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265Y1 -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265Y1
KR200439265Y1 KR2020070004199U KR20070004199U KR200439265Y1 KR 200439265 Y1 KR200439265 Y1 KR 200439265Y1 KR 2020070004199 U KR2020070004199 U KR 2020070004199U KR 20070004199 U KR20070004199 U KR 20070004199U KR 200439265 Y1 KR200439265 Y1 KR 200439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pump
control
fir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혜경
Original Assignee
윤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경 filed Critical 윤혜경
Priority to KR2020070004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2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2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66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changing the speed, e.g. of the driving engi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50Control logic embodiments
    • F05D2270/58Control logic embodiments by mechanical means, e.g. levers, gears or c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 회전수의 조절을 조작반에서 가능하게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배터리 충전기 및 엔진구동부의 고장이 적어 엔진 작동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엔진(11)의 구동에 의해 물을 펌핑하도록 구비된 펌프(12)로 이루어지는 엔진펌프(10)를 제어하며, 케이스(101)의 전면에 노출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표시창(211,212,213)이 구비된 표시부(210) 및 엔진펌프(1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정지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작동레버(221)를 포함한 조작부(220)로 이루어지는 조작반(200)과, 케이스(101)의 내부에 위치되며 화재를 감지하여 엔진펌프(10)를 작동시키거나 조작반(200)의 신호를 받아들여 엔진펌프(1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20)에는 엔진의 회전수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표시창(212)를 확인하면서 엔진(11)의 회전수를 셋팅할 수 있는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엔진(11) 측에는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수 조절수단(500)이 구비되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Figure R2020070004199
제어장치, 엔진펌프, 조작반, 제어부, 엔진회전수 조절버튼

Description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a fire engine pump}
도 1은 종래의 엔진펌프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연결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장치 200 : 조작반
210 : 표시부 220 : 조작부
222 : 엔진회전수 조절버튼 300 : 제어부
310 : 배터리 충전기 320 : 엔진구동부
330 : 전원부 500 : 회전수 조절수단
본 고안은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이 편리하고 고장이 적어 엔진구동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펌프는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으로 구동되는 펌프를 이용한 것으로, 통상의 모터펌프에 비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고양정 및 대용량을 얻을 수 있어 화재시 소화에 필요한 방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소방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방용 엔진펌프는 대개 화재시에 차단될 수 있는 전원에 대비하여 충전식 비상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대개 다층으로 구성된 건물의 지하에 설치되어 각 층으로 방화수를 뿜어 올려야하기 때문에 고출력의 엔진펌프로 구비되는 것이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화재시에 정확하게 작동되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작동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소방용 엔진펌프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종래의 제어장치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엔진펌프(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펌프(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 치(20)에는 전면에 노출되어 데이터 값을 표시하거나 장치를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30)이 구비되고, 제어장치(20)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이나 엔진 제어 등을 위한 제어부(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50)는 화재를 감지하여 엔진펌프(10)를 작동시키도록 하거나 조작반(30)에 의한 신호를 받아들여 엔진펌프(10)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반(30)에는 엔진펌프(10)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작동레버(3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31)에 의한 작동유무의 상태를 표시하는 가동램프(3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상태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배터리 전압 표시창(33)과 엔진의 회전수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엔진회전수 표시창(3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식 배터리 충전기(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엔진의 구동을 위한 엔진구동부(52)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구동부(52) 및 펌프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5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31)를 