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36Y1 -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36Y1
KR200440336Y1 KR2020060032984U KR20060032984U KR200440336Y1 KR 200440336 Y1 KR200440336 Y1 KR 200440336Y1 KR 2020060032984 U KR2020060032984 U KR 2020060032984U KR 20060032984 U KR20060032984 U KR 20060032984U KR 200440336 Y1 KR200440336 Y1 KR 200440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us
roller
hopper
oil
cornu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근원
류명환
Original Assignee
류근원
류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근원, 류명환 filed Critical 류근원
Priority to KR2020060032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3/00Machines for coring or stoning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feed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0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 A23N4/08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for dates, olives or the like oblong fr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약재로 사용되는 산수유의 씨앗을 과육과 분리시키는 산수유 탈피기에 있어서, 산수유를 일정량씩 공급되게 하는 한편 산수유의 과육분리가 용이하도록 산수유를 길이 방향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동롤러와 평롤러 사이로 산수유를 공급하여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는 산수유 탈피기에 있어서, 산수유가 담기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에서 일측으로 산수유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는 진동장치의 상부에 놓여져 호퍼가 진동하면서 배출구로 산수유가 이동하여 구동롤러와 평롤러 사이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산수유가 일정량씩 길이방향으로 떨어지게 되어 산수유의 과육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산수유, 과육 분리, 진동장치, 공급

Description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Support device of cornus officinalis separator}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산수유 공급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산수유 공급기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배출구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배출구 실시예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배출구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배출구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산수유 공급기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산수유 공급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산수유 공급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0 : 구동롤러
11 : 평롤러 12 : 나선형 요홈
20 : 모터 22 : 풀리
23 : 빗각돌기면 24 : 스프링
25 : 누름바 30 : 산수유 공급기
31 : 덮개 32 : 호퍼
33 : 배출구 33a : 배출홈
33b : 배출로 34 : 철선
35 : 진동장치 36 : 진동코일
37 : 진동판
본 고안은 한약재로 사용되는 산수유의 씨앗을 과육과 분리시키는 산수유 탈피기에 있어서, 산수유를 일정량씩 공급되게 하는 한편 산수유의 과육분리가 용이하도록 산수유를 길이 방향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산수유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는 한편 오가피와 유자 그리고 대추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는데도 사용된다.
산수유의 과육을 씨앗과 분리시킨 후 이를 건조시켜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는 바, 산수유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시키는 작업이 고되고 능률이 오르지 않아 본 출원인은 산수유의 과육과 씨앗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산수유 탈피기'를 등록실용신안 20-0275721로 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 된 산수유 탈피기는 씨앗과 과육을 분리하는 롤러의 일측 또는 중앙에 설치되어 통상의 호퍼와 같은 형태로 산수유를 공급하게 되어 있어, 수분이 많고 서로 붙는 성질이 있는 산수유가 일정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산수유는 횡방향으로 롤러에 공급되는 경우 과육의 분리가 쉽지 않고 종방향(길이방향)으로 롤러에 공급되어야만 쉽게 과육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나, 이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산수유는 호퍼 형태의 공급탱크에 담겨져 중력에 의해 롤러의 상측으로 떨어지게 되어 있는 바, 위와 같이 산수유를 공급하는 경우 산수유가 과육과 잘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세워져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산수유는 상당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서로 붙게 되므로, 호퍼에서 롤러 쪽으로 순순히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따르는 것이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상기 실용신안은 롤러를 통하여 과육과 씨앗을 분리시키는데 전혀 문제가 없음이 사용에 의하여 입증이 되었으나, 호퍼 형태의 공급탱크에 담긴 산수유가 원활히 공급되지 못함으로 해서 산수유의 과육을 분리시키는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한편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나선형 요홈이 형성된 구동롤러와 평롤러 사이로 산수유를 공급하 여 롤러 사이로 과육을 배출시키고 롤러를 타고 측면으로 씨앗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서 산수유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는 산수유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와 평롤러 사이로 진동에 의해 산수유가 일정량씩 공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산수유의 과육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산수유에 진동을 주게 되어 산수유가 길이방향으로 세워져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동롤러와 평롤러 사이로 산수유를 공급하여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는 산수유 탈피기에 있어서, 산수유가 담기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에서 일측으로 산수유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는 진동장치의 상부에 놓여져 호퍼가 진동하면서 배출구로 산수유가 이동하여 구동롤러와 평롤러 사이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산수유가 일정량씩 길이방향으로 떨어지게 되어 산수유의 과육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몸체(1)의 상부를 길이 방향으로 개방시키되 상기 개방된 곳에는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가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구동롤러(10)에는 나선형 요홈(12)을 형성시키도록 하며, 상기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는 모터(20)의 회전력을 벨트(21)에서 평기어로 전달받아 회전되게 하고, 상기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사이간격은 간격조절나사(5)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롤러(10)의 나선형 요홈(12) 굵기를 조절할 경우 산수유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는 한편 오가피와 유자 그리고 대추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할 수 있 다.
