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125B1 - 슬립기어유닛 - Google Patents

슬립기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125B1
KR101088125B1 KR1020090001783A KR20090001783A KR101088125B1 KR 101088125 B1 KR101088125 B1 KR 101088125B1 KR 1020090001783 A KR1020090001783 A KR 1020090001783A KR 20090001783 A KR20090001783 A KR 20090001783A KR 101088125 B1 KR101088125 B1 KR 10108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gear
gear member
rotat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461A (ko
Inventor
정경수
권용기
Original Assignee
정경수
전주비전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수, 전주비전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정경수
Priority to KR102009000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1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립기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슬립기어유닛은 회전체와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각 센서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에 동축적으로 고정되고,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마찰지지부를 구비하는 마찰부재; 상기 결합부에 동축적으로 끼워지고 상기 마찰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체에 기어연결되는 기어부재; 및 상기 기어부재를 상기 마찰지지부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지지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는 함께 회전하고, 방향전환을 위하여 상기 회전체가 정지할 때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지지부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마찰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립기어유닛{Slip gear unit}
본 발명은 슬립기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정지된 회전각 센서의 회전축을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회전각 센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기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각 센서를 이용한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47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비료 또는 농약을 외부로 살포하는 분사관(5)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4)와 기어연결된 회전체(1)에 분사관(5)을 결합한다(도 1 참조). 분사관(5)은 회전체(1)를 통해 모터(4)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비료 또는 농약의 살포 범위에 따라 분사관(5)을 일정 각도(예컨대, 0°~ 270°, 0°~ 180° 또는 0°~ 90°)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분사관(5)에 결합된 회전체(1)에는 회전각 센서(2)가 결합되어 분사관(5)의 회전각을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기어부재(3)가 회전체(1)에 기어연결되고 기어부재(3)는 회전각 센서(2)에 동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분사관(5)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분사관(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반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시계방향으로 그 회전방향을 바꿀 때, 설정된 양측의 한계각(예컨대, 0°~ 270°사이에서 회전할 때 0° 또는 27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분사관(5)이 정지할 때, 분사관(5)과 이에 결합된 회전체(1)의 관성에 의해 회전각 센서(2)에 결합된 기어부재(3)에는 회전력보다 훨씬 큰 충격력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충격력은 한계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멈춰야 하는 회전각 센서(2)의 회전축을 필요 이상으로 회전시켜서 분사관(5)의 회전 제어를 부정확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이 멈춰야 하는 위치를 넘어서 회전하는 분량이 축적되다 보면 회전각 센서의 한계회전수(예컨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는 최대회전수)를 넘게 되어 회전각 센서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체의 회전시에는 그 회전력을 회전각 센서에 완전하게 전달하고 회전체의 정지시에는 회전체의 관성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회전각 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기어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립기어유닛은, 회전체와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각 센서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에 동축적으로 고정되고,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마찰지지부를 구비하는 마찰부재; 상기 결합부에 동축적으로 끼워지고 상기 마찰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체에 기어연결되는 기어부재; 및 상기 기어부재를 상기 마찰지지부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지지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는 함께 회전하고, 방향전환을 위하여 상기 회전체가 정지할 때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지지부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마찰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립기어유닛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에 장착되는 것으로 서, 상기 회전축에 동축적으로 고정되고,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마찰지지부를 구비하는 마찰부재; 상기 결합부에 동축적으로 끼워지고 상기 마찰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에 기어연결되는 기어부재; 및 상기 기어부재를 상기 마찰지지부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 가능할 때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지지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는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 불가능할 때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마찰지지부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마찰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각 센서 또는 상기 모터가 장착되고, 베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틸팅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팅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너트부;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너트부에 체결되는 나사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나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부재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슬립기어유닛에 따르면, 회전체의 회전시에는 회전각 센서에 결합 된 마찰부재와 기어부재는 함께 회전하고, 회전체의 정지시에는 기어부재가 마찰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므로, 회전체의 정지시 발생되는 충격력이 회전각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각 제어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고, 충격력의 반복으로 인한 회전각 센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립기어유닛에 따르면, 하우징이 베이스에 대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발생되어 전달되는 외력으로 인해 회전각 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체와 기어부재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회전체와 회전각 센서의 종래의 결합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슬립기어유닛의 하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슬립기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100)은, 회전각 센서에 장착되어 회전체의 정지시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회전각 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마찰부재(120)와, 기어부재(130)와, 탄성부재(140)와, 하우징(150)과, 틸팅 결합부(160)를 포함한다.
