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052Y1 -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052Y1
KR200439052Y1 KR2020070004252U KR20070004252U KR200439052Y1 KR 200439052 Y1 KR200439052 Y1 KR 200439052Y1 KR 2020070004252 U KR2020070004252 U KR 2020070004252U KR 20070004252 U KR20070004252 U KR 20070004252U KR 200439052 Y1 KR200439052 Y1 KR 200439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spouts
main body
loading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Priority to KR2020070004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0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0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65G11/146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8Supports or mountings
    • B65G11/186Supports or mounting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된 사료를 적재후 이송하기 위해 차량이나 포대 등에 공급할 때 스파우트의 상, 하 높이를 동력으로 조절토록 된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각 스파우트들이 중첩될 때 상호 강하게 끼워져 분리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속이 빈 함체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입구에서부터 상부측 직경은 크고 하부측 직경이 작은 속이 빈 원뿔 형상으로 다수개가 연이어 상하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콘스파우트(20)들과; 상기 콘스파우트(20)들중 가장 하측의 콘스파우트(20) 외측에 위치되며 지지대(31)에 연결되는 외측스파우트(3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서부터 외측스파우트(30) 까지 연결하여 상기 콘스파우트(20)들을 감싸는 직물지로 된 벨로즈(4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측스파우트(30)에 연결된 와이어(51)를 권취시키고 있는 드럼(50)과; 상기 드럼(50)을 정,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외측스파우트(30) 및 각 콘스파우트(20)들을 승, 하강시키는 구동수단(6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콘스파우트(20)의 상단에 끼움방지용 막대(70)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사료분쇄, 포켓피더, 적재,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

Description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loading spout insert prevent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콘스파우트가 가장 하측으로 길게 펼쳐진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절결하여 본체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콘스파우트
30 - 외측스파우트 31 - 지지대
40 - 벨로즈 50 - 드럼
60 - 구동수단 70 - 끼움방지용 막대
본 고안은 가공된 사료를 적재후 이송하기 위해 차량이나 포대 등에 공급할 때 스파우트의 상, 하 높이를 동력으로 조절토록 된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각 스파우트들이 중첩될 때 상호 강하게 끼워져 분리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기의 분쇄장치는 호퍼를 통해 함체내에 투입된 사료를 구동샤프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부착된 분쇄날들에 의해 분쇄되고, 상기 분쇄날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감싸는 여과망을 통해 소정의 입도 이하로 분쇄된 입자가 통과되어 하부 이송부로 이송된 후 스크류 콘베어를 통해 배출구로 다시 이송되고 버켓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라인으로 이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분쇄작업시에는 분쇄능력을 증대시키고, 분쇄기 내부의 온도상승을 막기 위하여 필터가 내장된 집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진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을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된다.
한편, 분쇄기의 상부에는 정량으로 분쇄를 위한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포켓방식의 피더가 장착된다.
이 피더에는 옥수수 등의 사료 원료가 공급될 때 금속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해 원통형의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그 외부를 감싸는 드럼이 일정속도로 회전된다.
그리고, 피더 입구에는 사료 원료가 일정 분포로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칸막이들로 방들이 형성된 포켓이 일정 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포켓 상부로 투입된 사료 원료가 각 포켓에 일정량씩 채워진 후 회전에 의해 하부로 위치될 때 낙하되어 분쇄기 입구로 공급되는 것이다.
드럼의 하부 일측에는 집진기의 작동으로 분쇄기 내부에서 흡입력이 작용되는 것에 의해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 및 피더의 외측에서 빨려들어오는 외부 먼지 등이 수집되는 수거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수집용 수거공간이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있어 장시간 경과 후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제거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원료를 파쇄기에서 파쇄한 후에는 이송용 차량의 탑재실 또는 포대 등에 적재해야 한다.
이때 차량의 종류에 따라 또 포대의 크기 등에 따라 적재되는 위치가 상이하므로 그 높이를 다르게 동력을 이용해 조절하기 위한 로딩 스파우트가 사용된다.
로딩 스파우트는 콘 형식으로 된 다스개의 콘스파우트가 연이어 상하로 다단으로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와이어로 연결된 가장 하측의 콘스파우트를 당기게 되면 순차적으로 중첩되면서 당겨서 상승된다.
