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476A -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476A
KR20200032476A KR1020180111552A KR20180111552A KR20200032476A KR 20200032476 A KR20200032476 A KR 20200032476A KR 1020180111552 A KR1020180111552 A KR 1020180111552A KR 20180111552 A KR20180111552 A KR 20180111552A KR 20200032476 A KR20200032476 A KR 2020003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layer
heating device
wire
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867B1 (ko
Inventor
임한복
Original Assignee
임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한복 filed Critical 임한복
Priority to KR102018011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8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및 실외의 특정 공간에 설치되는 벤치 또는 의자 등의 좌판 내에 발열기능을 갖는 발열장치를 매설하여 동절기에도 편히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매설하여 특히 버스 정류장이나 기차역에서 버스나 기차를 기다릴 때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리부의 플랜지에 고정되는 하판과, 고무발포시트층, 점착부로 이루어진 단열재층과, 3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방습필름층과,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로 반사시키는 중판과, 하판, 단열재층, 방습필름층, 중판을 감싸도록 상부에서 덮혀지는 상태로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체결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며, 제어기 및 무선충전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부의 상판 내측에 설치되어 발열하되, 전선과, 내부에 한쌍의 열선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발열봉과, 발열봉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등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어스선과, 쇼트단자와, 결선부위를 밀봉시키는 캡부로 구성되는 발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Bench with wireless charging and heating}
본 발명은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및 실외의 특정 공간에 설치되는 벤치 또는 의자 등의 좌판 내에 발열기능을 갖는 발열장치를 매설하여 동절기에도 편히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매설하여 특히 버스 정류장이나 기차역에서 버스나 기차를 기다릴 때 휴대용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치는 실내 및 실외의 특정 공간에 설치되는 긴 의자로서, 휴식, 대화, 사색 및 독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버스 정류장이나 기차역에서 버스나 기차를 기다릴 때 편히 앉아서 기다릴 수 있게 설치되는 중요한 수단이다.
종래의 벤치는 수직대와 수평대로 이루어진 지지대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지지대의 상부에는 양측의 지지대를 연결하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다수의 좌판바가 일정간격으로 볼트 결합되어, 학교 캠퍼스, 공원, 아파트 단지내, 버스 정류장 및 기차역 등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벤치가 버스 정류장이나 실외의 기차역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될 때, 하절기와 같이 외부의 온도가 따뜻한 경우에는 사람들이 앉아서 대기할 수 있는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만, 동절기와 같이 외부의 온도가 추운 경우에는 좌판이 차가워서 사람들이 앉기를 꺼리기 때문에 벤치 본연의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버스 부스의 의자는 죄판이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날씨가 추운 날에는 의자의 표면 온도가 낮아져 승객들이 의자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여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의자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거의 없어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이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벤치의 난방장치"가 실용신안 제20-0438992호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벤치의 난방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5)와, 직류전압을 출력시켜 주는 배터리(7), 직류전압이 공급되면 발열 작동하는 면상 발열체(9) 등으로 구성되어, 면상 발열체가 발열하여 벤치를 가열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면상 발열체는 대체적으로 탄소섬유 발열선을 직물에 직접 직조하기 때문에 발열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 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성에 대한 다른 문제점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탄소섬유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는 탄소섬유의 단선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또 다른 문제도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9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실내 및 실외의 특정 공간에 설치되는 벤치 또는 의자 등의 좌판 내에 발열기능을 갖는 발열장치를 매설하여 동절기에도 편히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매설하여 특히 버스 정류장이나 기차역에서 버스나 기차를 기다릴 때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벤치에 조명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야간에 벤치 및 그 주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야간에도 안전하게 벤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다리부의 플랜지에 고정되는 하판과, 고무발포시트층, 점착부로 이루어진 단열재층과, 3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방습필름층과,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로 반사시키는 중판과, 하판, 단열재층, 방습필름층, 중판을 감싸도록 상부에서 덮혀지는 상태로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체결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며, 제어기 및 무선충전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부의 상판 내측에 설치되어 발열하는 발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부의 단열재층은 상기 하판의 상부에 열접착되어 하판에서 발생하는 냉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되,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Monomer) 100 중량부에, 스틸렌 단량체 : 10 ~ 15 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 7 ~ 15 중량부, 에폭시 수지 : 5 ~ 8 중량부,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 2 ~ 7 중량부, 인산에스테르 : 2 ~ 3 중량부, 황산마그네슘 : 20 ~ 40 중량부, 벤조트리아졸 : 3 ~ 7 중량부 및 탈크(talc) : 4 ~ 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고무발포시트층과;
