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44Y1 -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 Google Patents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44Y1
KR200437744Y1 KR2020070005503U KR20070005503U KR200437744Y1 KR 200437744 Y1 KR200437744 Y1 KR 200437744Y1 KR 2020070005503 U KR2020070005503 U KR 2020070005503U KR 20070005503 U KR20070005503 U KR 20070005503U KR 200437744 Y1 KR200437744 Y1 KR 200437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ace
rail
shad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청규
Original Assignee
문청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청규 filed Critical 문청규
Priority to KR2020070005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5Peaks or visors extendable, e.g.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부재(1)와, 상기 착용부재(1)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판형상으로 햇빛을 가리는 챙부재(2)로 이루어진 모자에서 상기 챙부재(20)에 상기 챙부재(2)의 양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면가리개수단(3) 또는 상기 챙부재(2)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장착되어 챙부재(2)의 단부에서 아래로 펼쳐져 착용자의 안면을 커버하는 안면가리개수단(4)이 장착되는 것이다.
즉, 챙부재(2)에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 측면으로 측면가리개수단(3)을 인출하여 그 차양 범위를 결정할 수 있고,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안면을 넓은 범위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안면가리개수단(4)으로 착용자의 전체 안면을 모두 가려 햇빛을 차단할 수 있어 착용자의 피부를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의 편의성과 만족감을 증대시킴은 물론 근래에 자외선이 강한 외부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A Cap adjustable Visor}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힌지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힌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수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을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는 본 고안의 마스크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1는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의 가이드레일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가이드레일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의 힌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착용부재 2 : 챙부재
3 : 측면가리개수단 4 : 안면가리개수단
10 : 제 1 측면가리개판 20 : 제 2 측면가리개판
30 : 측면가리개힌지부 31 : 힌지돌기부
32 : 탄성걸림부 33 : 베이스힌지부
34 : 힌지축 35 : 판지지부재
40 : 측면가리개단속부재 50 : 안면가리개부재
51 : 제 1 안면가리개판 52 : 안면가리개레일
53 : 제 2 안면가리개판 54 : 스토퍼부
60 : 측면프레임부재 70 : 가이드레일부재
80 : 이동부재 90: 프레임힌지부재
91 : 회동힌지부 92 : 탄성돌출부
93 : 고정힌지부 94 : 힌지결합축
95 : 힌지결합부재 100 : 상부안면가리개판
110 : 마스크부재 120 : 마스크결합부
본 고안은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자의 챙부재에 필요할 때만 펼쳐 착용자의 얼굴을 넓게 가릴 수 있는 가리개를 설치하여 착용자가 얼굴이 차양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외부에서 강한 태양 볕을 차단하거나 눈부심을 최소화하고 햇볕에 얼굴이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개성 있는 자신만의 멋을 연출을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착용한다.
이러한 모자는 특히 외에서 자전거 또는 조깅 등의 스포츠를 즐기거나 경기장에서 경기를 관람하는 경우 햇빛에 의해 눈이 심하게 자극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햇빛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얼굴 피부가 손상되고 피부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근래에는 지구의 오존층의 파괴로 피부손상과 노화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이 지상으로 많이 전달되고 있어 모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모자는 통상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재와, 이 착용부재의 전방에 돌출되어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하는 챙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자는 착용부재의 형상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착용부재가 착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캡으로 형성된 캡(Cap)모자와, 착용부재가 머리의 둘레로 결합되는 띠형상으로 형성된 햇(Hat)모자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모자는 챙부재가 착용부재의 전방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고정된 상태로 돌출되어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는 범위가 한정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필요 또는 날씨의 변화에 따라 얼굴을 가리는 차양 범위를 조절할 수 없어 착용 중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근래와 같이 여름철에 강한 자외선이 내리쬐는 경우 그 차양 범위를 넓게 해야하나 항상 일정한 차양범위만을 가지는 종래의 모자로는 착용자의 피부를 완전히 보호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챙부재의 양측면으로 비치는 햇볕을 차단할 수 없고, 직접 내리쬐는 햇빛뿐만 아니라 주위 환경에 의해 반사되어 착용자의 얼굴로 향하는 반사광을 