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535Y1 - 유모차시트 - Google Patents

유모차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535Y1
KR200440535Y1 KR2020070019976U KR20070019976U KR200440535Y1 KR 200440535 Y1 KR200440535 Y1 KR 200440535Y1 KR 2020070019976 U KR2020070019976 U KR 2020070019976U KR 20070019976 U KR20070019976 U KR 20070019976U KR 200440535 Y1 KR200440535 Y1 KR 200440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ller
seat
fabric
folded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010U (ko
Inventor
이학림
Original Assignee
이학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림 filed Critical 이학림
Priority to KR2020070019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3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0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하는 유모차용 시트로서, 유모차시트를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탈,부착 없이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건강을 고려하여 항균작용 및 통풍효과를 극대화한 유모차용 시트를 제공한다.
종래의 유모차용 시트는 유모차를 접었다 펼 때마다 일일이 유모차시트를 탈,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나무발 원단으로 구성되고 등받침부와 엉덩이받침부 및 발받침부를 포함하는 유모차시트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시트의 모든 대나무 발은 가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세로대로 형성하고, 상기 유모차시트가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엉덩이받침부와 등받침부 사이의 일정부분을 유연한 직물원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모차시트를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모차 시트에 있어서 세로대로 형성된 대나무발 원단의 배면에는 숯가루를 첨가하여 고압으로 압착한 통공이 뚫린 숯가루부직포원단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상기 접착된 숯가루부직포원단의 배면에는 통풍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부드러운 에어메쉬 원단을 부착한 후 유모차시트의 외곽을 봉제테이프로 마감한 유모차시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유아의 땀냄새 및 유해한 공기가 숯가루부직 포원단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항상 청정한 공기가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제공되도록 하여 저항력이 약한 유아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모차시트{A seat for a baby stroller}
본 고안은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하는 유모차용 시트로서, 유모차시트를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탈, 부착 없이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건강을 고려하여 항균작용 및 통풍효과를 극대화한 유모차용 시트를 제공한다.
현대에는 유아의 성장속도가 빠르고 가로 및 세로로 겹쳐서 접혀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장점 때문에 고가의 대형 유모차보다는 휴대용유모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유모차를 여름철에 사용할 경우에는 유아의 땀띠를 예방하고자 왕골 또는 대나무발로 형성된 유모차시트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유모차시트는 대나무발을 모두 가로로 형성하여 왕골 또는 대나무발 원단이 세로로만 겹쳐서(시트가 위아래로만 접힘)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유모차시트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휴대용유모차를 접어서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유모차를 가로 및 세로로 접어서 보관할 때에는 유모차시트를 분리하고, 펼쳐서 사용시에는 매번 유모차시트를 다시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간이 신속이 요구되는 현대에는 유모차시트를 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유모차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마다 탈,부착할 필요가 없이 가로 및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는 유모차시트가 요구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대나무를 이용한 유모차용시트는 시트의 배면에 스폰지 또는 고밀도스폰지(토이론) 등으로 마감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여름철 유아의 땀띠를 예방하고자하는 목적에 역행하여 오히려 시트의 배면에 부착된 스폰지 등은 공기의 소통을 차단하여 통풍을 방해하고, 심지어는 무더운 여름철에 보온효과를 발생시켜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몸에 땀띠나 세균번식으로 인한 피부병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유모차시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하는 유모차용 시트로서, 유모차시트를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탈, 부착 없이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건강을 고려하여 항균작용 및 통풍효과를 극대화한 유모차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발 원단으로 구성되고 등받침부와 엉덩이받침부 및 발받침부를 포함하는 유모차시트에 있어서, 유모차시트를 가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모든 대나무발을 세로대로 제작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시트가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엉덩이받침부와 등받침부 사이의 일정 부분을 유연한 직물원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모차시트를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접혀지도록 구성하여 휴대용유모차의 사용 및 보관시에도 유모차시트를 탈,부착의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유모차시트에 있어서, 대나무발 원단의 배면에는 숯가루를 첨가하여 고압으로 압착한 통공이 뚫린 숯가루부직포원단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상기 부착된 숯가루부직포원단의 배면에 쿠션효과 및 통풍효과를 동시에 증대시키기 위하여 유연성이 있는 에어메쉬원단을 부착한 후, 상기 유모차시트의 외곽을 봉제테이프로 마감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대나무발, 숯가루부직포원단에 형성된 통공 및 에어메쉬원단을 통과하는 공기가 숯가루에 의해 정화되어 유아에게 항상 쾌적하 고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여, 유아의 건강을 도모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대나무발 원단으로 구성되고 등받침부와 엉덩이받침부 및 발받침부를 포함하는 유모차시트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시트의 모든 대나무 발은 가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세로대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시트가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엉덩이받침부와 등받침부 사이의 일정부분을 유연한 직물원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모차시트를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유모차시트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발 원단의 배면에는 통공이 뚫린 숯가루부직포원단을 접착하고, 상기 숯가루부직포원단의 배면에는 유연성이 있는 에어메쉬원단을 부착하며, 상기 숯가루 부직포원단과 에어메쉬원단이 부착된 유모차시트의 외곽을 봉제테이프로 마감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시트를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유모차시트가 가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모든 대나무발을 세로대로 형성하고, 상기 유모차시트가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엉덩이받침부와 등받침부 사이의 일정부분을 유연한 직물원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모차시트를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대로 탈, 부착 없이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휴대용유모차를 가로 및 세로로 접어서 보관할 