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921B1 -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 Google Patents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921B1
KR102555921B1 KR1020220006787A KR20220006787A KR102555921B1 KR 102555921 B1 KR102555921 B1 KR 102555921B1 KR 1020220006787 A KR1020220006787 A KR 1020220006787A KR 20220006787 A KR20220006787 A KR 20220006787A KR 102555921 B1 KR102555921 B1 KR 10255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heat
heating
benc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용
Original Assignee
유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용 filed Critical 유희용
Priority to KR102022000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22Switches actuated by changing weight, level or centre of gr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치에 앉은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운영 조건(운영 기간, 운영 시간, 운영 온도)에 따라 발열이 필요한 시점에서만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하고, 발열체 상측에는 공극을 형성하고 발열체 하측에는 보온재를 형성하여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손실되지 않도록 하여 발열을 위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발열 벤치에 관한 것으로, 좌석판(100),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 가열부(200), 다리부(300), 감지 센서(400), 전원 공급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An outdoor bench that is controlled a heating function by season and time}
본 발명은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벤치에 앉은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운영 조건(운영 기간, 운영 시간, 운영 온도)에 따라 발열이 필요한 시점에서만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하고, 발열체 상측에는 공극을 형성하고 발열체 하측에는 보온재를 형성하여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손실되지 않도록 하여 발열을 위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발열 벤치에 관한 기술이다.
현대사회는 경제 성장과 과학 기술의 발달로 생활이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생활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적 발전과 주 5일 근무제의 확대로 인해, 대다수 국민이 여가활동으로 다양한 운동과 여러 가지 취미 활동 및 야외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원이나 유명 관광지에는 항상 많은 인파가 모이고 있다.
한편, 벤치는 여러 사람이 같이 앉을 수 있도록 만든 긴 의자로,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다중 이용 공간인 길거리, 건물 주변, 경기장, 버스 정거장, 공원 등에 널리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벤치는 주로 야외에 설치되므로 겨울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 벤치도 차가워져 벤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차가운 불쾌감을 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겨울과 같이 추운 계절에 벤치의 좌석이 가열되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된 발열 벤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발열 벤치는 주변 온도에 상관없이 정해진 시간에 동작하게 되어 있어,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과도한 발열로 인해 벤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도록, 벤치에 앉은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운영 조건(운영 기간, 운영 시간, 운영 온도)에 따라 발열이 필요한 시점에서만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하고, 발열체 상측에는 공극을 형성하고 발열체 하측에는 보온재를 형성하여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손실되지 않도록 하여 발열을 위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발열 벤치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992호 벤치의 난방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7981호 온열 기능을 갖는 벤치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4818호 발열 의자
본 발명은 발열하여 벤치에 앉은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운영 조건(운영 기간, 운영 시간, 운영 온도)에 따라 발열이 필요한 시점에서만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체 상측에는 공극을 형성하고 발열체 하측에는 보온재를 형성하여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손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고,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되는 좌석판(100)과;
좌석판(100) 하측면에 설치되어, 좌석판(10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온도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와;
상기 좌석판(100) 하측에 형성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을 가열하는 가열부(200)와;
발열 벤치의 다리 기능을 하는 다리부(300)와;
상기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좌석판(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석판(100)에서 이탈하는 경우,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감지 센서(400)와;
상기 다리부(300) 내측에 형성되어, 가열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0)와;
