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304Y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304Y1
KR200328304Y1 KR20-2003-0022901U KR20030022901U KR200328304Y1 KR 200328304 Y1 KR200328304 Y1 KR 200328304Y1 KR 20030022901 U KR20030022901 U KR 20030022901U KR 200328304 Y1 KR200328304 Y1 KR 200328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iaphragm
support plate
rotating shaft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 수 박
Original Assignee
민 수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 수 박 filed Critical 민 수 박
Priority to KR20-2003-0022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3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B06B1/161Adjustable systems, i.e. where amplitude or direction of frequency of vibration can be vari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진동발생장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편심캠부를 갖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편심캠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받이홈을 갖는 진동판과; 진동판을 고정판에 운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탄성부재와; 진동판이 편심캠부에 의해 원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하부에서 지지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지지판에 전달된 진동판의 진동을 차단하도록 지지판과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진동흡수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진동판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종래와는 달리 진동판을 원운동시킴으로써 미세 진동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미세진동을 얻을 수 있음에 따라 진동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마사지효과와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VIBRAT0R}
본 고안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진동수의 미세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진동효율을 높여 운동 및 마시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진동을 일으키는 장치로서, 각종 진동시험장비나 또는 콘크리트 다지기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진동발생장치를 이용한 진동마사지기구와 진동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인체의 관절 또는 근육 부위를 마사지 해주거나 운동시켜주는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진동운동기구의 일례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012호의 진동침대가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은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진동판과, 진동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완충고무와, 진동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완충고무에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진동판의 저면에 부착되며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는 진동회전축과, 진동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진동침대에 의하면, 모터를 작동시켜 진동회전축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진동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되고, 발생된 진동은 진동판에 전달되면서 진동판의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동침대는 진동회전축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바, 진동방향이 상,하로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진동수의 미세진동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같은 단점은 진동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따라서 마사지효과와 운동효과를 저감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진동수의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진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편심캠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편심캠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받이홈을 갖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고정판에 운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진동판이 상기 편심캠부에 의해 원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에 전달된 진동판의 진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진동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판 20: 회전축
22: 편심캠부 30: 탄성부재
40: 진동판 42: 축받이홈
50: 전기모터 60: 벨트전동기구
62: 구동풀리 64: 종동풀리
66: 벨트 70: 지지판
72: 지지대 80: 베이스
82: 진동흡수부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진동발생장치는 고정판(10)을 갖는다. 고정판(10)은 대략 사각의 판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판(10)에는 회전축(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20)은 고정판(10)을 관통하여 고정판(10)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연장된 회전축(20)에는 편심캠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편심캠부(22)는 회전축(20)이 회전함에 따라 원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축(20)의 축중심에 대한 편심캠부(22)의 편심량은 대략 1mm 이하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이는 편심캠부(22)를 통하여 진동을 일으키는 후술하는 진동판(40)의 진동폭을 작게함으로써 미세진동을 일으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회전축(20)은 후술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회전축(20)의 회전을 돕기위해 회전축(20)과 고정판(10)의 사이에는 베어링 (12)이 개재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진동발생장치는 고정판(10)의 상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부재(30)와, 탄성부재(30)에 단부에 설치되는 진동판(40)을 갖는다.
탄성부재(30)는 스프링, 고무, 합성고무, 가요성 합성수지와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진동판(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30)는 상기 진동판(40)이 고정판(10)에 대해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판(40)은 사각의 판체로서, 그 중앙부에는 축받이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홈(42)에는 회전축(20)의 편심캠부(22)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편심캠부(22)와 축받이홈(42)과의 사이에는 베어링(44)이 개재된다.
