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805Y1 -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 Google Patents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805Y1
KR200439805Y1 KR2020080000849U KR20080000849U KR200439805Y1 KR 200439805 Y1 KR200439805 Y1 KR 200439805Y1 KR 2020080000849 U KR2020080000849 U KR 2020080000849U KR 20080000849 U KR20080000849 U KR 20080000849U KR 200439805 Y1 KR200439805 Y1 KR 200439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larm main
alarm
speak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덕상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안덕상
안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덕상, 안호성 filed Critical 안덕상
Priority to KR2020080000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805Y1/ko
Priority to PCT/KR2009/000185 priority patent/WO200909382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04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using portable perso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는 범죄자에게 탈취당할 염려가 없어 경고음 발생을 통한 자신의 신변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야간에도 자신이 처해 있는 범죄발생장소를 주변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는,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경보기본체와,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 상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과,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경보기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시 외부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부양, 호신용경보기, 경보기본체, 작동버튼, 구동모터, 회전익, 스피커, 컨트롤러, 배터리, 발광부재

Description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FLOATING UP TYPE ALARM APPARATUS FOR SELF-PROTECTION}
본 고안은 치한, 강도 또는 납치범 등과 같은 범죄자에 의해 자신에게 발생하는 위험상황을 경고음을 통해 주변에 알림으로써 신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호신용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치한에 의한 성범죄나 강도에 의한 탈취, 어린이나 학생들의 유괴 또는 납치 등과 같은 강력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신변보호를 위한 호신장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범죄자에 의해 자신에게 발생된 위험상황을 경고음을 통해 주변에 알림으로써 신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호신용경보기이다.
이러한 호신용경보기는 목에 걸어 휴대하거나 호주머니에 휴대하고 있다가 치한, 강도 또는 납치범과 같은 범죄자가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고자 할 때 작동시켜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자신이 처해 있는 위험상황을 주변에 알림으로써 도움 을 요청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호신용경보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어야 하는 바, 범죄자가 자신에게 위해를 가할 때 작동시키고자 하더라도 사전에 범죄자에게 빼앗길 우려가 있으며, 설사 호신용경보기를 작동시키더라도 주변 사람들이 인지하기 전에 범죄자에게 빼앗길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호신용경보기의 경우에는 주로 경고음과 같이 청각자극에만 의존하고 있는 바, 특히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야간에는 주변사람들이 현재 범죄가 발생되고 있는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는 범죄자에게 탈취당할 염려가 없어 경고음 발생을 통한 자신의 신변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호신용경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도 자신이 처해 있는 범죄발생장소를 주변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 호신용경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경보기본체와,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 상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과,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경보기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시 외부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제 1 경보기본체와, 상 기 제 1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제 1 스피커와,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시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제 1 컨트롤러와,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와,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시 상기 제 1 경보기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 2 경보기본체와,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 상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과,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제 2 스피커와,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대한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분리감지센서와,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제 2 컨트롤러와,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를 재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의 분리시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대해 상기 제 2 경보기본체를 밀어올리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에 의하면, 경보기본체가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경고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는 범죄자에게 호신용경보기를 탈취당할 염려가 없어 자신의 신변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경보기본체에 구비된 발광부재로부터 빛이 발산됨에 따라 야간에도 자신이 처해 있는 범죄발생장소를 주변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어 특히 야간에 신변보호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럭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는, 범죄자가 자신 에게 위해를 가할 때 경보기본체(10)를 공중으로 부양시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범죄자에게 탈취당할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버튼(11)이 구비되는 경보기본체(10)와, 경보기본체(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의 축(21) 상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30)과, 경보기본체(10)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40)와, 경보기본체(10)에 설치되고 작동버튼(11)의 조작시 구동모터(20)와 스피커(4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50)와, 경보기본체(10)에 설치되고 구동모터(20), 스피커(40) 및 컨트롤러(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보기본체(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자체가 하나의 소형 비행체 또는 소형 부양체로 작용한다.
경보기본체(10)는 원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됨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헬리콥터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도 있다. 경보기본체(10)는 차후에 설명될 회전익(30)의 부양력에 의해 공중으로 부양될 수 있도록 비교적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보기본체(10)에는 작동버튼(11)이 구비되는데, 이 작동버튼(11)은 사용자에 의한 가압이나 접촉시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50)로 작동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온/오프 스위치나 누름버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경보기본체(10)에는 구동모터(20)가 설치되는데, 이 구동모터(20)는 차후에 설명될 회전익(30)을 회전시켜 부양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익(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축(21)은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다.