모터(20)의 회전동력을 벨트(21)로 전달받는 풀리(22)의 내측에는 빗각풀리면(23)을 형성시키되 상기 빗각풀리면(23)에는 스프링(24)에 탄지된 누름바(25)를 접촉시켜 누름바(25)가 빗각풀리면(23)의 경사각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누름바(25)는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의 상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누름바(25)에는 일정간격으로 누름편(26)을 고정시키되 상기 누름편(26)은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에 위치되어 산수유가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를 타고 이동할 때 산수유를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로 밀어 넣도록 한다.
상기된 구동롤러(11)와 평롤러(10)의 측면에는 씨앗배출구(14)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과육배출구(13)를 설치하여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를 통과한 과육은 과육배출구(13)에서 모아지고,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를 타고 한쪽으로 이동된 씨앗은 씨앗배출구(14)에서 모아져 배출되어진다.
여기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상부에는 산수유 공급기(30)를 설치하여 산수유가 투입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산수유 탈피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 된 등록실용신안 20-027572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본 고안은 상기 된 선등록 실용신안을 기초로 하여 산수유에 진동을 가하여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 사이로 공급하는 산수유 공급기(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고안의 산수유 공급기(30)는 산수유를 일정량씩 공급될 수 있도록 하되 산수유가 길이방향으로 세워져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로 공급되게 하여 산수유의 과육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산수유 공급기(30)는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형상에 따라 도 2와 같이 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롤러(10)의 일측에 산수유를 공급하거나, 도 6 및 도 7과 같이 구동롤러(10)의 중앙에서 산수유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산수유 공급기(30)의 설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은 단순히 구동롤러(10)의 형상에 따른 것으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구조에 따라 일측 또는 중앙에서 산수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산수유 공급기(30)는 산수유가 담기고 투명한 덮개(31)가 씌워지며 일측으로 산수유를 배출하는 배출구(33)가 구비된 호퍼(32)를 진동장치(35)의 상부에 고정시켜 진동장치(35)의 구동시 호퍼(32)가 진동되며 산수유가 배출구(33)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진동장치(35)는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판(37)을 진동시키는 진동코일(36)을 구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코일(36)은 전력을 조절하여 진동의 정도가 조절되게 되고, 상기 진동판(37)의 상부에 호퍼(32)가 고정되게 되며, 상기 호퍼(32)는 전체적으로 배출구(33)쪽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호퍼(32)에 담긴 산수유가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동장치(35)는 외측으로 커버(39)가 씌워지게 되고, 상기 커버(39)에는 조절 스위치(38)가 설치되어 진동장치(35)의 구동과 정지 및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커버(39)의 상부로 돌출된 진동판(37)에 호퍼(32)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커버(39)를 사용하지 않고 호퍼(32)의 측면을 하부로 길게 연장시켜 진동장치(35)를 감싸 주어도 무방하며, 이는 단순 설계 변경사항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진동장치(35)는 도 2와 같이 구동롤러(10)에 나선형 요홈(12)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일측에서 산수유가 공급되도록 산수유 공급기(30)를 몸체(1)의 일측에 설치하고, 도 6과 같이 구동롤러(10)에 나선형 요홈(12)과 평롤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중앙에서 산수유가 공급되도록 산수유 공급기(30)를 중앙에 설치한다.