이러한 진동판(40)은 탄성부재(30)에 의해 고정판(1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고정판(10)에 대해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축받이홈(42)에 끼워진 회전축(20)의 편심캠부(22)에 의해 원운동하며, 이에 따라 원운동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본 고안의 진동발생장치는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갖는다. 구동수단은 예를 들어 전기모터 또는 공압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으로 구성되며,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회전축(20)과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는 구동수단으로 전기모터(50)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동력전달장치로 벨트전동기구(60)를 이용하였다. 벨트전동기구(60)는 전기모터(50)의 구동축(52)에 장착되는 구동풀리(62)와, 회전축(20)에 장착되는 종동풀리(64)와, 구동풀리(62)와 종동풀리(64)를 감아 연결하는 벨트(66)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수단으로서 공압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공압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구동수단으로 사용할 때에는 별도의 공압펌프와 유압펌프를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동력전달장치로서 기어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아울러 전기모터(50)를 회전축(20)에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수단은 회전축(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0)의 편심캠부(22)를 원운동시키고, 편심캠부(22)를 원운동시킴으로써 이에 결합되는 진동판(40)을 원운동시킨다. 결국, 구동수단은 진동판(40)을 원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진동판(40)으로 하여금 미세진동을 일으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구동수단의 전기모터(50)는 회전수가 1800rpm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진동판(40)의 진동수를 분당 1800회 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진동판(40)으로하여금 고진동을 일으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진동수"라 함은 진동판 (40)이 1분간 원운동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가 미진동 운동기구로 사용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진동판(40)의 크기를 사용자가 누울 수 있을 정도로 크게 제작한 다음, 제작된 진동판(40)의 상면에 사용자의 머리와 다리를 받칠 수 있는 베개(P)와 다리받침대(L)를 부착시킨다. 이때, 진동판(40)을 지지하는 고정판(10)도 진동판(40)에 맞춰서 크게 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진동판(40)의 상면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전기모터(50)가 구동된다. 그러면, 전기모터(50)의 회전력은 벨트전동기구(60)를 통하여 회전축(20)에 전달되고, 회전축(20)에 전달된 회전력은 편심캠부(22)를 원운동시킨다. 그리고 편심캠부(22)가 원운동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진동판(40)도 원운동하면서 미세 진동을 발생시킨다. 결국, 진동판(40)은 미세 진동하면서 상면에 누워있는 사용자를 마사지 및 운동시킨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진동발생장치는 사용중 많은 진동을 발생하기 때문에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수단은 지지대(72)를 통해 고정판(10)을 지지하는 지지판(70)과, 지지판(70)을 지지하는 베이스(80)로 구성된다. 특히, 베이스(80)와 지지판(70)사이의 네 모서리에는 진동흡수부재(82)가 설치되는데, 이 진동흡수부재(82)는 상부의 진동발생장치에서 전달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동흡수부재(82)는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등과 같은 방진재의 내부에 공기를 충전하여 구성되는 에어마운트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동발생장치에 의하면, 진동판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종래와는 달리 진동판을 원운동시킴으로써 미세 진동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미세진동을 얻을 수 있음에 따라 진동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마사지효과와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편심캠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편심캠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받이홈을 갖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고정판에 운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진동판이 상기 편심캠부에 의해 원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에 전달된 진동판의 진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진동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KR20-2003-0022901U 2003-07-15 2003-07-15 진동발생장치 KR200328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01U KR200328304Y1 (ko) 2003-07-15 2003-07-15 진동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01U KR200328304Y1 (ko) 2003-07-15 2003-07-15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304Y1 true KR200328304Y1 (ko) 2003-09-26

Family

ID=4941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901U KR200328304Y1 (ko) 2003-07-15 2003-07-15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3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63B1 (ko) * 2008-10-07 2011-11-07 한국전력공사 무마찰 수평 진동 가진기
KR101223743B1 (ko) 2011-09-30 2013-01-17 유한회사 금영토건 콘크리트 내의 기포제거장치
JP2017209656A (ja) * 2016-05-27 2017-11-30 日本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および振動発生方法
CN110524723A (zh) * 2019-10-10 2019-12-03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低频振动拉毛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63B1 (ko) * 2008-10-07 2011-11-07 한국전력공사 무마찰 수평 진동 가진기
KR101223743B1 (ko) 2011-09-30 2013-01-17 유한회사 금영토건 콘크리트 내의 기포제거장치
JP2017209656A (ja) * 2016-05-27 2017-11-30 日本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および振動発生方法
CN110524723A (zh) * 2019-10-10 2019-12-03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低频振动拉毛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8445C2 (ru) Механический стимулятор для тела с опорой для ног, совершающей колебательные движения
CN115916135A (zh) 人体刺激单元和包括该人体刺激单元的人体刺激装置
KR200328304Y1 (ko) 진동발생장치
EP3981374B1 (en) Exercise machine providing back-and-forth movement and vibration
KR200264452Y1 (ko) 진동발생장치
CN215460028U (zh) 一种振动按摩机芯
US20220133575A1 (en) Exercise Machine Providing Back-and Forth Movement and Vibration
KR200194802Y1 (ko) 미진동 운동기
KR200378633Y1 (ko) 발판진동 운동기구
JP2021146181A (ja) 回旋式マッサージ伝動機構
KR20050122920A (ko) 골반교정장치
RU20529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ибрационного массажа мышц тела
KR100745156B1 (ko) 스윙운동의 안정성이 향상된 바이브레이타
KR102638619B1 (ko) 진동형 발 마사지 장치
KR100721004B1 (ko) 상하 진동 운동기구
KR200493489Y1 (ko) 발 마사지기
KR100456979B1 (ko) 운동기구를 구비한 침상용 매트리스
CN218187750U (zh) 一种新型健身用带点波速球
JPS6096252A (ja) 按摩機
KR200428754Y1 (ko) 체지방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용 진동장치
CN219127328U (zh) 一种迷你便携式震动电动按摩器
CN210904020U (zh) 震动按摩机
JP3524047B2 (ja) シーソー療法装置
KR200345624Y1 (ko) 인체의 요동운동을 위한 진동장치
KR200440435Y1 (ko) 미진동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