그리고, 와이어의 감김 방향을 풀림 방향으로 모터를 역회전 시키게 되면 중력으로 가장 하측의 콘스파우트를 선두로 점차 그 상부로 놓여진 콘스파우트가 하강하는 방법으로 사료를 공급 안내하기 위한 스파우트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콘스파우트는 깔떼기 형상으로 상부는 직경이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으로 된 다.
종래, 동력으로 가장 하측에 위치된 콘스파우트를 와이어로 연결한 상태로 권취하는 방법으로 상승시키며 경사각도가 동일한 각 콘스파우트들이 중첩될 때 끼움이 발생된다.
이 경우 다시 하강시키고자 할 때 그 중력으로 중첩되었던 콘스파우트들이 분리되어야 하는데 약간 강한 마찰력으로 끼워진 각 콘스파우트들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흔히 발생된다.
따라서, 오동작이 발생되고 사료가 적재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비산되거나 버려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속이 빈 함체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입구에서부터 상부측 직경은 크고 하부측 직경이 작은 속이 빈 원뿔 형상으로 다수개가 연이어 상하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콘스파우트(20)들과;
상기 콘스파우트(20)들중 가장 하측의 콘스파우트(20) 외측에 위치되며 지지대(31)에 연결되는 외측스파우트(3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서부터 외측스파우트(30) 까지 연결하여 상기 콘스파우트(20)들을 감싸는 직물지로 된 벨로즈(4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측스파우트(30)에 연결된 와이어(51)를 권취시키고 있는 드럼(50)과;
상기 드럼(50)을 정,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외측스파우트(30) 및 각 콘스파우트(20)들을 승, 하강시키는 구동수단(6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콘스파우트(20)의 상단에 끼움방지용 막대(70)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방지용 막대(70)들이 콘스파우트(20)의 상단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수단(60)의 작동으로 상하 승강될 때 경사각도가 같은 각 콘스파우트(20)들이 중첩되어 억지 끼워져 하강작동 때 서로 분리안되고 겹쳐진 상태로 오작동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콘스파우트(20)가 가장 하측으로 길게 펼쳐진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절결하여 본체(10)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본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속이 빈 4각 함체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드럼(50)을 수용한 상태로 하부로 콘스파우트(20)들 및 외측스파우트(30)들이 연결되게 한다.
본체(10)의 상부는 트여져 상기 콘스파우트(20)들 중 가장 상부측의 콘스파우트(20)가 위치되게 한다.
이 콘스파우트(20)는 속이 빈 원뿔대 형상으로 본체(10)의 입구에서부터 상부측 직경은 크고 하부측 직경이 작은 상태로 상하 다수개가 연이어 수직하게 연결시키게 된다.
이 콘스파우트(20)들은 외측에서 3-4 줄의 연결와이어(21)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스파우트(20)들중 가장 하측의 콘스파우트(20)의 외측에는 외측스파우트(30)가 위치되는데, 내측의 콘스파우트(20)와 지지대(31)에 연결되어 일체화 된 상태로 함께 상하 승강된다.
이 외측스파우트(30)와 본체(10)의 하부에는 직물지로 된 벨로즈(40)가 감싸게 되어 사료가 이동될 때 발생되는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또 벨로즈(40)에는 중간에 간헐적으로 링(41)을 고정하게 되며,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외측스파우트(30)에는 와이어(51)를 연결시켜 드럼(50)의 회전에 따라 감 겨지거나 풀려지는 것에 의해 외측스파우트(30) 및 각 콘스파우트(20)가 상하 승강되도록 한다.
드럼(50)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외측스파우트(30)에 연결된 와이어(51)를 권취시키게 되며, 구동수단(60)의 회전력으로 정,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구동수단(60)으로는 정역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며, 가이드롤러(52)를 이용해 와이어(51)가 외측스파우트(30)의 둘레에서 적어도 2군데 이상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외측스파우트(30)와 이에 연결된 가장 하측의 콘스파우트(20)를 승, 하강시키게 된다.
가장 하측의 콘스파우트(20)가 상승되면 그 상부에 위치된 콘스파우트(20)가 중첩되고 다시 그 상부측에 위치된 콘스파우트(20)가 중첩되는 방법으로 상승된다.