여기서 산수유 공급기(30)는 일측 또는 중앙에 설치하는 것은 산수유의 탈피기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산수유 공급기(30)의 설치 위치가 본 고안의 권리를 해석하는데 다르다 할 수 없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산수유 공급기(30)는 배출구(33)를 도 8과 같이 평탄하게 하거나, 도 11과 같이 배출홈(33a)을 주거나, 도 9와 같이 철선(34)을 고정시켜 배출로(33b)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배출구(33)를 평탄하게 하는 것보다, 배출홈(33a)을 주거나 배출로(33b)를 형성시키는 것이 산수유(8)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 사이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 같이 산수유(8)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공급하는 것이 산수유의 과육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12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수유 공급기(4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진동장치(45)를 방진고무(46a)를 대고 몸체(1)의 상부에 고정하고, 상기 진동장치(45)의 진동판(47)에 배출구(43)를 고정시켜 진동장치(45)의 진동코일(46)이 작동할 경우 배출구(43)가 진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출구(43)와 진동장치(45)는 커버(41)를 씌워주되 배출구(43)가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상부로 산수유(8)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41)에는 호퍼(42)를 끼울 수 있는 호퍼 끼움구(41a)를 형성하고, 상기 호퍼 끼움구(41a)에 호퍼(42)를 끼운 후에는 호퍼(42)가 움직이지 않도록 호퍼 고정띠(44)에 끼워진 나사를 조여 호퍼 고정띠(44)의 직경이 적어지면서 호퍼(42)가 고정되게 한다.
상기 된 산수유 공급기(40)는 진동장치(45)의 작동시 호퍼(42)에 담긴 산수유(8)가 배출구(43)로 떨어져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상부로 산수유(8)를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여기서 커버(41)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스위치(48)를 이용하여 진동코일(46)의 진동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산수유(8)의 공급량이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산수유 공급기(40)의 배출구(43)에는 산수유 배출기(30)의 배출구(33)에 형성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출홈(33a)을 주거나 배출로(33b)를 형성시켜 산수유(8)가 길이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산수유 탈피기는 산수유뿐만 아니라 오가피와 유자 그리고 대추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는데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먼저 산수유 공급기(30)에서 산수유를 배출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 후 산수유 탈피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산수유 공급기(30)에 산수유를 채우고, 진동장치(35)에 전원을 공급하면 진 동장치(35)의 진동코일(36)이 진동판(37)을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호퍼(32)가 진동을 하여 산수유를 배출구(33)로 배출시키게 되며, 배출구(33)에서 배출된 산수유는 구동롤러(10)의 일측 또는 중앙에 떨어져 과육과 씨앗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진동판(37)은 조절스위치(38)를 이용하여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절함에 따라 진동의 정도가 달라지고, 이러한 진동판(37)의 진동은 호퍼(32)에 전달되어 진동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진동이 크게 일어날수록 산수유가 많이 배출되고, 진동이 적게 일어날수록 산수유가 적게 배출된다.