차단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서, 장시간 야외에서 활동하거나 태양이 강렬한 경우에는 얼굴이 그을리게 되어 피부가 손상되어 모자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자의 필요와 날씨의 변화에 따라 챙부재에 설치된 가리개를 인출하거나 삽입하여 차양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착용자의 얼굴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판형상으로 햇빛을 가리며 양 측에 가리개삽입홈이 형성된 챙부재와, 일 단이 상기 챙부재의 양 측에 형성되는 가리개삽입홈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내측단에 그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된 제 1 측면가리개판과, 일 단이 상기 챙부재의 가리개삽입홈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부에 원호형상으로 뚫려져 상기 가이드돌기가 결합하는 전개가이드구멍이 형성된 제 2 측면가리개판과, 상기 제 1, 2 측 면가리개판의 일 단에 결합되어 이 제 1, 2 측면가리개판을 회동가능하게 챙부재에 장착하는 측면가리개힌지부와, 상기 제 2 측면가리개판의 인출을 제한하는 측면가리개단속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또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판형상으로 햇빛을 가리며 양 측에 가리개삽입홈이 형성된 챙부재와, 일 단이 상기 챙부재의 양 측에 형성되는 가리개삽입홈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내측단에 그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된 제 1 측면가리개판과, 일 단이 상기 챙부재의 가리개삽입홈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부에 원호형상으로 뚫려져 상기 가이드돌기가 결합하는 전개가이드구멍이 형성된 제 2 측면가리개판과, 상기 제 1, 2 측면가리개판의 일 단에 결합되어 이 제 1, 2 측면가리개판을 회동가능하게 챙부재에 장착하는 측면가리개힌지부와, 상기 제 2 측면가리개판의 인출을 제한하는 측면가리개단속부재와, 상기 챙부재의 하부 양 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파여진 가이드레일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레일홈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프레임부재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이 측면프레임부재를 이동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프레임힌지부재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재의 사이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안면가리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챙부재에 차양범위를 넓히는 측면가리개수단 또는 안면가리개수단이 장착되어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측면가리개수단을 챙부재의 양 측면으로 인출하거나 안면가리개수단을 펼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챙부재에 측면가리개수단과 안면가리개수단이 장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로서, 측면가리개수단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제 1, 2 측면가리개판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측면가리개수단의 측면가리개힌지부는 제 1, 2 측면가리개판이 회전되어 펼쳐질 때 절도감을 느끼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힌지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힌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측면가리개수단의 힌지부가 챙부재에 전, 후 이동가능하고 그 이동된 위치가 단속되도록 장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측면가리개수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챙부재의 양 측면으로 제 1, 2 측면가리개판이 인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안면가리개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을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로서, 안면가리개수단의 제 1 안면가리개판과, 제 2 안면가리개판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안면가리개수단의 제 1 안면가리개판의 상부로 상부안면가리개판이 결합되고, 배면에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는 본 고안의 마스크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마스크부재가 마스크결합부에 결합되어 상, 하 이동하여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의 가이드레일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챙부재의 하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부재에 이 가이드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가이드레일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단면도로 서, 이동부재가 가이드레일부재를 따라 절도감 있게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의 힌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안면가리개의 힌지부가 절도감을 느끼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안면가리개수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부가리개판이 측면프레임부재에 결합되어 상, 하 이동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자는 기본적으로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부재(1)와, 이 착용부재(1)의 정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챙부재(2)를 포함한다.
이 착용부재(1)는 착용자의 머리에 씌워져 결합하는 캡형상으로 형성된 캡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 외 머리 둘레로 결합하는 띠형상의 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외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챙부재(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부재(1)의 정면에 중앙에서 양 측단이 아래로 굴곡된 원호형상을 가진다.
상기 챙부재(2)는 그 양 측면에 각각 내부로 측면가리개수단(3)을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리개삽입홈(2a)이 형성된다.
