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774Y1 -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774Y1
KR200439774Y1 KR2020060031111U KR20060031111U KR200439774Y1 KR 200439774 Y1 KR200439774 Y1 KR 200439774Y1 KR 2020060031111 U KR2020060031111 U KR 2020060031111U KR 20060031111 U KR20060031111 U KR 20060031111U KR 200439774 Y1 KR200439774 Y1 KR 200439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let
pipe
opening
s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순행
전혁재
Original Assignee
허순행
전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순행, 전혁재 filed Critical 허순행
Priority to KR2020060031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연료절감기에서 뿜어져나온 연료가 역류하여 연료절감기의 출력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한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용 연료절감기(3)의 유입관(4) 및 배출관(5)에서 각각 분기되어 설치되는 배출연결관(12) 및 유입연결관(11)으로 이루어진 연결관(10)과, 이 연결관(10) 사이에 설치되는 역류차단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차단부(20)는 입구(22) 및 출구(23)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21)과, 이 하우징(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구(22)를 개폐시키는 개폐볼(24)과, 이 개폐볼(2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7)가 포함되며, 상기 입구(22)는 그 둘레부에 단턱(22a)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연결관(11)과 연결되며, 상기 출구(23)는 그 둘레부에 지지턱(23a)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연결관(12)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27)는 상기 지지턱(23a)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배출관(5)을 흐르는 연료의 역류발생유무에 따라 상기 개폐볼(24)을 입구(22)의 단턱(22a)과 밀착 또는 이격시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연료절감기, 연결관, 역류차단부, 하우징, 개폐볼, 탄성부재,

Description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A flowing backward prevention device of a fuel retrenchment device for car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연료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료공급관 3. 연료절감기
4. 유입관 5. 배출관
10. 연결관 11. 유입연결관
12. 배출연결관 20. 역류차단부
21. 하우징 22. 입구
23. 출구 24. 개폐볼
본 고안은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연료절감기에서 뿜어져나온 연료가 역류하여 연료절감기의 출력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한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연료절감기는 연료펌프에 의해 뿜어져나온 연료를 완전연소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켜 연료를 통과시키는 중간장치로써, 연료공급관을 통해 압축 배기 폭발 등의 행정이 일어나는 엔진의 실린더상에 연료를 공급한다.
그런데, 이러한 연료절감기를 통과한 연료는 엔진의 폭발에 따라 발생된 가스가 엔진의 충격파에 따른 펌핑현상에 의해 상기 연료공급관을 역류함에 따라서, 가스의 흐름과 함께 상기 연료절감기쪽으로 역류하여 원활한 연료공급이 방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절감기를 통과하는 연료의 흐름이 원활해지지 못해 엔진에 적정한 수준의 연료가 전달되지 못하여, 엔진의 출력저하 현상이 발생하며, 불규칙한 연료소비패턴을 보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료절감기에서 뿜어져나온 연료의 역류흐름을 바이패스시켜 다시 연료절감기 쪽으로 환원시킴으로 연료가 역류되는 일없이 원활한 연료공급이 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용 연료절감기(3)의 유입관(4) 및 배출관(5)에서 각각 분기되어 설치되는 배출연결관(12) 및 유입연결관(11)으로 이루어진 연결관(10)과, 이 연결관(10) 사이에 설치되는 역류차단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차단부(20)는 입구(22) 및 출구(23)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21)과, 이 하우징(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구(22)를 개폐시키는 개폐볼(24)과, 이 개폐볼(2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7)가 포함되며, 상기 입구(22)는 그 둘레부에 단턱(22a)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연결관(11)과 연결되며, 상기 출구(23)는 그 둘레부에 지지턱(23a)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연결관(12)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27)는 상기 지지턱(23a)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배출관(5)을 흐르는 연료의 역류발생유무에 따라 상기 개폐볼(24)을 입구(22)의 단턱(22a)과 밀착 또는 이격시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역류방지장치는 차량의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연료절감기(3)의 유입관(4) 및 배출관(5)에서 각각 분기되어 설치되는 배출연결관(12) 및 유입연결관(11)으로 이루어진 연결관(10)과, 이들 연결관(10) 사이에 설치되는 역류차단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역류차단부(20)는 입구(22) 및 출구(23)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21)과, 이 하우징(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구(22)를 개폐시키는 개폐볼(24)과, 이 개폐볼(2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입구(22)는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그 둘레부에 단턱(22a)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연결관(11)과 연결되며, 상기 출구(23)는 그 둘레부에 지지턱(23a)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연결관(12)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27)는 상기 지지턱(23a)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개폐볼(24)을 입구(22)의 단턱(22a)과 밀착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27)는 용수철로 구성되며, 그 둘레부가 상기 하우징(21)의 내측둘레부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개폐볼(24)은 하우징(21)의 내경보다 소정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과 개폐볼 사이에 틈(30)이 존재한다. 따라서, 개폐볼(24)이 상기 입구(22)의 단턱(22a)과 맞닿은 상태에서 역류에 의한 연료의 유속력에 의해 개폐볼(24)이 단턱(22a)과 살짝 떨어지면, 상기 틈(30) 사이로 역류된 연료가 빠져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연료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연료절감기(3)의 배출관(5)으로 연료가 역류되면, 이 역류된 연료는 상기 유입연결관(11)으로 유입된다. 이 때, 연료절감기(3)의 배출관(5)으로는 계속 연료가 배출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배출관(5)쪽으로는 역류된 연료가 유입되지 않는다. 이처럼, 유입연결관(11)을 통과하여 역류된 연료는 상기 하우징(21)의 입구(22)로 유입되는데, 이 때, 상기 입구(22)의 단턱(22a)과 맞닿아 입구(22)를 막고 있는 상기 개폐볼(24)이 역류된 연료의 유속력으로 인해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볼(24)이 밀리면서 상기 입구(22)가 열림에 따라 역류된 연료는 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출구(23)는 막혀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하우징(21)을 통과한 연료는 출구(23)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연결관(12)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연료절감기(3)의 유입관(4)측으로 다시 환원되어 유입된다.
한편, 역류되는 연료의 흐름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배출연결관(12) 및 하우징(21)의 내부엔 연료가 꽉 들어차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4)을 통과하는 연료가 상기 배출연결관(12)쪽으로 가려고 해도 상기 개폐볼(24)이 탄성부재(27)에 의해 하우징(21)의 입구(22)를 막고 있는 상태이므로 배출연결관(12)쪽으로는 흐르지 않고 모두 연료절감기(3)쪽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점은 상기 역류차단부(20)에 탄성부재(27)와 개폐볼(24)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관(5)으로 역류하여 흐르는 연료가 환원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역류차단부(20)의 출구(23)쪽으로는 다시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료절감기(3)에서 배출되는 연료가 역류할 때, 이 역류되는 연료를 상기 유입관(4)쪽으로 환원시킬 수 있어 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연료의 흐름이 역류하 는 연료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그대로 엔진쪽으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연료절감기(3)의 연료공급이 원활해지고, 엔진에 연료가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출력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역류차단부(20)에 탄성부재(27)와 개폐볼(24)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관(5)으로 역류하여 흐르는 연료가 환원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역류차단부(20)의 출구(23)쪽으로는 다시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료절감기(3)에서 배출되는 연료가 역류할 때, 이 역류되는 연료를 상기 유입관(4)쪽으로 환원시킬 수 있어 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연료의 흐름이 역류하는 연료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그대로 엔진쪽으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연료절감기(3)의 연료공급이 원활해지고, 엔진에 연료가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출력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용 연료절감기(3)의 유입관(4) 및 배출관(5)에서 각각 분기되어 설치되는 배출연결관(12) 및 유입연결관(11)으로 이루어진 연결관(10)과, 이 연결관(10) 사이에 설치되는 역류차단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차단부(20)는 입구(22) 및 출구(23)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21)과, 이 하우징(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구(22)를 개폐시키는 개폐볼(24)과, 이 개폐볼(2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7)가 포함되며, 상기 입구(22)는 그 둘레부에 단턱(22a)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연결관(11)과 연결되며, 상기 출구(23)는 그 둘레부에 지지턱(23a)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연결관(12)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27)는 상기 지지턱(23a)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배출관(5)을 흐르는 연료의 역류발생유무에 따라 상기 개폐볼(24)을 입구(22)의 단턱(22a)과 밀착 또는 이격시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
KR2020060031111U 2006-12-06 2006-12-06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 KR200439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111U KR200439774Y1 (ko) 2006-12-06 2006-12-06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111U KR200439774Y1 (ko) 2006-12-06 2006-12-06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774Y1 true KR200439774Y1 (ko) 2008-05-06

