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763Y1 - 창호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창호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763Y1
KR200438763Y1 KR2020060030589U KR20060030589U KR200438763Y1 KR 200438763 Y1 KR200438763 Y1 KR 200438763Y1 KR 2020060030589 U KR2020060030589 U KR 2020060030589U KR 20060030589 U KR20060030589 U KR 20060030589U KR 200438763 Y1 KR200438763 Y1 KR 200438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opper
moving rail
rubb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이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민 filed Critical 이재민
Priority to KR2020060030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7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의 창문이동레일(50)에 설치하여 창문이 열려 창틀에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자 고안하였다. 본 고안의 스토퍼 내부에 설치된 완충바(105)가 창문이 열리면서 창문틀에 의하여 완충고무(106)을 확장시켜 확장된 고무다 창문이동레일(50)을 밀면서 본 고안의 스토퍼 자체가 창문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창문을 일정 범위 안에서 정지시켜는 기능을 하는 창문 스토퍼 및 완충 스토퍼이다. 또한 창문이동레일 중 일부 면에 고정볼트홀(101)을 이용하여 이동용 볼트(107)로 고정을 하면, 스토퍼가 창문에 의하여 밀리고 다시 완충고무(106)에 의하여 완충고무가 다시 복귀되면서 창호에 전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고정볼트(107)로 창문이동레일(50)의 일부 면에 고정된 스토퍼에 의하여 창문이 일정 공간만 열리도록 하는 분분 개문이 가능한 특징을 수행하도록 고안하였다.
Figure R2020060030589
창호, 스토퍼, 완충고무, 창틀, 충격흡수

Description

창호용 스토퍼{STOPPER FOR WINDOW}
도면 1 은 본 고안에 의한 설치 예도이다.
도면 2는 본 고안의 대표도로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창문틀부 20 : 외측창문부
30 : 내측창문부 40 : 손잡이부
50 : 창문이동레일부 100 : 스토퍼
100a : 스토퍼 정면도 100b : 스토퍼 우측면도
101 : 고정볼트홀 102 : 창문이동레일창착홈
103 : 창틀보호부 104 : 완충바홀
105 : 완충바 106 : 완충고무
106a : 완충고무홀
107: 이동용 고정볼트 107a: 이동용볼트턱
본 고안은 창호의 창문 이동레일에 설치하여 창문으로부터 발생 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막아주며, 창문이동레일이나 창틀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창문의 틀을 보호하고자 고안하였다.
이는 스토퍼 내부에 설치된 완충바가 창문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충고무에 전달하고 완충고무는 수평으로 확장되면서 창문이동레일에 압착되어 창문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충바와 완충고무, 창문이동레일에 분산시키어 충격을 완화해주고 창문이 급하게 열리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는 창문의 일부 면에 고무패드 등을 접착하거나 고무테이프를 접착하여 사용하고 있을 뿐 창문의 대량보급에 맞추어 스토퍼는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본 기능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창문의 일부 면에 설치된 핸들보호 스토퍼들이 프라스틱 재질로만 구성되어 스토퍼의 역할은 수행하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소음이 심한 것이 문제이다. 또한 스펀지로 만들어진 스토퍼의 경우 스펀지 자체의 반동력에 의하여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 창문의 충격을 흡수하여 창호를 보호하고 소음을 감소하고자 하는 목적을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추가로 창문의 부분 열림 기능을 갖도록 이동형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으면 일정 범위에서 밀림과 복귀를 하도록 고안하였다.