상기 다리부(300) 내측에 형성되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과 감지 센서(400)가 제공하는 감지 신호와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를 이용해 좌석판(100)이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벤치에 앉은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운영 조건(운영 기간, 운영 시간, 운영 온도)에 따라 발열이 필요한 시점에서만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하고, 발열체 상측에는 공극을 형성하고 발열체 하측에는 보온재를 형성하여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손실되지 않도록 하여 발열을 위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열부(200)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목표 온도에 따른 좌석판과 열전도 프레임의 상관 관계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감지 센서(400)가 동작 감지 센서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부(600) 세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리부(300) 실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10, 이하 ‘본 발명’)는 벤치에 앉은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운영 조건(운영 기간, 운영 시간, 운영 온도)에 따라 발열이 필요한 시점에서만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하고, 발열체 상측에는 공극을 형성하고 발열체 하측에는 보온재를 형성하여 발열체에서 발열된 열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손실되지 않도록 하여 발열을 위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좌석판(100),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 가열부(200), 다리부(300), 감지 센서(400), 전원 공급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고,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되는 좌석판(100)과;
좌석판(100) 하측면에 설치되어, 좌석판(10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온도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와;
상기 좌석판(100) 하측에 형성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을 가열하는 가열부(200)와;
발열 벤치의 다리 기능을 하는 다리부(300)와;
상기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좌석판(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석판(100)에서 이탈하는 경우,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감지 센서(400)와;
상기 다리부(300) 내측에 형성되어, 가열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0)와;
상기 다리부(300) 내측에 형성되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과 감지 센서(400)가 제공하는 감지 신호와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를 이용해 좌석판(100)이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판(100)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고,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되는 구성으로, 겨울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 벤치에 앉은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좌석판(100)은 벤치 사이즈에 맞는 긴 사각형 형태이고, 둘레 사면이 절곡 구조인 금속 재질이며, 도 4와 같이,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 상측에 설치 결합 된다. 즉, 둘레 사면이 절곡 구조를 갖는 좌석판(100)이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 상측에 포개지듯 결합된다.
특히, 금속 재질인 좌석판(100)은 사용자 착석 시, 사용자 하중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0.5~1㎜의 두께를 갖고(바람직하게는 0.8㎜), 사용자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경우,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에 접촉된다. 즉, 평상시에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 착석 시, 사용자 하중에 의해 사용자 착석 부분이 휘어져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에 사용자 착석 부분이 접촉된다.
사용자 착석 시, 사용자 하중에 의해 금속 재질인 좌석판(100)이 휘어져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에 접촉되도록 하는 이유는,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으로부터 직접 접촉에 의해 빠르게 열을 전달받기 위함이다.
상기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판(100) 하측면에 접촉 설치되어, 좌석판(10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온도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열부(200)는 좌석판(100) 하측에 형성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을 가열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부(20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좌석판(100)이 설치 결합 되고, 절곡부(211)가 형성된 단면이 “
Figure 112022005977769-pat00001
” 형태이거나 절곡부(211)가 없는 단면이 “
Figure 112022005977769-pat00002
” 형태인 금속 재질의 프레임 구조이고, 발열하는 면상 발열체(230)에 의해 가열되고, 상측에 위치한 좌석판(100)이 접촉되지 않는 경우, 좌석판(100)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복사열을 전달하고, 상측에 위치한 좌석판(100)이 접촉되는 경우, 좌석판(100)으로 접촉 방식으로 직접 열을 전달하며, 발열 벤치의 뼈대 기능을 하는 열전도 프레임(210)과,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형성된 공극(220)과,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의 내측 상부 면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또는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발열하는 면상 발열체(230)와,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 내측에서 면상 발열체(230) 하측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어, 면상 발열체(230)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온 단열재(240)와,
상기 보온 단열재(240)가 하측 방향으로 분리 이탈하지 않도록, 보온 단열재(240) 하측에서 열전도 프레임(210)에 결합하는 하부 지지 프레임(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은 상측에 좌석판(100)이 설치 결합 되고, 도 3과 같이, 절곡부(211)가 형성된 단면이 “
Figure 112022005977769-pat00003
” 형태(210A)이거나 절곡부(211)가 없는 단면이 “
Figure 112022005977769-pat00004
” 형태(210B)인 금속 재질의 프레임 구조이고, 발열하는 면상 발열체(230)에 의해 가열되고, 상측에 위치한 좌석판(100)이 접촉되지 않는 경우, 좌석판(100)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복사열을 전달하고, 상측에 위치한 좌석판(100)이 접촉되는 경우, 좌석판(100)으로 접촉 방식으로 직접 열을 전달하며, 발열 벤치의 뼈대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은 상측에 설치 결합 된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도록 일정한 두께(바람직하게는 3㎜)를 갖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고, 도 4와 같이,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의 상부 면은 상측에 위치하는 좌석판(100)과 후술할 공극(220)만큼 일정 거리 이격된다.
