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528B1 -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528B1
KR101598528B1 KR1020140070287A KR20140070287A KR101598528B1 KR 101598528 B1 KR101598528 B1 KR 101598528B1 KR 1020140070287 A KR1020140070287 A KR 1020140070287A KR 20140070287 A KR20140070287 A KR 20140070287A KR 101598528 B1 KR101598528 B1 KR 101598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rupture
gas
flow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786A (ko
Inventor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주)엔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엔비에너지
Priority to KR102014007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52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는, 배기가스가 유입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가스 유입구가 마련되는 배기가스 유입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가스를 정화하도록 내측에 필터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 상기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와 연결되며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정화가스 배출구가 마련되는 정화가스 배출부; 및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와 상기 정화가스 배출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의 내압이 설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정화가스 배출부 측으로의 가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한 파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열부에 파열 가능하도록 파열판이 마련됨으로써, 가스정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이상 배압 등의 발생에 의해 엔진 및 배기가스 유입부, 필터유닛 등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PARTICULATE EXHAUST REDUCTION DEVICE AND SENSING SYSTEM FOR PARTICULATE EXHAUST REDUC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상 배압의 발생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파열판이 마련되며, 파열판 및 필터유닛의 유지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하며, 필터유닛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디젤 엔진 등과 같은 내연 기관은 열효율이 좋고 연료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며, 내연 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즉, 매연) 중에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환산화물, 입자상 물질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유해 물질들은 부유 분진의 발생을 가중시켜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탄소 저감 방안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간주되고 있다. 대기 오염 물질에 따른 쾌적한 환경의 요구 및 환경 규제에 따라 매연에 포함되는 대기 오염 물질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매연 저감 방안이 연구 및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매연에 포함된 대기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해 엔진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오염 물질을 저감하는 방안으로, 엔진 기술, 전처리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매연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엔진 내부에서 유해 물질을 저감시키는 것만으로는 규제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엔진과 같은 내연 기관에서 연소된 후 배출되는 매연을 처리하는 후처리 기술이 개발 및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산화 촉매, 질소 산화물 촉매, 매연 저감 장치의 장착 등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매연 저감 장치(Diesel Particle Filter, 이하 DPF)는 내연 기관의 배출단에 연결 장착되며, 매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가의 필터가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매연 저감 장치는, 필터 이상에 따른 필터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상 배압 발생에 따라 매연 저감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가 파손될 수도 있는 커다란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필터의 교체 및 수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 배압의 발생으로 인해 구성부들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파열판이 마련되는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열판 및 필터유닛의 유지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한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유닛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배기가스가 유입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가스 유입구가 마련되는 배기가스 유입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가스를 정화하도록 내측에 필터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 상기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와 연결되며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정화가스 배출구가 마련되는 정화가스 배출부; 및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와 상기 정화가스 배출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의 내압이 설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정화가스 배출부 측으로의 가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한 파열부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의 내압이 정상범위인 경우 상기 정화가스 배출부 측으로의 가스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내압이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파열가능한 파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정화부 및 상기 파열부는 각각, 반원 형상의 제1 유로관; 상기 제1 유로관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제2 유로관; 상기 제1 유로관과 상기 제2 유로관의 연결부위를 밀폐하는 패킹; 및 상기 제1 유로관과 상기 제2 유로관을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 측으로 각각 균일하게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가스 분배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스 분배부는, 복수의 가스 유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 측에 마련되는 디스크 형상의 분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 플레이트를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 측으로 확산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가스 유로공은 상기 분배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서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경사가 증가하는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배기가스가 유입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가스 유입구가 마련되는 배기가스 