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792Y1 -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 - Google Patents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792Y1
KR200440792Y1 KR2020070000614U KR20070000614U KR200440792Y1 KR 200440792 Y1 KR200440792 Y1 KR 200440792Y1 KR 2020070000614 U KR2020070000614 U KR 2020070000614U KR 20070000614 U KR20070000614 U KR 20070000614U KR 200440792 Y1 KR200440792 Y1 KR 200440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memory
surveillance
vehicle
surveillan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엔텍
Priority to KR2020070000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7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joined images, e.g. multiple 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60R2300/4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triggering from stand-by mode to operatio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scenes of vehicle interior, e.g. for monitoring passengers or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방범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방범 장치는, 차량의 외부 감시 영상을 촬영하는 제1 감시 카메라와 연결되는 제1 접속 단자; 차량의 내부 감시 영상을 촬영하는 제2 감시 카메라와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감시 영상을 SD(Secure Digital) 메모리로 출력하는 메모리 접속 단자;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출력되는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SD 메모리;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감시 카메라 및 상기 제2 감시 카메라의 감시 영상을 처리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SD 메모리에 저장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감시 카메라, 방범 장치

Description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Security device for taxi ca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범 장치를 적용하여 구현한 차량 방범 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인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차량용 방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차량에 감시 카메라를 장착하고 이를 통해 촬영한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감시 영상을 녹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련의 사건으로서 택시 운전사를 대상으로 한 각종 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택시 탑승객은 보통 택시 운전사의 뒷좌석에 탑승하므로 택시 운전사는 등 뒤의 택시 탑승객의 돌발적인 행동에 방어하기 어려운 점을 악용한 범죄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택시 내부에서 범죄가 발생한 경우 바깥에서 택시 내부를 보기 어려운 택시 내부의 폐쇄성과 더불어 야간에는 택시 운전사가 육안으로 택시 탑승객을 구분하기 어려워 범죄 용의자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게다가, 야간에는 만취한 택시 탑승객이 주를 이루므로 택시 안에서 각종 불쾌한 일들이 발생하지만 술에서 깨어나면 기억하지 못해 택시 운전사와 다툼이 일어나는 경우도 흔하다.
또한, 일반 자가용의 경우 운전자가 여성인 경우 역시 범죄에 표적이 되기 쉬워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외부의 전방 및 내부의 상을 촬영하는 감시용 카메라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촬영한 감시 영상을 녹화하는 차량용 방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범 장치는,
차량의 외부 감시 영상을 촬영하는 제1 감시 카메라(200)와 연결되는 제1 접속 단자(101); 차량의 내부 감시 영상을 촬영하는 제2 감시 카메라(300)와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103); 상기 제1 접속 단자(101)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103)를 통해 입력되는 감시 영상을 SD(Secure Digital) 메모리(111)로 출력하는 메모리 접속 단자(109);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109)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출력되는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SD 메모리(111); 상기 제1 접속 단자(101), 상기 제2 접속 단자(103) 및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109)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상기 제2 감시 카메라(300)의 감시 영상을 처리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109)를 통해 상기 SD 메모리(111)에 저장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105);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5)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상기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5)로 출력하는 감시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범 장치(100)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는 무선 송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에 경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5)는,
택시 요금을 산출하는 택시미터기(taximeter)와 연결되어 상기 택시미터기로부터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2 접속 단자(103)로 출력한다.
삭제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범 장치를 적용하여 구현한 차량 방범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차량용 방범 장치(100)는 운전석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의 카 오디오 시스템이 장착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차량용 방범 장치(100)의 구성은 제1 접속 단자(101), 제2 접속 단자(103),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105),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 메모리 접속 단자(109) 및 SD(Secure Digital) 메모리(111)를 포함한다. 이때, 차량용 방범 장치(10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 안에 상술한 구성(101, 103, 105, 107, 109)을 내장한다.
여기서, 제1 접속 단자(101) 및 제2 접속 단자(103)는 각각 차량에 부착된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제2 감시 카메라(30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1 감시 카메라(200)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차량 외부를 촬영할 수 있게 설치되어 평상시 및 주간(晝間)에 차량의 전방(前方)을 촬영한다. 이는 차량 충돌 등의 사고시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감시 카메라(300)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게 설치되어 야간(夜間) 및 필요에 따라 실내를 촬영한다. 이는 범죄 발생시 수사자료 및 증거자료로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는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는 해당 감시 카메라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제2 감시 카메라(300) 각각과 대응되는 두 개의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 즉 제1 감시 카메라 구동 스위치 및 제2 감시 카메라 구동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특정 방향으로의 눌름, 돌출에 의해 해당 감시 카메라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의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상기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SD 메모리(111)는 메모리 접속 단자(109)를 통해 차량용 방범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저장 수단으로서,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제2 감시 카메라(300)를 통해 촬영한 감시 영상을 저장한다.
SD 메모리(111)는 제한된 저장 용량을 가지므로 새로운 감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용량만큼의 저장 시기가 가장 오래된 감시 영상부터 순차적으로 삭제되는 것일 수 있다.
CPU(105)는 제1 접속 단자(101), 제2 접속 단자(103),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 및 메모리 접속 단자(109)와 연결되어 차량용 방범 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제2 감시 카메라(300)를 통해 촬영한 감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이를 SD 메모리(111)에 저장한다. 이때, CPU(105)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백 엔드 칩(Back_End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PU(105)는 차량이 택시인 경우, 택시 요금을 산출하는 택시미터기(taximeter)와 연결되어 택시미터기가 동작하면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CPU(105)는 타이머를 내장하여 특정 시간에 택시미터기(taximeter)가 동작할 경우에 한 해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 구동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제,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차량용 방범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CPU(105)는 사용자(즉 운전사)의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를 이용한 선택 동작 또는 택시미터기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감시 카메라 즉 제1 감시 카메라(200) 또는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접속 단자(101) 또는 제2 접속 단자(103)로 출력한다.
제1 감시 카메라(200) 또는 제2 감시 카메라(300)는 촬영한 감시 영상 데이터를 제1 접속 단자(101) 또는 제2 접속 단자(103)를 통해 CPU(105)로 입력한다.
CPU(105)는 입력받은 감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를 메모리 접속 단자(109)로 출력한다.
SD 메모리(111)는 메모리 접속 단자(109)를 통해 감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와 같이, SD 메모리(111)를 이용하여 감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어떤 기기에든 접속하여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SD 메모리의 장점으로 인해 저장된 감시 영상 데이터의 재생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차량용 방범 장치(100)의 구성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지피에스부, SD 메모리(11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재생부, 진행중인 동작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긴급 상황 발생시 차량에 탑재되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통해 외부에 경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호출부를 추가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적용하여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차량용 방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범 장치를 적용하여 차량용 방범 시스템을 구현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즉 차량용 방범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에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호출부를 통해 긴급 경보 신호가 발생된다. 발생된 긴급 경보 신호는 주파수 공용 통신(Trunked Radio System, TRS) 또는 이동통신망(CDMA, Code Diviision Multiple Access)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통해 무인 경비 상황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이때, 지피에스부를 통해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와 더불어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무인 경비 상황 시스템에서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할 경찰 및 경비 용역의 출동을 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외부 및 내부의 감시 영상을 녹화하여 차량에서 일어나는 불미스러운 상황에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외부 감시 영상을 촬영하는 제1 감시 카메라(200)와 연결되는 제1 접속 단자(101);
    차량의 내부 감시 영상을 촬영하는 제2 감시 카메라(300)와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103);
    상기 제1 접속 단자(101)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103)를 통해 입력되는 감시 영상을 SD(Secure Digital) 메모리(111)로 출력하는 메모리 접속 단자(109);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109)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출력되는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SD 메모리(111);
    상기 제1 접속 단자(101), 상기 제2 접속 단자(103) 및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109)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상기 제2 감시 카메라(300)의 감시 영상을 처리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 접속 단자(109)를 통해 상기 SD 메모리(111)에 저장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105);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5)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감시 카메라(200) 및 상기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5)로 출력하는 감시 카메라 구동 스위치(107)
    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범 장치(100)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는 무선 송수신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에 경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5)는,
    택시 요금을 산출하는 택시미터기(taximeter)와 연결되어 상기 택시미터기로부터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2 접속 단자(103)로 출력하는 차량용 방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5)는,
    타이머(Timer)를 내장하여 특정 시간 이후에 상기 택시미터기로부터 입력된 동작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감시 카메라(300)의 촬영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제2 접속 단자(103)로 출력하는 차량용 방범 장치.
  5. 삭제
KR2020070000614U 2007-01-12 2007-01-12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 KR200440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614U KR200440792Y1 (ko) 2007-01-12 2007-01-12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614U KR200440792Y1 (ko) 2007-01-12 2007-01-12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792Y1 true KR200440792Y1 (ko) 2008-07-02