수동 또는 정지인 상태에 두고 엔진펌프(10)의 작동상태를 테스트하거나 점검하게 되며, 실제 화재 상황에서는 자동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엔진펌프(10)가 작동되도록 자동 상태에 작동레버(31)가 위치시켜 두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어장치(20)의 조작반(30)에는 엔진회전수 표시창(34)이 구비되어 실제로 회전되는 엔진의 회전수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엔진의 회전수를 수정해야할 경우에는 제어장치(20)의 조작반(30)에서 조정 가능한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엔진에 구비된 회전수 조절레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당김부재를 당겨 서 원하는 회전수로 조정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대개 엔진펌프(10)는 건물 지하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치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 구비되는 엔진구동부(52)는 대개 시동을 위한 스타트모터 구동부(54)와 기름 충전을 위한 플런저펌프 구동부(55) 그리고 엔진의 예열을 위한 예열 구동부(56)가 기본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장치(20)에는 엔진의 용량(12V)에 따른 엔진구동부(52)의 계전기(relay)의 용량(30A)이 구비되어 있고, 엔진의 용량이 24V인 경우에는 제어장치(20)에 구비된 계전기 용량의 전류범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 측에 별도의 계전기를 더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충전기(51)는 습기에 약한 전자식으로 구비되어 있어 엔진펌프(10)가 설치되는 공간은 건물의 지하라는 공간의 특성상 습기가 많이 발생되는 곳이므로 습기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기 쉬우며, 이에 의해 배터리 충전의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높아 엔진펌프 작동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 회전수의 조절을 조작반에서 가능하게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배터리 충전기 및 엔진구동부의 고장이 적어 엔진 작동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 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엔진(11)의 구동에 의해 물을 펌핑하도록 구비된 펌프(12)로 이루어지는 엔진펌프(10)를 제어하며, 케이스(101)의 전면에 노출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표시창(211,212,213)이 구비된 표시부(210) 및 엔진펌프(1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정지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작동레버(221)를 포함한 조작부(220)로 이루어지는 조작반(200)과, 케이스(101)의 내부에 위치되며 화재를 감지하여 엔진펌프(10)를 작동시키거나 조작반(200)의 신호를 받아들여 엔진펌프(1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20)에는 엔진의 회전수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표시창(212)를 확인하면서 엔진(11)의 회전수를 셋팅할 수 있는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엔진(11) 측에는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수 조절수단(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수 조절수단(500)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51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510)의 회전축(511)에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엔진(11)의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브라켓(512)이 연결되며, 상기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에 의한 신호를 받은 제어부(300)에 의해 상 기 브라켓(512)의 위치가 센싱되어 상기 엔진회전수 표시창(212)에 엔진(11)의 회전수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4는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연결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1)과 이 엔진(11)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12)로 이루어지는 엔진펌프(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펌프(10)의 상측에는 엔진펌프(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0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00)는 케이스(101)의 전면에 노출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거나 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을 작동시키거나 정지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조작반(200)이 구비되고,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엔진펌프(10)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화재를 감지하여 엔진펌프(10)를 작동시키거나 조작반(200)의 신호를 받아들여 엔진펌프(10)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작반(200)은 작동상태를 수치화하거나 점등하여 표시 하는 다수의 표시창(211,212,213) 및 램프(214,215,217)로 구비된 표시부(210)가 구비되고, 또한 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정지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작동레버(221)와 버튼형태로 구비되어 수치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조작부(22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의 가동상태를 표시하는 가동램프(214)가 구비되고,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배터리 충전 표시창(211)과 엔진의 회전수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엔진회전수 표시창(21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엔진의 예열상태나 과온도 그리고 수신반의 수신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215)가 구비되고, 엔진(11)의 가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216) 및 