비료 또는 농약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골고루 살포하기 위하여 비료 또는 농약을 분사하는 분사관(5)을 회전체(10)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회전체(10)는 일반적으로 외측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회전체(10)와 모터와 기어연결되어 회전체(10)는 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다.
회전체(1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각 센서(11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111)을 구비한다. 회전각 센서(110)는 회전축(111)의 회전각 또는 회전수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체(10)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각 센서(110)로서 가변저항기 또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가 이용된다. 상기 가변저항기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최대 10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축(111)의 회전에 따라 최소 0 Ω 에서 최대 20 kΩ의 저항치를 출력한다. 가변저항기로부터 출력되는 저항치는 제어보드(미도시)를 통해 회전체(10)의 회전각으로 환산된다.
상기 마찰부재(120)는 회전각 센서(110)의 회전축(111)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후, 회전축(1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나사체결되는 무두렌치 볼트에 의해 회전축(111)에 고정된다. 마찰부재(120)는 결합부(121)와 마찰지지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21)는 후술할 기어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며 회전축(111) 방향으로 길게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상기 마찰지지부(123)는 결합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결합부(121)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마찰지지부(123)는 기어부재(130)가 통과할 수 없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 형상이다.
상기 기어부재(130)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결합부(121)에 동축적으로 끼워지고 마찰지지부(123)에 의해 지지된다. 기어부재(130)는 마찰부재(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을 통해 회전체(10)에 기어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결합부(121)에 이격되게 끼워지는 2개의 평와셔(171)들 사이에 배치되어 기어부재(130)를 마찰지지부(123)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40)로서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40)가 기어부재(130)를 마찰지지부(123)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기어부재(130)와 마찰지지부(123)는 면접촉하게 되고, 기어부재(130)와 마찰지지부(123)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한다. 기어부재(130)와 마찰지지부(123) 사이의 마찰력이 회전체(10)로부터 기어부재(130)에 전달되는 회전력보다 크게 발생하도록 적정의 탄성계수를 갖춘 코일 스프링을 선정한다. 따라서, 회전체(10)와 맞물려 기어부재(130)가 회전할 때 기어부재(130)와 마찰부재(1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의 양측에 배치된 평와셔(171) 중 상측에 배치되는 평와셔(171)는 결합부(121)에 끼워지는 고정클립(17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150)은 회전각 센서(110)가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회전각 센서(110)와 함께 베이스(20)에 결합된다. 하우징(150)과 베이스(20)의 결합을 위해서 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세 군데의 관통공(151)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 결합부(160)는 하우징(150)의 일측이 베이스(2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하우징(150)을 베이스(2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너트부(161)와, 나사부재(163)와, 탄성부재(165)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부(161)는 별도의 나사부재로 하우징(150)의 관통공(151) 상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하우징(150)의 관통공(151) 내측에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나사부재로 마련되고 하우징(150)의 관통공(151) 상부에 결합되는 형태이다.
상기 나사부재(163)는 베이스(2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150)의 하측으로부터 너트부(161)에 체결된다. 상기 탄성부재(165)는 베이스(20)와 나사부재(163)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부재(163)를 베이스(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탄성부재(165)의 양단부에는 평와셔(167)가 각각 결합되어 탄성부재(165)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도 5는 도 2의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기어부재와 마찰부재가 함께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기어부재가 마찰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측이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100)의 작동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체(10)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한계각 이내에서 회전할 때에는 일정 크기의 회전력이 기어부재(130)로 전달된다. 한편, 탄성부재(140)는 기어부재(130)를 마찰지지부(123) 측으로 탄성 가압하여 기어부재(130)와 마찰지지부(123)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때 기어부재(130)와 마찰지지부(123) 사이의 마찰력이, 회전체(10)로부터 기어부재(130)에 전달되는 회전력보다 크게 발생 하도록 기어부재(130)는 마찰지지부(123) 측으로 탄성가압되어야 한다. 기어부재(130)와 마찰지지부(123) 사이의 마찰력이 기어부재(130)에 전달되는 회전력보다 크기 때문에, 회전체(10)와 맞물려 기어부재(130)가 회전할 때 기어부재(130)와 마찰부재(1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부재들이 회전 가능함).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체(10)가 어느 일방향의 한계각에 도달하면 방향전환을 위하여 한계각에서 정지하게 된다. 회전체(10)가 정지할 때에는 한계각 이내에서 회전할 때 기어부재(130)에 전달되던 회전력보다 훨씬 큰 충격력이 회전체(10)로부터 기어부재(130)에 전달된다. 이때 회전체(10)의 정지시 기어부재(130)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기어부재(130)와 마찰지지부(123)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다. 따라서 기어부재(130)와 마찰지지부(123) 사이에서는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고, 기어부재(130)는 마찰부재(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기어부재(130)가 마찰부재(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충격력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회전각 센서(110)의 회전축(11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부재들이 회전 가능함).