유입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가스를 정화하도록 내측에 필터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 상기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와 연결되며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정화가스 배출구가 마련되는 정화가스 배출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와 연결되되,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의 내압이 정상범위인 경우 상기 정화가스 배출부 측으로의 가스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내압이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파열되도록 내측에 파열판이 마련되는 파열부; 및 상기 파열판의 파열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파열부 내에서 상기 파열판의 후방에 마련되는 유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감지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중앙관제센터에 마련되는 모니터; 및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감지값이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파열부에 파열 가능하도록 파열판이 마련됨으로써, 가스정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이상 배압 등의 발생에 의해 엔진 및 배기가스 유입부, 필터유닛 등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이 힌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파열된 상태의 파열판 및 이상이 발생된 필터유닛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리 및 재장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복수의 필터유닛 측으로의 각각의 오염 가스 진입량을 보다 균일화하여 어느 일측의 필터유닛에 상대적으로 과한 가스가 진입하여 필터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필터유닛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파열판 후방의 가스 유동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를 마련함으로써, 파열판의 파열 및 필터유닛의 이상 발생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배기가스 재정화 작업을 위한 대기 시간을 좀 더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배기가스 정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파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에서 가스 분배부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스 분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는 일 예로 디젤엔진 발전기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을 더욱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매연 및 입자상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매연을 포집하기 위해 필터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는 개별 모듈 타입의 필터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이상 배압(背壓)발생시 디젤엔진 등의 동력발생부 파손 및 자체 구성부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배기가스 정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파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배기 가스(매연 등)가 유입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가스 유입구(110)가 마련되는 배기가스 유입부(100), 배기가스 유입부(100)와 각각 연결되며 내측에 필터유닛(210)이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200),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200)와 연결되며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정화가스 배출구(310)가 마련되는 정화가스 배출부(300), 및 배기가스 유입부(100)와 연결되되 배기가스 유입부(100)의 내압이 설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에 따라 정화가스 배출부(300) 측으로의 가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한 파열부(400)를 포함한다.
배기가스 유입부(1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엔진 등으로부터 연소된 배기가스가 내측으로 유입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가스 유입구(11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가스 유입구(110)는 도면상 배기가스 유입부(100)의 저면측에 2개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배기가스 정화부(200)의 배치 방향과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배기가스 정화부(200)는 배기가스 유입부(100)와 연결되도록 복수로 마련된다. 이러한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200)는 배기가스 유입부(100)에 수용된 배기가스가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배기가스의 오염성분을 정화하도록 각각 필터유닛(2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가스 정화부(200)는 서로 간에 평행한 방향으로 4개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부(1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에 비례하여 설치 개수가 증감 가능하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되지 않고, 배기가스 유입부(100)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복수의 행과 열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필터유닛(210) 측으로 각각 더욱 균일하게 배기가스가 진입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유닛(210)은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200)의 내측 영역에 각각 마련되며, 배기가스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게 된다. 각각의 필터유닛(210)은 개별 모듈 타입으로 배기가스 정화부(200)의 외관을 구성하는 배관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유해가스 저감을 위해 일 예로 백금 코팅이 된 세라믹 필터 등을 포함한다. 한편, 이물질 부착 등에 의한 요인으로 인해 복수의 필터유닛(210)이 가스를 효율적으로 정화하지 못하는 경우, 작업자가 필터유닛(210)을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별도의 교체 구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교체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각각의 배기가스 정화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각각의 배기가스 정화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210)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 정화가스 배출부(300)는,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200)와 연결되며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정화가스 배출구(310)가 마련된다. 이러한 정화가스 배출부(300)는 배기가스 유입부(100)와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파열부(400)는 배기가스 유입부(100)와 연결되되, 배기가스 유입부(100)의 내압이 설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에 따라 정화가스 배출부(300) 측으로의 가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열부(400)는, 배기가스 유입부(100)의 내압이 정상범위인 경우 정화가스 배출부(300) 측으로의 가스 유동을 차단하고 내압이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파열가능하도록 하는 파열판(rupture disk, 410)을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파열부(400)에는, 복수의 필터유닛(210)의 이상발생으로 인해 배기가스 유입부(100) 내측의 압력(배압)이 일정 이상 상승한 경우 파열되어 정상 유동시 가스 유동경로인 배기가스 정화부(200)가 아닌 또 다른 가스 유로를 형성하도록 파열판(410)이 마련된다.
