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435Y1 - 미진동 운동기 - Google Patents

미진동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435Y1
KR200440435Y1 KR2020080004403U KR20080004403U KR200440435Y1 KR 200440435 Y1 KR200440435 Y1 KR 200440435Y1 KR 2020080004403 U KR2020080004403 U KR 2020080004403U KR 20080004403 U KR20080004403 U KR 20080004403U KR 200440435 Y1 KR200440435 Y1 KR 200440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ed
user
leg res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 수 박
Original Assignee
민 수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 수 박 filed Critical 민 수 박
Priority to KR2020080004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4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진동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균일한 진동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팔과 다리에 충분한 진동을 전달하여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미진동 운동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진동베드와; 진동베드를 프레임에 진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와; 진동베드에 누운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지지할 수 있는 다리받침대와; 다리받침대를 진동베드에 진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와; 진동베드에 누운 사용자의 팔을 받쳐지지할 수 있는 팔받침대와; 진동베드와 다리받침대와 팔받침대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미진동 운동기{VIBRATOR FOR HUMAN BODY}
본 고안은 미진동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균일한 진동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팔과 다리에 충분한 진동을 전달하여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진동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진동을 이용한 운동기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4802호 "미진동 운동기"가 있다.
이 기술은, 사용자를 지지하는 진동베드와, 진동베드를 진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와, 진동베드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진동수단은,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축과, 편심축의 회전운동을 상하좌우 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진동베드에 전달하는 운동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미진동 운동기에 의하면,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편심축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편심축의 회전력은 운동변환수단을 거치면서 상하좌우 진동운동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상하좌우 진동운동은 진동베드에 전달되면서 진동베드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미진동 운동기는, 진동이 진동베드로만 집중적으로 전달되므로, 사용자의 몸통에만 진동이 전달된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운동효과가 요구되는 팔과 다리에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미진동 운동기는, 탄성지지부재가 진동베드의 네모서리를 지지하므로, 진동베드를 효휼좋게 지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진동베드의 진동이 불균일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진동베드의 진동이 불균일해지므로, 운동효과가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팔과 다리에도 진동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게 함으로써, 팔과 다리의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미진동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진동베드의 진동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미진동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미진동 운동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진동베드와; 상기 진동베드를 상기 프레임에 진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진동베드 에 누운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지지할 수 있는 다리받침대와; 상기 다리받침대를 상기 진동베드에 진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진동베드에 누운 사용자의 팔을 받쳐지지할 수 있는 팔받침대와; 상기 진동베드와 상기 다리받침대와 상기 팔받침대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진동베드의 밑면을 상기 프레임에 지지시키는 코일스프링들이며, 상기 코일스프링들은, 상기 진동베드의 밑면 중간측부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다리받침대의 밑면을 상기 진동베드에 지지시키는 코일스프링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진동 운동기에 의하면, 다리받침대와 팔받침대에 진동을 직접 전달하는 구조이므로, 전달된 진동이 사용자의 팔과 다리에 효율좋게 진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팔과 다리에 효율좋게 진동시킬 수 있으므로, 팔과 다리에 대한 충분한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가 진동베드의 중간측부분에 설치되므로, 진동베드의 진동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진동에 의한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진동 운동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진동 운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미진동 운동기는 프레임(10)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은, 하부의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부의 지지플레이트(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2)를 연결하는 네 개의 지지다리(16)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미진동 운동기는, 진동베드(20)와, 진동베드(20)를 프레임(10)에 상하좌우 진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복수의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30)를 구비한다.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3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진동베드(20)의 밑면을 프레임(10)에 지지시킨다. 특히, 진동베드(20)의 밑면 중간측부분을 프레임(10)에 지지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진동베드(20)를 길이방향으로 3등분한 다음, 밑면의 1/3지점과 2/3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베드(2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판체로서, 상면의 일측부분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40)가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면의 타측부분에는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지지할 수 있는 다리받침대(50)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개(40)와 다리받침대(50)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팔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팔받침대(70)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받침대(50)는,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들을 통해 진동베드(20)의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다리받침대(50)는 진동베드(20)에 상하좌우 진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들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이들 코일스프링은, 다리받침대(50)의 밑면을 진동베드(20)에 지지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코일스프링이, 다리받침대(50)의 밑면 중간측부분을 진동베드(20)에 지지시키는 것이 좋다.
팔받침대(70)는, 다리받침대(50)의 양측에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팔을 받쳐지지할 수 있는 받침홈(72)을 구비한다. 받침홈(72)에는 진동시 사용자의 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패드(74)가 설치되어 있다.
패드(74)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받침홈(72)의 양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진동시 사용자의 팔이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시킨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미진동 운동기는, 진동베드(20)에 누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다리받침대(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위치조절수단은, 다리받침대(50)를 지지하는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80)들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롯(80)은, 진동베드(20)에 형성된다. 특히, 진동베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슬롯(80)은,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따라서, 상부에 지지된 다리받침대(5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다리받침 대(5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리받침대(50)를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알맞게 위치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위치조절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절된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를 진동베드(2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82)을 구비한다. 고정수단(82)은, 체결나사부(84)와 체결너트(86)를 포함한다.
체결나사부(84)는,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가이드 슬롯(80)을 통과하여 진동베드(20)의 밑면으로 돌출된다.
체결너트(86)는, 진동베드(20)의 밑면으로 돌출된 체결나사부(84)에 나사체결된다. 따라서, 위치 조절된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를 진동베드(20)에 고정시킨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미진동 운동기는, 진동베드(20)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수단(90)을 구비한다.
진동발생수단(90)은, 진동모터로 구성되며, 다리받침대(50)에 설치된다. 여기서, 진동모터는, 편심된 무게중심을 갖는 언밸런스 웨이트(도시하지 않음)를 모터로 회전시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구성과 작동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진동발생수단(90)은, 발생된 진동을 다리받침대(50)에 전달함으로써, 전달된 진동이 팔받침대(70)와 진동베드(20)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진동베드(20)에 누워있는 사용자를 진동운동시키며, 그 결과, 진동에 의한 운동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진동발생수단(90)은, 발생된 진동을 다리받침대(50)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다리받침대(50) 및 다리받침대(50)에 일체로 연결된 팔받침대(70)를 직접적으로 진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리와 팔에 대한 진동효율을 증대시키며, 그 결과, 팔과 다리에 충분한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진동발생수단(90)은, 경우에 따라 진동베드(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진동베드(20)를 직접 진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진동 운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Frame) 12: 지지플레이트(Plate)
20: 진동베드 30: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
40: 베개 50: 다리받침대
60: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 70: 팔받침대
72: 받침홈 74: 패드(Pad)
80: 가이드 슬롯(Guide Slot) 82: 고정수단
84: 체결나사부 86: 체결너트
90: 진동발생수단

