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294Y1 -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294Y1
KR200439294Y1 KR2020060030653U KR20060030653U KR200439294Y1 KR 200439294 Y1 KR200439294 Y1 KR 200439294Y1 KR 2020060030653 U KR2020060030653 U KR 2020060030653U KR 20060030653 U KR20060030653 U KR 20060030653U KR 200439294 Y1 KR200439294 Y1 KR 200439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ilter
filter cloth
window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60030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2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 개의 여과포(6)가 내부에 구비되고,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8)가 상기 여과포(6) 하부에 위치하고,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9)가 상기 여과포(6)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챔버(2)로 구성되는 여과집진기(1)에 있어서, 상기 챔버(2) 각각의 상판(3)에 위치하여 상기 챔버(2) 내부를 밝히는 조명기구(22) 및 조명창(21)이 구비된 조명부(20); 및, 상기 가스배출구(9)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2) 내부를 관찰하는 점검창(11)이 구비된 점검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챔버, 여과포, 조명부, 조명창, 조명기구, 점검부, 점검창, 공기분사구, 중앙통제실, 카메라, 모니터, 댐퍼제어반, 유입댐퍼, 배출댐퍼

Description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Filter Bag Condition Checking System of Filter Dust Collector}
도1(a) 및 (b)는 종래의 여과집진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2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본 고안인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4는 여과집진기를 구성하는 각 챔버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여과집진기
2:챔버(chamber)
3:상판
4:체결볼트
5:클램프
6:여과포
8:가스유입구
9:가스배출구
10:점검부
11:점검창
20:조명부
21:조명창 22:조명기구
30:카메라
40:유입댐퍼
50:배출댐퍼
60:중앙통제실
61:댐퍼제어반 62:모니터
70:공기분사구
80a, 80b:플랜지
기술분야
본 고안은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더스트(dust)를 제거하는 여과집진기에 설치된 여과포의 파손 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소각로의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에는 분진, 염화수소(Hcl),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중금속, 다이옥신 등의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산성 오염물질인 염화수소(Hcl)와 황산화물(Sox)은 소석회반응탑에서 소석회를 분무하여 제거하고, 중금속과 다이옥신은 활성탄을 소석회반응탑에 분무하여 제거하며, 여과집진기에서는 배가스 내의 분진, 산성가스와 반응한 반응물질, 중금속, 다이옥신 등이 흡착된 활성탄이 여과포의 외부에 부착포집되어 비산재로 배출되고, 여과포를 통과한 청정가스는 여과집진기의 상부로 배출된다.
여과집진기는 여러 개의 챔버(Chamber)로 구성되며 하나의 챔버(Chamber)에는 직경 10~15 mm, 길이 8 m 정도의 여과포가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챔버(Chamber)에 설치된 다수 개의 여과포 가운데 어느 하나만 파손되어도 챔버(Chamber)로 유입된 배기가스 내의 오염물질이 파손된 여과포로 집중되고, 파손된 여과포를 통과한 오염물질이 그대로 굴뚝으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여과집진기의 여과포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필요 시 여과포를 즉시 교체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여과집진기(1)의 여과포(6)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배기가스자동측정장치(TMS)상의 더스트(DUST) 수치를 확인하거나,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집진기(1)의 상판(3)을 열어 육안으로 점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배기가스자동측정장치(TMS)에 의한 방법은 굴뚝에서 측정되는 바, 여과집진기(1)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챔버(2) 가운데 어느 챔버(2) 내부의 여과포(6) 가 파손되어 누설되었는지 여부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별도의 확인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파손된 여과포(6)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챔버(2)의 상부에 결합된 상판(3)을 개방시켜 주어야 하나, 상기 상판(3)은 체결볼트(4)에 의해 클램프(5)로 고정되는 바, 체결볼트(4)를 풀고 클램프(5)를 해체하여야만 상판(3)을 개방하여 여과포(6)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여과포(6) 확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육안확인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의 상부 일측에 별도의 점검부(10)와 조명부(20)를 설치하여 상판(3)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여과포(6)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여과집진기(1)의 챔버(2)의 측면에 점검부(10)를 설치하고, 대향된 위치 즉 반대편 측면에 조명부(20)가 설치되는 바, 조명에 의하여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고 빛이 제대로 