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736Y1 - 분리형 화분 - Google Patents

분리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736Y1
KR200440736Y1 KR2020070006137U KR20070006137U KR200440736Y1 KR 200440736 Y1 KR200440736 Y1 KR 200440736Y1 KR 2020070006137 U KR2020070006137 U KR 2020070006137U KR 20070006137 U KR20070006137 U KR 20070006137U KR 200440736 Y1 KR200440736 Y1 KR 200440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plants
soil
pla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표
Original Assignee
김용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표 filed Critical 김용표
Priority to KR2020070006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7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묘목이나 식물을 그대로 심으면 심고자하는 장소로 운반 도중 속 흙이 떨어져 나가 활착이 어려우므로, 본 고안의 화분에서는 묘목이나 식물을 어느 정도 길러 심고자하는 장소에서 화분을 쉽게 분리하여 식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착률이 빠르고 묘목이나 식물의 고사를 막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화분의 측면에 다공판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식물의 뿌리 내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공급되는 물이 흙의 하층으로 집중하게 되어 수분과 염류가 식물의 뿌리 주변으로 과잉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묘목이나 식물의 성장에 따른 최적의 조건을 통하여 묘목이나 식물의 장기간 감상은 물론, 활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흙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몸체의 측면에는 공간부와 통하면서 면적을 가진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굴곡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에는 개구부를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다공판이 걸림부에 의해 걸림되도록 구비되는 분리형 화분이 제공된다.
화분, 식물, 활착, 흙, 분리, 묘목, 다공판

