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844Y1 - 집단 추모 제단 - Google Patents

집단 추모 제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844Y1
KR200437844Y1 KR2020070010039U KR20070010039U KR200437844Y1 KR 200437844 Y1 KR200437844 Y1 KR 200437844Y1 KR 2020070010039 U KR2020070010039 U KR 2020070010039U KR 20070010039 U KR20070010039 U KR 20070010039U KR 200437844 Y1 KR200437844 Y1 KR 200437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ial
valley
ground
group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신옥
Original Assignee
문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신옥 filed Critical 문신옥
Priority to KR2020070010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단 추모 제단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추모비석부(2)와, 골분을 담는 산골대(4)로 구성되며, 상기 산골대(4)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측 개구부에는 덮개(424)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420)이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함체(42)와; 상기 함체(42)의 하부측 개구부에 통하도록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관체(44)로 구성됨으로써, 종교, 가족 등의 소속집단에 대한 비석과 산골대로 장례지를 조성함으로써 소속집단별로 장례 및 추모행사를 진행할 수 있어 보다 간소하고 조용하게 치를수 있으며, 아울러 산골대에 골분을 담아 신속히 토양으로 흡수되어 자연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악취발생을 막고,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추모, 골분, 토양, 흡수, 분해

Description

집단 추모 제단{group monument memor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단 추모 제단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단 추모 제단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단 추모 제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추모비석부 4 : 산골대
22 : 받침대 26 : 명패묘비
42 : 함체 44,44' : 관체
420 : 수용공간 425, 442, 444 : 자갈층
본 고안은 집단 추모 제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분의 일부를 집단분묘에 마련된 함체에 투입하고, 토양에 흡수되어 분해될 수 있도록 한 집단 추모 제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묘지면적은 전국토의 1%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서울시 면 적의 1.5배에 해당되는 면적이고, 매년 여의도 면적의 3배가 되는 땅이 묘지로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앞으로는 공원묘지건설이 중단되면서 선산이 없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매장비용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매장에 대한 의식조차 변해가고 있어 벌초 등 산소를 돌보는 일이 예전같지 않고 날로 소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들어서는 화장방식을 장려하여 납골묘, 납골당이 많이 건립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납골묘, 납골당 또한 계속적인 확장 및 장기간 설치에 따른 문제점들이 매장제도보다 더 심각한 국토훼손과 환경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특히 납골당은 많은 유족들이 명절등에 한꺼번에 몰리므로 교통 혼잡과, 종교적 갈등이 경건한 추모 행사에 혼잡스런 현상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납골당은 단지에 골분을 담아두게 되나, 이러한 골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장지에 종교, 가족 등의 소속집단에 대한 비석과 산골대로 장례지를 조성하고, 산골대에 골분을 담아 신속히 토양으로 흡수되어 자연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악취발생을 막고, 관리가 용이하며, 다수의 소속원에 대한 장례행사 및 추모행사를 간소하게 치루면서도 산골대를 설치하므로 유족들이 보다 구체적으로 선조를 추모할 수 있도록 한 집단 추모 제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 설치된 추모비석부과, 골분을 담는 산골대로 구성되며, 상기 산골대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측 개구부에는 덮개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하부측 개구부에 통하도록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추모 제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함체 및 관체 내에는 자갈이 투입되어 자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체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고, 직관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체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고, " L "자 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체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단 추모 제단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집단 추모 제단(A)은, 지면에 설치된 추모비석부(2)와, 골분을 담는 산골대(4)로 구성되며, 상기 산골대(4)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측 개구부에는 덮개(424)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420)이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함체(42)와; 상기 함체(42)의 하부측 개구부에 통하도록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관체(44)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지면에 장방형의 받침대(22)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22) 상에 추모비석부(2)와 산골대(4)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받침대(22)는 생략도 가능하다.