도 7을 참조하면, 회전각 센서(110)가 장착된 하우징(150)의 일측이 베이스(2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하우징(150)은 베이스(20)에 결합된다. 논, 밭 등의 야외 환경에서 회전체(10)의 회전 작동이 수행될 때, 뜻하지 않게 회전체(10)와 기어부재(130) 사이에는 자갈, 흙덩이 등의 딱딱한 이물질(P)이 끼어들 수 있다. 이때 하우징(150)이 베이스(20)에 대해 틸팅 불가능하게 단단히 고정되어 있 다면, 이격없이 기어 맞물림되어 있는 기어부재(130)와 회전체(10) 사이에 끼인 이물질(P)로 인해 회전각 센서(110)에는 엄청난 크기의 외력이 전달되어 회전각 센서(110)가 손상될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회전각 센서(1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틸팅 결합부(160)를 이용하여 하우징(150)의 일측이 베이스(2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하우징(150)을 베이스(20)에 결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딱딱한 이물질(P)이 회전체(10)와 기어부재(130) 사이에 끼게 되면 3개의 틸팅 결합부(160) 중 어느 한 개의 틸팅 결합부(160)가 작동하게 된다. 작동하는 틸팅 결합부(160)의 탄성부재(165)는 압축되고, 이물질(P)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하우징(150)의 일측은 베이스(20)에 대해 틸팅 즉, 상승하게 된다. 하우징(150)의 틸팅에 의해 기어부재(130)와 회전체(10)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회전체(10)와 기어부재(130) 사이에 개재된 이물질(P)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은 더이상 기어부재(130)에 전달되지 않는다. 기어부재(130)와 회전체(10)의 맞물림은 해제되면서 이물질(P)은 회전체(10)와 기어부재(130) 사이에서 떨어지게 되고, 탄성부재(165)가 다시 복원하면서 하우징(150)은 베이스(20)에 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은, 회전체의 회전시에는 회전각 센서에 결합된 마찰부재와 기어부재는 함께 회전하고, 회전체의 정지시에는 기어부재가 마찰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므로, 회전체의 정지시 발생되는 충격력이 회전각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각 제어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고, 충격력의 반복으로 인한 회전각 센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은, 하우징이 베이스에 대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발생되어 전달되는 외력으로 인해 회전각 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체와 기어부재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슬립기어유닛은 회전각 센서에 결합되었지만, 회전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모터는 회전각 센서(110)와 마찬가지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한다. 회전각 센서(110)의 회전축(111)은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지만, 모터의 회전축은 자체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축에 고정되고 결합부(121)와 마찰지지부(123)를 구비하는 마찰부재(120), 결합부(121)에 끼워지고 마찰지지부(123)에 의해 지지되는 기어부재(130) 및 기어부재(130)를 마찰지지부(123)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40) 등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슬립기어유닛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변형례의 슬립기어유닛은 방해물이 회전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회전체가 정상적으로 회전 가능할 때에는 기어부재와 마찰지지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기어부재와 마찰부재는 함께 회전한다. 모터의 회전구동력이 마찰부재와 기어부재를 통해 회전체에 완전하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해물이 회전체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하는 등 회전체가 회전 불가능할 때에는 기어부재와 마찰지지부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기어부재는 마 찰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의 회전구동력이 마찰부재까지 전달되고 기어부재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회전체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회전체와 회전각 센서의 종래의 결합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기어유닛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슬립기어유닛의 하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슬립기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기어부재와 마찰부재가 함께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기어부재가 마찰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슬립기어유닛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측이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슬립기어유닛 110: 회전각 센서
120: 마찰부재 121: 결합부
123: 마찰지지부 130: 기어부재
140: 탄성부재

Claims (4)