즉, 평상시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는 경우, 열전도 프레임(210)의 상부 면은 좌석판(100)과 공극(220)만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되며, 사용자가 좌석판(100)에 착석하는 경우, 좌석판(100)의 사용자 착석 부분이 휘어져 열전도 프레임(210) 상부 면에 좌석판(100) 저면이 접촉된다.
또한, 절곡부(211)가 형성된 단면이 “
Figure 112022005977769-pat00005
” 형태(210A)이거나 절곡부(211)가 없는 단면이 “
Figure 112022005977769-pat00006
” 형태(210B)인 열전도 프레임(210)의 내측 공간에 면상 발열체(230)와 보온 단열재(24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공극(220)은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인 공기층이다.
공극(220)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일정 높이(1.8~2.2㎜)를 갖는 공극 형성 부재를, 열전도 프레임(210)의 외측 상부 면에 형성한 후, 상기 좌석판(100)을 열전도 프레임(210) 상부 면에 결합시켜 공극 형성 부재에 의해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공기층인 공극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열전도 프레임(210) 측면에 스토퍼를 형성한 후, 스토퍼가 형성된 열전도 프레임(210) 상부 면에 좌석판(100)을 결합시켜 스토퍼에 의해 열전도 프레임(210) 상부 면에 결합하는 좌석판(100)이 일정 높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여 하여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공기층인 공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공극(220)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극 형성 부재나 스토퍼를 이용해 형성하는 방법에 국한되지 않고,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이격 공간인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든 상관없다.
또한,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공기층인 공극을 형성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좌석판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이 미접촉 상태)에서는 면상 발열체(230) 발열에 의해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의 열이 비접촉 방식으로 좌석판(100)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좌석판에 착석한 상태(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이 접촉 상태)에서는 면상 발열체(230) 발열에 의해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의 열이 접촉 방식으로 직접 좌석판(100)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좌석판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이 미접촉 상태)에서는 제어부(600)의 면상 발열체(230)에 대한 발열 제어에 따라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고, 발열하는 면상 발열체(230)에 접촉 상태인 열전도 프레임(210)이 가열되고,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의 열이 천천히 비접촉 방식으로 공기층인 공극을 통해 좌석판(100)으로 전달되어, 좌석판(100)은 미지근한 상태인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 정도) 내에서 가열된다.
이때, 좌석판에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이 상호 접촉 상태가 됨), 제어부(600)의 면상 발열체(230)에 대한 발열 제어에 따라 면상 발열체(230)는 계속 발열하고, 발열하는 면상 발열체(230)에 접촉 상태인 열전도 프레임(210)도 계속 가열되고,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의 열이 접촉 방식으로 급속히 좌석판(100)으로 전달되어, 좌석판(100)은 착석자가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상태인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 정도) 내로 가열된다.
특히,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이격 공간인 공기층인 공극을 형성하는 또 다른 이유는, 사용자가 좌석판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이 미접촉 상태)에서는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의 열이 급속히 좌석판(10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보다 오히려 면상 발열체(230)에 의해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더 크다. 이를 위해,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보온 공기층 기능을 하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220)은 1.8~2.2㎜가 적정하며, 바람직하게는 2㎜가 최적이다. 공극이 너무 크면, 사용자가 좌석판(100)에 착석 시, 휘어지는 좌석판(100)이 열전도 프레임(210)에 접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너무 작으면, 보온 공기층으로서의 기능이 약해진다.
상기 면상 발열체(230)는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의 내측 상부 면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또는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발열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탄소 섬유 재질이고, 세라믹저항체인 탄소 섬유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열하는 일정 면적과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면상 발열체(230)는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 후술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 내로 가열되도록 발열이 제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석판(100)은 사용자가 좌석판(100)에 처음 앉았을 때, 차가운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미지근한 상태인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를 평상시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면상 발열체(230)는 발열 후,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의 상한치(예: 25℃)가 되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되고,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된 후,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의 하한치(예: 23℃)로 식으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다시 발열하도록 제어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할 때까지 반복된다.