따라서 조절스위치(38)를 이용하여 산수유의 배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호퍼(32)는 바닥이 배출구(33)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산수유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 배출구(33)는 평탄하게 하는 것보다, 도 11과 같이 배출홈(33a)을 주거나, 도 9와 같이 철선(34)을 고정시켜 배출로(33b)를 형성시키는 것이 산수유(8)를 길이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배출구(33)를 타고 배출되는 산수유는 진동이 전달되게 되고, 배출구(33)에 배출홈(33a)을 주거나 배출로(33b)를 형성시킬 경우 진동을 받으며 산수유가 이동할 때 배출홈(33a)과 배출로(33b)를 통과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배출구(33)를 통하여 배출되는 산수유(8)를 세워서 투입시킬 경우 보다 확실한 과육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12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산수유 공급기(40)를 이용하여 산수유(8)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호퍼(42)를 호퍼끼움구(41a)에 끼운 후 호퍼끼움구(41a)를 조여 호퍼(42)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진동장치(45)의 진동코일(46)을 작동시켜 배출구(43)가 진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출구(43)에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상부로 산수유(8)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배출구(43)는 진동판(47)에 고정되어 진동판(47)과 함께 진동하며 산수유(8)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43)에는 배출홈이나 배출로를 형성하여 산수유(8)가 길이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산수유의 과육이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산수유 탈피기의 모터(20)를 작동시키면 모터(20)의 회전력은 벨트(21)를 통하여 풀리(22)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롤러(10)의 상측으로 배출된 산수유는 나선형 요홈(12)을 타고 이동하면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로 밀려들러가게 되고 이때 산수유의 씨앗은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사이간격보다 커서 통과하지 못하고 씨앗이 빼내어진 과육만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바(25)는 빗각돌기면(23)의 경사각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바(25)가 좌우 이동되면 누름편(26)이 좌우 이동하면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로 산수유를 밀어주어 더욱 효과적으로 산수유가 과육과 씨앗으로 분리되게 한다.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의 간격은 간격조절나사(5)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를 통하여 배출된 과육 은 과육배출구(13)를 통하여 모아지게 되고,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사이를 타고 이동된 씨앗은 씨앗배출구(14)를 통하여 모아지게 된다.
본 고안의 산수유 공급기(30)는 구동롤러(10)의 일측에 산수유가 투입되게 설치하지 않고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중간에 산수유가 투입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나선형 요홈(12)이 형성된 구동롤러(10)의 일측에 평롤러(11)를 형성시키고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가 서로 어긋나게 양쪽으로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의 양쪽으로 산수유가 이동되면서 과육과 씨앗으로 분리되게 하는 데,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산수유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할 때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오가피와 유자 그리고 대추의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는데도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본 고안은 산수유에서 과육과 씨앗을 분리시킴에 있어서, 수분을 많이 함유한 산수유가 진동을 받으며 구동롤러와 평롤러 사이로 공급되게 하여, 산수유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산수유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산수유의 과육 분리가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나선형 요홈(12)이 형성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 사이로 산수유를 공급하여 산수유 과육은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 사이로 배출되고 씨앗은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를 타고 씨앗배출구(14)로 배출되는 산수유 탈피기에 있어서,
    몸체(1)의 상측에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 사이로 산수유를 공급하는 산수유 공급기(30)를 설치하되 상기 산수유 공급기(30)는 전원 공급시 진동판(37)을 진동시키는 진동코일(36)로 이루어진 진동장치(35)와, 상기 진동판(37)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산수유를 배출시키는 배출구(33)를 형성한 호퍼(32)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2. 나선형 요홈(12)이 형성된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 사이로 산수유를 공급하여 산수유 과육은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 사이로 배출되고 씨앗은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를 타고 씨앗배출구(14)로 배출되는 산수유 탈피기에 있어서,