  1. 회전체(10)와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11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10)의 회전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각 센서(11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111)에 동축적으로 고정되고, 결합부(121)와 상기 결합부(121)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마찰지지부(123)를 구비하는 마찰부재(120); 상기 결합부(121)에 동축적으로 끼워지고 상기 마찰지지부(12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체(10)에 기어연결되는 기어부재(130); 상기 기어부재(130)를 상기 마찰지지부(123)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10)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기어부재(130)와 상기 마찰지지부(12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130)와 상기 마찰부재(120)는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체(10)가 정지할 때에는 상기 기어부재(130)와 상기 마찰지지부(123)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130)는 상기 마찰부재(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각 센서(110)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하우징(150); 상기 회전각 센서(110)와 상기 하우징(150)을 지지하는 베이스(20); 상기 하우징(150)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2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50)을 상기 베이스(20)에 결합시키는 틸팅 결합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 결합부(160)는,
    상기 하우징(150)에 결합되거나 상기 하우징(150)에 형성된 너트부(161)와, 상기 베이스(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15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너트부(161)에 체결되는 나사부재(163)와,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나사부재(16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부재(163)를 상기 베이스(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기어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01783A 2009-01-09 2009-01-09 슬립기어유닛 KR10108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783A KR101088125B1 (ko) 2009-01-09 2009-01-09 슬립기어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783A KR101088125B1 (ko) 2009-01-09 2009-01-09 슬립기어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461A KR20100082461A (ko) 2010-07-19
KR101088125B1 true KR101088125B1 (ko) 2011-12-02

Family

ID=4264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783A KR101088125B1 (ko) 2009-01-09 2009-01-09 슬립기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1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612B1 (ko) 2006-03-24 2007-12-10 덕양산업 주식회사 기어의 자유회전방지구조
KR200441760Y1 (ko) 2007-04-17 2008-09-05 (주)다사로봇 슬립기어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612B1 (ko) 2006-03-24 2007-12-10 덕양산업 주식회사 기어의 자유회전방지구조
KR200441760Y1 (ko) 2007-04-17 2008-09-05 (주)다사로봇 슬립기어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461A (ko)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567B2 (en) Joystick with control dampening and detent using electrorheologic cylinder
JP6010697B2 (ja) リングナット
WO2018055296A1 (fr) Interface haptique a au moins deux degres de liberte presentant un ressenti haptique ameliore
US8727894B2 (en) Elastic rotary actuators
JP2006502357A5 (ko)
US20200378370A1 (en) Sma-driven rotary actuator
KR102331623B1 (ko) 배전선로 안정화 시스템
CA2796330C (fr) Appareil de mesure comportant un bras a verrouillage indexe
KR101088125B1 (ko) 슬립기어유닛
WO2020136357A1 (fr) Dispositif d&#39;application d&#39;effort pour un manche de pilotage d&#39;un aéronef
US7362066B2 (en) Overload protection system
US20170130803A1 (en) Rotary damper
JP3189566U (ja) 三軸制動ヒンジ
WO2011110777A2 (fr) Tensiomètre individuel pour la mesure de tension d&#39;une corde
JP4508314B2 (ja) 操作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CA2541598A1 (en) Adjustable breakaway clutch
RU2006144868A (ru) Вращательная фиксация вала шпинделя
KR20100102636A (ko) 베리에이터
EP22081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ever control
JP5376126B2 (ja) ロック機能付きチルトヒンジ
JP4379257B2 (ja) 試料傾け補助具
KR100979302B1 (ko) 회전각 검출장치
WO2013100838A1 (en) Double ball joint device
KR200184244Y1 (ko) 디스크 타입의 마찰힌지장치
KR100644553B1 (ko) 미분 막힘 감지용 로타리 밸브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