이러한 파열판(410)은 밀폐된 용기, 배관 등의 내압이 일정 이상 상승했을 경우 정해진 압력에서 자체 파열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의 얇은 판 또는 돔(dome) 형태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파열판(410)이 마련됨으로 인해 배기가스 유입부(100) 내측의 이상 배압 발생시 가스 유동 경로로서의 별도의 바이패스(BYPASS) 배관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공간 절약적이고 설치 운영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파열판(410)의 파열에 따른 가스 유로 변화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이물질 부착 등의 원인으로 인해 복수의 필터유닛(21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기가스 유입부(100)의 내압은 점점 증가하게 되며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파열판(410)이 파열된다. 이 경우, 배기가스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매연 등)는 복수의 필터유닛(210)을 통과하지 않고 파열판(410)이 파열되어 형성된 파열구(파열판의 파열시 형성되는 홀)를 통해 정화가스 배출구(310) 측으로 배출된다. 작업자는 파열판(410)의 파열을 감지한 후 복수의 필터유닛(210)의 이상 유무 확인 및 교체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파열된 파열판(410) 및 이상이 발생된 복수의 필터유닛(210)을 새로운 것으로 신속하게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부(200) 및 파열부(400)는 각각, 반원 형상의 제1 유로관(510), 제1 유로관(510)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제2 유로관(520), 제1 유로관(510)과 제2 유로관(520)의 연결부위를 밀폐하는 패킹(530), 및 제1 유로관(510)과 제2 유로관(520)을 서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540)를 포함한다.
제1 유로관(510)과 제2 유로관(520)은 대략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일 예로 제2 유로관(520)을 기준으로 제1 유로관(510)을 힌지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힌지축이 마련된다.
패킹(530)은 제1 유로관(510)과 제2 유로관(520)의 연결부위를 밀폐하는 것으로서, 제1 유로관(510)과 제2 유로관(520)의 내측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클램프(540)는 배기가스 정화 작업을 위해서는 제1 및 제2 유로관(510,520)을 서로 결합하며, 이와 달리 필터유닛(210) 교체작업이나 파열판(410) 교체작업을 위해서는 제1 및 제2 유로관(510,520)을 서로 분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54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및 제2 유로관(510,520)을 서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이외의 다른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필터유닛(210) 교체작업이나 파열판(410) 교체작업을 설명하면, 필터유닛(210)이나 파열판(410)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는 클램프(540)를 언락킹(un-locking)한 후 제2 유로관(520)을 기준으로 제1 유로관(51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내측 공간을 개방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기존 장착되어 있는 필터유닛(210) 또는 파열판(410)을 제거한 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게 되며 다시 제1 유로관(5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마지막으로 클램프(540)를 락킹하여 마무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작업자가 제1 유로관(510)을 간단히 힌지 회전시켜 필터유닛(210) 또는 파열판(410)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먼저 파열판(410)의 파열 현상을 감지하여 복수의 필터유닛(210)의 이상 발생을 유추하게 되며, 이후 복수의 필터유닛(210)의 교체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배기가스 정화부(200) 및 파열부(400)는 상호 간에 볼트 결합되는 플랜지 배관을 포함하는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에서 가스 분배부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가스 분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복수의 필터유닛(210) 측으로 각각 균일하게 전달 가능하도록 가스 분배부(600)가 더 마련된다. 이와 같이, 가스 분배부(600)가 마련됨으로써, 예를 들면 배기가스 유입구(110)에 상대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필터유닛보다 가깝게 배치된 필터유닛 측으로 배기가스가 상대적으로 다량 진입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한 상태로 진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필터유닛(210) 중 어느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빈번하게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필터유닛(21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예로, 가스 분배부(600)는, 복수의 가스 유로공(611)이 형성되며 배기가스 유입구(110) 측에 마련되는 디스크 형상의 분배 플레이트(610)를 포함한다. 