구동모터(20)는 경보기본체(10)의 부양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교적 소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21)을 제외하고는 경보기본체(10)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전술한 구동모터(20)의 축(21) 상에는 회전익(30)이 설치되는데, 이 회전익(30)은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면서 경보기본체(10)를 공중으로 부양시키기 위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통상적인 프러펠러 또는 헬리콥터의 회전익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회전익(30)의 블레이드들은 경보기본체(10)가 제자리에서 거의 수직으로 부양되어 현재 발생되고 있는 범죄현장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익(30)의 회전속도는 지상으로부터 3미터 내지 5미터 정도의 높이에서 경보기본체(10)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부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경보기본체(10)에는 스피커(40)가 설치되는데, 이 스피커(40)는 작동버튼(11)의 작동시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5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면서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주변 사람들에게 사용자가 처해 있는 위급상황을 청각자극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방으로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경보기본체(1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전술한 경보기본체(10)에는 컨트롤러(50)가 설치되는데, 이 컨트롤러(50)는 작동버튼(11)의 조작시 수신된 제어신호를 통해 구동모터(20), 스피커(40) 및 차후에 설명될 발광부재(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형태로 경보기본체(10) 내에 탑재된다.
전술한 경보기본체(10)에는 배터리(60)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배터리(60)는 전술한 구동모터(20), 스피커(40) 및 컨트롤러(50)와, 차후에 설명될 발광부재(7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보기본체(10)의 부양이 용이하도록 그 무게가 가벼운 수은전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경보기본체(10)의 외주면에는 발광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발광부재(70)는 작동버튼(11)의 작동시 외부로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특히 야간에도 현재 사용자가 처해 있는 범죄장소가 주변에서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엘이디(LED) 소자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의 전체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한, 강도 또는 납치범 등과 같은 범죄자가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경보기본체(10)의 작동버튼(11)만 누르면 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작동버튼(11)이 조작되면 그 신호가 컨트롤러(50)로 전달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컨트롤러(50)는 구동모터(20), 스피커(40) 및 발광부재(7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0)가 회전함에 따라 그 축(21)에 결합된 회전익(30)이 회 전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는 공중으로 부양되고, 이 상태에서 스피커(40)에 의해 경고음이 사방으로 발생됨과 동시에 발광부재(70)가 점등됨에 따라 주변사람들에게 현재 해당 장소에서 범죄자에 의한 위급상황이 발생되고 있음을 청각자극 및 시각자극을 통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는 지상에서 3미터 내지 5미터 정도의 높이로 부양됨에 따라 범죄자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를 탈취하여 그 작동을 정지시킬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처해 있는 위급상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럭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00)는 범죄자가 자신에게 위해를 가할 때 경보기본체(10)를 공중으로 부양시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범죄자에게 탈취당할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버튼(111)이 구비되는 제 1 경보기본체(110)와, 제 1 경보기본체(110)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제 1 스피커(120)와, 제 1 경보기본체(110)에 설치되고 작동버튼(111)의 조작시 스피커(120)를 작동시키는 제 1 컨트롤러(130)와, 제 1 경보기본체(110)에 설치되고 스피커(120) 및 컨트롤러(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140)와, 제 1 경보기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작동버튼(111)의 조작시 제 1 경보기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제 2 경보기본체(150)와, 제 2 경보기본체(15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60)와, 구동모터(160)의 축(161) 상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170)과, 제 2 경보기본체(150)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제 2 스피커(180)와, 제 2 경보기본체(150)에 설치되고 제 1 경보기본체(110)에 대한 제 2 경보기본체(150)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분리감지센서(190)와, 제 2 경보기본체(150)에 설치되고 분리감지센서(190)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60)와 제 2 스피커(180)를 작동시키는 제 2 컨트롤러(200)와, 제 2 경보기본체(150)에 설치되고 구동모터(160), 제 2 스피커(180) 및 컨트롤러(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배터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경보기본체(11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00)에 있어서 차후에 설명될 제 2 경보기본체(150)의 부상을 위한 지지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일반적인 휴대용 경보기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파지가 용이하도록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경보기본체(110)에는 작동버튼(111)이 구비되는데, 이 작동버튼(111)은 사용자에 의한 가압이나 접촉시 차후에 설명될 제 1 컨트롤러(130)로 작동신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 1 경보기본체(110)로부터 차후에 설명될 제 2 경보기본체(150)를 분리시키는 것으로, 휴대폰 충전기의 착탈을 위한 탄성버튼과 유사한 형태로 제 1 경보기본체(110)의 측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설고정된다.