Claims (7)

  1. 진동을 발생시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한 미진동 운동기에 있어서,
    프레임(10)과;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진동베드(20)와;
    상기 진동베드(20)를 상기 프레임(10)에 진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30)와;
    상기 진동베드(20)에 누운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지지할 수 있는 다리받침대(50)와;
    상기 다리받침대(50)를 상기 진동베드(20)에 진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와;
    상기 진동베드(20)에 누운 사용자의 팔을 받쳐지지할 수 있는 팔받침대(70)와;
    상기 진동베드(20)와 상기 다리받침대(50)와 상기 팔받침대(70)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운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베드 탄성지지부재(30)는,
    상기 진동베드(20)의 밑면을 상기 프레임(10)에 지지시키는 코일스프링들이며,
    상기 코일스프링들은, 상기 진동베드(20)의 밑면 중간측부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운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는,
    상기 다리받침대(50)의 밑면을 상기 진동베드(20)에 지지시키는 코일스프링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운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대(70)는,
    상기 다리받침대(50)의 양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운동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대(70)에는,
    진동시 사용자의 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패드(74)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운동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90)은,
    진동모터이며,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다리받침대(5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운동기.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다리받침대(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다리받침대(50)를 지지하는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진동베드(20)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80)들과;
    특정의 위치로 이동한 상기 다리받침대 탄성지지부재(60)를 진동베드(20)에 고정시켜, 위치 조절된 상기 다리받침대(5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운동기.
KR2020080004403U 2008-04-03 2008-04-03 미진동 운동기 KR200440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03U KR200440435Y1 (ko) 2008-04-03 2008-04-03 미진동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03U KR200440435Y1 (ko) 2008-04-03 2008-04-03 미진동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435Y1 true KR200440435Y1 (ko) 2008-06-13

Family

ID=4164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403U KR200440435Y1 (ko) 2008-04-03 2008-04-03 미진동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4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43A1 (ko) * 2012-10-19 2014-04-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축 인체 진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43A1 (ko) * 2012-10-19 2014-04-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축 인체 진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3703C (en) Massaging apparatus with vibrator
JP2008517679A (ja) 人体を振動により刺激する装置
KR101780956B1 (ko) 음파진동부를 구비하는 안마 마사지기의 아암 유닛
KR20160119063A (ko) 굴절식 침대의 마사지 및 음향 발생용 진동시스템
KR102353800B1 (ko) 인체 자극 유닛 및 상기 인체 자극 유닛을 가지는 인체 자극 장치
GB2097678A (en) Vibration treatment apparatus
US6319213B1 (en) Device for passive-motion treatment of the human body
KR102438631B1 (ko) 전신 진동마사지장치
KR200440435Y1 (ko) 미진동 운동기
US6723059B1 (en) Therapeutic bed with vibrating element
CN111265054A (zh) 理疗和助眠运动装置
JP7050924B2 (ja) 局所按摩装置並びに局所按摩装置を備える椅子及びマット
JPS63135171A (ja) 振動治療装置
US20180353375A1 (en) Mattress massage system and method for mattress massage
TWI760257B (zh) 律動機
KR101411628B1 (ko) 3축 인체 진동기
KR101780965B1 (ko) 모터진동부를 구비하는 안마 마사지기의 아암 유닛
KR200328304Y1 (ko) 진동발생장치
CN101711715A (zh) 振动训练机的振动踏台
KR100721004B1 (ko) 상하 진동 운동기구
CN216496454U (zh) 一种立式振动矫正装置及系统
JP3124048U (ja) マッサージ装置用振動ドライバ
US20020026132A1 (en) Device for spinal column treatment
KR20030070531A (ko) 의자식 마사지기
TW202416873A (zh) 震動器及具有該震動器之電動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