가스 유로공(611)은 분배 플레이트(6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배기가스가 복수의 필터유닛(210) 중 어느 일측 방향으로 집중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전체적으로 더욱 확산된 상태로 진입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유입구(110) 측으로 진입한 배기가스는 복수의 가스 유로공(611)을 통과한 후 복수의 필터유닛(210)측으로 대략 균일하게 분배 가능하게 되어 필터유닛(210)의 이상 발생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스 분배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도록,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스 유로공(611)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진 상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분배 플레이트(610)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복수의 필터유닛(210) 측으로 확산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스 유로공(611)은 분배 플레이트(610)의 중앙 영역에서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경사가 증가하는 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 유입구(110)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필터유닛(210)에도 더욱 배기가스가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는, 파열부(400)에 파열 가능하도록 파열판(410)이 마련됨으로써, 가스정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배기가스 유입부(100) 내측의 이상 배압 발생 등의 요인에 의해 엔진 및 배기가스 유입부(100), 필터유닛(21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유로관(510)이 제2 유로관(520)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파열된 상태의 파열판(410) 및 이상이 발생된 필터유닛(210)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리 및 재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배 플레이트(610)의 가스 유로공(611) 중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상태로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필터유닛(210)에 각각 더욱 균일한 양으로 배기가스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은, 전술한 매연저감장치의 구성인 배기가스 유입부(100), 배기가스 정화부(200), 정화가스 배출부(300) 및 파열부(400)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조로 적용 가능하므로 이하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 감지시스템은, 파열판(410)의 파열 여부를 감지하도록 파열부(즉,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 내에서 파열판(410)의 후방에 마련되는 유량감지센서(700), 유량감지센서(700)의 감지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중앙관제센터에 마련되는 모니터(800), 및 유량감지센서(700)의 감지값이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900)를 포함한다.
유량감지센서(700)는, 필터유닛(210)의 이상 발생에 의한 배기가스 유입부(100) 내측의 이상 배압 발생으로 인해 파열판(410)이 파열되는 경우 배기가스가 파열된 부분을 거쳐 바로 정화가스 배출구(310)측으로 배출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필터유닛(210)이 정상적인 경우, 즉 배기가스가 복수의 필터유닛(210)을 경유한 후 정화가스 배출구(310)로 배출되는 정상적인 경우, 유량감지센서(700)는 가스 유동을 감지하지 못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800)는 매연저감장치가 설치된 작업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중앙관제센터 등에 마련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유량감지센서(700)와 연결되어 유량감지센서(700)의 감지값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경보발생부(900)는 유량감지센서(700)의 감지값이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구체적으로 '파열판이 배치된 후방 영역으로의 가스 유동이 감지된 경우'에는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보신호는 음향 신호, 빛 신호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작업자는 모니터(800)에 표시된 유량감지센서(700)의 센싱값을 육안 확인하거나 경보발생부(900)를 통한 경보 신호를 인지함으로써, 현재 파열판(410)이 파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210)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임을 신속하게 유추할 수 있으며 후속조치로 파열판 교체작업 및 필터유닛 교체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는, 작업자가 파열판의 파열 및 필터유닛의 이상 발생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도록 하여 파열판 교체 및 필터유닛 재장착 작업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결국 배기가스 재정화 작업을 위한 대기 시간을 좀 더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배기가스 유입부 200: 배기가스 정화부
300: 정화가스 배출부 400: 파열부
410: 파열판 510: 제1 유로관
520: 제2 유로관 600: 가스 분배부
610: 분배 플레이트 611: 가스 유로공
700: 유량감지센서 800: 모니터
900: 경보발생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배기가스가 유입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가스 유입구가 마련되는 배기가스 유입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가스를 정화하도록 내측에 필터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