때에는 유모차시트를 분리하고, 펼쳐서 사용시에는 매번 유모차시트를 다시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유모차시트를 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유모차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마다 탈,부착할 필요가 없어 실용성을 극대화하는데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유모차시트는 상기 대나무발 배면에 공기의 정화, 탈취 및 항균작용을 하도록 통공이 뚫린 숯가루부직포원단을 접착하고, 상기 숯가루부직포원단의 배면으로 쿠션 및 통풍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연성이 있는 에어메쉬원단을 부착한 후 상기 유모차시트의 외곽을 봉제테이프로 마감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숯가루부직포원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직포(11, 12) 사이의 공간에 숯가루(10)를 고압으로 압착하여 형성되고, 숯가루부직포원단에 통공(20)을 뚫어 시트의 전면과 후면으로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 되도록 하여 통풍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유모차시트가 가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모든 대나무발을 세로대로 제작하고, 또한, 본 고안의 유모차시트가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엉덩이받침부와 등받침부의 중간부위에 일정한 넓이의 유연한 직물원단을 형성하여, 유모차에 유모차시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그대로 유모차시트가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편리하게 접혀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휴대용유모차를 가로 및 세로로 접어서 보관할 때에는 유모차시트를 분리하고, 펼쳐서 사용시에는 매번 유모차시트를 다시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유모차시트를 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유모차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마다 탈,부착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나무발 원단의 배면에 숯가루부직포원단을 접착함으로써 공기의 정화, 탈취 및 항균작용을 하고, 상기 숯가루부직포원단의 배면에 유연성이 있는 에어메쉬원단을 부착함으로써 쿠션 및 통풍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유모차 시트에 부착된 스폰지 등이 공기의 소통을 차단하고, 통풍을 방해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몸에 땀띠나 세균번식으로 인한 피부병 등을 발생시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나무발, 숯가루부직포원단에 형성된 통공 및 에어메쉬원단을 통과하는 공기가 숯가루에 의해 정화되어 항상 유아에게 쾌적하고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여 유모차시트 고유의 목적인 쾌적한 유모차내 환경 제공과 더불어 유아의 건강에도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의 2개의 부직포(11, 12) 사이에 내장된 숯가루는 유해공기를 정화하고, 세균번식에 의해 발생되는 땀냄새나 악취를 제거하여 항상 깨끗한 공기를 유지시켜주며,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조절하고, 원적외선 및 몸에 좋은 음이온을 방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폰이나 컴퓨터, TV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전자파를 차단하는 등 건강에 유익한 기능을 가지며, 숯가루에 형성된 통공은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모차시트(1)는 최상부에 유모차시트(1)를 유모차에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한 버클(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모차시트(1)는 상부에 등받침부(3)와 하부에 엉덩이받침부(4) 및 엉덩이받침부의 하부로 발받침부가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유모차시트(1)는 가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대나무발(2)을 모두 세로로 형성하고, 상기 유모차시트(1)의 엉덩이받침부(4)와 등받침부(3)가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엉덩이받침부(4)와 등받침부(3) 사이의 일정부분을 유연한 직물원단(5)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유모차에 유모차시트(1)를 장착한 상태에서 그대로 유모차시트(1)가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편리하게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나무발 원단의 배면에는 통공이 뚫린 숫가루부직포원단을 접착하고, 상기 숯가루부직포원단(6)의 배면에는 쿠션 및 통풍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연성이 있는 에어메쉬원단(7)이 부착되어있으며, 상기 에어메쉬원단(7)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모차시트(1)의 외곽을 봉제테이프(8)로 마감하여 본 고안의 유모차시트(1)가 완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유모차시트 단면 A-A'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숯가루부직포원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숯가루부직포원단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나무발(2) 배면에는 공기의 정화, 탈취 및 항균작용을 하도록 통공(20)이 뚫린 숯가루부직포원단(6)을 부착하였다. 상 기 숯가루부직포원단(6)은 2개의 부직포(11, 12) 사이의 공간에 숯가루(10)를 넣고 부직포(11, 12)와 숯가루(10)를 고압으로 압착하여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가루부직포원단(6)의 내부에는 숯가루(10)가 삽입되고, 상기 숯가루부직포원단(6)에 형성된 통공(20)은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나무발(2), 숯가루부직포원단(6)에 형성된 통공(20) 및 에어메쉬원단(7)을 통과하는 공기가 숯가루(10)에 의해 정화되어 항상 유아에게 쾌적하고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여 유아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숯가루부직포원단(6)에 내장된 숯가루(10)는 유해공기를 정화하고, 세균번식에 의해 발생되는 땀냄새나 악취를 제거하여 항상 깨끗한 공기를 유지시켜주며,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조절하고, 원적외선 및 몸에 좋은 음이온을 방출하는 효과가 있다. 핸드폰이나 컴퓨터, TV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전자파를 차단하는 등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가지며, 또한, 숯가루(10)에 형성된 통공은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유모차 시트에 부착된 스폰지 등이 공기의 소통을 차단하고, 통풍을 방해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몸에 땀띠나 세균번식으로 인한 피부병 등을 발생시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나무발, 숯가루부직포원단에 형성된 통공 및 에어메쉬원단을 통과하는 공기가 숯가루에 의해 정화되어 항상 유아에게 쾌적하고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여 유모차시트 고유의 목적을 달성하고, 나아가 유아의 건강에도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모차시트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휴대용유모차에 본 고안 유모차시트의 버클(13)을 견고하게 장착하고, 등받침부의 양측 날개부가 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등받침부와 양측 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홈으로 최신 유모차에 형성된 어깨 안전벨트를 인출한다. 엉덩이방침부(4) 선단에 두개의 신축밴드로 연결된 발받침부 사이로 유모차 좌대의 안전벨트 잭을 인출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유모차시트에 유아를 탑승시킴으로써 유아에게 쾌적한 유모차 내의 환경을 제공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휴대용유모차의 보관시에는 시트를 탈착할 필요없이 휴대용유모차와 함께 접어서 보관하며, 펼쳐서 재사용시에도 원래의 유모차 시트의 장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탈부착의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용유모차는 물론이고, 모든 유모차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 고안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모차시트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유모차시트 단면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숯가루부직포원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숯가루부직포원단의 사시도이다.