또, 하강시에는 구동수단(60)이 역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드럼(50)에 권취된 와이어(51)가 풀려지게 되면 자체 중력에 의해 외측스파우트(30)와 지지대(31)로 연결된 콘스파우트(20)가 하강되면서 점차 그 상부에 위치된 콘스파우트(20)들이 연이어 연결와이어(21)의 길이 만큼 간격을 유지하며 하강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이용해 하측의 외측스파우트(30) 및 이에 연결된 하측의 콘스파우트(20)의 높이를 승강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료를 적재하는 차량의 종류나 포대 크기 등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흘림 없이 정확히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스파우트(20)의 상단에 끼움방지용 막대(70)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 끼움방지용 막대(70)는 콘스파우트(20)의 상단부에 도면에서와 같이 4개소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광 하협 형상으로 경사진 콘스파우트(20)들이 밀착되지 않고 간격을 유지토록 한다.
따라서, 구동수단(60)의 작동으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각 콘스파우트(20)들의 경사면들이 밀착되며 서로 강하게 끼워져 하강 작동시 분리되지 않고 끼움 상태를 유지하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끼움방지용 막대(70)들이 콘스파우트(20)의 상단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수단(60)의 작동으로 상하 승강될 때 경사각도가 같은 각 콘스파우트(20)들이 중첩되어 억지 끼워져 하강작동 때 서로 분리안되고 겹쳐진 상태로 오작동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로딩 스파우트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속이 빈 함체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입구에서부터 상부측 직경은 크고 하부측 직경이 작은 속이 빈 원뿔 형상으로 다수개가 연이어 상하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콘스파우트(20)들과;
    상기 콘스파우트(20)들중 가장 하측의 콘스파우트(20) 외측에 위치되며 지지대(31)에 연결되는 외측스파우트(3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서부터 외측스파우트(30) 까지 연결하여 상기 콘스파우트(20)들을 감싸는 직물지로 된 벨로즈(4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측스파우트(30)에 연결된 와이어(51)를 권취시키고 있는 드럼(50)과;
    상기 드럼(50)을 정,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외측스파우트(30) 및 각 콘스파우트(20)들을 승, 하강시키는 구동수단(6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콘스파우트(20)의 상단에 끼움방지용 막대(70)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
KR2020070004252U 2007-03-14 2007-03-14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 KR200439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52U KR200439052Y1 (ko) 2007-03-14 2007-03-14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52U KR200439052Y1 (ko) 2007-03-14 2007-03-14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052Y1 true KR200439052Y1 (ko) 2008-03-18

Family

ID=4162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252U KR200439052Y1 (ko) 2007-03-14 2007-03-14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0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3218A (zh) * 2022-09-07 2023-01-03 青岛宝恒机械技术有限公司 旋转式中转接力料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3218A (zh) * 2022-09-07 2023-01-03 青岛宝恒机械技术有限公司 旋转式中转接力料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1236B2 (ja) 穀物の選別システム
KR101586465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170939B1 (ko) 합성수지 원료의 분진제거장치
JP4886803B2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1586464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104307618B (zh) 辣椒籽壳分离机
KR102326528B1 (ko) 이종 물질들을 포함하는 용기들을 개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142678A (ja) 穀物選別機
KR200439052Y1 (ko) 사료적재용 로딩 스파우트 끼움방지구조
CN104986386B (zh) 琢型宝石分拣包装机
CN109515893A (zh) 一种面粉厂原料专用开袋设备
KR102120077B1 (ko) 다목적 분쇄장치
KR102274800B1 (ko) 포장분말의 분진방지용 탈철장치
CN216420182U (zh) 一种选矿用安装在尾矿出口的装袋机
KR101770508B1 (ko) 분말 가공기
KR101716429B1 (ko) 관리가 용이하고 위생성이 개선된 고추 분쇄장치
CN209204083U (zh) 一种卧式中药制丸机
CN2614083Y (zh) 辣椒磨粉机
JP2004290792A (ja) 粉砕分別機
CN109794337A (zh) 一种粮食粉碎机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KR101819330B1 (ko) 듀얼 타입 분말 가공기
CN206064817U (zh) 一种稻谷风选机
JP7464320B2 (ja) 破袋装置
CN115069557B (zh) 叶丝柔性风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