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38Y1 -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38Y1
KR200441338Y1 KR2020080003619U KR20080003619U KR200441338Y1 KR 200441338 Y1 KR200441338 Y1 KR 200441338Y1 KR 2020080003619 U KR2020080003619 U KR 2020080003619U KR 20080003619 U KR20080003619 U KR 20080003619U KR 200441338 Y1 KR200441338 Y1 KR 200441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pace
mesh
bubble generating
nozz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종
Original Assignee
김만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종 filed Critical 김만종
Priority to KR2020080003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 외측으로는 제1, 2결합부를 형성하되, 개구부의 타측 공간에는 걸림턱과 외부로 관통되는 출수 홀을 구성한 노즐케이스와, 상기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구성된 걸림턱의 상면 배치되며, 제1매쉬망과 상기 제1매쉬망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1패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구와, 상기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설치된 기포발생구의 상면에 배치되며, 내측으로는 관통된 압력공을 형성한 압력판과, 상기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설치된 압력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제2매쉬망과 상기 제2매쉬망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2패킹으로 구성된 거름망과, 상기 노즐케이스의 제1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배치된 기포발생구와, 압력판과, 거름망을 고정할 수 있도록 노즐케이스의 제1결합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관통된 홈부를 형성한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제공하며,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결합에 따른 순서의 헷갈림 없이 용이한 교체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발생률을 줄일 수 있으며, 공간활용을 하여 제품을 작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세기포, 노즐, 매쉬(mesh), 압력, 일체형, 분리결합

Description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Small bubble generating nozzle equipment}
본 고안은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포발생구와, 압력판과, 거름망과, 사출링이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차례대로 수납되어 있고, 마감처리된 고정캡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결합에 따른 순서의 헷갈림 없이 용이한 교체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발생률을 줄일 수 있으며, 공간활용을 하여 제품을 작게 제작할 수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는 다량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때 수중에 포함된 산소가 결합되게 되면 물에 부영양화가 발생하여 물이 오염되어 진다.
그리고,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용존산소량에는 한계가 있어 물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자체정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용존산소량을 높이려는 방안을 계속해서 개발중에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노력에 의해 수중에 산소를 포함시켜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기술은 정화시설이나 양식장, 세탁기 등 다양한 곳에 쓰이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목욕에 접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미용이나 육체의 피로를 풀게 하는 등 유익한 건강을 도모하도록 하는데에도 쓰이고 있다.
이하에서는 등록특허 "10-0807189"를 참고하여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을 관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은 개구(102)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105)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102) 측에는 걸림턱(106)이 형성되어 끼움부(108)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108)의 반대 측에는 배출구(101)가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끼움부(108)의 걸림턱(106)에 걸리게 안치되고, 복수개의 미세홀(122)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미세홀(122)을 상기 걸림턱(106)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미세홀 유입판(120);
상기 미세홀 유입판(120)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끼움부(108)에 안치되고, 상기 미세홀(122)을 막는 물체를 차단하는 거름망(130);
상기 거름망(130)의 상면부에 배치되고, 물과 산소 기포의 혼합물이 가압된 상태로 유입되는 오리피스 유입구(142)가 형성된 오리피스 판(1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을 이용하면, 물과 함께 산소 기포가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 유입구(142)를 통과하고, 물과 산소 기포가 오리피스 유입구(142)에 대면하고 있는 내측벽(104)에 부딪쳐 산소 기포가 미세하게 쪼개져 직경이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형성되고, 물과 함께 내부공간에서 순환되어 배출구(101)로 배출됨으로써 미세한 산소 기포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은 하우징(110)의 상부에 미세홀 유입판(120)과, 거름망(130)과, 오리피스 판(140)과, 고무환형링(145)이 단순히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교체시 각각의 구성품의 순서를 잘못 배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하는 경우가 많아 미세기포가 제대로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품의 배치에 일일이 신경을 써야 하는 등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로(15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물이 오리피스 판(140)을 거친 후, 거름망(130)을 지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오리피스 판(140)과 거름망(130) 사이에 끼게 되어 기포 발생에 악영향을 미침은 물론, 고장발생이 유발되었었으며,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공간(105)에 의해 제작되는 제품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장시간 결합되어 관로(150)에 꽉 끼워지게 되었을 경우 분리하여 교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2 ~ 3개의 기포발생구와, 압력판과, 거름망과, 사출링이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차례대로 수납되어 있고, 마감처리된 고정캡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분리 결합시 순서의 헷갈림에 의해 잘못된 결합을 이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손쉽고 빠른 교체를 할 수 있으며, 거름망과 고정캡 사이에 삽입된 사출링에 의해 거름망에 구성된 제2패킹이 마찰에 의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름망이 최상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발생률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케이스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제품을 