조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효과적으로 여과포(6) 파손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여과집진기(1)는 대부분 한정된 공간에 다수 개의 챔버(2)가 좌우로 밀집배열되고, 챔버(2)의 하부 측면에 가스유입구(8)가 구비되고, 챔버(2)의 상부측면에는 가스배출구(9)가 구비되는 바, 공간 상의 제약으로 챔버(2)의 측면에 점검부(10)를 설치하고 반대측 측면에 조명부(20)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현장에서는 여과집진기(1)의 여과포(6)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현장과 이격된 중앙통제실에서는 여과포(6) 파손 여부를 상시 확인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넷째, 여과집진기(1)의 비정상적인 운전 또는 여과포(6) 파손이 확인되는 경우 현장에서는 유입댐퍼 및 배출댐퍼를 조작하여 가스유입구(8)와 가스배출구(9)를 차단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으나, 중앙통제실에서는 유입댐퍼 및 배출댐퍼를 조작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다섯째, 점검부(10) 및 조명부(20)가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청소 및 유지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점검창이나 조명창의 내부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판(3)을 개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통제실에서 여과집진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챔버 내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여과포가 파손되거나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챔버가 확인되는 경우 해당 챔버의 유입댐퍼와 배출댐퍼를 차단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나머지 챔버의 경우 정상 작동이 유지되도록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수단을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탈부착이 가능한 점검부 및 조명부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점검부 및 조명부의 내벽에 오염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조명부를 냉각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고안은 다수 개의 여과포(6)가 내부에 구비되고,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8)가 상기 여과포(6) 하부에 위치하고,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9)가 상기 여과포(6)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챔버(2)로 구성되는 여과집진기(1)에 있어서, 상기 챔버(2) 각각의 상판(3)에 위치하여 상기 챔버(2) 내부를 밝히는 조명기구(22) 및 조명창(21)이 구비된 조명부(20); 및, 상기 가스배출구(9)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2) 내부를 관찰하는 점검창(11)이 구비된 점검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검창(11) 외부에 카메라(30)가 구비되어 상기 챔버(2) 내부의 여과포(6)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중앙통제실(60)에 구비된 모니터(62)에 영상자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인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4는 여과집진기를 구성하는 챔버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과집진기(1)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챔버(2)로 구성되고, 각각의 챔버(2) 내부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여과포(6)가 구비되어 있다.
챔버(2) 내부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구(8)는 여과포(6) 하부에 위치하고, 챔버(2) 내부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9)는 여과포(6)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스유입구(8)를 통하여 챔버(2)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여과포(6)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걸러지고 난 후 가스배출구(9)를 통하여 챔버(2) 외부로 배출된다.
챔버(2)의 상부에는 체결볼트(4)와 클램프(5)로 고정되는 상판(3)이 있으며, 상판(3)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20)가 구비된다.
조명부(20)에는 조명기구(22)와 조명창(21)이 구비되어 챔버(2) 내부를 밝혀준다.
이와 같이 조명부(20)가 상판(3)의 중앙에 구비됨으로써, 조명이 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여과포(6)의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조명창(21)은 강화유리로 제작되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판(3)에 마련된 플랜지(80a)에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결합되어 필요 시에는 상판(3)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조명창(21)만을 상판(3)에서 분리하여 유지보수에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조명창(21)은 챔버(2)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의하여 그 표면에 이물질(분진)이 점착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물질(분진)이 점착되는 경우 조명기구(22)의 빛이 챔버(2) 내부로 충분히 투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조명창(21)의 내부 표면은 정기적으로 유지보수(청소)가 필요한 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할 필요가 있다.
