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92Y1 - 벤치의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벤치의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992Y1
KR200438992Y1 KR2020070002808U KR20070002808U KR200438992Y1 KR 200438992 Y1 KR200438992 Y1 KR 200438992Y1 KR 2020070002808 U KR2020070002808 U KR 2020070002808U KR 20070002808 U KR20070002808 U KR 20070002808U KR 200438992 Y1 KR200438992 Y1 KR 200438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ch
heating element
unit
voltage
plana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전
Original Assignee
강희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전 filed Critical 강희전
Priority to KR2020070002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9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벤치의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벤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주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 및 스위칭부와 함께 벤치의 일측부에 설치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벤치의 난방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정류부와 면상 발열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면상 발열체로의 직류전압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벤치의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방수천에 의해 보호되는 형태에서 정류부에서 전압이 공급되면 발열 작동하는 면상 발열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용교류 전원의 공급되는 모든 장소(실,내외 모두 포함)에 설치될 수 있는 벤치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체온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원적외선까지 방사되는 면상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건강에 필요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치질 환자나 노약자 등이 차가운 벤치에 장기간 앉아 있으므로 인한 건강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정류부, 면상 발열체, 온도센서, 타이머, 착석감지수단, 인체감지센서

Description

벤치의 난방장치{Heating unit for benches}
도 1은 본 고안 장치가 실시된 벤치의 일부 절취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벤치 1a : 좌판
1b : 등받이 1c : 다리
1d : 방수천 2 : 정류부
4 : 함체 5 : 제어부
6 : 충전회로부 7 : 배터리
8 : 스위칭부 9 : 면상 발열체
10 : 과충전 방지부 11 : 과방전 방지부
12 : 벤치 주변온도 검출센서 13 : 작동온도 설정부
14 : 발열체 온도 검출센서 15 : 타이머
16 : 인체감지센서 17 : 착석감지수단
본 고안은 실내 및 실외용 벤치의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원이나 버스 정류장, 기차역의 플레트 홈 등과 같은 야외는 물론 각종 점포나 공항을 포함한 대중교통의 대합실 및 각종 휴게실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어 불특정인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는 각종 벤치의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면상 발열체를 설치하여 타이머에 의해 설치된 시간이나, 벤치의 근처에서 인체가 감지되었을 때 또는 사용자가 벤치에 앉았을 때 주위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 경우 벤치의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설치해 놓은 면상 발열체가 발열 작동하도록 하여 벤치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체온 하락을 방지하고, 건강에 필요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치질 환자나 노약자 등이 차가운 벤치에 장기간 앉아 있으므로 인한 건강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버스 정류장, 기차역의 플레트 홈 등에 설치되는 야외용 벤치는 비나 눈에 노출되어 있는데도 불과하고 대부분의 야외 벤치에는 어떠한 난방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고, 또한 각종 점포를 포함하여 공항이나 기차역 및 버스 터미널 등과 같은 대중교통의 대합실 및 각종 휴게실 등과 같이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벤치는 비록 비나 눈에 노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역시 어떠한 난방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단지 기름이나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는 난방장치가 벤치와 별개로 설치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난방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실외 또는 실내용 벤치의 경우 주위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는 주위에 벤치가 있음에도 불과하고 사람들이 이를 이용하지 않게 됨은 물론 이와 같이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만약 벤치를 이용하게 되면 이용자의 체온을 하락시키게 되어 건강에 해를 끼칠 우려가 있고, 특히 치질 환자나 노약자 등이 차가운 벤치에 장기간 앉아 있게 되면 건강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야외와 같은 실외나 실내에서 불특정인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는 각종 벤치의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면상 발열체를 설치하여 타이머를 통해 정해 놓은 시간이나, 해당 벤치 근처에서 인체가 감지되었을 때 또는 사용자가 벤치에 앉았을 때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여 일정온도 이하인 경우 벤치의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설치해 놓은 면상 발열체가 발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각종 벤치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체온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건강에 필요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치질 환자나 노약자 등이 차가운 벤치에 장기간 앉아 있으므로 인한 건강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벤치의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장치는, 좌판과 등받이 및 다리를 구비하고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벤치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주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 및 스위칭부와 함께 벤치의 일측부에 설치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벤치의 난방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 는 제어부와; 상기 정류부와 면상 발열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면상 발열체로의 직류전압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벤치의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방수천에 의해 보호되는 형태에서 정류부에서 전압이 공급되면 발열 작동하는 면상 발열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함체 내에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배터리에 충전시켜 주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충전회로부의 출력전압을 축적하고 있다가 제어부의 요구가 있을 때 스위칭부를 통해 면상 발열체에 전압을 출력시켜 주는 배터리;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 내의 충전회로부와 배터리 사이 및 상기 배터리와 스위칭부 사이에는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과충전 방지부와 과방전 방지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는 