이 가리개삽입홈(2a)에 삽입되도록 장착되는 측면가리개수단(3)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단이 상기 챙부재(2)의 양 측에 형성되는 가리개삽입홈(2a)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내측단에 그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 돌기(11)가 돌출된 제 1 측면가리개판(10)과;
일 단이 상기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부에 원호형상으로 뚫려져 상기 가이드돌기(11)가 결합하는 전개가이드구멍(21)이 형성된 제 2 측면가리개판(20)과;
상기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의 일 단에 결합되어 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을 회동가능하게 챙부재(2)에 장착하는 측면가리개힌지부(30)와;
상기 제 2 측면가리개판(20)의 인출을 제한하는 측면가리개단속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측면가리개단속부재(40)는 제 2 측면가리개판(20)의 내측 측면 단부에 그 상부로 돌출되는 제 1 단속턱(41)과,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측면 단부 상부면에서 상기 제 1 단속턱(41)에 걸리는 위치에서 하부로 돌출된 제 2 단속턱(42)과, 제 1 측면가리개판(10)의 외측 측면 단부에 챙부재(2)의 측면에 걸리도록 돌출시켜 형성된 삽입제한돌기(43)를 포함한다.
제 2 측면가리개판(20)상기 챙부재(2)의 측면으로 인출될 경우 제 1 단속턱(41)이 제 2 단속턱(42)에 걸리는 위치까지 인출되고 이 제 1, 2 단속턱(41, 42)은 각각 제 2 측면가리개판(20)의 내측 단부와 챙부재(2)의 측면 단부에 형성되므로 제 2 측면가리개판(20)상기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에서 빠지지 않고 최대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삽입제한돌기(43)는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가리개삽입홈(2a) 삽입될 경우 챙부재(2)의 측면에 걸리게 되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가 리개삽입홈(2a) 내부로 너무 깊숙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은 원호면을 가지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내측으로 장착되며 이 원호면에 대응되는 원호로 제 2 측면가리개판(20)의 원호 측 단부에 전개가이드구멍(21)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가리개힌지부(3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측면가리개판(10) 상에 원판형상으로 돌출되며, 그 중앙에 축결합구멍(31a)이 관통되어 뚫린 힌지돌기부(31)와;
상기 힌지돌기부(31)의 외주면에 원호를 가지고 돌출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걸림부(32)와;
상기 힌지돌기부(3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홈(33a)이 형성되며 이 힌지결합홈(33a)의 내주면에 상기 탄성걸림부(32)가 삽입되고 걸리는 굴곡부(33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베이스힌지부(33)와;
상기 베이스힌지부(33)의 힌지결합홈(33a) 중앙에 돌출되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34)과;
상기 힌지축(34)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힌지축(34)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축결합부재(35)를 포함한다.
이 축결합부재(35)는 머리부가 구비되어 힌지축(34)의 단부로 체결되는 체결볼트(35a)를 사용하여 머리부가 제 2 측면가리개판(20)에 뚫려지는 제 2 결합구멍의 외측을 지지하여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힌지축(34)에서 분리되는 것 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체결볼트(35a)는 힌지축(34)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홈(34a)에 체결되어 힌지축(34)에서 분리 가능하므로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 또는 측면가리개힌지부(30)의 파손 시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것이다.
상기 굴곡부(33b)는 탄성걸림부(32)에 대응되는 원호형상의 골과 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파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힌지부(33)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상기 레일부(2b)로 챙부재(2)에 전, 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2b)는 챙부재(2)의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뚫려지고 일 측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파형부(2c)가 형성된 레일구멍(2d)과, 상기 베이스힌지부(33)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레일구멍(2d)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일 측에 파형부(2c)의 골과 산으로 삽입되고 걸리는 원호돌기(37)가 구비된 레일결합돌기(36)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면가리개수단(3)의 작동상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상기 챙부재(2)의 양측으로 인출되어 펼쳐져 사용되는 것이고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 시에 상기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은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내로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가 제 1 측면가리개판(10)을 잡아당기면 이 제 1 측면가리개판(10)이 측면가리개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챙부재(2)의 측면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 제 1 측면가리개판(1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11)가 전개가이드구멍(21)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릴 때까지 인출되어 펼쳐지는 것이다.