고무발포시트층(131)의 하면 상에 형성되며, 고무발포시트층에 난연 아크릴계 점착제가 이용되어 단열재층을 하판에 점착시키는 점착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습필름층은 상기 단열재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1층의 한면에 제2층이 접합되고, 제1층의 다른 면에 제3층이 접합되되, 제1층은 규화도(몰% 이상의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된 기판 필름과 그의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투명한 규소산화물박막으로 구성된 투명 적층 필름의 단층체 또는 적층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층은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필름의 단층체 또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제1층의 적어도 한면에 100 내지 5000Å의 투명한 규소산화물 박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3층은 열밀봉 가능한 수지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판은 하판과 같은 철재로 제작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활을 하되, 상기 발열장치를 등간격으로 설치하도록 발열장치 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하부에 하판, 단열재층, 방습필름층, 중판을 감싸도록 상부에서 덮혀지는 상태로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은 내부에 상기 발열장치가 설치됨과 아울러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는 직립되게 형성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일측으로 절곡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플랜지가 형성되어 좌판부가 상부에 거치되어 체결되는 체결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일측으로 절곡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열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발열봉 상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선과;
상기 한 쌍의 전선과 어스선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관체의 내부에 한쌍의 열선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발열봉과;
상기 발열봉에 내설되는 관체에 체결되어 발열봉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등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어스선과;
발열봉에 내설되는 열선을 연결하여 직열 또는 병열의 발열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쇼트단자와;
발열봉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결선한 상태에서 결선부위를 T자형태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시켜 상기 결선부위를 밀봉시키는 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선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발열봉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전선은 (+)전선과 (-)전선을 포함하며, 발열봉을 이루는 한쌍의 열선 각각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두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열봉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관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열선과;
상기 열선의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전선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단자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충진 및 상기 관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관체 내부의 열선이나 전열재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전열재 및 마개와;
전선과 연결단자의 접속점을 연결하는 이중 슬리브단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는 실내 및 실외의 특정 공간에 설치되는 벤치 또는 의자 등의 좌판 내에 발열기능을 갖는 발열장치를 매설하여 동절기에도 편히 앉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매설하여 특히 버스 정류장이나 기차역에서 버스나 기차를 기다릴 때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벤치에 조명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야간에 벤치 및 그 주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야간에도 안전하게 벤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치가 실시된 벤치의 일부 절취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본 고안 장치에 따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의 구성 중 좌석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의 구성 중 다리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의 구성 중 발열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자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첨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써, 본 발명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는 하판, 단열재층, 방습필름층, 중판,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좌판부(100)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체결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며, 제어기 및 무선충전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다리부(300)와, 상기 좌판부(100)의 상판 내측에 설치되어 발열하는 발열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좌판부(100)는 첨부된 도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110), 단열재층(130), 방습필름층(150), 중판(170) 및 상판(19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다리부(300) 각각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 체결되어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대중교통을 기다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판부(100)의 하판(110)은 성인 3~4인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철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리부(300)의 플랜지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판(110)은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표면에 방습재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층(130)은 상기 하판(110)의 상부에 적층되어 하판(110)에서 발생하는 냉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단열재층(130)은 고무발포시트로써, 상기 하판(110)의 상부에 열접착된다.
상기 단열재층(130)은 고무발포시트층(131), 점착부(133)로 구성되되, 상기 고무발포시트층(131)은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Monomer)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무발포시트층(131)은 NBR 또는 EPDM 100 중량부에, 스틸렌 단량체 : 10 ~ 15 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 7 ~ 15 중량부, 에폭시 수지 : 5 ~ 8 중량부,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 2 ~ 7 중량부, 인산에스테르 : 2 ~ 3 중량부, 황산마그네슘 : 20 ~ 40 중량부, 벤조트리아졸 : 3 ~ 7 중량부 및 탈크(talc) : 4 ~ 7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 외에, 단열재 원료에 포함되는 발포제 잔류물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성을 갖는 원료로부터 제조된 고무발포시트층(131)의 경우, 신율 : 500% 이상, 인장강도 : 80 Kgf/cm2 이상 및 압축영구변형율 : 20% 이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부(133)는 고무발포시트층(131)의 하면에 형성되며, 고무발포시트층(131)에 난연 아크릴계 점착제가 이용되어 단열재층을 하판에 점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습필름층(150)은 상기 단열재층(13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발열장치(500)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습필름층(150)은 제1층(151)의 한면에 제2층(153)이 접합되고, 제1층의 다른 면에 제3(155)층이 접합되되, 제1층(151)은 규화도(몰% 이상의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된 기판 필름과 그의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투명한 규소산화물박막으로 구성된 투명 적층 필름의 단층체 또는 적층체로 구성된다.