발열 상태의 면상 발열체의 열은 면상 발열체(230)에 접촉 상태인 열전도 프레임(210)에 전달되고,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의 열이 공기층인 열전도 프레임(210)과 좌석판(100) 사이 공극을 통해 복사열 방식으로 좌석판(100)으로 전달되어 좌석판(100)이 사용자에게 차가운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 내로 가열되는 것이다.
좌석판(100)이 사용자에게 차가운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 내로 가열되던 중,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면상 발열체(230)는 후술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 내로 가열되도록 발열이 제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가 최대한 빠른 시간에 따뜻함을 느낄 수 있도록 좌석판(100)은 제2 목표 온도(예: 36~39℃)로 급속히 가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면상 발열체(230)는 발열 후,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의 상한치(예: 39℃)가 되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되고,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된 후,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의 하한치(예: 36℃)로 식으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다시 발열하도록 제어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좌석판(100)에서 사용자가 이탈할 때까지 반복된다.
발열 상태의 면상 발열체의 열은 면상 발열체(230)에 접촉 상태인 열전도 프레임(210)에 전달되고,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의 열이 열전도 프레임(210)에 접촉 상태인 좌석판(100)으로 전달되어 좌석판(100)이 사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는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 내로 가열되는 것이다.
상기 보온 단열재(240)는 열전도 프레임(210) 내측에서 면상 발열체(230) 하측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어, 면상 발열체(230)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면상 발열체(230)에서 발생된 열은 면상 발열체(230) 하측 방향과 상측 방향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데,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인 상술한 공극에 의해 면상 발열체(230) 상측 방향으로의 열 외부 유출이 방지되고, 보온 단열재(240)에 의해 면상 발열체(230) 하측 방향으로의 열 외부 유출이 방지된다.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250)은 보온 단열재(240)가 하측 방향으로 분리 이탈하지 않도록, 보온 단열재(240) 하측에서 열전도 프레임(210)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보온 단열재(240) 하측에서 열전도 프레임(210)에 결합 된 하부 지지 프레임(250)에 의해, 보온 단열재(240)는 지지되어 하측 방향으로의 분리 이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보온 단열재(240) 상측에 위치한 면상 발열체(230)도 하부 지지 프레임(250)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가열부(20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적 심미감을 제공하고,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지 않도록, 절곡부(211)가 형성된 단면이 “
Figure 112022005977769-pat00007
” 형태인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의 절곡부(21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목재 재질의 인테리어 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테리어 부재(260)는 인테리어적 심미감을 제공한다. 외부로 노출되는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은 모두 금속 재질이어서 차가운 시각적 효과를 준다. 따라서 목재 재질의 인테리어 부재(260)를 도 1, 4와 같이, 절곡부(211)가 형성된 단면이 “
Figure 112022005977769-pat00008
” 형태인 열전도 프레임(210)의 절곡부(21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게 되면, 목재 재질에서 오는 따뜻한 질감과 인테리어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리부(300)는 발열 벤치의 다리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의 하측(도 8의 A), 양 끝단(도 8의 B), 양 측단(도 8의 C)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되어, 발열 벤치의 다리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10)의 발열 벤치는 여러 사람이 착석하는 벤치이므로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과 가열부(2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성이 다리부(300)이다.
특히, 상기 다리부(300) 내측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도 1과 같이, 후술할 전원 공급부(500)와 제어부(600)가 다리부(300) 내측 공간에 설치된다.
전원 공급부(500)와 제어부(600)는 눈, 비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취약하므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다리부(300) 내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 센서(400)는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좌석판(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석판(100)에서 이탈하는 경우,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감지 센서(400)는 도 1,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로 구분된다.
