207454589U (zh) 离合结构、切割机构以及瓷砖切割机
KR101284560B1 (ko) 슬립 기어
JP6227900B2 (ja) 電動式クランプ装置
KR20190055291A (ko) 일체형 칼라를 가지는 전동공구의 기어박스
EP3852982B1 (en) Improved hair-cutting unit for a shaving device
KR20180129020A (ko) 임계 토크 가변 가능한 로봇 관절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시스템
JP3128689U (ja) チェーンソーの工具不要な調節構造
CN204140575U (zh) 用于致动器的防火型伸缩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