Family

ID=4163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614U KR200440792Y1 (ko) 2007-01-12 2007-01-12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7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32B1 (ko) * 2008-06-30 2009-09-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오디오부에 구비된 컨버세이션 카메라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1510140B1 (ko) 2014-06-20 2015-04-08 광신지피에스통신(주) 2채널 블랙박스 영상 신호 자동전환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2 채널 블랙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32B1 (ko) * 2008-06-30 2009-09-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오디오부에 구비된 컨버세이션 카메라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1510140B1 (ko) 2014-06-20 2015-04-08 광신지피에스통신(주) 2채널 블랙박스 영상 신호 자동전환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2 채널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3560B1 (ja) 記録装置
US20130083196A1 (en) Vehicle monitoring systems
JP5137981B2 (ja) 車載用監視カメラ
US20140375807A1 (en) Camera activity system
JP5978483B2 (ja) スマートパーキングアシストシステム
US6753764B2 (en) Burglarproof and event-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50373308A1 (en) Real-time mobile video reporting device
CN106926798A (zh) 车载记录仪及车载记录系统
US20050275510A1 (en) Vehicular anti-theft system capable of supplying images related to a vehicle status to an authorized driver
TWM331716U (en) Multi-functional vehicle anti-theft and anti-robbery monitoring device
CN104228769A (zh) 一种车载拍照系统及拍照方法
KR100884623B1 (ko)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40792Y1 (ko)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
CN201111178Y (zh) 一种车载智能监控装置
JP2007019568A (ja) 車載監視カメラ装置
JP5570064B2 (ja) 車載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車載カメラ制御方法
KR100791962B1 (ko) 네트워크 연동기능이 부가된 차량용 dvr 시스템
JP2001338378A (ja) 室内異常通報装置および車両用室内侵入通知および撮影記録装置
JP2003085695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2506129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1145510B1 (ko)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30028214A (ko) 스마트폰 연동형 차량용 블랙박스
JP4634496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40031836A (ko) 자동차용 화상 안전 시스템
JP2003095072A (ja) 車両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