이 제 1 측면가리개판(10)이 완전히 펼쳐진 후 계속 해서 잡아당기면 가이드돌기(11)가 전개가이드구멍(21)의 단부에 걸려 제 2 측면가리개판(20)을 밀게 되는 것이다.
이 제 2 측면가리개판(20)은 제 1 측면가리개판(10)이 완전히 펼쳐진 후 가이드돌기(11)에 의해 밀려 측면가리개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챙부재(2)의 측면으로 인출되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 제 2 측면가리개판(20)은 제 2 단속턱(42)이 제 1 단속턱(41)에 걸릴 때 까지만 펼쳐져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에서 빠져 챙부재(2)와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는 것을 막고 그 전개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즉,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 1 측면가리개판(10)만 인출하여 펼쳐 햇빛을 가릴 수 있고, 제 1 측면가리개판(10)을 인출한 후 제 2 측면가리개판(20) 까지 인출하여 펼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제 1 측면가리개판(10)은 측면가리개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데 이 경우 힌지돌기부(31)가 베이스힌지부(33)의 힌지결합홈(33a)에서 회동된다.
이 때 힌지돌기부(31)의 외주면에 돌출된 탄성걸림부(32)가 힌지결합홈(33a)에 형성된 굴곡부(33b)에 삽입되어 그 회전된 각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걸림부(32)는 회동 중 자체 탄성력으로 굴곡부(33b)의 산에 의해 가압되고 굴곡부(33b)의 골에 위치하면 탄성력으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골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어 제 1 측면가리개판(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1 측면가리개판(10)은 회동 중 탄성걸림부(32)가 굴곡부(33b)의 산과 골에 가압되고 삽입되는 것이 반복되어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탄성걸림부(32)를 굴곡부(33b)의 골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일정 힘 이상을 가해야만 회동이 가능하여 접혀져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내로 삽입된 상태 또는 챙부재(2)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펼쳐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가리개힌지부는 베이스힌지부(33)의 레일결합돌기(36)가 레일구멍(2d)을 따라 이동하여 챙부재(2)의 전, 후로 이동되며, 이동 중에 레일결합돌기(36)의 원호돌기(37)가 레일구멍(2d)의 파형부(2c)의 산과 골을 통과하면서 절도감이 느끼게 되고 원호돌기(37)가 골에 삽입되어 걸려 그 이동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착용자가 측면가리개힌지부(30)를 전, 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회동되어 펼쳐지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다양한 차양 범위로 햇빛을 갈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챙부재(2)의 하부에는 챙부재(2)의 단부에서 아래로 회동하여 펼쳐지는 안면가리개수단(4)이 장착된다.
이 안면가리개수단(4)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을 가릴 수 있는 안면가리개부재(50)와;
상기 안면가리개부재(50)의 양 측면에 장착되어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프레임부재(60)와;
챙부재(2)의 하부 양 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레일홈(70a)이 파여진 가이드레일부재(7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70)의 레일홈(70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부재(80)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의 단부에 구비되어 이 측면프레임부재(60)를 이동부재(8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프레임힌지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면가리개부재(5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단이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안면 정면을 가리는 제 1 안면가리개판(51)과;
상기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상, 하부에 구비되며, 그 상, 하부면을 따라 스크린레일홈(52a)이 파여진 안면가리개레일(52)과;
상기 안면가리개레일(52)의 양 측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 1 안면가리개판(51)과 겹쳐지는 제 2 안면가리개판(53)과;
상기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안면가리개레일(52)을 따라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54)를 포함한다.
또 이 스토퍼부(54)는 상기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제 1 스토퍼돌기(54a)와;
상기 안면가리개레일(52)의 양 단부에 각각 스크린레일홈(52a)을 향해 돌출 되는 제 2 스토퍼돌기(54b)와;
상기 제 2 안면가리개판(53)의 스크린레일홈(52a)으로 결합되는 측 단부에 상기 제 1, 2 스토퍼돌기(54a, 54b)에 걸리도록 돌출되는 제 3 스토퍼돌기(54c)와;
상기 안면가리개레일(52)에 일정간격으로 다 수의 위치고정구멍(52b)을 뚫어 형성하고, 이 위치고정구멍(52b)에 삽입되도록 제 2 안면가리개판(53)에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53b)와;
상기 제 2 안면가리개판(53)의 측 단부에 착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제 1 파지돌기(53a)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안면가리개판(53)은 제 1 스토퍼돌기(54a)와 제 2 스토퍼돌기(54b) 사이의 구간에서 이동하여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양 측으로 펼쳐져 착용자의 안면 양 측을 감싸 가릴 수 있는 것이다.