상기 감지 센서(400)의 제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판(100) 일측에 설치되어, 좌석판(100)에 사용자 착석이나 좌석판(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석판(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레이저 방식으로 감지하기 위해,
좌석판(100)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레이저 빔을 레이저 수신기(420) 측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송신기(410)와,
좌석판(100)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레이저 송신기(4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되, 레이저 빔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레이저 빔이 감지되는 경우,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레이저 수신기(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이저 송신기(410)는 좌석판(100)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레이저 빔을 레이저 수신기(420) 측으로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 수신기(420)는 좌석판(100)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좌석판(100)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이저 송신기(4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수신 감지하지만, 사용자가 좌석판(100)에 착석한 상태에서는 착석한 사용자 신체에 의해 레이저 빔이 차단되어 레이저 송신기(410)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수신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수신기(420)는 수신되던 레이저 빔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좌석판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수신되지 않던 레이저 빔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가 좌석판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한다.
상기 감지 센서(400)의 제2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0) 일측 또는 좌석판(100) 일측에 형성되어, 움직임 감지를 통해 좌석판(100)으로의 사용자 접근이나 좌석판(100)에서의 사용자 이탈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4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감지 센서(400)의 제2 실시예인 동작 감지 센서(430)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좌석판(100)으로 사용자 접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제1 감지 신호 제공 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 감지가 없으면 좌석판(100)에서 사용자 이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감지 센서(400)의 제2 실시예인 동작 감지 센서(430)는 움직임 감지가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좌석판(100)으로 사용자 접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제1 감지 신호 제공 후, 일정 시간 동안(예: 5분, 10분 등) 움직임 감지가 없으면, 좌석판(100)에서 사용자가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500)는 다리부(300) 내측에 형성되어, 가열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500)는 외부 상용전원을 가열부(200)로 공급하거나 다리부(300) 내측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 전원을 가열부(200)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다리부(300) 내측에 형성되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과 감지 센서(400)가 제공하는 감지 신호와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를 이용해 좌석판(100)이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 날짜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의 운영 기간에 포함되고, 현재 시간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의 운영 시간에 포함되고, 현재 외부 기온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의 운영 온도 이하이면,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고,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1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고,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2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 날짜와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시계/달력부(610)와 현재 외부 기온을 측정하는 외부 온도 감지 센서(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은 본 발명(10)의 발열 벤치를 가동하여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도록 하는 조건으로, 현재 날짜, 현재 시간, 현재 외부 온도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는 조건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날짜, 현재 시간, 현재 외부 온도 모두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면, 제어부(600)는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간, 현재 외부 온도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면, 일단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도록 제어한 후,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에 의해, 좌석판 온도가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의 상한치(예: 25℃) 온도이면, 제어부(600)는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한 후,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에 의해, 좌석판 온도가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의 하한치 온도(예: 23℃)이면,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다시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사용자가 좌석판(100)에 착석할 때까지 반복하여, 좌석판(100)의 온도가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 내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10)의 발열 벤치는 길거리, 공원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들에게 따뜻함을 제공하는 의자로 기능한다.