상기 제2층(153)는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필름의 단층체 또는 적층체로 구성되고, 적어도 제1층의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100 내지 5000Å의 투명한 규소산화물 박막이 형성되고 더구나 150℃에서 30분간 가열시킨 경우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가열 수축률의 절대치의 합이 1% 이하이고 ASTM D-1003에 의해 광선투과율이 85%이상인 내열성 투명 필름이 적어도 1층 포함된다.
상기 제3층(155)은 열밀봉 가능한 수지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판(170)은 하판과 같은 철재로 제작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장치(50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활을 한다.
상기 중판(170)에는 상기 발열장치(500)를 설치할 때 상기 발열장치(50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도록 발열장치 거치대(171)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190)은 하부에 개구부(191)가 형성되어 하판, 단열재층, 방습필름층, 중판을 감싸도록 상부에서 덮혀지는 상태로 상기 다리부(300)의 사이에 끼워져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판의 양측면부와 각 다리부의 일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체결되므로 상부에서 하중이 가해져도 상판과 다리부가 상호간에 서로 밀어주는 역활을 함으로써 상판에서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판(190)은 내부에 상기 발열장치가 설치됨과 아울러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중공부(193)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190)도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표면에 방습재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300)는 첨부된 도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310)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일측으로 절곡연장되도록 체결프레임(330)이 형성되어 좌판부의 일면과 밀착되며, 플랜지(331)가 형성되어 좌판부(100)가 상부에 거치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하부에서 일측으로 절곡연장되도록 지지프레임(350)이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어 좌판부(100)를 지지한다.
상기 다리부(300)도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표면에 방습재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300)의 내측에는 제어기(400) 및 무선충전기(45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다리부(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좌판부에 설치되는 발열장치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충전기(450)는 상기 다리부(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좌판부에 휴대용단말기를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발열장치(5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발열봉 상부에 한 쌍의 전선이 연결되며,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선과 하부에 구비되는 어스선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발열봉이 설치되며, 발열봉에 내설되는 열선을 연결하여 직열 또는 병열방식으로의 발열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쇼트단자가 구비되고, 발열봉과 전선 및 어스선을 전기적으로 결선한 상태에서 결선부위를 T자형태로 2사출성형에 의해 형성시켜 상기 결선부위를 밀봉시키는 캡부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전선(510)은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전류가 흐르는 도체(510-1)와, 외부와 절연을 위해 상기 도체(510-1)를 감싸고 있는 보호커버(510-3)로 형성된다.
상기 전선(510)은 (+)전선(511)과 (-)전선(512)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봉(530)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전선(510)은 발열봉(530)의 한쌍의 열선(532) 각각에 연결시키기 위해 두쌍으로 이루어져 접속점에 슬리브단자(537)가 직렬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복수의 전선들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는 연결단자들을 통하여 먼저 1차열선(532-1)에 흐르게 된다 전류가 흐르는 1차열선은 발열한다.
이와 동시에 전자기학에서 암페어(Ampere)의 오른손 법칙에 근거하여 1차열선의 주위에서 자기장이 발생된다.
그리고 1차열선에 흐르는 전류는 1차열선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2차열선(532-3)으로 흐르고, 2차열선은 1차열선과 동일하게 발열이 되고 자기장을 발생한다.
1차열선과 2차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상호 역방향이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열선들에 발생하는 자기장도 상호 역방향이 되며, 1차열선과 2차열선의 사이에서 발생한 상호 역방향의 자기장은 상쇄된다.
상기 발열봉(530)은 한 쌍의 전선(510)과 어수선(55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열봉(53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관체(531)로 형성되어 내부에 한쌍의 열선(532)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열선(532)의 각각의 양단부는 전선(510)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단자(533)가 설치되며, 상기 관체(531)의 내부에는 전열재(534)가 충진된다.