Family

ID=4164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111U KR200439774Y1 (ko) 2006-12-06 2006-12-06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222B1 (ko) 2011-10-12 2013-01-16 허성우 효율개선 구조의 역류방지기가 구비된 차량용 연료절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222B1 (ko) 2011-10-12 2013-01-16 허성우 효율개선 구조의 역류방지기가 구비된 차량용 연료절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7243B2 (en) Pressure activated trap primer and water hammer combination
EP1818521A3 (en) Muffler and vehicle equipped with muffler
JP2006257980A (ja) 燃料噴射装置におけるインライン式燃料供給装置
KR200439774Y1 (ko) 차량용 연료절감기의 역류방지장치
KR100760524B1 (ko) 상수도용 역지변
KR20120126169A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CN210566458U (zh) 一种一体式倒流阀
US7128090B1 (en) Water-hammer preventing unit for check valve
CN105561669A (zh) 磁性y型过滤器
JP2009068633A (ja) 逆止弁
KR20030079821A (ko) 역화방지 체크밸브
KR20090130958A (ko) 배기관을 이용한 차량 머플러
KR101222222B1 (ko) 효율개선 구조의 역류방지기가 구비된 차량용 연료절감기
KR200438690Y1 (ko) 유니온 타입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KR100579488B1 (ko) 상수도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JP2008095893A (ja) 逆止弁
KR101223160B1 (ko) 압력변화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된 수도꼭지
JP4262634B2 (ja) 逆止弁の水撃防止装置
JP2008020042A (ja) 逆止弁
CN201090452Y (zh) 新型自动排气式自吸泵用止回阀
JP2005308073A (ja) 逆止弁
KR100588318B1 (ko) 역류방지용 슬라이드식 수도미터
CN212690939U (zh) 双球单向阀
JP2009236269A (ja) リリーフ弁
CN210398103U (zh) 一种防水锤组件和具有该组件的出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