특히, 겨울철과 같은 동절기에 동작하되, 동절기라고 무조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하루 중 운영 시간에만 동작하며, 운영 시간이라 하더라도 외부 기온이 따뜻한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벤치운영 조건을 사전에 설정한다. 벤치운영 조건은 운영 기간, 운영 시간, 운영 온도 정보를 포함하게 되는데, 운영 기간은 발열 벤치를 작동시킬 기간을 의미하고, 운영 시간은 하루 중, 발열 벤치를 작동시킬 시간을 의미하고, 운영 온도는 발열 벤치를 작동시킬 외부 온도를 의미하며, 특히 운영 온도는 영상 15℃ 이하의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운영 기간을 11월 ~ 3월로 설정할 수 있고, 운영 시간을 오전 6시에서 오후 11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운영 온도를 영상 10℃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와 같이 벤치운영 조건이 사전 설정된 상태(운영 기간 : 11월 ~ 3월, 운영 시간 : 오전 6시에서 오후 11시, 운영 온도 : 영상 10℃)에서, 현재 날짜가 12월 24일이고, 현재 시간이 오후 1시이고, 현재 외부 온도가 영상 10℃ 이하이면, 현재 날짜, 현재 시간, 현재 외부 온도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기 때문에, 제어부(600)는 가열부(200)를 제어하여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벤치운영 조건이 사전 설정된 상태(운영 기간 : 11월 ~ 3월, 운영 시간 : 오전 6시에서 오후 11시, 운영 온도 : 영상 5℃)에서, 현재 날짜가 12월 24일이고, 현재 시간이 오후 1시이고, 현재 외부 온도가 영상 5℃ 이상이면, 현재 날짜, 현재 시간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나, 현재 외부 온도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10)의 발열 벤치는 가동하지 않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벤치운영 조건이 사전 설정된 상태(운영 기간 : 12월 ~ 3월, 운영 시간 : 오전 6시에서 오후 11시, 운영 온도 : 영상 10℃)에서, 현재 날짜가 12월 24일이고, 현재 시간이 오전 1시이고, 현재 외부 온도가 영상 10℃ 이하이면, 현재 날짜, 현재 외부 온도는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나, 현재 시간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10)의 발열 벤치는 가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는 좌석판(100)에 사용자 착석 시, 좌석판(100)이 신속하게 제2 목표 온도 범위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예열 온도임과 동시에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한 온도이다.
즉,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예: 23~25℃)로 예열되지 않은 상태(좌석판(100)이 외부 온도(예: 영하 7℃)와 동일한 온도로 동기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는 차감움을 느끼는 불편함을 겪게 되고, 사용자 착석 후, 예열되지 않은 상태의 좌석판(100)이 사용자가 따뜻함을 느끼는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로 가열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따뜻함을 느끼기까지 장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된다.
또한, 착석한 사용자에게 장시간 기다리지 않도록, 좌석판(100)을 처음부터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로 가열되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좌석판(100)을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로 가열하는 것은, 이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이어서, 에너지 낭비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현재 날짜, 현재 시간, 현재 외부 온도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모두 부합하여,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1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한다.
상기 제2 목표 온도 범위는 좌석판(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따뜻함을 느끼도록 하는 온도(예: 36~39℃)로, 사용자 착석 시, 제1 목표 온도 범위로 예열되었던 좌석판(100)은 신속하게 제2 목표 온도 범위로 상승하여 사용자가 따뜻함을 느낄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1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계속 발열하도록 제어한 후,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에 의해, 좌석판 온도가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의 상한치 온도(예: 39℃)이면,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한 후,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에 의해, 좌석판 온도가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의 하한치 온도(예: 36℃)이면,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다시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사용자가 좌석판(100)에서 이탈할 때까지 반복하여, 좌석판(100)의 온도가 제2 목표 온도 범위(예: 36~39℃) 내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석판(100)에 착석하게 되면, 착석한 사용자 하중에 의해, 좌석판(100)이 휘어져 착석 부분의 좌석판(100)이 열전도 프레임(210)에 접촉하게 되고, 직접 접촉 방식으로 열전도 프레임(210)에서 좌석판(100)으로 열이 전달되어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는 것이다.