벤치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벤치 주변온도 검출센서와, 벤치 주변온도가 어느 정도일 때 면상 발열체를 작동시킬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온도 설정부 및 면상 발열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면상 발열체가 자체 내에 기억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상태일 때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발열체 온도 검출센서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사용자가 면상 발열체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부가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 가 설정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만 면상 발열체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벤치에 인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벤치 근처에 인체가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면상 발열체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벤치의 좌판에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중량감지센서 등으로 된 착석감지수단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에서 사용자가 벤치의 좌판에 착석하였음이 상기 착석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면상 발열체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면상 발열체는 좌판 전체 또는 좌판과 등받이 전체에 일체로 설치하여 일정온도 이하의 벤치 주변온도에서 사람이 앉거나 벤치에서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좌판 전체 또는 좌판과 등받이 전체에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한 사람이 착석할 때 차지하는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면상 발열체는 사람이 앉는 자리에 설치된 면상 발열체만 구분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가 실시된 벤치의 일부 절취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 고, 도 2는 본 고안 장치에 따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장치는, 좌판(1a)과 등받이(1b) 및 다리(1c)를 구비하고 야외에 설치되는 벤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압(AC)을 일정한 직류전압(DC)으로 정류시켜 주는 정류부(2)와;
상기 정류부(2) 및 스위칭부(8)와 함께 벤치(1)의 일측부에 설치된 함체(4)의 내부에 설치되어 벤치의 난방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5)와;
상기 정류부(2)와 면상 발열체(9)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면상 발열체(9)로의 직류전압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8)와;
상기 벤치의 좌판(1a)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방수천(1d)에 의해 보호되며 직류전압이 공급되면 발열 작동하는 면상 발열체(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함체(4) 내에 정류부(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배터리(7)에 충전시켜 주는 충전회로부(6)와;
상기 충전회로부(6)의 출력전압을 축적하고 있다가 제어부(5)의 요구가 있을 때 스위칭부(8)를 통해 면상 발열체(9)에 직류전압을 출력시켜 주는 배터리(7);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4) 내의 상기 충전회로부(6)와 배터리(7) 사이 및 상기 배터리(7)와 스위칭부(8) 사이에는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과충전 방지부(10)와 과방전 방지부(11)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의 입력단자에는 벤치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벤치 주변온도 검출센서(12)와, 벤치 주변온도가 어느 정도일 때 면상 발열체(9)를 작동시킬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온도 설정부(13) 및 상기 면상 발열체(9)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5)로 하여금 면상 발열체(9)가 자체 내에 기억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상태일 때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발열체 온도 검출센서(14)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5)의 입력단자에 사용자가 면상 발열체(9)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15)를 부가 설치하여 제어부(5)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작동온도 설정부(13)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15)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만 면상 발열체(9)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벤치(1)에 인체감지센서(16)를 설치하여 제어부(5)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16)를 통해 벤치(1) 근처에 인체가 근접된 상태에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면상 발열체(9)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벤치(1)의 좌판(1a)에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중량감지센서 등으로 된 착석감지수단(17)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5)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에서 사용자가 벤치(1)의 좌판(1a)에 착석하였음이 상기 착석감지수단(17)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면상 발열체(9)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면상 발열체(9)는 좌판(1a) 전체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 전체에 일체로 설치하여 일정온도 이하의 벤치 주변온도에서 사람이 앉거나 벤치에서 일정거리 이내로 사람이 근접하면 좌판(1a) 전체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 전체에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한 사람이 착석하거나 기댈 때 차지하는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좌판(1a)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에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면상 발열체(9)는 상기 착석감지수단(17)을 통해 사람이 앉는 자리에 설치된 면상 발열체(9)만 구분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 장치는 좌판(1a)과 등받이(1b) 및 다리(1c)를 구비한 공지된 벤치(1)에 정류부(2)와 함체(4), 제어부(5), 스위칭부(8) 및 면상 발열체(9)를 부가 설치하여 벤치에 전기 난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정류부(2)는 벤치(1)의 주변에 설치된 각종 교류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압(AC; 예를 들어 AC 220V)을 일정한 직류전압(DC; 예를 들어 24V)으로 정류시켜 주게 되고, 상기 제어부(5)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스위칭부(8)는 정류부(2)와 면상 발열체(9) 사이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배터리(7)와 면상 발열체(9)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에 의해 그 구동(즉, 스위칭 작동)이 제어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 상기 스위칭부(8)는 면상 발열체(9)로 공급되는 상기 정류부(2)의 출력전압 또는 배터리(7)의 출력전압을 제어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공급 또는 그 공급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면상 발열체(9)는 벤치(1)의 좌판(1a)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정류부(2) 또는 후술하는 배터리(7)에서 직류전압이 공급되면 발열 작동하는 것으로, 기 알려진 바와 같이 얇은 필름에 탄소 발열체를 도포하고 