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166Y1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166Y1
KR200438166Y1 KR2020070001117U KR20070001117U KR200438166Y1 KR 200438166 Y1 KR200438166 Y1 KR 200438166Y1 KR 2020070001117 U KR2020070001117 U KR 2020070001117U KR 20070001117 U KR20070001117 U KR 20070001117U KR 200438166 Y1 KR200438166 Y1 KR 200438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ircumferential surface
present
pedestal
semi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무
Original Assignee
최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무 filed Critical 최병무
Priority to KR2020070001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1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기구의 상부가 반원, 타원 형상으로 구비하여, 균형적인 근력의 발달을 유도하며, 남녀노소 누구나 스트레칭에 의한 자세를 교정과 지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받침대과;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절곡된 봉체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받침대과;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절곡된 봉체와; 상기 봉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끈이 말려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기구, 받침대, 반원, 봉체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 sports instru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1다른실시예를 보인 일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2실시예를 보인 일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3실시예를 보인 일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받침대 11: 받침부재
12: 삽입홈 13: 고정브라켓
20: 봉체 21: 봉체보강부
22: 지압돌기 30: 끈
본 고안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운동기구의 상부를 반원, 타원 형상으로 구비되어, 다양한 운동과 특히 하체운동, 스트레칭, 자세 교정, 지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운동부족, 올바르지 못한 자세,불규칙한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해 크고 작은 많은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그리고 비만, 만성 피로, 우울증 등과 같은 질별은 특별한 증후 없이 많은 일반인들이 쉽게 느끼는 만성질환으로 순환계 질병, 각종 성인병으로 발전하여 국민 건강을 해치는 주원인 되고 있다.
특히 인체의 배 부분의 복근과 허리에 해당하는 요근은 인체의 중추 근육으로서 정상적인 인체 활동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근육이며, 종아리 부분의 하지근은 인체의 하중을 지지하며 걷기 뛰기 동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근육이다.
이러한 복근과 요근을 함께 강화하기 위한 운동법으로 윗몸일으키기 운동 등이 있다. 정상적인 사람에게도 윗몸일으키기 운동은 칼로리 소비가 많이 되는 운동이고, 이 윗몸일으키기의 경우 복근과 요근을 운동시키기 위해서 인체의 다른 근육에도 매우 많은 힘을 가해서 다른 근육의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윗몸일으키기 운동법은 정상인에게도 매우 힘들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및 비만이 있는 사람들은 쉽게 실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장시간 앉아서 근무하는 회사원이나 학생들에게 주로 척추나 어깨 등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는 평소에 앉은 자세나 수면 자세와 같이 잘못된 생활 습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척추에 이상이 생기면 성장선에 압 박을 받게되고, 이에 따라 성장 촉진에 저해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었다.
따라서, 복근, 요근 및 하지근과 같은 대부분의 근력을 적절하게 발달시킴과 아울러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운동기구의 상부가 반원, 타원 형상으로 구비하여, 균형적인 근력의 발달을 유도하며, 남녀노소 누구나 스트레칭에 의한 자세를 교정과 지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받침대과;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절곡된 봉체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받침대과;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절곡된 봉체와; 상기 봉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1다른실시예를 보인 일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2실시예를 보인 일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3실시예를 보인 일부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설치되는 봉체(2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0)는 상부 양측에 삽입홈(12)이 형성된 받침부재(11)와, 상기 복수의 받침부재(11)를 연결하고, 이 받침부재(11)의 안쪽면과 바깥면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3)과, 상기 받침대(10)의 하부에 위치를 고정함과 충격을 흡수하는 지지부재(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는 받침부재(11)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3)을 분리하면, 상기 받침부재(11)가 각각 분리되어,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이동이 용이하며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봉체(20)는 파이프나 관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절곡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12)의 내주면에 상기 봉체(2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봉체(20)는 5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봉체(20)의 중앙은 신체의 등골부분에 위치되고, 이 중앙 봉체(20)의 양측과 바깥면은 등부분을 따라 적절하게 접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봉체(20)는 신체구조에 맞도록 공학적으로 설계,제작된 것이 다.
그리고 상기 봉체(20)는 도면상에 도시않은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밀착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운동기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봉체(20)상에 올라탄 후에, 상기 봉체(20)를 누르면서 신체를 위로 올리거나 앞으로 전진하면, 하체와 팔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봉체(20)상에 올라타는 말타기 등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타원 또는 반원으로 형성된 봉체(20)를 양손으로 잡고 신체의 어깨, 허리, 다리 등을 뒤로 하여, 스트레칭 및 다양한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성장기에 어린이나 학생들에게 많이 발생되는 허리나 어깨가 휘어지거나 굽어지는 현상을 반복적인 운동으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봉체(20)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 또는 나선형으로 지압돌기(22)를 형성하여 운동중에 손의 파지력을 증가시키고, 신체에 접촉시 지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봉체(20)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끈(30)이 말려지도록 설치하여 운동중에 손의 파지력 및 신체 접촉시 지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봉체(20)에는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 며,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지압돌기(22)가 형성된 봉체보강부(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봉체보강부(21)는 외부의 충격과 파손을 최소화하며, 외주면에 지압돌기(22)가 형성되어 운동중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신체 접촉시 지압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도면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기능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과 특히 스트레칭, 자세 교정, 지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기구의 봉체상에 올라타는 말타기 등의 유희용으로 이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12)이 형성된 받침대(10)과;
    상기 삽입홈(12)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절곡된 봉체(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20)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지압돌기(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20)에는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지압돌기(22)를 갖는 봉체보강부(21)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상부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12)이 형성된 받침대(10)과;
    상기 삽입홈(12)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절곡된 봉체(20)와;
    상기 봉체(2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끈(30)이 말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2020070001117U 2007-01-22 2007-01-22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38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117U KR200438166Y1 (ko) 2007-01-22 2007-01-22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117U KR200438166Y1 (ko) 2007-01-22 2007-01-22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166Y1 true KR200438166Y1 (ko) 2008-01-23

Family

ID=4134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117U KR200438166Y1 (ko) 2007-01-22 2007-01-22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1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8780U (ja) ヨガブロック
US20070197360A1 (en) Machine for improved curve and stretching device
KR20200140276A (ko) 밸런스 보드
JP2005342177A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JP3112700U (ja) 脚部用運動器具
KR200385444Y1 (ko) 수평 및 수직선이 형성된 거울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0438166Y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KR200446384Y1 (ko) 개량 하체운동기구
JP3182658U (ja) 筋トレ用具およびそれを有する筋トレ椅子
CN202620571U (zh) 爬行杖装置
KR101298337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CN205412089U (zh) 一种多功能休闲健身转椅
KR200390610Y1 (ko) 실내용 전신 운동구
KR102615718B1 (ko) 운동용 침대
KR20100043129A (ko) 허리 유연성 및 근기능 강화용 운동기구
KR102615717B1 (ko) 자동 및 반자동 기능이 결합된 운동용 침대
JP3087941U (ja) 腹部運動用装置
KR20110004662U (ko) 다리운동기구
JP2012228506A (ja) 下半身強化ボード
JP3092615U (ja) 健康促進用トレーニング器具
KR100996699B1 (ko) 상·하체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255646Y1 (ko) 운동용 보조수단이 구비된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