한편,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2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한다.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2 감지 신호를 제공한다는 것은 좌석판(100)에서 사용자가 이탈했음 의미하는 것이어서, 감지 센서(400)가 제2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제어부(600)는 좌석판(100)이 다시 예열 상태인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좌석판(100)에서 이탈하게 되면, 접촉 상태였던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은 다시 공극만큼 이격 된 상태가 되고,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통해 복사열이 비접촉 방식으로 열전도 프레임(210)에서 좌석판(100)으로 전달되어 좌석판(100)이 다시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좌석판(100)을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도록 하는 조건이 형성되었는지 파악하기 위해, 현재 날짜, 현재 시간, 현재 외부 온도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600)는 벤치 관리자가 벤치운영 조건을 입력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과 비교할 현재 날짜, 현재 시간, 현재 외부 온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날짜와 현재 시간을 산출하는 시계/달력부(610)와,
현재 외부 기온을 측정하는 외부 온도 감지 센서(620)와,
벤치운영 조건을 입력 설정할 수 있는 운영조건 입력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계/달력부(610)는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과 비교할 현재 날짜, 현재 시간을 산출하는 구성이고, 상기 외부 온도 감지 센서(620)는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과 비교할 현재 외부 기온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0)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운영조건 입력부(630)는 벤치 관리자가 벤치운영 조건을 입력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벤치 관리자는 운영조건 입력부(630)를 통해 해당 벤치를 운영 동작시킬 조건(운영 기간, 운영 시간, 운영 온도)을 입력하여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100 : 좌석판
110 :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
200 : 가열부
300 : 다리부
400 : 감지 센서
500 : 전원 공급부
600 : 제어부

Claims (11)

  1.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고,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되는 좌석판(100)과;
    좌석판(100) 하측면에 설치되어, 좌석판(10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온도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와;
    상기 좌석판(100) 하측에 형성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을 가열하는 가열부(200)와;
    발열 벤치의 다리 기능을 하는 다리부(300)와;
    상기 좌석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좌석판(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석판(100)에서 이탈하는 경우,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감지 센서(400)와;
    상기 다리부(300) 내측에 형성되어, 가열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0)와;
    상기 다리부(300) 내측에 형성되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과 감지 센서(400)가 제공하는 감지 신호와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를 이용해 좌석판(100)이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좌석판(100)은,
    둘레 사면이 절곡 구조인 금속 재질이고,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 상측에 설치 결합 되어, 사용자 착석 시, 사용자 하중에 의해 휘어져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열부(200)는,
    상측에 좌석판(100)이 설치 결합 되고, 절곡부(211)가 형성된 단면이 “
    Figure 112023072494780-pat00020
    ” 형태이거나 절곡부(211)가 없는 단면이 “
    Figure 112023072494780-pat00021
    ” 형태인 금속 재질의 프레임 구조이고, 발열하는 면상 발열체(230)에 의해 가열되고, 상측에 위치한 좌석판(100)이 접촉되지 않는 경우, 좌석판(100)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복사열을 전달하고, 상측에 위치한 좌석판(100)이 접촉되는 경우, 좌석판(100)으로 접촉 방식으로 직접 열을 전달하며, 발열 벤치의 뼈대 기능을 하는 열전도 프레임(210)과,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형성된 공극(220)과,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의 내측 상부 면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또는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발열하는 면상 발열체(230)와,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 내측에서 면상 발열체(230) 하측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어, 면상 발열체(230)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온 단열재(240)와,
    상기 보온 단열재(240)가 하측 방향으로 분리 이탈하지 않도록, 보온 단열재(240) 하측에서 열전도 프레임(210)에 결합하는 하부 지지 프레임(250)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판(100)과 열전도 프레임(2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220)은 1.8~2.2㎜인 미세 공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00)는,
    인테리어적 심미감을 제공하고, 가열된 열전도 프레임(210)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지 않도록, 절곡부(211)가 형성된 단면이 “
    Figure 112023072494780-pat00011
    ” 형태인 상기 열전도 프레임(210)의 절곡부(21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목재 재질의 인테리어 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300)는,
    가열부(200)의 열전도 프레임(210)의 하측, 양 끝단, 양 측단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되어, 발열 벤치의 다리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400)는,
    좌석판(100) 일측에 설치되어, 좌석판(100)에 사용자 착석이나 좌석판(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석판(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레이저 방식으로 감지하기 위해,
