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703Y1 -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 - Google Patents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703Y1
KR200439703Y1 KR2020070004974U KR20070004974U KR200439703Y1 KR 200439703 Y1 KR200439703 Y1 KR 200439703Y1 KR 2020070004974 U KR2020070004974 U KR 2020070004974U KR 20070004974 U KR20070004974 U KR 20070004974U KR 200439703 Y1 KR200439703 Y1 KR 200439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upled
plate
present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하
Original Assignee
이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하 filed Critical 이규하
Priority to KR2020070004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7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에 관한 것으로, 친환경적인 목재를 이용하여 화분의 통체를 구성하고, 통체 내측에는 조절대를 내장하여 분재되는 화초나 나무에 따라서 흙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도로환경에 따라 이동 및 배치가 용이한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다수개의 직사각형 목판재(11a)를 연이어 맞닿이도록 원형으로 배열하여 상단부는 상부고정테(12)를 볼트로 결합고정하고, 하단부는 하부고정테(13)를 볼트로 결합고정하여 통체(11)를 구성하고, 상기 통체(11)의 양측면에는 손잡이(19)가 결합되며, 저면에는 배수공(15a)이 뚫린 바닥판(15)이 결합되고, 바닥판(15)의 저면에는 받침목(16)과 수개의 캐스터(17)가 결합되며, 통체(11)의 내측둘레면과 바닥면에는 비닐재질로 된 차단막(18)이 설치되며, 통체(11)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차단막(18)의 끝부분을 눌러 고정시키는 마감판(14)이 볼트로 결합고정되고, 통체(11) 내측에는 배수공(21a)이 뚫린 상판(21)이 결합된 조절대(20)가 내장된 것에 특징이 있다.
화분, 도로, 환경미화, 조절대, 캐스터

Description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a flowerpo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화분, 11:통체, 11a:목판재
12:상부고정테, 13:하부고정테
14:마감판, 15:바닥판, 15a:배수공
16:받침목, 17:캐스터
18:차단막, 19:손잡이
20:조절대, 21:상판, 21a:배수공
본 고안은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에 관한 것으로, 친환경적인 목재를 이용하여 화분의 통체를 구성하고, 통체 내측에는 조절대를 내장하여 분재되는 화초나 나무에 따라서 흙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도로환경에 따라 이동 및 배치가 용이한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차도와 접한 인도에는 가로수나 각종 화초를 분재한 화분을 일정간격으로 배치, 조성하게 된다.
도로용 화분은 석재,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된 화분이 있다. 그러나, 석재로된 화분은 무거운 하중으로 인해 이동이 불편하고, 특히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자동차가 화분을 추돌할 시 2차 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합성수지재로된 화분은 대량생산이 가능하나 자연미를 부각시킬 수 없고 장기간 사용시 변색 및 파손으로 인한 많은 유지보수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일정한 대용량의 크기로 생산되는 화분은 분재되는 화초 또는 나무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화분에 많은 양의 흙을 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나무에 비해 뿌리가 짧은 화초류는 흙의 높이가 낮아도 분재가 가능한데 일정한 깊이로 생산된 화분에 많은 양의 흙이 필요이상으로 투입되어 화분의 제조단가 상승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화분의 통체를 친환경적 재질인 목재로 구성하여 자연미를 부여하고, 통체 내측에는 조절대를 내장하여 분재되는 화초나 나무에 따라서 흙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양측면에 손잡이를 결합하고 저면에는 캐스터를 장착하여 화분의 근거리 이동 및 배치가 용이하도록 한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을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직사각형 목판재(11a)를 연이어 맞닿이도록 원형으로 배열하여 상, 하단부를 상부고정테(12)와 하부고정테(13)로 결합고정하여 통체(11)를 구성하고,
통체(11)의 양측면에는 손잡이(19)가 결합되며, 통체(11) 저면에는 배수공(15a)이 뚫린 바닥판(15)이 결합되고, 바닥판(15)의 저면에는 받침목(16)과 수개의 캐스터(17)가 결합되며,
통체(11)의 내측둘레면과 바닥면에는 비닐재질로 된 차단막(18)이 설치되며, 통체(11) 상면 테두리부에는 차단막(18)의 끝부분을 눌러 고정시키는 마감판(14)이 결합되고,
통체(11) 내측에는 배수공(21a)이 뚫린 상판(21)이 결합된 조절대(20)가 내 장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본 고안의 통체(11)는 다수개의 직사각형 목판재(11a)를 길이방향으로 세워 연이어 맞닿이도록 원형으로 배열하여 맞붙인 후 상단부는 상부고정테(12)를 고정볼트(부호생략)로 결합고정하고, 하단부는 하부고정테(13)를 고정볼트로 결합고정하여 원통형상의 통체(11)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고정테(12)와 하부고정테(13)는 수개의 원호형 목재로 분할구성하여 각각 고정볼트로 결합고정한다.