작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장시간 결합이나 압력 등에 의해 꽉 끼어 진 노즐케이스와 고정캡을 공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는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 외측으로는 제1, 2결합부를 형성하되, 개구부의 타측 공간에는 걸림턱과 외부로 관통되는 출수 홀을 구성한 노즐케이스와, 상기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구성된 걸림턱의 상면 배치되며, 제1매쉬망과 상기 제1매쉬망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1패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구와, 상기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설치된 기포발생구의 상면에 배치되며, 내측으로는 관통된 압력공을 형성한 압력판과, 상기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설치된 압력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제2매쉬망과 상기 제2매쉬망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2패킹으로 구성된 거름망과, 상기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배치된 기포발생구와, 압력판과, 거름망을 고정할 수 있도록 노즐케이스의 제1결합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관통된 홈부를 형성한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는 2 ~ 3개의 기포발생구와, 압력판과, 거름망과, 사출링이 노즐케이스의 공간에 차례대로 수납되어 있고, 마감처리된 고정캡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분리 결합시 순서의 헷갈림에 의해 잘못된 결합을 이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손쉽고 빠른 교체를 할 수 있으며, 거름망과 고정캡 사이에 삽입된 사출링에 의해 거름망에 구성된 제2패킹이 마찰에 의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름망이 최상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발생률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케이스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제품을 작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장시간 결합이나 압력 등에 의해 꽉 끼어 진 노즐케이스와 고정캡을 공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장치를 관로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같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100)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인 "10-0748580" 미세기포 발생장치(미도시)의 출수 측에 장착되어 욕조 안에 담긴 물에 다량을 산소를 포함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노즐케이스(10)와, 기포발생구(20)와, 압력판(30)과, 거름망(40)과, 고정캡(5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노즐케이스(10)는 일측에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있고, 내부에는 공간(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11)의 내측으로는 고정캡(50)이 결합되는 제1결합부(13)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의 외측으로는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출수 측 관로(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개구부(11)의 타측 공간(12)으로는 걸림 턱(15)과, 상기 걸림턱(15)에서 이격 형성되어 외부로 관통되는 출수 홀(16)을 구성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개구부(11) 타측으로는 관로(1)에 장시간 결합된 노즐케이스(10)가 수압이나 기타 여러 요인에 의해 꽉 끼어졌을 경우,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용이한 분리를 할 수 있도록 공구를 체결되는 체결홈(17)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구(20)는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구성된 걸림턱(15)의 상면 배치되는 것으로, 제1매쉬망(21)과 상기 제1매쉬망(21)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1패킹(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구(20)은 기포의 용이한 발생을 위하여 2개 또는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매쉬망(21)은 기포가 미세한 크기로 적절하게 발생되도록 30 ~ 50매쉬(MESH)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패킹(22)은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형성된 걸림턱(15)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고무로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되는 현상이나, 물이 그냥 빠져나가는 현상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판(30)은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설치된 기포발생구(2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측으로는 관통된 압력공(31)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판(30)에 형성된 압력공(31)은 물이 적당한 압력으로 통과되어 기포의 발생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2 ~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며, 압력공(31)의 크기는 유입되는 물의 압력과 갯 수 따라서 변화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40)은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설치된 압력판(2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2매쉬망(41)과 상기 제2매쉬망(41)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2패킹(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에 구성된 제2매쉬망은 이물질의 거름작용은 물론, 기포의 발생을 도울 수 있도록 40 ~ 60매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패킹(22)은 압력판(30)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고무로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되는 현상이나, 물이 그냥 빠져나가는 현상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캡(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케이스(10) 결합되는 것으로,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배치된 기포발생구(20)와, 압력판(30)과, 거름망(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노즐케이스(10)의 제1결합부(13)에 결합되어 지며, 내부에는 물이 통과하는 관통된 홈부(5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40)과 홈부(51)가 형성된 고정캡(50) 사이에는 고정캡(50)을 노즐케이스(10)에 결합할 시에 거름망(40)에 구성된 제2패킹(42)이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사출링(60)이 더 삽입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사출링(60)의 재질은 가벼운 플라스틱 재로 하여 경량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캡(50)에 형성된 홈부(51)는 노즐케이스(10)와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렌치와 같은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노즐케이스(10)와의 결합과 분리를 손쉽게 이 룰 수 있도록 6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개구부(11)를 통하여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기포발생구(20)를 삽입하고, 상기 기포발생구(20)를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형성된 걸림턱(15)에 밀착 배치한다.