또 작업자는 상기 제 1 파지돌기(53a)를 파지하여 제 2 안면가리개판(53)의 전개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위치고정돌기(53b)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형돌기로 형성되어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이동하면 안면가리개레일(52)을 밀어 벌리면서 이동방향에 있는 다음 위치고정구멍(52b)으로 이동하여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안면가리개레일(52)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벌려졌다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반복하여 위치고정구멍(52b)에 상기 위치고정돌기(53b)가 삽입되어 걸리게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에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상부로 상, 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이 결합된다.
이 측면프레임부재(60)의 일 측면에는 상기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의 측단이 결합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길이를 가지고 파여지며, 간격을 두고 높이조절돌기(61a)가 돌출된 프레임레일홈(6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의 양 측단에는 상기 프레임레일홈(61)에 결합되는 레일가이더(101)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돌기(61a)가 결합하여 걸리는 높이조절구멍(102)이 뚫려진다.
이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의 상단부에는 착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제 2 파지돌기(103)가 돌출되어 사용 시 착용자가 이 제 2 파지돌기(103)를 잡고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은 프레임레일홈(61)을 레일가이더(101)가 따라 상, 하로 이동하면서 높이조절구멍(102)에 높이조절돌기(61a)가 삽입되어 걸리는 위치에 따라 그 이동된 높이를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배면에는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부재(110)가 구비된다.
이 마스크부재(110)는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배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마스크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이 마스크결합부(120)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배면에 돌출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마스크결합구멍(121a)이 뚫린 마스크결합구(121)와;
상기 마스크결합구(121)의 마스크결합구멍(121a) 일측면에 돌출된 마스크높이조절돌기(122)와;
상기 마스크결합구(121)의 마스크결합구멍(121a)으로 결합되며 일 측면에 상기 마스크높이조절돌기(122)가 삽입되는 마스크높이조절홈(123a)이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마스크조립돌기(123)를 포함한다.
이 마스크부재(110)는 통기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호흡이 용이하도록 통기구멍(111)을 다 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부재(70)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홈(70a)의 하부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레일돌기(71)가 돌출되며, 이동부재(80)에는 하부면 일 측에 이 레일돌기(71)의 사이로 삽입되는 탄성지지부(81)가 돌출된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80)는 가이드레일부재(70)의 레일홈(70a)을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지지부(81)가 레일돌기(71) 사이에 위치되어 걸림으로써 그 이동된 위치를 단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힌지부재(90)는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가 일측면에 고정되고, 원판형상으로 돌출되며 중앙에 힌지구멍(91a)이 관통되어 뚫린 회동힌지부(91)와;
상기 회동힌지부(91)의 외주면에 원호를 가지고 돌출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돌출부(92)와;
상기 회동힌지부(9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회동홈(93a)이 형성되며 이 힌지회동홈(93a)의 내주면에 상기 탄성돌출부(92)가 삽입되고 걸리는 절도부(93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힌지부(93)와;
상기 고정힌지부(93)의 힌지회동홈(93a) 중앙에 돌출되어 힌지구멍(91a)으로 결합하는 힌지결합축(94)과;
상기 힌지결합축(94)에 결합되어 회동힌지부(91)를 지지하는 힌지결합부재(95)를 포함한다.
이 이 힌지결합부재(95)는 머리부가 구비되어 힌지결합축(94)의 단부로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사용하여 머리부가 회동힌지부(91)의 힌지구멍(91a) 외측을 지지하여 회동힌지부(91)가 고정힌지부(93)에서 분리되지않도록 장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체결볼트는 힌지결합축(94)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홈(94a)에 체결되어 힌지결합축(94)에서 분리 가능하므로 프레임힌지부재(90)의 파손 시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것이다.