통체(11)의 저면은 중앙에 배수공(15a)이 뚫린 바닥판(15)으로 마감하여 통체(11) 내측에 흙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닥판(15)의 저면에는 통체(11)와 결합되는 받침목(16)을 결합하여 흙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바닥판(15)을 보강하고, 수개의 캐스터(17)를 장착하여 화분(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화분(10)의 이동시에는 통체(11) 양측면에 결합된 손잡이(19)를 잡고 이동시키면 화분(10)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통체(11)의 내측둘레면과 바닥판(15)의 상면에는 비닐재질로 된 차단막(18)을 설치하게 되는 바, 내측둘레면과 바닥판(15)의 상면 즉, 바닥면에 차단막(18)을 밀착시킨 후, 차단막(18)의 끝부분을 통체(11) 상단부의 상부고정테(12)측으로 감싼 후 마감판(14)을 통체(14)와 상부고정테(12) 상면에 맞대고 고정볼트(부호생략)로 체결하여 주면 차단막(18)의 설치가 완료된다.
바닥면에 위치한 차단막(18)의 중앙은 바닥판(15)의 배수공(15a)과 일치되도록 구멍을 뚫어주어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감판(14)은 상부고정테(12)와 하부고정테(13)와 마찬가지로 원호형의 목재로 분할구성하여 각각 고정볼트로 결합고정하게 된다.
차단막(18)이 설치된 통체(11) 내측면에는 배수공(21a)이 뚫린 상판(220)이 결합된 조절대(20)를 내장하게 된다.
상기 조절대(20)의 높이 즉, 상판(21)의 위치는 통체(11)의 높이의 ⅔지점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조절대(20)는 뿌리의 길이가 짧은 화초류를 분재할 시 내장하는 것이며, 뿌리가 긴 수목은 조절대(20)를 분리한 후 분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도로환경미화용 화분의 사용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본 고안의 화분(10)을 차도와 접한 인도에 배치할 시에는 작업자들이 손잡이(19)를 잡고 배치지점에 이동시키게 되며, 바닥판(15) 저면에 결합된 수개의 캐스터(17)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화분(10)에 화초류나 수목을 분재할 시에는 배치현장에서 직접 분재할 수 있고, 별도의 작업장에서 미리 분재하여 인도에 화분(10)을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화분(10)에 화초를 분재할 시에는 조절대(20)를 내장한 후 통체 (11) 상면까지 적정한 양의 흙을 투입하고 화초를 심어 주면 간단히 분재가 완료되는 것이며, 화초에 물을 공급할 시에는 차단막(18)에 의해 물이 통체(11)의 목판재 (11a) 사이로 새지 않고 상판(21)의 배수공(21a)으로 낙하하여 바닥판(15)의 배수공(15a)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상기 조절대(20)에 의해 화초를 분재할 시 적당한 양의 흙만 공급하게 됨으로서 불필요한 흙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화분(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화분(10)에 나무를 분재할 시에는 조절대(20)를 통체(11) 내측에서 분리하고 적정한 양의 흙을 투입한 후 나무를 심어주면 간단히 분재가 완료되며, 분재 후 나무에 물을 공급해주면 차단막(18)에 의해 물은 통체(11)의 목판재(11a) 사이로 새지 않고 바닥판(15)의 배수공(15a)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분(10)의 통체(11)를 친환경적 재질인 목재로 구성하여 자연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되고, 통체(11) 내측에는 조절대(11)를 선택적으로 내장하여 분재되는 화초나 나무에 따라서 흙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흙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바닥판(15) 저면에 캐스터(17)를 장착하여 작업자가 화분(10)을 이동 및 배치할 시 손잡이(19)를 잡고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개의 직사각형 목판재(11a)를 연이어 맞닿이도록 원형으로 배열하여 상단부는 상부고정테(12)를 볼트로 결합고정하고, 하단부는 하부고정테(13)를 볼트로 결합고정하여 통체(11)를 구성하고,