창호의 발전과 더불어 창문의 설치가 다양화되고 중량화, 대형화되면서 창문 이 열리고 다칠 때 발생 되는 소음과 충격은 건물의 벽면과 창호조립체에 과중한 무리를 주고, 심지어는 창문 자체의 유격이 발생하여 창문의 유리가 파손되어 인명이 다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창문 자체에 부착된 여러 가지 악세사리인 창문잠금장치나 기타 방범창, 화분 걸이대 등이 창문을 열고 닫는 충격으로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일들을 방지하고, 창문으로부터 발생 되는 충격과 소음을 줄여 주는 창문용 충격흡수 완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인 스토퍼(100)가 창문틀부(10)의 하단부인 외측창문부(20)와 내측창문부(30)의 사이의 창문이동레일(50)의 일부 면을 감싸면서 설치한다. 이는 내측창문부(30)가 열릴 때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창문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잠금장치인 손잡이부(40)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기도 하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40)와 창문이 접촉되어 창문 잠금장치의 일부 면이 파손되거나 창문의 일부 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스토퍼(100) 본체의 앞면에 두 개의 완충바(105)를 설치할 수 있는 완충바홀(104)이 있고 홀 내부의 끝단에는 완충고무(106)를 설치할 수 있는 완충고무홀(106a)과 뒤로 스토퍼(100)가 뒤로 밀림과 창틀의 융착(접착)면에 보호하는 두개의 창틀보호부(103)가 있다. 또한 완충바홀(104) 사이에는 창문이동레일(50) 위에 고정되도록 창문이동레일창착홈(102)을 가지고 있다. 이는 창문이동레일(50)과 동일한 형상으로 스토퍼(100)가 설치되어 그 균형을 잡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고안의 스토퍼(100) 상단에는 스토퍼(10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고정볼트(107)을 설치하는 고정볼트홀(101)을 갖고 있어 고정볼트(107)를 조이면 이동고정볼트(107) 상단에 설치된 이동용 이동볼트턱(107a)이 스토퍼(100)가 고정볼트홀(101)의 장공홀을 타고 뒤로 밀렸다 완충고무가(106) 복원되면서 다시 복귀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이동고정볼트(107)는 나사산부가 모두 체결되어도 나사산부 보다 외경이 큰 원형의 기둥이 있어 기둥의 크기만큼 더 이상 체결되지 않는 이동볼트턱(107a)이 있는 스토퍼(100)의 이동이 가능 한 고정볼트이다. 이는 충격으로부터 고정 볼트를 보호하고 스토퍼(100)에 유격을 줌으로 밀림과 복귀가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보다 많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설치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스토퍼(100)의 작동방법은 창문이동레일창착홈(102)안으로 창문이동레일(50)을 감싸고 있는 스토퍼(100)가 내측창문부(30)가 열리면서 창문의 일측 면이 스토퍼(100)에서 돌출된 완충바(105)를 뒤로 밀게 된다. 완충바(105) 다시 완충고무(106)를 수평으로 확장시켜 창문이동레일(50)에 압착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내측창문부(30)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분산하고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창문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스토퍼(100)를 이동고정볼트(107)로 고정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도 내측창문부(30)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상기와 같은 작동 방법으로 창문이동레일(50)에 압착된 완충고무(106)가 확장되어 내측창문부(30)가 더 이상 뒤로 밀리지 않음으로 내측창문부(30)를 부분적으로만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창문이동레일(50)을 감싸고 있는 스토퍼(100)를 고정볼트(107)로 고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언제나 이동이 가능하며, 내측창문부(30)로부터 충격을 받은 완충고무(106)가 창문이 동레일(50)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100)가 흔들리거나 빠짐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는 프라스틱 성형제품으로 스토퍼(100) 본체와 완충바(105)를 만들고 그 사이에 실리콘 재질의 완충고무 삽입하여 내측창문부(30)의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감소시키며, 창호를 보호하고 일시적으로나 창문의 부분잠금장치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동고정볼트(107)로 창문이동레일(50)의 원하는 부분에 스토퍼(100)을 고정시켜 내측창문부(30)가 일정 공간에서만 작동하도록 하였다. 