Description

분리형 화분{Separation Type Flowerpot}
도 1은 일반적인 화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형 화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형 화분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화분 12,22 : 몸체
13,26 공간부 14 : 흙
24 : 받침대 26 : 공간부
28 : 개구부 30,36 : 다공판
32 : 걸림부 34 : 통공
본 고안은 분리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분의 측면에 다공판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묘목이나 식물의 뿌리 내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공급되는 물이 흙의 하층으로 집중하게 되어 수분과 염류가 묘목이나 식물의 뿌리 주변으로 과잉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묘목이나 식물의 성장에 따른 최적의 조건을 통하여 식물의 장기간 감상은 물론, 활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으로 쉽게 볼 수 있는 화분(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 화분(10)을 구성하는 몸체(12)는, 모양이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통상 합성수지나 혹은 유리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오목하게 파지도록 형성된 일종의 그릇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2)의 내부 공간부(13)에는 묘목이나 식물이 심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성장에 도움을 주는 통상의 흙(14)이 비료와 함께 채워지게 된다.
그런데, 도면에서 도시된 통상의 화분(10)은, 그 화분(10)의 구조상 측면 둘레가 면으로 완전히 막혀 있기 때문에 묘목이나 식물의 뿌리 내림이 이루어질 때, 뿌리가 화분(10)의 측 내면에 의해 저지되어 성장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뿌리 내림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묘목이나 식물의 활착(活着)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묘목이나 식물에 물을 공급하게 될 경우, 통상 흙(14)의 상면에서 물을 부어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물은 흙(14)에 포함된 각종 영향분과 함께 상층에서 중층과 하층방향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때 물이 잘 빠져나가지 못해 흙(14)의 하층으로 과잉 공급되면서 묘목이나 식물의 뿌리주변에 과잉 축적되어 뿌리가 썩게 되고, 나아가 흙(14)의 하층에 포함된 영양분과 반응하여 염류장애를 가져오게 된다.
위와 같이 묘목이나 식물의 뿌리 주변으로 수분과 염류가 과다하게 축적되게 되면, 지나친 염류에 의해 뿌리 속보다 삼투압이 높아져 오히려 묘목이나 식물에서 흙(14) 방향으로 물을 빼앗기게 되는 역삼투압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역삼투압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뿌리부터 시작해 묘목이나 식물 전체가 말라죽게 되고, 일반적으로 식물이 '타들어간다’고 표현하는 것이 바로 염류장애다.
염류장애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듯이 묘목이나 식물이 단기간에 말라가게 되어 장기간 감상할 수 없게 되고, 아울러 묘목이나 식물이 물과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불균형 때문에 성장이 들쭉날쭉하여 자연미를 향상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묘목이나 식물을 그대로 심으면 심고자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속 흙이 떨어져 나가 활착이 어려우므로, 묘목이나 식물을 어느 정도 길러 심고자하는 장소에서 화분을 분리하여 뿌리가 상하지 않고 흙이 그대로 붙어 있는 상태로 식수함으로써, 활착률이 빠르고 묘목이나 식물의 고사를 막도록 한 분리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 이 있다.
또한, 묘목이나 식물의 뿌리 내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수분과 염류가 식물의 뿌리 주변으로 과잉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흙의 중층과 하층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여, 묘목이나 식물의 성장에 따른 최적의 조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흙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몸체의 측면에는 공간부와 통하면서 면적을 가진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굴곡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에는 개구부를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다공판이 걸림부에 의해 걸림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분리형 화분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몸체의 저면에는 몸체가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깊이를 가진 받침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는 다공판이 바닥에 놓여 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형 화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형 화분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화분(20)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몸체(22)와 받침대(24)로 나뉘어 있다.
먼저, 상기 몸체(22)의 측면에는 내부 공간부(26)와 통하도록 면적을 가지는 개구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28)의 양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다공판(30)이 개구부(28)의 내측 공간부(26)에 배치되게 될 때, 배치된 다공판(30)이 개구부(28)를 통하여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걸림 기능을 발휘하는 걸림부(32)가 각각 굴곡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판(3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22)의 저면에는 몸체(22)의 바닥이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놓여 질 수 있도록 깊이를 가진 받침대(24)가 구비된다. 이러한 받침대(24)의 내부에는 두께를 가지는 다공판(36)이 바닥에 놓이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이 다공판(36)에 의해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특히 받침대(24)에 물이 고이더라도 다공판(36)의 두께에 의해 하층의 흙이 물에 잠지기 않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분리형 화분(20)을 사용하게 되면, 묘목이나 식물이 뿌리 내림이 이루어질 때, 뿌리가 다공판(30)에 형성된 통공(34)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됨으로써, 뿌리 내림에 대한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활착도 잘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공급되는 물은 흙(14)의 하층으로 스며들면서 집중되어 물과 염류가 축적된다. 이때 다공판(30)에 형성된 통공(34)을 통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스며들게 되면서 수분 증발로 인해 점차 건조되어 간다.
이와 같이 상기 흙(14)의 중층 및 하층 부분이 점진적으로 건조 되게 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묘목이나 식물의 성장에 장애를 줄 수 있는 염류와 수분이 뿌리 주변으로 축적되는 것이 방지되어, 묘목이나 식물의 성장에 따른 최적의 조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10)은 측면이 완전히 막히는 구조이므로, 뿌리내림이 원활하지 못하고, 아울러 물과 염류가 하층으로 집중되면서 축적되어 뿌리가 썩거나 말라가는 현상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화분(20)을 사용하게 되면, 측면이 다공판(30)으로 형성되어 있어, 뿌리 내림에 있어 종래와 같이 저지됨이 없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아울러 뿌리 주변에 물과 염류의 집중으로 인한 축적이 해소되어 묘목이나 식물의 성장에 최적의 조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화분(20)을 사용하게 되면, 묘목이나 식물을 어느 정도 길러 심고자 하는 장소에서 상기 화분(20)을 분리하여 뿌리가 상하지 않고 흙이 붙은 상태로 식수하게 됨으로써, 활착률이 빠르고, 묘목이나 식물의 고사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기재된 설명과 도면에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이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구조의 예가 더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화분의 측면에 다공판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식물의 뿌리 내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는 물론 그에 따라 활착이 잘 이루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물이 흙의 하층으로 집중하게 되어 수분과 염류가 식물의 뿌리 주변으로 과잉 축적되는 것이 방지되고, 아울러 흙의 중층과 하층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의 성장에 따른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화분을 사용하게 되면, 뿌리가 상하지 않고 흙이 그대로 붙어 있는 상태로 묘목이나 식물을 식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활착률이 빠르고, 묘목이나 식물의 고사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흙(14)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26)를 형성한 몸체(22)의 측면에는 공간부(26)와 통하면서 면적을 가진 개구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8)의 양측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굴곡된 걸림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26)에는 개구부(28)를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다공판(30)이 걸림부(32)에 의해 걸림 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2)의 저면에는 몸체(22)가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깊이를 가진 받침대(24)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24)의 내부에는 두께를 가진 다공판(36)이 바닥에 놓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화분.
KR2020070006137U 2007-04-13 2007-04-13 분리형 화분 KR200440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137U KR200440736Y1 (ko) 2007-04-13 2007-04-13 분리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137U KR200440736Y1 (ko) 2007-04-13 2007-04-13 분리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736Y1 true KR200440736Y1 (ko) 2008-06-30

Family

ID=4163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137U KR200440736Y1 (ko) 2007-04-13 2007-04-13 분리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7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98U (ko) 2020-06-08 2021-12-15 주식회사 탐진 식물 재배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98U (ko) 2020-06-08 2021-12-15 주식회사 탐진 식물 재배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6973B (zh) 板状结构、储器和方法
US20150040474A1 (en) Plant pot with elevated ventilation hole
US20190261586A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CN109475093B (zh) 改进花盆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20180078992A (ko) 식물재배용 화분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200440736Y1 (ko) 분리형 화분
KR20180079237A (ko) 식물재배용 화분
US20190177046A1 (en)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JPH11253054A (ja) 植物栽培用二重鉢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JP3237786U (ja) 貯水槽と空気層付き植木鉢。
RU218448U1 (ru) Рассадная кассета лесная
RU215149U1 (ru) Кассета рассадная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JP3022696U (ja) 野菜用育苗トレイ
CN207948276U (zh) 组合花盆
JPH0410757Y2 (ko)
NL2018076B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a method
TWM642130U (zh) 植栽容器
JPH0567243U (ja) 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