    상기 복수의 배기가스 정화부와 연결되며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정화가스 배출구가 마련되는 정화가스 배출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와 연결되되,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의 내압이 정상범위인 경우 상기 정화가스 배출부 측으로의 가스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내압이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파열되도록 내측에 파열판이 마련되는 파열부; 및
    상기 파열판의 파열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파열부 내에서 상기 파열판의 후방에 마련되는 유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감지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중앙관제센터에 마련되는 모니터; 및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감지값이 설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KR1020140070287A 2014-06-10 2014-06-10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KR10159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87A KR101598528B1 (ko) 2014-06-10 2014-06-10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87A KR101598528B1 (ko) 2014-06-10 2014-06-10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786A KR20150141786A (ko) 2015-12-21
KR101598528B1 true KR101598528B1 (ko) 2016-02-29

Family

ID=5508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287A KR101598528B1 (ko) 2014-06-10 2014-06-10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25B1 (ko) 2016-04-01 2016-10-10 류재식 내연기관의 매연 저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매연 저감방법
KR102276713B1 (ko) 2020-12-17 2021-07-13 류재식 매연저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444B1 (ko) * 2017-11-28 2019-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폭발 감압용 바이패스 장치
KR102471932B1 (ko) * 2022-03-14 2022-11-29 (주)디티에스 가변형 바이패스 밸브가 구비된 매연저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2498A (ja) * 2011-07-24 2011-12-15 Bosch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ミキサープレート、及びミキサーユニット、並びにミキサープレート用プレス成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885A (ko) * 2002-06-05 2003-12-11 임인권 디젤엔진 배기가스 방출장치 및 방법
KR20080003982U (ko) * 2007-03-15 2008-09-19 이순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체결밴드
KR101471090B1 (ko) * 2012-08-07 2014-12-09 한국기계연구원 과잉 포집 방지장치가 설치된 매연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2498A (ja) * 2011-07-24 2011-12-15 Bosch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ミキサープレート、及びミキサーユニット、並びにミキサープレート用プレス成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25B1 (ko) 2016-04-01 2016-10-10 류재식 내연기관의 매연 저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매연 저감방법
KR102276713B1 (ko) 2020-12-17 2021-07-13 류재식 매연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786A (ko)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528B1 (ko)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KR101591350B1 (ko)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KR101571192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JP2016514799A (ja) エンジン排気ガス後処理システム
US6120583A (en) Exhaust gas purifi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H11218034A (ja) マルチバーナ系を配備したガスタービンの供給系を監視する方法並びに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150113138A (ko) 다엽형 수트 블로워
CN102695854A (zh) 用于颗粒过滤器的异常判定装置
KR102240510B1 (ko) 디젤 엔진용 오염물질 저감 장치
US4706454A (en) Vehicle anti-pollution exhaust device
KR102471932B1 (ko) 가변형 바이패스 밸브가 구비된 매연저감장치
KR20210094458A (ko) 자동 백 플러싱 재생 흑연 정화 시스템
KR20100095858A (ko) 배기가스 여과 장치
KR20140041096A (ko) 이중 제어시스템의 수트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scr 촉매 클리닝 방법
JP2006233846A (ja) 排ガス処理装置
RU2018109422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в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ах
JP4870302B2 (ja) 機械的全流フェールセーフ装置
KR20160000831A (ko) 연소 엔진용 배기 시스템
KR101769801B1 (ko) 디젤 엔진용 오염물질 저감 장치
KR102578613B1 (ko) 내부 유지보수공간이 구비되는 매연저감장치
US20220356816A1 (en) Depolluted turbomachine test bench
KR20090131023A (ko) 디젤엔진의 매연 정화장치
CN210624541U (zh) 一种高效蓄热型燃气炉
JP2012117462A (ja) 建設機械の排気浄化装置
JPH0598941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