이때, 상기 기포발생구(20)는 미세기포가 다량으로 발생 될 수 있도록 2개 또는 3개를 연속하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는, 압력판(30)을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삽입하여 상기 기포발생구(2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한 다음, 거름망(40)을 공간(12)에 삽입하여 상기 압력판(30)의 상부에 맞닿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기포발생구(20)와, 압력판(30)과, 거름망(40)을 삽입하여 배치한 후에는,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사출링(60)을 삽입한 다음, 사출링(60)을 상기 거름망(4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하고, 상기 노즐케이스(10)에 형성된 제1결합부(13)에 고정캡(5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기포발생구(20)와 압력판(30)과 거름망(40)과 사출링(60)은 노즐케이스(10)의 공간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케이스(10)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노즐케이스(10)에 고정캡(50)을 결합시키게 되면, 노즐케이스(10) 안에 기포발생구(20)와, 압력판(30)과, 거름망(40)과, 사출링(60)이 배 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50)이 사출링(60)을 가압하면서 노즐케이스(10)에 결합되기 때문에 거름망(40)에 구성된 제2패킹(42)의 뒤틀림 없이 각각의 구성품을 일체로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성품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케이스(10)의 제2결합부(14)를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출수 측에 형성된 관로(1)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100)의 장착을 손쉽게 완료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출수 측의 관로에 결합되는 상기 노즐케이스(10)에 오링(O)을 구성시킴으로써 물이 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100)를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출수 측에 형성된 관로(1)에 결합한 후, 작동을 시키게 되면,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펌프(미도시)에 의해 기포가 포함된 물이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100)로 유입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100)로 유입되는 기포가 포함된 물은 노즐케이스(10)에 결합된 고정캡(50)의 홈부(51)를 통하여 노즐케이스(10)의 내부 공간(12)으로 유입된 후, 출수 홀(16)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더욱 미세한 기포를 다량 포함한 물로 변환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캡(50)의 홈부(51)로 유입되는 기포가 포함된 물은 상기 노즐케이 스(10)에 최상부에 배치된 거름망(40)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거름망(40)은 기포가 포함된 물과 함께 노즐케이스(10)의 공간으로 들어오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물에 섞인 기포를 미세화하여 더욱 많은 기포를 만드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이 거름망(40)을 거침으로써 미세화된 기포가 함유된 물은 압력판(30)에 형성된 압력공(31)을 통해 빠른 속도로 통과되어 진 후, 2개 또는 3개로 구성된 기포발생구(20)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기포발생구(20)를 거치는 동안 물속에 섞인 기포는 더욱 미세하게 분할되게 되며, 이로써 다량의 미세기포가 섞인 물이 만들어 지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와 같이 노즐케이스(10)의 공간에서 만들어진 다량의 미세기포는, 물과 함께 상기 노즐케이스(10)의 하측에 형성된 출수 홀(16)을 통하여 빠르게 분사되어 욕조(미도시)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미세기포가 다량 함유된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피로회복이나 피부미용을 하는데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중 고장발생 등에 의해 분리를 요할 시에는, 관로(1)에서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10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100)가 일체로 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으며, 수압에 의해 관로(1)에 꽉 끼어져 분리가 어려울 경우에는 노즐케이스(10) 체결홈(17)에 공구를 끼워서 돌림으로써 손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노즐케이스(10)와, 노즐케이스(10)에 결합되는 고정캡(50)과,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고정되는 기포발생구(20)와, 압력판(30)과, 거름망(40)과, 사출링(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 장치(100)를 교환시 통째로 교환할 수도 있고, 노즐케이스(10)에서 고정캡(50)을 분리한 후, 필요한 구성품만의 교체를 할 수도 있으며, 고정캡(50)을 분리한 후에는, 거름망(40)의 교체가 아닌 세척을 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을 관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미세 기포 발생장치를 관로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로 10 : 노즐케이스
11 : 개구부 12 : 공간
13 : 제1결합부 14 : 제2결합부
15 : 걸림턱 16 : 출수 홀
17 : 체결홈 20 : 기포발생구
21 : 제1매쉬망 22 : 제1패킹
30 : 압력판 31 : 압력공
40 : 거름망 41 : 제2매쉬망
42 : 제2패킹 50 : 고정캡
51 : 홈부 60 : 사출링
O : 오링 100 :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Claims (7)

  1. 일측에 개구부(11)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간(12)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11)의 내, 외측으로는 제1, 2결합부(13, 14)를 형성하되, 개구부(11)의 타측 공간(12)에는 걸림턱(15)과 외부로 관통되는 출수 홀(16)을 구성한 노즐케이스(10);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구성된 걸림턱(15)의 상면 배치되며, 제1매쉬망(21)과 상기 제1매쉬망(21)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1패킹(22)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구(20);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설치된 기포발생구(20)의 상면에 배치되며, 내측으로는 관통된 압력공(31)을 형성한 압력판(30);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설치된 압력판(20)의 상면에 배치되며, 제2매쉬망(41)과 상기 제2매쉬망(41)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2패킹(42)으로 