상기 관체(531)의 양단부는 마개(535)가 설치되어 관체(531) 내부의 열선(532)이나 전열재(534)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게 되고, 전선(510)과 연결단자(533)의 접속점을 이중 슬리브단자(536)로 수납하게 된다.
상기 발열봉(530)에 열수축튜브(538)를 삽입한 후 가열기(도시하지 않음)에 넣은 후 밀폐시키고 히팅을 하여 설정온도 예를 들어 170℃로 가열하여 열수축튜브(538)가 수축되도록 한다.
상기 열수축튜브(538)는 염분, 산성알카리성 유류, 각종 용매 등의 화학 물질에 우수한 저항력을 갖는 폴리올레핀(Polyolefin)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스선(550)은 발열봉에 내설되는 관체에 체결되어 발열봉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등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쇼트단자(570)는 발열봉에 내설되는 열선을 연결하여 직열 또는 병열의 발열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하고자 할 때 열선이 직렬로 연결된 발열장치를 시공한다.
상기 캡부(590)는 발열봉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결선한 상태에서 결선부위를 T자형태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시켜 상기 결선부위를 밀봉시키는 것이다.
캡부(590)는 Br-Epoxy 난연제 재질의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지의 수축률 차이에 의해 밀봉성이 향상된다.
100 : 좌판부 110 : 하판
130 : 단열재층 150 : 방습필름층
170 : 중판 190 : 상판
300 : 다리부 310 : 세로프레임
330 : 체결프레임 350 : 지지프레임
400 : 제어기 450 : 무선충전전기
500 : 발열장치 5110 : 전선
530 : 발열봉 531 : 관체
532 : 한쌍의 열선 533 : 연결단자
534 : 전열재 535 : 마개
536 : 이중 슬리브단자 537 : 슬리브단자
538 : 열수축튜브 550 : 어스선
570 : 쇼트단자 590 : 캡부

Claims (8)

  1.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체결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발열장치로 구성된 베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플랜지에 고정되는 하판과, 고무발포시트층, 점착부로 이루어진 단열재층과, 3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방습필름층과,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로 반사시키는 중판과, 하판, 단열재층, 방습필름층, 중판을 감싸도록 상부에서 덮혀지는 상태로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체결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며, 제어기 및 무선충전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부의 상판 내측에 설치되어 발열하되, 전선과, 내부에 한쌍의 열선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발열봉과, 발열봉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등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어스선과, 쇼트단자와, 결선부위를 밀봉시키는 캡부로 구성되는 발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단열재층은 상기 하판의 상부에 열접착되어 하판에서 발생하는 냉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되,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Monomer) 100 중량부에, 스틸렌 단량체 : 10 ~ 15 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 7 ~ 15 중량부, 에폭시 수지 : 5 ~ 8 중량부,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 2 ~ 7 중량부, 인산에스테르 : 2 ~ 3 중량부, 황산마그네슘 : 20 ~ 40 중량부, 벤조트리아졸 : 3 ~ 7 중량부 및 탈크(talc) : 4 ~ 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고무발포시트층과;
    고무발포시트층(131)의 하면 상에 형성되며, 고무발포시트층에 난연 아크릴계 점착제가 이용되어 단열재층을 하판에 점착시키는 점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필름층은 상기 단열재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1층의 한면에 제2층이 접합되고, 제1층의 다른 면에 제3층이 접합되되, 제1층은 규화도(몰% 이상의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된 기판 필름과 그의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투명한 규소산화물박막으로 구성된 투명 적층 필름의 단층체 또는 적층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층은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필름의 단층체 또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제1층의 적어도 한면에 100 내지 5000Å의 투명한 규소산화물 박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3층은 열밀봉 가능한 수지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은 하판과 같은 철재로 제작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활을 하되, 상기 발열장치를 등간격으로 설치하도록 발열장치 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하부에 하판, 단열재층, 방습필름층, 중판을 감싸도록 상부에서 덮혀지는 상태로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은 내부에 상기 발열장치가 설치됨과 아울러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직립되게 형성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일측으로 절곡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플랜지가 형성되어 좌판부가 상부에 거치되어 체결되는 체결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일측으로 절곡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어 좌판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발열봉 상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선과;
    상기 한 쌍의 전선과 어스선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관체의 내부에 한쌍의 열선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발열봉과;
    상기 발열봉에 내설되는 관체에 체결되어 발열봉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등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어스선과;
    발열봉에 내설되는 열선을 연결하여 직열 또는 병열의 발열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쇼트단자와;
    발열봉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결선한 상태에서 결선부위를 T자형태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시켜 상기 결선부위를 밀봉시키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설형 발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선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발열봉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전선은 (+)전선과 (-)전선을 포함하며, 발열봉을 이루는 한쌍의 열선 각각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두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설형 발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관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열선과;
    상기 열선의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전선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단자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충진 및 상기 관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관체 내부의 열선이나 전열재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전열재 및 마개와;
    전선과 연결단자의 접속점을 연결하는 이중 슬리브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설형 발열장치.
