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767Y1 -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767Y1
KR200440767Y1 KR2020070006166U KR20070006166U KR200440767Y1 KR 200440767 Y1 KR200440767 Y1 KR 200440767Y1 KR 2020070006166 U KR2020070006166 U KR 2020070006166U KR 20070006166 U KR20070006166 U KR 20070006166U KR 200440767 Y1 KR200440767 Y1 KR 200440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elastic piece
elastic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Priority to KR2020070006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7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7Intermediate parts between battery post and cable end pie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와 커넥션 와이어를 연결시킬 때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력이 조임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단자 삽입부재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고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단자 삽입부재(10)와; 단자 삽입부재(10)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15)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부재(15)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단자 삽입부재(10)의 후단을 형성하는 제1탄성편(21) 및 제2탄성편(25)으로 이루어진 탄성부(20)와; 탄성부(20)에 연결되고 외부로의 전력 인출을 위한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35)가 구비된 터미널 부재(30)와; 탄성부(20)에 결합되어 단자 삽입부재(10)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임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조임 와셔가 이동되면서 단자 삽입부재의 직경을 변화시키게 되므로, 급격한 직경 변화 및 그로 인한 포스트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축전지, 접속단자, 삽입부재, 조임부재, 탄성부, 조임와셔, 가이드홀

Description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The Sliding Type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도 1은,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조임 와셔가 도시된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고정너트가 도시된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자 삽입부재 15: 지지부재
20: 탄성부 21: 제1탄성편
22: 회전 차단부 23: 삽입돌기
25: 제2탄성편 26: 고정부
30: 터미널 부재 31: 볼트 설치부
35: 연결볼트 40: 조임부재
41: 고정볼트 42: 조임와셔
42a: 덮개부 42b: 체결부
42c: 삽입 홈 42': 가이드 홀
43: 고정너트 43a: 와셔붙이 너트
43b: 경사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와 커넥션 와이어를 연결시키기 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조임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단자 삽입부재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의 중앙에 구비된 체결공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고정판(1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축전지(도시 생략)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140)와, 상기 삽입부(140)의 일측에 상/하 대칭식으로 형성되는 조임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부(150)는, 전/후방에 조임공을 구비하여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로 상기 삽입부(140)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부의 과다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공형의 고정통이 구비되기도 한다.
또,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100)는, 직렬 또는 병렬식으로 연결되어 축전지로부터 자동차내에 전력을 공급할수 있도록 된 커넥션 와이어(도시 생략)가 설치되는 터미널(1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터미널(170)은,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구비되고, 와셔(132)를 개재하여 고정너트(131)가 고정부재(13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판(120)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삽입부(140)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부재(150)로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를 사용함에 따라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를 사용하여 삽입부(140)의 직경을 감소시킬 때 견고하게 조립시키기 위하여 과다하게 조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그로 인하여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어 차후 이용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단자 삽입부를 직접 조이는 형태가 아닌 조임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조이도록 함으로써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와 단자 삽입부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고정볼트에 결합되는 고정너트의 수직이동에 따라 고정볼트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조임 와셔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단자 삽입부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포스트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고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단자 삽입부재와; 상기 단자 삽입부재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재의 후단을 형성하는 제1탄성편 및 제2탄성편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고 외부로의 전력 인출을 위한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가 구비된 터미널 부재와; 상기 탄성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재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개구된 일측 끝단에서 연장 형성된 제1탄성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편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부재가 연결되는 제2탄성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탄성편 및 제2탄성편은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터미널 부재의 볼트 설치부가 상기 제2탄성편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비해 일정 높이로 2단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제1탄성편은 그 끝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조임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회전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편은 좌우 양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터미널 부재의 볼트 설치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축전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탄성편에 구비된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의 상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상기 제1,2 탄성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 와셔와, 상기 조임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조임 와셔는, 상기 탄성부의 상면을 덮어주고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이 구비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하형 절곡되어 상기 제1탄성편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조임 