이는 환기를 위하여 창문의 일부분만 개방하고 외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창문이 갑자기 열리거나 이중창에 의하여 무거운 창문이 열리면서 전해지는 충격을 스토퍼의 완충바가 그 힘을 받아 뒤로 밀리면서 완충고무(106)를 압착시키고, 그 압착된 완충고무가 팽창되면서 창문이동레일에 압착되고 그러면서 창문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창문이나 창문틀의 파손을 막아주고 소음을 감소시켜 주고, 스토퍼를 멈추게 하여 창문의 부분 개방이 되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이는 창호의 발전과 더불어 창문의 설치가 다양화되고 중량화 되면서 창문이 열리고 다칠 때 발생 되는 소음과 충격은 건물의 벽면과 창호조립체에 과중한 무리를 주고, 심지어는 창문 자체의 유격이 발생하여 창문의 유리가 파손되어 인명이 다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창문 자체에 부착된 여러 가지 악세사리인 창문잠금 장치나 기타 방범창, 화분 걸이대 등이 창문을 열고 닫는 충격으로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일들을 방지하고 창문으로부터 발생 되는 충격과 소음을 줄여 주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창문이동레일(50)을 감싸면서 이동 가능한 스토퍼(100)가 창문이 열리면서 스토퍼(100)에서 돌출된 완충바(105)에 창문의 닫침 충격이 전달되고, 그 충격을 받은 완충바(105)가 뒤로 밀리면서 완충바(105)의 뒷부분에 위치한 완충고무(106)를 창문의 이동레일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그 완충고무(106)가 창문이동레일부(50)에 압착되면서 창문의 충격을 흡수하고 창문을 정지시켜주는 창호용 스토퍼.
  2. 삭제
KR2020060030589U 2006-11-28 2006-11-28 창호용 스토퍼 KR200438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89U KR200438763Y1 (ko) 2006-11-28 2006-11-28 창호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89U KR200438763Y1 (ko) 2006-11-28 2006-11-28 창호용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763Y1 true KR200438763Y1 (ko) 2008-03-07

Family

ID=4162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589U KR200438763Y1 (ko) 2006-11-28 2006-11-28 창호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7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008B1 (ko) * 2010-08-30 2016-05-1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짝 충격 방지용 스토퍼
KR102156032B1 (ko) 2019-12-24 2020-09-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호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008B1 (ko) * 2010-08-30 2016-05-1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짝 충격 방지용 스토퍼
KR102156032B1 (ko) 2019-12-24 2020-09-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호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500615B (en) A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ear of a subject from auricular haematoma
KR200438763Y1 (ko) 창호용 스토퍼
PT1366965E (pt) Dispositivo contra a intrusão de um vidro numa cabina de veículo ferroviário durante uma colisão
KR100718654B1 (ko) 완충부재와 탄성부재에 의한 안전수단을 갖는 도어프레임
KR101592792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JP2006096254A (ja) 自動車のフードストッパ構造
KR20120006822A (ko)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KR100820209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엔진커버 고정 어셈블리
KR0167485B1 (ko) 자동차 도어의 측면 충돌시 충격 흡수구조
KR200194824Y1 (ko) 힌지문 닫힘 방지 장치(문고정장치)
KR101416325B1 (ko) 안전도어
KR200421176Y1 (ko) 출입문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2052302B1 (ko) 도어의 개폐에 따른 충격흡수 및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용 원터치형 스토퍼
KR10211676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듀얼 댐핑 스토퍼
KR200393753Y1 (ko) 도어 닫힘방지구
KR200262207Y1 (ko) 도로 가이드레일 구조체
KR20080000206U (ko)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200340259Y1 (ko) 자동문 보호대
KR0140679Y1 (ko) 소음 방지 구조의 도어 핸들
KR102395133B1 (ko) 내장형 전도방지수단을 구비한 출입문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1427157B1 (ko) 중장비용 완충 댐퍼
KR101467625B1 (ko) 댐퍼가 구비된 티-티 방식 창호
KR20090097554A (ko) 주차장 자동차 보호 장치
KR10038035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