조명창(21)의 내부 표면에 이물질(분진)이 점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의 일측에 조명창(21)을 향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구(70)가 설치된다.
압축공기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플랜트에어(plant air)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분사구(70)를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조명창(21) 표면에 이물질(분진)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조명창(21)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점검부(10)는 챔버(2)의 상부 일측에 가스배출구(9)와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챔버(2) 내부를 관찰하는 점검창(11)이 구비되어 있다.
점검창(11)도 조명창(21)과 마찬가지로 강화유리로 제작되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챔버(2)에 마련된 플랜지(80b)에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결합되어 필요 시에는 점검창(11)을 챔버(2)에서 분리하여 유지보수에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점검창(11)도 조명창(21)과 마찬가지로 챔버(2)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의하여 그 표면에 이물질(분진)이 점착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물질(분진)이 점착되는 경우 점검창(11)을 통하여 챔버(2) 내부를 제대로 관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점검창(11)의 내부 표면도 정기적으로 유지보수(청소)가 필요한 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할 필요가 있다.
점검창(11)의 내부 표면에 이물질(분진)이 점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의 일측에도 점검창(11)을 향하여 압축공기를 분사 하는 공기분사구(70)가 설치된다.
압축공기는 조명창(21)에 설치된 공기분사구(70)와 마찬가지로 공장에서 사용되는 플랜트에어(plant air)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분사구(70)를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점검창(11) 표면에 이물질(분진)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점검창(11)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점검창(11) 외부에는 카메라(30)가 구비되어 챔버(2) 내부의 여과포(6)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중앙통제실(60)에 구비된 모니터(62)에 영상자료를 송신한다.
따라서, 각각 챔버(2)에 마련된 점검창(11)을 일일이 돌아다닐 필요 없이 중앙통제실(60)에 마련된 모니터(62)를 통하여 각 챔버(2)의 내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댐퍼(40)는 가스유입구(8)에 연결된 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통로를 개폐하고, 배출댐퍼(50)는 가스배출구(9)에 연결된 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개폐한다.
챔버(2) 내부에 유지보수가 필요하거나 챔버(2)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해당 챔버(2)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해당 챔버(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하기 위하여 해당 챔버(2)의 유입댐퍼(40)와 배출댐퍼(50)를 닫을 수 있으며, 나머지 챔버(2)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해당 챔버(2)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중앙통제실(60)에는 댐퍼제어반(61)이 구비되어 유입댐퍼(40)와 배출댐 퍼(50) 각각의 개폐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62)를 통하여 각 챔버(2)의 내부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다가 여과포(6)의 파손 등에 의하여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챔버(2)가 확인되면 해당 챔버(2)와 연결된 유입댐퍼(40)와 배출댐퍼(50)를 차단하여 정화가 되지 않은 배기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즉시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관용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설계 변경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통제실에서 여과집진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챔버 내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여과포가 파손되거나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챔버가 확인되는 경우 해당 챔버의 유입댐퍼와 배출댐퍼를 차단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나머지 챔버의 경우 정상 작동이 유지되도록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점검부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중앙통제실의 모니터를 통하여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고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챔버가 확인되면 해당 챔버에 대한 유입댐퍼와 배출댐퍼를 원격제어하여 즉시 차단할 수 있으며, 해당 챔버에 대한 유지보수와 점검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나머지 챔버들은 정상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점검부 및 조명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점검부 또는 조명부가 볼트결합에 의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점검부 또는 조명부의 유지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점검부 및 조명부의 내벽에 오염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조명부 및 점검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점검창 및 조명창을 향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구가 구비되어 점검창 표면과 조명창 표면에 이물질(분진)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점검창과 조명창의 과열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다수 개의 여과포(6)가 내부에 구비되고,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8)가 상기 여과포(6) 하부에 위치하고,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9)가 상기 여과포(6)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챔버(2)로 구성되는 여과집진기(1)에 설치되는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챔버(2) 각각의 상판(3)에 위치하여 상기 챔버(2) 내부를 밝히는 조명기구(22) 및 조명창(21)이 구비된 조명부(20); 및,