각 발열체를 병렬 연결시킨 구성을 갖으며, 오염물질 흡착제인 활성탄을 박피하고, 동박으로 전극을 만든 후 필름으로 라미네이팅 처리한 구성을 갖고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로 햇빛과 같이 따뜻한 복사열이 발생되며, 일반 히터와 달리 필름 전체에서 고른 열이 발생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면상 발열체(9) 자체를 외부로 노출시킬 경우 습기에 의해 누전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면상 발열체(9)의 상면을 포함한 좌판(1a)과 등받이(1b)의 외측면까지 감싸는 형태로 방수천(1d)을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본 고안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5)와 정류부(2) 및 스위칭부(8)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충전회로부(6)와 배터리(7), 과충전 방지부(10) 및 과방전 방지부(11) 등을 포함하여 각종 구성품을 외부에 노출시키거나 불특정인이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상태일 경우 손쉽게 손상되거나 도난 등을 당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습기에 의해 각각의 구성품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일반인들이 쉽게 손 델 수 없도록 이들을 방수기능이 구비된 함체(4) 내에 모두 배치시켜 벤치(1)의 일측부에서 비나 눈이 오더라도 이들을 피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벤치(1)의 좌판(1a)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면상 발열체(9)를 상기한 정류부(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만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할 경우 정전이나 기타 각종 원인으로 인해 상용 교류전압이 공급되지 않을 때 주변이 아무리 춥더라도 벤치(1)에 설치된 면상 발열체(9)를 구동시킬 수 없어 본 고안 장치가 무용지물 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정전 등을 대비하여 상기 정류부(2)의 출력단과 스위칭부(8)의 입력단 사이에 상기 제어부(5)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충전회로부(6)와 배터리(7)를 부가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교류전압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통상시에는 상기 제어부(5)에서 충전회로부(6)를 제어하여 정류부(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7)를 충전시켜 두었다가 정전 등으로 인해 정류부(2)에서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가 됨으로 인해 상기 제어부(5)의 요구가 있을 때 스위칭부(8)를 통해 면상 발열체(9)에 상기 배터리(7)에 충전되어 있는 직류전압을 출력시켜 면상 발열체(9)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7)는 충,방전 상태에 따라 그 수명이 결정된다.
즉, 상기 배터리(7)에 과충전이 이루어지거나 과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수명은 그만큼 짧아지게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충전회로부(6)와 배터리(7) 사이 및 상기 배터리(7)와 스위칭부(8) 사이에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과충전 방지부(10)와 과방전 방지부(11)를 부가 설치하여 배터리(7)에 전압이 충분히 충전되어 있음에도 불과하고 계속적으로 전압이 공급되어 충전됨으로 인한 과충전과, 배터리(7)에 충전된 전압이 일정전압 이하인데도 불구하고 면상 발열체(9)에 전압을 계속해서 공급함으로 인해 임계 충전전압 이하로 방전됨으로 인한 과방전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7)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불특정인들이 자유롭게 사용하는 벤치(1)의 좌판(1a)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에 선택적 또는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면상 발열체(9)를 효율적으로 작동시켜 벤치(1)의 이용자에게 따뜻함을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는 벤치(1)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의 온도와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온도 및 면상 발열체(9)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시켜 주어야만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면상 발열체(9) 자체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함체(4)의 외부에 벤치(1)의 주변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벤치 주변온도 검출센서(12)와, 벤치 주변온도가 어느 정도일 때 면상 발열체(9)를 작동시킬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온도 설정부(13)를 설치하여 제어부(5)의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또 상기 면상 발열체(9)의 주변에는 면상 발열체(9)의 온도를 검출하는 발열체 온도 검출센서(14)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이 제어부(5)의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주었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5)에서는 항상 상기 벤치 주변온도 검출센서(12)를 통해 벤치(1)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여 인식함과 동시에 작동온도 설정부(13)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작동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외기의 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5)에서는 스위칭부(8)에 "온"신호를 출력시켜 정류부(2)의 출력전압 또는 배터리(7)의 충전전압이 상기 면상 발열체(9)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면상 발열체(9)의 발열작동을 통해 벤치(1)의 좌판(1a)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를 가열시켜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면상 발열체(9)의 발열 작동 중 발열체 온도 검출센서(14)를 통해 검출되는 면상 발열체(9)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면상 발열체(9)의 온도가 자체 내에 기억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상태일 때 스위칭부(8)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정류부(2) 또는 배터리(7)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은 물론 배터리(7)의 전압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과 면상 발열체(9)가 과열됨으로 인한 소손 및 화재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벤치 주변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작동온도만의 검출 및 비교와, 과열생태 검출만으로 면상 발열체(9)의 구동을 제어할 경우 실제로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벤치(1)를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예를 들어 새벽녘 등)에도 벤치 주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무조건 상기 면상 발열체(9) 작동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모시키게 됨은 물론 면상 발열체(9) 등의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 첫 번째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5)의 입력단자에 사용자가 면상 발열체(9)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15)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5)로 하여금 전술한 바와 같이 벤치 주변온도가 작동온도 설정부(13)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15)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 되었 을 때만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에만 면상 발열체(9)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써, 이와 같이 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거나 면상 발열체(9)의 잦은 작동에 의한 수명 단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두 번째 방법으로는 벤치(1)에 인체감지센서(16)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5)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16)를 통해 벤치(1) 근처에 인체가 근접된 상태에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면상 발열체(9)를 작동시키도록 하였는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온도와 설정온도 및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작동시간을 통한 면상 발열체(9)의 작동제어에 비하여 전력 사용량은 많으나 벤치(1) 근처에 인체가 근접된 상태에서 주변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언제든지 면상 발열체(9)가 가열 작동하므로 이용자 측면에서는 더욱 유리하다.