와셔의 저면에서 상기 탄성부의 구멍과 동일 직경의 소경부 및 그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면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 와셔의 상면에 안착되는 와셔붙이 너트와, 상 기 와셔붙이 너트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 와셔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경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조임 와셔가 도시된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고정너트가 도시된 상세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축전지(도시 생략)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고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단자 삽입부재(10)와; 상기 단자 삽입부재(10)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15)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15)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재(10)의 후단을 형성하는 제1탄성편(21) 및 제2탄성편(25)으로 이루어진 탄성부(20)와; 상기 탄성부(20)에 연결되고 외부로의 전력 인출을 위한 커넥션 와이어(도시 생략)가 설치되는 연결볼트(35)가 구비된 터미널 부재(30)와; 상기 탄성부(20)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재(10)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임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20)는 상기 지지부재(15)의 개구된 일측 끝단에서 연장 형성된 제1탄성편(21)와, 상기 지지부재(15)의 타측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편(21)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부재(30)가 연결되는 제2탄성편(2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탄성편(21) 및 제2탄성편(25)은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터미널 부재(30)의 볼트 설치부(31)가 상기 제2탄성편(25)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10)에 비해 일정 높이로 2단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탄성편(21)은 그 끝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조임부재(4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회전 차단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상기 제2탄성편(25)은 좌우 양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터미널 부재(30)의 볼트 설치부(31)를 지지하는 고정부(2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40)는, 상기 축전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탄성편(25)에 구비된 구멍(27)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볼트(41)와, 상기 고정볼트(4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42')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20)의 상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상기 제1,2 탄성편(21)(2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 와셔(42)와, 상기 조임 와셔(42)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볼트(4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임 와셔(42)는, 상기 탄성부(20)의 상면을 덮어주고 상기 고정볼트(4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42')이 구비된 덮개부(42a)와, 상기 덮개부(42a)의 일측에서 하형 절곡되어 상기 제1탄성편(21)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체결부(42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42b)는 상기 제1탄성편(21)의 외측편에 구비된 삽입돌기(2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42b)에는 상기 제1탄성편(21)이 삽입되는 삽입 홈(42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42')은 상기 조임 와셔(42)의 저면에서 상기 탄성부(20)의 구멍과 동일 직경의 소경부 및 그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나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너트(43)는, 상기 고정볼트(41)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 와셔(42)의 상면에 안착되는 와셔붙이 너트(43a)와, 상기 와셔붙이 너트(43a)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 와셔(42)의 가이드 홀(42')에 삽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경사부(43b)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삽입부재 내에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고정너트에 조임 와셔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탄성부(20)의 제2탄성편(25)의 하부로부터 구멍(27)을 통해 고정볼트(41) 및 연결볼트(35)가 돌출되도록 터미널 부재(30)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 부재(30)의 볼트 설치부(31)가 상기 제2탄성편(25)의 양측에서 하향 절곡된 고정부(26)에 의해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어 상기 고정볼트(41)가 가이드 홀(42')을 관통하도록 조임 와셔(4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조임 와셔(42)의 체결부(42a) 사이에 제1탄성편(21)의 삽입돌기(23)가 위치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조임 와셔(42)의 체결부(42a)에 형성된 삽입 홈(42c)에 상기 제1탄성편(21)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41)에 고정너트(43)를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너트(43)가 회전되면서 하향 이동되 어 상기 조임 와셔(42)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43)의 경사부(43b)와 상기 조임 와셔(42)의 가이드 홀(42')의 경사진 내측면이 접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너트(43)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조임 와셔(42)가 상기 탄성부(20)의 폭 방향, 즉 제2탄성편(25)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임 와셔(42)가 제2탄성편(25)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탄성편(21)과 제2탄성편(25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탄성부(20)에 지지부재(15)를 통해 연결된 단자 삽입부재(10)의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삽입부재(10)의 내측면이 상기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접촉되면서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와 접속단자가 결합되면 축전지의 전력이 연결볼트(35)에 연결된 커넥션 와이어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볼트(41)와 고정너트(43)의 체결력이 단자 삽입부재(1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20)의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임 와셔(42)에 의해 지지부재(15)와 단자 삽입부재(10)의 직경이 감소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와 단자 삽입부재(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접속 단자를 결합시킬 때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력이 포스트 단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조임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조임 와셔가 이동되면서 단자 삽입부재의 직경을 변화시키게 되므로, 단자 삽입부재의 급격한 직경 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한 포스트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고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단자 삽입부재(10)와; 상기 단자 삽입부재(10)의 하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15)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15)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재(10)의 