선택된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21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에는 엔진(11)의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기(3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엔진(11)의 구동을 위한 엔진구동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구동부(320)와 펌프(12)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33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와 유사한 것으로, 작동레버(221)가 수동에 위치된 상태에서 엔진펌프(10)를 테스트하거나 점검을 할 수 있으며, 실제 화재 발생시에는 자동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작동되도록 상기 작동레버(221)는 자동인 상태가 위치시키게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엔진(11)의 용량에 따른 전압을 수치화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선택전압 표시창(213)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선택전압 표시창(213)에 의해 12V 또는 24V로 공급되는 엔진(11)의 용량을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보수 점검시 에 확인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엔진(11)의 용량에 따른 배터리의 용량의 선택 및 펌프의 사양 그리고 전원의 공급량 등을 엔진(11)의 용량에 맞추어 선택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엔진(11)의 회전수를 조작반(200)에서 엔진(11)의 회전수를 셋팅할 수 있도록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은 엔진회전수 표시창(212)에 표시되는 수치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회전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엔진(11)의 회전수 셋팅은 상기 작동레버(221)가 수동인 위치에서 행하게 되며, 이때 엔진회전수 표시창(212)에 표시되는 수치는 상기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에 의한 셋팅 수치를 표시하고, 상기 작동레버(221)가 자동인 상태에서의 수치는 셋팅된 수치에 의해 회전되는 엔진(11)의 실제 회전수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에는 엔진(11)의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기(3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 충전기(310)는 종래의 전자식이 아닌 트랜스 방식에 의한 것으로, 통상의 트랜스 방식에 의한 배터리 충전기(310)는 습기에 강한 특성을 가지므로 본 고안에서 바람직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배터리 충전기(310)의 고장이 적게 발생하여 엔진(11)의 구동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에는 엔진(11)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구동부(320)가 구비되며, 상기 엔진구동부(320)에는 시동을 위한 스타트모터 구동부(321)와 기름 충전을 위한 플런저펌프 구동부(322) 그리고 엔진(11)의 예열을 위한 예열 구동부(323)가 일체로 구 비되며, 상기 엔진구동부(320)는 전류범위가 충분한 계전기가 구비되어 상기 엔진(11)의 용량이 12V 또는 24V에 관계없이 안정되기 작동되도록 50A 이상의 전류범위를 갖는 계전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의 연결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300)에 의해 신호가 센싱되고, 상기 제어부(300)는 엔진(11)의 회전수 조절수단(500)을 구동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수 조절수단(500)은 상기 제어부(300)의해 제어되는 모터(5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모터(5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5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511)에는 전후로 이동 가능한 브라켓(5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512)에는 엔진(11)의 플런저펌프의 기름유입구의 개방상태를 조절하는 회전수 조절레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당김부재(1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5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당김부재(13)가 팽팽하게 당겨지거나 느슨해져 상기 회전수 조절레버(도시되지 않음)의 개방상태를 조절하여 회전수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300)는 브라켓(512)의 위치를 센싱하여 엔진회전수 표시창(212)에 회전수를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어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된 조작반(200)의 조작부(220)에는 엔진(11)의 회전수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엔진회전수 표시창(212)를 확인하면서 엔진(11)의 회전수를 셋팅할 수 있는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엔진(11) 측에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수 조절수단(500)이 구비됨으로써, 종래처럼 작업자가 엔진(11)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회전수 조절부재(13)를 직접 당겨서 고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 조절수단(500)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510)와, 이 모터(510)의 회전축(5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512)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512)에는 엔진(11)의 회전수 조절레버와 연결된 당김부재(13)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르는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반(200)의 표시부(210)에는 엔진(11)의 용량에 따른 전압을 수치화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선택전압 표시창(213)이 더 구비됨으로써, 엔진의 용량을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보수 점검시에 확인이 용이하여 엔진(11)의 용량에 따른 배터리의 용량의 선택 및 펌프의 사양 그리고 전원의 공급량 등을 엔진(11)의 용량에 맞추어 선택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에는 시동을 위한 스타트모터 구동부(321)와 기름 충전을 위한 플런저펌프 구동부(322) 그리고 엔진(11)의 예열을 위한 예열 구동부(323)가 일체로 구비된 