또한, 세 번째의 방식으로는 상기 벤치(1)의 좌판(1a)에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중량감지센서 등으로 된 착석감지수단(17)을 부가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5)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에서 사용자가 벤치(1)의 좌판(1a)에 착석하였음이 상기 착석감지수단(17)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만 상기 면상 발열체(9)를 작동시키도록 하였는데, 이 경우 벤치의 이용자가 좌판(1a)에 앉을 때만 면상 발열체(9)가 가열작동 하므로 상기한 두 번째 방식보다 면상 발열체(9)를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전력의 사용효율 측면이나 면상 발열체(9)의 수명 연장에 있어서 더욱 유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면상 발열체(9)를 좌판(1a)이나, 좌판(1a)과 등받이(1b)에 설치 함에 있어서 전체에 일체로 설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을 적용하여 일정온도 이하의 벤치 주변온도에서 사람이 앉거나 벤치에서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좌판(1a) 전체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 전체에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또 좌판(1a)이나, 좌판(1a)과 등받이(1b)에 설치함에 있어서 면상 발열체(9) 자체를 한 사람이 착석하거나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에 기댈 때 차지하는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좌판(1a) 또는 좌판(1a)과 등받이(1b)에 각각 수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면상 발열체(9)는 상기한 착석감지수단(17)을 통해 사람이 앉는 자리에 설치된 면상 발열체(9)만 구분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전력의 사용효율 측면이나 면상 발열체(9)의 수명 등을 감안하여 볼 때 후자의 경우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기 면상 발열체(9)의 구동을 정해진 조건하에서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을 주로 설명하였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용 교류전압이 공급되는 상기 정류부(2)의 전원공급선이나, 배터리(7)의 출력단자 또는 스위칭부(8)의 출력단자와 면상 발열체(9) 사이에 수동 조작형 전원공급 제어 스위치를 설치하여 벤치 관리자가 임의로 본 고안 장치의 구동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벤치의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면상 발열체를 설치하고, 이들 면상 발열체가 타이머를 통해 정해 놓은 시간이나, 벤치 근처에 인체가 감지되었을 때 또는 사용자가 벤치에 앉았을 때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여 일정온도 이하인 경우 발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첫째 별도의 난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장소(실,내외 모두 포함)에 설치되어 있는 벤치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체온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원적외선까지 방사되는 면상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건강에 필요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 치질 환자나 노약자 등이 차가운 벤치에 장기간 앉아 있으므로 인한 건강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좌판과 등받이 및 다리를 구비한 벤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압(AC)을 일정한 직류전압(DC)으로 정류시켜 주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 및 스위칭부와 함께 벤치의 일측부에 설치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벤치의 난방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정류부와 면상 발열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면상 발열체로의 직류전압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와;
    방수천에 의해 보호된 상태에서 상기 벤치의 좌판에만 또는 좌판과 등받이 전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직류전압이 공급되면 발열 작동하는 면상 발열체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배터리에 충전시켜 주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충전회로부의 출력전압을 축적하고 있다가 제어부의 요구가 있을 때 스위칭부를 통해 면상 발열체에 직류전압을 출력시켜 주는 배터리와;
    상기 충전회로부와 배터리 사이 및 상기 배터리와 스위칭부 사이에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부와 과방전 방지부;로 구성하되,
    상기 함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벤치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벤치 주변온도 검출센서와, 벤치 주변온도가 어느 정도일 때 면상 발열체를 작동시킬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온도 설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에는 제어부로 하여금 면상 발열체가 자체 내에 기억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상태일 때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발열체 온도 검출센서를 설치하되, 상기 벤치 주변온도 검출센서와 작동온도 설정부 및 발열체 온도 검출센서는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사용자가 면상 발열체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작동온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만 면상 발열체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난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벤치에 제어부의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인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벤치 근처에 인체가 근접된 상태에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면상 발열체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난방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벤치의 좌판에 제어부의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착석감지수단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벤치 주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에서 사용자가 벤치의 좌판에 착석하였음이 상기 착석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면상 발열체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난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한 사람이 착석하거나 기댈 때 차지하는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좌판 또는 좌판과 등받이에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면상 발열체는 상기 착석감지수단을 통해 사람이 앉는 자리에 설치된 면상 발열체만 구분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의 난방장치.