작동버튼(111)의 상단부는 제 1 경보기본체(110)로부터 돌출되어 제 2 경보기본체(150)의 걸림홈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술한 제 1 경보기본체(110)에는 제 1 스피커(120)가 설치되는데, 이 제 1 스피커(120)는 작동버튼(111)의 작동시 차후에 설명될 제 1 컨트롤러(13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면서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주변 사람들에게 사용자가 처해 있는 위급상황을 청각자극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방으로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제 1 경보기본체(11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전술한 제 1 경보기본체(110)에는 제 1 컨트롤러(130)가 설치되는데, 이 제 1 컨트롤러(130)는 작동버튼(111)의 조작시 제 1 스피커(1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제 1 경보기본체(110)에는 제 1 배터리(140)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배터리(140)는 스피커(120) 및 컨트롤러(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반 건전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경보기본체(110)의 상단에는 제 2 경보기본체(150)가 작동버튼(111)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제 2 경보기본체(150)는 작동버튼(111)의 조작시 제 1 경보기본체(1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공중으로 부양되면서 공중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자체가 하나의 소형 비행체 또는 소형 부양체로 작용한다.
제 2 경보기본체(150)는 원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 정됨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헬리콥터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도 있다. 경보기본체(150)는 차후에 설명될 회전익(170)의 부양력에 의해 공중으로 부양될 수 있도록 비교적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경보기본체(110)에 대한 제 2 경보기본체(15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경보기본체(110)의 상단에는 제 2 경보기본체(150)의 분리시 제 1 경보기본체(110)에 대해 제 2 경보기본체(150)를 밀어올리는 탄성스프링(113)이 설치된다.
전술한 제 2 경보기본체(150)에는 구동모터(160)가 설치되는데, 이 구동모터(160)는 차후에 설명될 회전익(170)을 회전시켜 부양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익(1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축(161)은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다.
구동모터(160)는 제 2 경보기본체(150)의 부양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교적 소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161)을 제외하고는 제 2 경보기본체(150)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구동모터(160)의 축(161) 상에는 회전익(170)이 설치되는데, 이 회전익(170)은 구동모터(160)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 2 경보기본체(150)를 공중으로 부양시키기 위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통상적인 프러펠러 또는 헬리콥터의 회전익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회전익(170)의 블레이드들은 제 2 경보기본체(150)가 제자리에서 거의 수직 으로 부양되어 현재 발생되고 있는 범죄현장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익(170)의 회전속도는 지상으로부터 3미터 내지 5미터 정도의 높이에서 제 2 경보기본체(150)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부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2 경보기본체(150)에는 제 2 스피커(180)가 설치되는데, 이 제 2 스피커(180)는 작동버튼(111)의 작동시 차후에 설명될 제 2 컨트롤러(20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면서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주변 사람들에게 사용자가 처해 있는 위급상황을 청각자극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방으로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제 2 경보기본체(15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전술한 제 2 경보기본체(150)에는 분리감지센서(190)가 설치되는데, 이 분리감지센서(190)는 제 1 경보기본체(110)에 대한 제 2 경보기본체(150)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제 1 경보기본체(110)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일반적인 근접센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2 경보기본체(150)에는 제 2 컨트롤러(200)가 설치되는데, 이 제 2 컨트롤러(200)는 분리감지센서(190)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60), 제 2 스피커(180) 및 차후에 설명될 발광부재(22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통상의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제 2 경보기본체(150)에는 제 2 배터리(210)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2 배터리(210)는 구동모터(160), 제 2 스피커(180) 및 컨트롤러(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 2 경보기본체(150)의 부양이 용이하도록 그 무게가 가벼운 수은전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2 경보기본체(150)의 외주면에는 발광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발광부재(220)는 작동버튼(111)의 작동시 제 2 컨트롤러(200)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특히 야간에도 현재 사용자가 처해 있는 범죄장소가 주변에서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엘이디(LED) 소자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100)의 전체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한, 강도 또는 납치범 등과 같은 범죄자가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제 1 경보기본체(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버튼(111)만 누르면 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작동버튼(111)이 조작되면 그 신호가 제 1 컨트롤러(130)로 전달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제 1 컨트롤러(130)는 제 1 스피커(120)를 작동시킴에 따라 외부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작동버튼(111)을 누르게 되면, 작동버튼(111) 상의 돌기가 제 2 경보기본체(150)의 홈으로부터 분리되고, 탄성스프링(113)에 의해 상부로 밀려지게 되면서 제 2 경보기본체(150)가 제 1 경보기본체(110)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분리감지센서(190)에 의한 신호가 제 2 컨트롤러(200)로 수신되어 구동모터(160), 제 2 스피커(180) 및 발광부재(22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구동모터(160)가 회전함에 따라 그 축(161)에 결합된 회전익(170)이 회전되면서 제 2 경보기본체(150)는 공중으로 부양되고, 이 상태에서 제 2 스피커(180)에 의해 경고음이 사방으로 발생됨과 동시에 발광부재(220)가 점등됨에 따라 주변사람들에게 현재 해당 장소에서 범죄자에 의한 위급상황이 발생되고 있음을 청각자극 및 시각자극을 통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경보기본체(150)는 지상에서 3미터 내지 5미터 정도의 높이로 부양됨에 따라 범죄자가 제 2 경보기본체(150)를 탈취하여 그 작동을 정지시킬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처해 있는 위급상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제 1 경보기본체(110)외 제 2 경보기본체(150)의 상호작용으로 위급상황에 대한 대처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10 : 경보기본체 11 : 작동버튼