KR1020180111552A 2018-09-18 2018-09-18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KR102193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552A KR102193867B1 (ko) 2018-09-18 2018-09-18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552A KR102193867B1 (ko) 2018-09-18 2018-09-18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476A true KR20200032476A (ko) 2020-03-26
KR102193867B1 KR102193867B1 (ko) 2020-12-22

Family

ID=6995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552A KR102193867B1 (ko) 2018-09-18 2018-09-18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8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3333A (ko) * 1990-10-17 1992-12-17 원본미기재 내열성 방습 필름
JP2000201774A (ja) * 1999-01-11 2000-07-25 Ogasawara:Kk ベンチ
KR200438992Y1 (ko) 2007-02-16 2008-03-17 강희전 벤치의 난방장치
KR20110026083A (ko) *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삼명테크 매설형 전열장치의 티자형 밀봉캡
KR20160035667A (ko) * 2014-09-23 2016-04-01 주식회사 남익물산 내구성 및 탄성이 우수한 고무 발포 단열재
KR101704622B1 (ko) * 2016-07-13 2017-02-08 주식회사 한축테크 태양광 발전 스마트 벤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3333A (ko) * 1990-10-17 1992-12-17 원본미기재 내열성 방습 필름
JP2000201774A (ja) * 1999-01-11 2000-07-25 Ogasawara:Kk ベンチ
KR200438992Y1 (ko) 2007-02-16 2008-03-17 강희전 벤치의 난방장치
KR20110026083A (ko) *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삼명테크 매설형 전열장치의 티자형 밀봉캡
KR20160035667A (ko) * 2014-09-23 2016-04-01 주식회사 남익물산 내구성 및 탄성이 우수한 고무 발포 단열재
KR101704622B1 (ko) * 2016-07-13 2017-02-08 주식회사 한축테크 태양광 발전 스마트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867B1 (ko)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712B1 (ko) 옥외용 냉온열 벤치
CN101242757B (zh) 座位用取暖装置
CN202160295U (zh) 一种小型水池及其中对液体加热的ptc加热器
US6420682B1 (en) Fogless mirror for a bathroom shower and bathtub surround
WO2011068304A2 (ko) 다용도 발열패드
KR20120005790U (ko) 온돌 벤치
KR101540606B1 (ko) 히팅블록이 내장되는 벤치
CN103134100A (zh) 一种超薄墙体电热膜采暖设备及其制造方法
KR102036713B1 (ko) 옥외용 냉온열 벤치 제어 방법
KR102193867B1 (ko) 무선충전 및 발열기능을 갖는 벤치
JP4980738B2 (ja) 暖房装置とその設置方法
CA2684115C (en) Heating unit for warming fluid conduits
FI85933B (fi) Elradiator foer uppvaermningsaendamaol.
CA2684178C (en) Heating unit for warming propane tanks
WO2022218155A1 (zh) 三相电热膜
CN214231166U (zh) 一种智能马桶加热器
CN111396969A (zh) 模块化石墨烯地暖结构及地暖系统
CN212211422U (zh) 一种带电加热体的瓷砖
CN201881935U (zh) 一种公交车座椅
JPH0928510A (ja) 座 席
CN203734854U (zh) 一种发热板
CN108784119A (zh) 一种具有保温功能的棕丝床垫
CN208191764U (zh) 一种太阳能保温式流浪动物安置箱
CN211580218U (zh) 一种电暖加热组件及电暖加热装置
KR200311161Y1 (ko) 가축용 난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