    상기 통체(11)의 양측면에는 손잡이(19)가 결합되며, 저면에는 배수공(15a)이 뚫린 바닥판(15)이 결합되고, 바닥판(15)의 저면에는 받침목(16)과 수개의 캐스터(17)가 결합되며,
    통체(11)의 내측둘레면과 바닥면에는 비닐재질로 된 차단막(18)이 설치되며, 통체(11)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차단막(18)의 끝부분을 눌러 고정시키는 마감판(14)이 볼트로 결합고정되고,
    통체(11) 내측에는 배수공(21a)이 뚫린 상판(21)이 결합된 조절대(20)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
KR2020070004974U 2007-03-27 2007-03-27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 KR200439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74U KR200439703Y1 (ko) 2007-03-27 2007-03-27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74U KR200439703Y1 (ko) 2007-03-27 2007-03-27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703Y1 true KR200439703Y1 (ko) 2008-04-29

Family

ID=4164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974U KR200439703Y1 (ko) 2007-03-27 2007-03-27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7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653B1 (ko) 2015-03-06 2015-12-01 이유정 수목 식재용 대형 화분
KR102117339B1 (ko) * 2019-08-26 2020-06-26 남궁주희 대형 목재 화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653B1 (ko) 2015-03-06 2015-12-01 이유정 수목 식재용 대형 화분
KR102117339B1 (ko) * 2019-08-26 2020-06-26 남궁주희 대형 목재 화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3934B2 (ja) 緑化体
CN103069077A (zh) 绿化停车场、栽植单元保护件以及绿化停车场构成件单元
KR101012028B1 (ko) 화분 및 관수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펜스시스템
CN104363751A (zh) 竖直园艺系统
KR100804575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가로수 보호블록
KR200439703Y1 (ko) 도로환경미화용 원목 화분
KR20150055370A (ko) 가로수용 수목 보호판
KR20110067935A (ko) 수목의 수분 공급 유닛 및 그 장치
KR20090000187U (ko) 식재가 가능한 도로 경계석
KR101495985B1 (ko) 가로수 보호장치
KR101071187B1 (ko) 조경수 보호판
KR20230000123A (ko) 도로조경용 원목화분
KR200360399Y1 (ko) 가로수 보호용 덮개.
KR102072294B1 (ko) 확장형 화분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101002206B1 (ko) 화분이 결합된 식재형 도로경계석
KR102260430B1 (ko) 외장구조체를 이용한 도로조경용 화분
KR100557678B1 (ko) 친환경적인 조경식재용 보행자 도로 화단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KR102253876B1 (ko) 패널형 화분 및 이를 구비한 벽면녹화구조물
KR20120005874U (ko) 생태경계석
KR102323550B1 (ko)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KR100539503B1 (ko) 공동주택단지 조경용 수목식재드럼 화단구조
KR100770281B1 (ko)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