상기 추모비석부(2)는 고인이 생전에 속해 있던 소속 집단, 즉 가족공동체나 종교단체에 속한 다른 고인들의 명단을 기록한 명패묘비(26)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산골대(4)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단 추모 제단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단 추모 제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골대(4)는 함체(42)와, 상기 함체(42)에 통하는 관체(44)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42)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공간(420)이 형성된 것이며, 상부측 개구부에는 덮개(424)가 설치되고, 하부측 개구부에는 관체(44)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420)의 2/3 가량은 자갈을 채워 넣어 자갈층(425)을 형성함으로써 배수 및 통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관체(44)는, 상기 함체(42)의 하부측 개구부에 상단이 통하도록 연결되어 지하에 매립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 L "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자갈층(442)을 형성하여 배수 및 통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체(44')는 직선형의 직관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자갈층(442)을 형성하여 배수 및 통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관체(44,44')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440)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배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지하에 매립된 관체(44,44')의 외측에도 자갈층(444)을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고인의 골분 중 일부를 채집하여 상기 산골대(4)의 함체(42) 내에 담고, 고인을 추모하는 장례의식을 진행한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골분은 자갈층을 통과하면서 지하로 유입되고 미생물에 의해 자연 분해되며, 아울러 관체(44)의 하단 개구부 또는 통공(440)을 통해 토양에 흡수된다.
한편, 본 고안은 소속 집단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시설이므로, 장례를 치를때마다 소속원이었던 고인의 골분을 전술한 바와 같이, 산골대(4)의 함체(42)에 담아 자연 분해시킴과 아울러 명패묘비(26)에 성명을 기재함으로써 다수의 소속원에 대한 장례를 치를 수 있으며, 아울러 명단만 남겨놓고 소량의 골분은 처리할 수 있어 장례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교, 가족 등의 소속집단에 대한 비석과 산골대로 장례지를 조성함으로써 소속집단별로 장례 및 추모행사를 진행할 수 있어 보다 간소하고 조용하게 치르면서도 구체적인 추모의 정을 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골대에 골분을 담아 신속히 토양으로 흡수되어 자연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악취발생을 막고,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면에 설치된 추모비석부(2)와, 골분을 담는 산골대(4)로 구성되며,
    상기 산골대(4)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측 개구부에는 덮개(424)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420)이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함체(42)와;
    상기 함체(42)의 하부측 개구부에 통하도록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관체(44)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함체(42) 및 관체(44) 내에는 자갈을 채워 넣어 자갈층(425,442)을 형성되고,
    상기 관체(44)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고, " L "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관체(44)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44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추모 제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70010039U 2007-06-19 2007-06-19 집단 추모 제단 KR200437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039U KR200437844Y1 (ko) 2007-06-19 2007-06-19 집단 추모 제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039U KR200437844Y1 (ko) 2007-06-19 2007-06-19 집단 추모 제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844Y1 true KR200437844Y1 (ko) 2008-01-02

Family

ID=4134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039U KR200437844Y1 (ko) 2007-06-19 2007-06-19 집단 추모 제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8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8444C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20070130736A1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US20070113389A1 (en) Grave lining system
KR200437844Y1 (ko) 집단 추모 제단
JP3212073U (ja) サークル型樹木葬集合墓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JP2007111081A (ja) 紙製骨壺及びこれを用いた自然埋葬方法並びに自然埋葬墓地構造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20140112160A (ko) 화분장묘
KR100555908B1 (ko) 수목장묘
Pate et al. A stable, inexpensive and widely available burial environment or keeping place for archaeological or historical human skeletal remains
RU77318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мейного кладбища
KR200234857Y1 (ko) 팔각 납골묘
KR100898402B1 (ko) 가족형 산골 및 자연장용 매설함
KR200242678Y1 (ko) 납골당의 구조
KR200347865Y1 (ko) 산골식(散骨式) 납골묘의 구조
CN105756403B (zh) 升降式墓葬的方法及墓葬系统
KR200350416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EP0791702A1 (de) Grabhülle zum beschleunigten biologischen Abbau organischer Substanz in wassergesättigten bzw. temporär wasserführenden Böden
KR200243165Y1 (ko)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