    몸체(1)의 상측에 구동롤러(10)와 평롤러(11) 사이로 산수유를 공급하는 산수유 공급기(40)를 설치하되 상기 산수유 공급기(40)는 전원 공급시 진동판(47)을 진동시키는 진동코일(46)이 방진고무(46a)로 고정되게 이루어진 진동장치(35)와, 상기 진동판(47)에 고정되고 호퍼(42)에서 공급된 산수유를 배출시키는 배출구(43)와, 상기 진동장치(45)를 감싼 커버(41)의 상부에 끼워져 호퍼 고정띠(44)로 고정되는 호퍼(32)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유 탈피기의 산 수유 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산수유 공급기(30)의 호퍼(32)에 형성된 배출구(33)에는 배출방향으로 철선(34)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철선(34) 사이에 배출로(33b)를 형성시켜 상기 배출로(33b)를 따라 이동하는 산수유(8)가 길이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산수유 공급기(40)의 진동판(47)에 고정된 배출구(43)에는 배출방향으로 철선(34)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철선(34) 사이에 배출로(33b)를 형성시켜 상기 배출로(33b)를 따라 이동하는 산수유(8)가 길이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9. 삭제
KR2020060032984U 2006-12-29 2006-12-29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KR200440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984U KR200440336Y1 (ko) 2006-12-29 2006-12-29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984U KR200440336Y1 (ko) 2006-12-29 2006-12-29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36Y1 true KR200440336Y1 (ko) 2008-06-10

Family

ID=4163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984U KR200440336Y1 (ko) 2006-12-29 2006-12-29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3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19B1 (ko) * 2011-12-13 2014-02-26 김병선 산수유 가열유닛과 이를 이용한 산수유 탈피장치
KR101508684B1 (ko) 2014-11-28 2015-04-07 류근원 산수유 탈피기
KR101543453B1 (ko) * 2014-12-16 2015-08-10 김병선 산수유 탈피장치
CN107671928A (zh) * 2017-10-16 2018-02-09 浙江理工大学 一种枳壳对半切割机
KR101966364B1 (ko) 2018-12-19 2019-08-19 류근원 산수유 공급장치
WO2021013074A1 (zh) * 2019-07-19 2021-01-28 中国农业大学 一种八月瓜皮肉自动分离机
KR102393611B1 (ko) 2021-10-21 2022-05-03 농업회사법인메이트팜주식회사 씨선별분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19B1 (ko) * 2011-12-13 2014-02-26 김병선 산수유 가열유닛과 이를 이용한 산수유 탈피장치
KR101508684B1 (ko) 2014-11-28 2015-04-07 류근원 산수유 탈피기
KR101543453B1 (ko) * 2014-12-16 2015-08-10 김병선 산수유 탈피장치
CN107671928A (zh) * 2017-10-16 2018-02-09 浙江理工大学 一种枳壳对半切割机
KR101966364B1 (ko) 2018-12-19 2019-08-19 류근원 산수유 공급장치
WO2021013074A1 (zh) * 2019-07-19 2021-01-28 中国农业大学 一种八月瓜皮肉自动分离机
KR102393611B1 (ko) 2021-10-21 2022-05-03 농업회사법인메이트팜주식회사 씨선별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336Y1 (ko) 산수유 탈피기의 산수유 공급장치
US11547139B2 (en) Compact system for preparing personal smokable products
CN104705768B (zh) 坚果剥壳机
CN210787733U (zh) 一种矿石磁选装置
WO2006023270A3 (en) Multi-lane fruit guide assembly for a juice extractor
BRPI0806014B1 (pt) Calhas cônicas helicoidais vibro-elásticas implementadas em máquina para processamento seletivo de misturas de frutos verdes e maduros de café e método para tal processamento
CN108430279A (zh) 榨汁机
KR200275721Y1 (ko) 산수유 탈피기
KR20150022643A (ko) 찌꺼기 배출 조절이 가능한 주서기
CN212355761U (zh) 一种炒锅进料装置
CN203143712U (zh) 毛茶送料装置
CN206445859U (zh) 槟榔带式输送切籽机上的下料输送机构
KR102116172B1 (ko) 과실의 씨앗 분리장치
CN102488293A (zh) 手动花生脱壳机
CN206838484U (zh) 齿轮式谷糙分离筛
US20070026117A1 (en) Household appliance for drawing fresh pasta
CN204499402U (zh) 坚果剥壳机
KR200373918Y1 (ko) 산수유 과육분리기
CN105583022B (zh) 一种粉末涂料粉碎机动粉碎架装置
CN204544407U (zh) 纤维塑料分离机
KR101232481B1 (ko) 물김용 이물질 제거장치
CN210815711U (zh) 一种矿石磁选机
KR101966364B1 (ko) 산수유 공급장치
CN216296501U (zh) 一种粒径可调的饲料粉碎设备
KR101448430B1 (ko) 농산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선별판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