후단을 형성하는 제1탄성편(21) 및 제2탄성편(25)으로 이루어진 탄성부(20)와; 상기 탄성부(20)에 연결되고 외부로의 전력 인출을 위한 커넥션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볼트(35)가 구비된 터미널 부재(30)와; 상기 탄성부(20)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부재(10)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임부재(40)를 포함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40)는, 상기 축전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탄성편(25)에 구비된 구멍(27)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볼트(41)와, 상기 고정볼트(4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42')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20)의 상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상기 제1,2 탄성편(21)(2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 와셔(42)와, 상기 조임 와셔(42)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볼트(4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20)는, 상기 지지부재(15)의 개구된 일측 끝단에서 연장 형성된 제1탄성편(21)와, 상기 지지부재(15)의 타측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편(21)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부재(30)가 연결되는 제2탄성편(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탄성편(21) 및 제2탄성편(25)은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터미널 부재(30)의 볼트 설치부(31)가 상기 제2탄성편(25)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10)에 비해 일정 높이로 2단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편(21)은, 그 끝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조임부재(4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회전 차단부(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편(25)은, 좌우 양측에서 하향 절곡된 후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터미널 부재(30)의 볼트 설치부(31)를 지지하는 고정부(2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와셔(42)는, 상기 탄성부(20)의 상면을 덮어주고 상기 고정볼트(4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42')이 구비된 덮개부(42a)와, 상기 덮개부(42a)의 일측에서 하형 절곡되어 상기 제1탄성편(21)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체결부(4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2b)는 상기 제1탄성편(21)의 외측편에 구비된 삽입돌기(2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42b)의 내측에는 상기 제1탄성편(21)이 삽입되는 삽입 홈(4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42')은, 상기 조임 와셔(42)의 저면에서 상기 탄성부(20)의 구멍과 동일 직경의 소경부 및 그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면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43)는, 상기 고정볼트(41)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 와셔(42)의 상면에 안착되는 와셔붙이 너트(43a)와, 상기 와셔붙이 너트(43a)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 와셔(42)의 가이드 홀(42')에 삽입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경사부(43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20070006166U 2007-04-16 2007-04-16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40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166U KR200440767Y1 (ko) 2007-04-16 2007-04-16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166U KR200440767Y1 (ko) 2007-04-16 2007-04-16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767Y1 true KR200440767Y1 (ko) 2008-07-01

Family

ID=4163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166U KR200440767Y1 (ko) 2007-04-16 2007-04-16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76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68B1 (ko) 2010-12-09 201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및 그의 단자결합방법
KR101398938B1 (ko) * 2012-11-15 2014-05-27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단조 경사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413083B1 (ko) 2014-02-28 2014-07-0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단조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40004262U (ko) * 2013-01-03 2014-07-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어셈블리
KR200474306Y1 (ko) 2012-09-18 2014-09-04 유정선 측면 및 상향 체결식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68B1 (ko) 2010-12-09 201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및 그의 단자결합방법
KR200474306Y1 (ko) 2012-09-18 2014-09-04 유정선 측면 및 상향 체결식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1398938B1 (ko) * 2012-11-15 2014-05-27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단조 경사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140004262U (ko) * 2013-01-03 2014-07-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어셈블리
KR200484268Y1 (ko) * 2013-01-03 2017-08-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어셈블리
KR101413083B1 (ko) 2014-02-28 2014-07-0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단조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66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40767Y1 (ko) 슬라이딩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US4050603A (en) Clamp for securing bar hanger to electrical wiring box
KR101655355B1 (ko)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
KR101434960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2333789B1 (ko)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US5824952A (en) Ceiling fan outlet box
KR200473016Y1 (ko) 접지단자함
KR20041094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CN202799474U (zh) 快装式防水罩
CN112201416A (zh) 带有验电接地环的绝缘电力线双紧多功能防雷绝缘子
CN205407680U (zh) 一种用于铁皮屋顶的太阳能板安装组件
CN214255592U (zh) 一种电缆安装用固定装置
KR200274769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 고정용 클램프
CN218117480U (zh) 一种立柱和围栏
KR200147604Y1 (ko) 완금설치용 지지부 구조
CN213214137U (zh) Pcb安装支架及pcb安装系统
CN217327503U (zh) 发动机装饰罩用固定组件
KR200386147Y1 (ko) 터미널블록
CN216844099U (zh) 一种水泥厂易组装牢固型壁板
KR200396215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CN219014655U (zh) 一种挂墙架及热水器
KR102610082B1 (ko) 저압 또는 중성 전선지지용 랙크
CN215645156U (zh) 一种开关柜继电保护装置用接线端子
KR20050117921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정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