Claims (2)

  1. 대나무발 원단으로 구성되고 등받침부와 엉덩이받침부 및 발받침부를 포함하는 유모차시트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시트의 모든 대나무 발은 가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세로대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시트가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엉덩이받침부와 등받침부 사이의 일정부분을 유연한 직물원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모차시트를 휴대용유모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로 또는 세로로 겹쳐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나무발 원단의 배면에는 통공이 뚫린 숯가루부직포원단을 접착하고,
    상기 숯가루부직포원단의 배면에는 유연성이 있는 에어메쉬원단을 부착하며,
    상기 숯가루 부직포원단과 에어메쉬원단이 부착된 유모차시트의 외곽을 봉제테이프로 마감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시트.
  2. 삭제
KR2020070019976U 2007-12-12 2007-12-12 유모차시트 KR200440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976U KR200440535Y1 (ko) 2007-12-12 2007-12-12 유모차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976U KR200440535Y1 (ko) 2007-12-12 2007-12-12 유모차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10U KR20080000010U (ko) 2008-01-03
KR200440535Y1 true KR200440535Y1 (ko) 2008-06-17

Family

ID=4365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976U KR200440535Y1 (ko) 2007-12-12 2007-12-12 유모차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10U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6343B2 (en) Versatile seat liner
US20120286549A1 (en) Multi-use seat liner
CA2772955A1 (en) A crib liner
KR101285974B1 (ko)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CN201855363U (zh) 无纺布瞬吸孔纸尿裤
JP5346961B2 (ja) 枕の構造
KR200474275Y1 (ko)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KR200440535Y1 (ko) 유모차시트
EP2531076B1 (en) Mattress pad
KR200458506Y1 (ko) 유아용 캐리어 통풍 패드
JP5479813B2 (ja) 子守帯
JP2000189290A (ja) クッション
KR101593640B1 (ko) 다용도 유아 매트리스
JP2016116641A (ja) 表装シート及び該表装シートを用いたチェア
KR101028579B1 (ko) 아기 수면보호대
CN219877836U (zh) 一种新型复合活力绵床垫
KR101320856B1 (ko) 수유용 받침시트
KR101653112B1 (ko) 층간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통풍매트
NL1035928C (nl) Matraselement en matras.
CN217524431U (zh) 一种可拆式天然抗菌床垫
CN203388601U (zh) 冰丝竹炭凉席、枕席、推车席
US20030214162A1 (en) Arm support cover
KR102587985B1 (ko) 베개커버용 mof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3830049B1 (ja) 背当て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