20 : 구동모터 30 : 회전익
40 : 스피커 50 : 컨트롤러
60 : 배터리 70 : 발광부재
100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110 : 제 1 경보기본체 111 : 작동버튼
120 : 제 1 스피커 130 : 제 1 컨트롤러
140 : 제 1 배터리 150 : 제 2 경보기본체
160 : 구동모터 170 : 회전익
180 : 제 2 스피커 190 : 분리감지센서
200 : 제 2 컨트롤러 210 : 제 2 배터리
220 : 발광부재

Claims (5)

  1.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경보기본체;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 상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시 외부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3.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제 1 경보기본체;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제 1 스피커;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시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제 1 컨트롤러;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시 상기 제 1 경보기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 2 경보기본체;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 상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제 2 스피커;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대한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분리감지센서;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제 2 컨트롤러; 및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제 2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 해 외부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경보기본체의 분리시 상기 제 1 경보기본체에 대해 상기 제 2 경보기본체를 밀어올리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KR2020080000849U 2008-01-21 2008-01-21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KR200439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849U KR200439805Y1 (ko) 2008-01-21 2008-01-21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PCT/KR2009/000185 WO2009093824A2 (ko) 2008-01-21 2009-01-14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849U KR200439805Y1 (ko) 2008-01-21 2008-01-21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805Y1 true KR200439805Y1 (ko) 2008-05-08

Family

ID=4090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849U KR200439805Y1 (ko) 2008-01-21 2008-01-21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39805Y1 (ko)
WO (1) WO200909382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4824A (zh) * 2014-11-28 2015-04-08 常州超音电子有限公司 旋转报警器
CN104851233A (zh) * 2015-05-12 2015-08-19 张斐斐 一种升降铁塔报警器
KR20220156337A (ko) 2021-05-18 2022-11-25 강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신용 디바이스
KR20220002978U (ko) 2021-06-14 2022-12-21 심재인 호신용 경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451A (ja) * 1996-11-12 1998-05-26 Mamoru Hirose 自動回転こま及びこま装置
KR19990008522U (ko) * 1997-08-06 1999-03-05 허맹구 방범 호신용 음향 경보기
KR20030059786A (ko) * 2003-06-25 2003-07-10 (주)비티티 포인터를 구비한 날으는 전자팽이
KR100780790B1 (ko) * 2005-05-18 2007-11-29 종 두 박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4824A (zh) * 2014-11-28 2015-04-08 常州超音电子有限公司 旋转报警器
CN104851233A (zh) * 2015-05-12 2015-08-19 张斐斐 一种升降铁塔报警器
KR20220156337A (ko) 2021-05-18 2022-11-25 강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신용 디바이스
KR20220002978U (ko) 2021-06-14 2022-12-21 심재인 호신용 경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3824A3 (ko) 2009-09-17
WO2009093824A2 (ko)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1733B1 (en) Self-propelled craft
JP2003312416A (ja) 自動車の水面浮揚及び非常連絡装置
JP7195926B2 (ja) 水難事故から守るため、特に溺者等を早期に発見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7714730B2 (en) Water activated safety light and flotation device using same
KR200439805Y1 (ko) 공중부양식 호신용경보기
US10358197B2 (en) Lifesaving rope apparatus, life jacket, and water lifesaving device
CN106364643B (zh) 泳池求救装置、泳池求救系统及求救方法
CN107902056B (zh) 一种智能救生圈释放装置
RU152040U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наряжение для помощи лицам, находящимся за бортом судна (варианты)
CN108248798B (zh) 一种电动救生圈的报警方法及系统
KR101956507B1 (ko)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CN205418032U (zh) 一种溺水救援装置
CN110053738A (zh) 一种防溺水游泳圈
KR102410574B1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CN113015562B (zh) 具有加速度计以延长电子部件的电池寿命的scba面罩组件
KR102147795B1 (ko) 구조 신호 발생 방식의 위험 상황 처리 시스템
ES1068634U (es) Dispositivo de emergencia perfeccionado, aplicable en embarcaciones de pequeña eslora, para aviso y localizacion de personas.
JP2001341693A (ja) 海洋観測ブイ
CN215775703U (zh) 一种带定位功能的旅游袖带
KR102312825B1 (ko) 조난구조 효율성이 향상된 조난신호 송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 조끼
KR20210064820A (ko) 조난구조 효율성이 향상된 구명 조끼를 포함하는 조난 구조 시스템
CN108185588B (zh) 一种泳池辅助救援装置
KR20220028207A (ko) 휴대용 조난 알리미
KR102081787B1 (ko) 인명구조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TWM495336U (zh) 船舶防沉浮力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