    좌석판(100)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레이저 빔을 레이저 수신기(420) 측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송신기(410)와,
    좌석판(100)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레이저 송신기(4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되, 레이저 빔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레이저 빔이 감지되는 경우,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레이저 수신기(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400)는,
    다리부(300) 일측 또는 좌석판(100) 일측에 형성되어, 움직임 감지를 통해 좌석판(100)으로의 사용자 접근이나 좌석판(100)에서의 사용자 이탈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4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동작 감지 센서(430)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좌석판(100)으로 사용자 접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제1 감지 신호 제공 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 감지가 없으면 좌석판(100)에서 사용자 이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 날짜가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의 운영 기간에 포함되고, 현재 시간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의 운영 시간에 포함되고, 현재 외부 기온이 사전 설정된 벤치운영 조건의 운영 온도 이하이면,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고,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1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고,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2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도록 제어한 후,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에 의해, 좌석판 온도가 제1 목표 온도 범위의 상한치 온도이면,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한 후,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에 의해, 좌석판 온도가 제1 목표 온도 범위의 하한치 온도이면,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다시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하고,
    좌석판(100)이 제1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던 중, 감지 센서(400)가 제1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계속 발열하도록 제어한 후,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에 의해, 좌석판 온도가 제2 목표 온도 범위의 상한치 온도이면,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어한 후, 좌석판 온도 감지 센서(11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에 의해, 좌석판 온도가 제2 목표 온도 범위의 하한치 온도이면, 가열부(200)의 면상 발열체(230)가 다시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좌석판(100)이 제2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 날짜와 현재 시간을 산출하는 시계/달력부(610)와,
    현재 외부 기온을 측정하는 외부 온도 감지 센서(620)와,
    벤치운영 조건을 입력 설정할 수 있는 운영조건 입력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KR1020220006787A 2022-01-17 2022-01-17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KR10255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787A KR102555921B1 (ko) 2022-01-17 2022-01-17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787A KR102555921B1 (ko) 2022-01-17 2022-01-17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921B1 true KR102555921B1 (ko) 2023-07-13

Family

ID=8716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787A KR102555921B1 (ko) 2022-01-17 2022-01-17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9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774A (ja) * 2000-05-26 2001-12-07 Kinden Corp 暖房機能付ベンチ
KR100694291B1 (ko) * 2006-09-25 2007-03-14 광주광역시 남구 벤치
KR200438992Y1 (ko) 2007-02-16 2008-03-17 강희전 벤치의 난방장치
JP5472845B2 (ja) * 2007-12-04 2014-04-16 文煥 朴 野外ベンチ用ウレタン成形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7981B1 (ko) 2019-07-03 2020-04-07 임한복 온열 기능을 갖는 벤치
KR20210034818A (ko) 2019-09-23 2021-03-31 (주)탑이앤씨코리아 발열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774A (ja) * 2000-05-26 2001-12-07 Kinden Corp 暖房機能付ベンチ
KR100694291B1 (ko) * 2006-09-25 2007-03-14 광주광역시 남구 벤치
KR200438992Y1 (ko) 2007-02-16 2008-03-17 강희전 벤치의 난방장치
JP5472845B2 (ja) * 2007-12-04 2014-04-16 文煥 朴 野外ベンチ用ウレタン成形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7981B1 (ko) 2019-07-03 2020-04-07 임한복 온열 기능을 갖는 벤치
KR20210034818A (ko) 2019-09-23 2021-03-31 (주)탑이앤씨코리아 발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4895B2 (ja) 面状採暖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座席
WO2006110730A3 (en) Portable heated seating
JP2001135458A (ja) 着座採暖具
JP2000201774A (ja) ベンチ
KR102555921B1 (ko) 계절에 따라 발열이 제어되는 발열 벤치
CN101212923A (zh) 马桶座圈装置和具有该马桶座圈装置的马桶装置
JP2009247634A (ja) 暖房用の座席
JP2001299645A (ja) 暖房便座
JP4784053B2 (ja) 暖房便座
JP4068648B2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トイレ装置
JP2011194023A (ja) 便座装置
JP2000232952A (ja) 暖房便座
JP4067008B2 (ja) 暖房便座
JP2010089628A (ja) 暖房装置
JP2008043724A (ja) 暖房便座
JP2003125981A (ja) 暖房便座
JP2007143717A (ja) 暖房便座装置
JPS6324224B2 (ko)
KR100949712B1 (ko) 발열수단이 구비된 공원 및 조경용 석재의자
JP201105058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6081945A5 (ko)
JP2004113467A (ja) 暖房便座
JPH11285457A (ja) 便座装置
JP2006081945A (ja) 暖房便座
JP5050630B2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