    상기 가스배출구(9)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2) 내부를 관찰하는 점검창(11)이 구비된 점검부(1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검창(11) 외부에 카메라(30)가 구비되어 상기 챔버(2) 내부의 여과포(6)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중앙통제실(60)에 구비된 모니터(62)에 영상자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스유입구(8)에 연결된 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유입댐퍼(40);
    상기 가스배출구(9)에 연결된 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배출댐퍼(50); 및,
    상기 중앙통제실(60)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댐퍼(40)와 상기 배출댐퍼(50) 각각의 개폐를 원격제어하는 댐퍼제어반(6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조명부(20)가 설치된 상판(3) 및 상기 점검부(10)가 설치된 상기 챔버(2)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명창(21) 및 상기 점검창(11) 각각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구(7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조명부(20)의 조명창(21) 및 상기 점검부(10)의 점검창(11)은 상기 상판(3) 및 상기 챔버(2)에 마련된 플랜지(80a, 80b)에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5. 삭제
KR2020060030653U 2006-11-29 2006-11-29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KR200439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653U KR200439294Y1 (ko) 2006-11-29 2006-11-29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653U KR200439294Y1 (ko) 2006-11-29 2006-11-29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294Y1 true KR200439294Y1 (ko) 2008-04-02

Family

ID=4164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653U KR200439294Y1 (ko) 2006-11-29 2006-11-29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2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943B1 (ko) * 2009-04-01 2009-10-09 선보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유체 여과 필터
KR101330587B1 (ko) 2012-02-02 2013-11-18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탈취설비
KR101407274B1 (ko) * 2012-04-09 2014-06-27 한솔신텍 주식회사 집진 장치 및 그에 대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943B1 (ko) * 2009-04-01 2009-10-09 선보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유체 여과 필터
KR101330587B1 (ko) 2012-02-02 2013-11-18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탈취설비
KR101407274B1 (ko) * 2012-04-09 2014-06-27 한솔신텍 주식회사 집진 장치 및 그에 대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2479A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200439294Y1 (ko)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JP5914040B2 (ja) フィルタ交換装置及びフィルタ交換方法
JP4382470B2 (ja) 廃棄物の熱分解処理装置
CN1672773A (zh) 一种用于燃煤锅炉或炉窑的袋式除尘器
WO2010085099A2 (ko)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
CN107246661A (zh) 一种用于除烟雾的智能空气净化装置
KR101598528B1 (ko)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CN103743528A (zh) 一种采用检漏延长布袋使用寿命的装置
JP3136610U (ja) バグフィルタ
CN106237738A (zh) 灰仓过滤器和电石炉炉气净化系统
CN206132738U (zh) 一种燃烧区烟气成分测量取样装置
CN2772603Y (zh) 耐高温袋式除尘器
EP2030666B1 (en) Bag-filter filtering unit with replaceable filtering modules for combustion plants
KR100462525B1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100711768B1 (ko) Ecs와 cdq 겸용 집진기의 방폭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114438B1 (ja) 排ガス処理装置
RU2324524C2 (ru) Секционный рукав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CN107990333A (zh) Rto废气处理装置
CN207569884U (zh) 一种净化烟尘焚烧炉
KR200401860Y1 (ko) 폐기물 진공소각 시스템
RU2342184C1 (ru) Фильтр рукавный с системой регенерации
CN110355156A (zh) 一种可移动式管道吹扫接管装置系统
CN213492504U (zh) 一种卧式活性炭一体机
JP2007139641A (ja) バグフィルタにおける破孔ろ布の特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