엔진구동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구동부(320)는 전류범위가 충분한 계전기가 구비되어 상기 엔진(11)의 용량이 12V 또는 24V에 관계없이 안정되기 작동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엔진(11)의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기(310)를 습기에 강한 트랜스 방식으로 구비하여 습기가 많은 지하 공간에서도 고장이 적게 발생함으로써, 고장에 의한 배터리 충전기(310)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엔진(11)의 구동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엔진(11)의 구동에 의해 물을 펌핑하도록 구비된 펌프(12)로 이루어지는 엔진펌프(10)를 제어하며, 케이스(101)의 전면에 노출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표시창(211,212,213)이 구비된 표시부(210) 및 엔진펌프(1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정지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작동레버(221)를 포함한 조작부(220)로 이루어지는 조작반(200)과, 케이스(101)의 내부에 위치되며 화재를 감지하여 엔진펌프(10)를 작동시키거나 조작반(200)의 신호를 받아들여 엔진펌프(1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20)에는 엔진의 회전수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표시창(212)를 확인하면서 엔진(11)의 회전수를 셋팅할 수 있는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엔진(11) 측에는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수 조절수단(500)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수 조절수단(500)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51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510)의 회전축(511)에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엔진(11)의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브라켓(512)이 연결되며, 상기 엔진회전수 조절버튼(222)에 의한 신호를 받은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브라켓(512)의 위치가 센싱되어 상기 엔진회전수 표시창(212)에 엔진(11)의 회전수가 수치화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
  2. 삭제
KR2020070004199U 2007-03-14 2007-03-14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 KR200439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199U KR200439265Y1 (ko) 2007-03-14 2007-03-14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199U KR200439265Y1 (ko) 2007-03-14 2007-03-14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265Y1 true KR200439265Y1 (ko) 2008-03-31

Family

ID=4164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199U KR200439265Y1 (ko) 2007-03-14 2007-03-14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2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28Y1 (ko) * 2013-07-10 2014-01-03 윤영상 소방용 엔진펌프
KR20160007449A (ko) * 2015-12-16 2016-01-20 주식회사 한국펌프엔진 유량, 양정 조절형 산업용 엔진펌프(소방용 엔진펌프 포함) 및 엔진펌프를 제어하는엔진컨트롤장치
KR102667482B1 (ko) 2020-07-29 2024-05-22 주식회사 한빛안전기술단 크루즈 기능을 갖는 소방 또는 산업용 엔진펌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28Y1 (ko) * 2013-07-10 2014-01-03 윤영상 소방용 엔진펌프
KR20160007449A (ko) * 2015-12-16 2016-01-20 주식회사 한국펌프엔진 유량, 양정 조절형 산업용 엔진펌프(소방용 엔진펌프 포함) 및 엔진펌프를 제어하는엔진컨트롤장치
KR101659966B1 (ko) 2015-12-16 2016-09-26 (주) 한국소방펌프 유량,양정 조절형 소방 또는 산업용 엔진펌프를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장치
KR102667482B1 (ko) 2020-07-29 2024-05-22 주식회사 한빛안전기술단 크루즈 기능을 갖는 소방 또는 산업용 엔진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1680B2 (en) Electric power tool
EP1984148B2 (en) Method for applying preset torques to threaded fasteners and a power tool therefor
US8888417B2 (en) Drilling device with a controller for the feeding unit
KR200459302Y1 (ko)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장치
KR101194787B1 (ko) 소방용 엔진펌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EP1120200A2 (en) Torque control type impact wrench
KR200439265Y1 (ko) 소방용 엔진펌프의 제어장치
AU2003289049A1 (en) Power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US20180029056A1 (en) Pressure washer system
JP5062068B2 (ja) 空気圧縮機
CN202331115U (zh) 定扭矩直流电动螺丝批控制装置
CN104723290B (zh) 电动工具扭力输出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45229B1 (ko) 서보 드라이버 검사 장치
EP2187284A1 (en) Electrical power diagnostic system for a power saw
KR101116777B1 (ko) 소방용 엔진펌프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9264190A (ja) 水中ポンプ用制御盤及びその制御方法
JP4804747B2 (ja) ポンプの始動頻度異常を検知する給水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給水装置
JP5527713B2 (ja) 浴室空調機
KR100748166B1 (ko) 공기조화기 토출구 셔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공기조화기
CN111300321B (zh) 具有扭力设定的电动快转扳手
JP4077777B2 (ja) 低丈型電動ドリル装置
JP2006052660A (ja) 空気圧縮機及びそれを用いたブレーカ作動防止システム
CN209148284U (zh) 齿轮箱堵转检测装置
JP4043420B2 (ja) 自動再駆動機能付き電動ドリル装置
US2649870A (en) Fault detecting power-driven screw dr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