  9. 삭제
KR2020070002808U 2007-02-16 2007-02-16 벤치의 난방장치 KR200438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808U KR200438992Y1 (ko) 2007-02-16 2007-02-16 벤치의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808U KR200438992Y1 (ko) 2007-02-16 2007-02-16 벤치의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992Y1 true KR200438992Y1 (ko) 2008-03-17

Family

ID=4162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808U KR200438992Y1 (ko) 2007-02-16 2007-02-16 벤치의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99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936B1 (ko) * 2017-12-11 2018-12-18 황민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벤치
KR101993169B1 (ko) * 2018-05-21 2019-06-27 주식회사 주성 다목적 의자
KR102054205B1 (ko) * 2019-08-13 2019-12-10 박기철 방열판을 갖는 의자
KR20200032476A (ko) 2018-09-18 2020-03-26 임한복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KR20210019923A (ko) * 2019-08-13 2021-02-23 박기철 방열판을 갖는 의자
KR102555921B1 (ko) 2022-01-17 2023-07-13 유희용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KR102623348B1 (ko) * 2023-03-10 2024-01-10 주식회사 위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옥외용 벤치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936B1 (ko) * 2017-12-11 2018-12-18 황민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벤치
KR101993169B1 (ko) * 2018-05-21 2019-06-27 주식회사 주성 다목적 의자
KR20200032476A (ko) 2018-09-18 2020-03-26 임한복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KR102054205B1 (ko) * 2019-08-13 2019-12-10 박기철 방열판을 갖는 의자
KR20210019923A (ko) * 2019-08-13 2021-02-23 박기철 방열판을 갖는 의자
KR102268316B1 (ko) 2019-08-13 2021-06-22 박기철 방열판을 갖는 의자
KR102555921B1 (ko) 2022-01-17 2023-07-13 유희용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KR102623348B1 (ko) * 2023-03-10 2024-01-10 주식회사 위텍 온도 조절이 가능한 옥외용 벤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214B1 (ko) 솔라셀을 이용한 야외용 벤치의 난방장치
KR200438992Y1 (ko) 벤치의 난방장치
KR101078285B1 (ko) 변좌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토일렛 장치
WO2007097016A1 (ja) 充電池式椅子加温方法並びに充電池式椅子加温装置及び充電池式加温椅子
US20060289421A1 (en) Portable heated seating
JP5200626B2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トイレ装置
CN1764404B (zh) 加热装置及其制造方法、装设加热装置的座厕装置
KR20120005790U (ko) 온돌 벤치
CN101703380B (zh) 加热装置及装设加热装置的座厕装置
JP2002146878A (ja) トイレ装置
JP3775131B2 (ja) 充電装置
KR20170002952A (ko) 열전소자의자와 열전소자경계석
US10231551B2 (en) Heated sitting surface
JP4068648B2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トイレ装置
JP2011194023A (ja) 便座装置
JP4595477B2 (ja) トイレ装置
KR20080014677A (ko) 손난로
JP5348064B2 (ja) トイレ装置
KR102622591B1 (ko) 태양광 패널을 포함한 스마트 벤치 구조체
JP5050630B2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トイレ装置
JP5281172B1 (ja) 電気こたつ
JP2011182955A (ja) 便座装置
JP3092446U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付きクリーンヒーター
ES2784098A1 (es) Silla de oficina calefactable
KR20100073330A (ko) 전열선의 온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