구성된 거름망(40);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공간(12)에 배치된 기포발생구(20)와, 압력판(30)과, 거름망(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노즐케이스(10)의 제1결합부(13)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관통된 홈부(51)를 형성한 고정캡(5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케이스(10)의 개구부(11) 타측으로는 체결홈(17)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구(20)은 2 ~ 3개로 형성되며, 기포발생구(20)에 구성된 제1매쉬망(21)은 30 ~ 50매쉬(MESH)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30)에 형성된 압력공(31)은 2 ~ 4개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40)에 구성된 제2매쉬망(41)은 40 ~ 60매쉬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40)과 홈부(51)가 형성된 고정캡(50) 사이에는 사출링(60)이 더 삽입되는 것에 특징이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7. 제 1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60)에 형성된 홈부(51)는 6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KR2020080003619U 2008-03-20 2008-03-20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KR200441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19U KR200441338Y1 (ko) 2008-03-20 2008-03-20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19U KR200441338Y1 (ko) 2008-03-20 2008-03-20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38Y1 true KR200441338Y1 (ko) 2008-08-08

Family

ID=4164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619U KR200441338Y1 (ko) 2008-03-20 2008-03-20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3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05B1 (ko) * 2012-09-17 2013-09-12 헤벨 주식회사 절삭가공용 오일 미스트 제조장치
KR200469578Y1 (ko) 2012-09-17 2013-10-23 헤벨 주식회사 냉각장치를 구비한 오일 미스트 제조장치
CN107583479A (zh) * 2017-09-22 2018-01-16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发生器及应用该发生器的喷淋装置
KR20200137116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일성 나노버블발생 분사노즐
KR102240014B1 (ko) * 2020-03-20 2021-04-14 이수만 샤워기
KR102240012B1 (ko) * 2020-03-20 2021-04-14 이수만 미세버블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샤워기헤드
CN107583479B (zh) * 2017-09-22 2024-05-31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发生器及应用该发生器的喷淋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05B1 (ko) * 2012-09-17 2013-09-12 헤벨 주식회사 절삭가공용 오일 미스트 제조장치
KR200469578Y1 (ko) 2012-09-17 2013-10-23 헤벨 주식회사 냉각장치를 구비한 오일 미스트 제조장치
WO2014042331A1 (ko) * 2012-09-17 2014-03-20 헤벨 주식회사 절삭가공용 오일 미스트 제조장치
CN107583479A (zh) * 2017-09-22 2018-01-16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发生器及应用该发生器的喷淋装置
CN107583479B (zh) * 2017-09-22 2024-05-31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发生器及应用该发生器的喷淋装置
KR20200137116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일성 나노버블발생 분사노즐
KR102311634B1 (ko) * 2019-05-29 2021-10-08 주식회사 일성 나노버블발생 분사노즐
KR102240014B1 (ko) * 2020-03-20 2021-04-14 이수만 샤워기
KR102240012B1 (ko) * 2020-03-20 2021-04-14 이수만 미세버블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샤워기헤드
KR20210117979A (ko) * 2020-03-20 2021-09-29 한희옥 미세버블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샤워기헤드
KR102376857B1 (ko) * 2020-03-20 2022-03-21 한희옥 미세버블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샤워기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338Y1 (ko)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ES2457752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líquido conteniendo finas burbujas de aire
JP4999996B2 (ja) バブル発生器
CN211772134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100807189B1 (ko) 마이크로버블 노즐
KR100824714B1 (ko)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JP201124540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4107241B2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JP2011218343A (ja) 気液混合用のノズル、気液混合機構およびその用途
JP3213014U (ja) 洗濯機用微細気泡水生成器
CN109847607B (zh) 一种无动力气泡微细化装置
US20210001286A1 (en) Enhanced micro bubble device,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A2872601C (en) Aeration equipment
KR102059039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20090004952U (ko) 마이크로 버블기가 장착된 버블 샤워기
KR101118220B1 (ko) 마이크로 버블 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JP2008023502A (ja) 微細気泡発生用のノズル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CN212357699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20110026791A (ko) 집진 장치
JP2009226323A (ja) オゾン水生成器
KR102059038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2013248574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N106037538A (zh) 一种能够循环清洗的果蔬清洗机
KR101526560B1 (ko) 수압을 이용한 공기 공급장치
KR20100101513A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