상기 절도부(93b)는 탄성돌출부(92)에 대응되는 원호형상의 골과 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파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면가리개수단(4)의 작동상태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상기 챙부재(2)의 앞면을 가리는 제 1 안면가리개판(51)에서 양 측으로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인출되어 펼쳐지고,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상부로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을 승, 하강시켜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사용되는 것이고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 시에 상기 안면가리개수단(4)의 안면가리개부재(50)는 챙부재(2)의 하부면에 접혀져 삽입된 상태이며 이 경우 이동부재(80)는 가이드레일부재(70)의 내측 단부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가 안면가리개부재(50)를 챙부재(2)의 앞 측으로 잡아 당기면 이동부재(80)가 가이드레일부재(70)의 레일홈(70a)을 따라 이동하여 챙부재(2)의 앞 측으로 인출된다.
이렇게 이동부재(80)가 가이드레일부재(70)의 레일홈(70a)을 따라 이동할 경우 탄성돌출부(92)가 절도부(93b)에 의해 삽입되어 걸리게 되어 그 이동된 위치를 단속할 수 있어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부재(8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착용자가 안면가리개부재(50)를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시킨 후 그 단부를 잡고 아래로 내리면 이 안면가리개부재(50)는 프레임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데 이 경우 프레임 힌지부의 회동힌지부(91)가 고정힌지부(93)의 힌지회동홈(93a)에서 회동된다.
이 때 회동힌지부(91)의 외주면에 돌출된 탄성돌출부(92)가 힌지회동홈(93a)에 형성된 절도부(93b)에 삽입되어 그 회전된 각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출부(92)는 회동 중 자체 탄성력으로 절도부(93b)의 산에 의해 가압되고 절도부(93b)의 골에 위치하면 탄성력으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골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어 안면가리개부재(50)의 회동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안면가리개부재(50)는 회동 중 탄성돌출부(92)가 절도부(93b)의 산과 골에 가압, 삽입되는 것이 반복되어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탄성돌출부(92)를 절도부(93b)의 골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일정 힘 이상을 가해야만 회동이 가능하여 안면가리개부재(50)가 챙부재(2)의 하부면에 접혀진 상태에서 아래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그 회동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안면가리개부재(50)는 착용자의 안면 중 정면을 가리는 제 1 안면가리개판(51)과 이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양 측면으로 인출되는 제 2 안면가리개판(53)으로 구성되어 제 1 안면가리개판(1)이 안면을 가리도록 회동하여 내려진 상태에서 제 2 안면가리개판(53)을 양 측으로 인출시켜 그 가림부분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이 제 2 안면가리개판(53)은 외측 단부에 착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1 파지돌기(53a)가 돌출되어 착용자가 이 제 1 파지돌기(53a)를 잡고 제 2 안면가리개판(53)을 용이하게 인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제 2 안면가리개판(53)은 안면가리개레일(52)을 따라 이동하여 인출, 삽입되고 이 때 제 2 안면가리개판(53)의 하부에 돌출된 위치고정돌기(53b)가 위치고정구멍(52b)으로 삽입, 이탈되는 것을 반복하여 인출되는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 제 2 안면가리개판(53)은 스토퍼부(54)에 의해 그 인출 삽입 시 서로 겹쳐지거나, 안면가리개레일(52)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스토퍼부(54)의 제 1 스토퍼돌기(54a)는 제 1 안면가리개판(51)을 중앙에서 구획하여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측면으로 동일한 범위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제 1 안면가리개판(51)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경우 서로 겹쳐져 그 작동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부(54)의 제 2, 3 스토퍼돌기(54b, 54c)는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최대한 인출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안면가리개레일(52)의 양 단부, 제 2 안면가리개판(53)의 단부에서 서로 걸리도록 돌출되어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과도하게 인출되어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착용자가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인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고,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은 이 측면프레임부재(60)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착용자가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상부로 노출되는 안면을 가릴 수 있는 것이다.
이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은 상단부에 돌출된 제 2 파지돌기(103)를 착용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승, 하강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은 승, 하강 작동 중에 측면프레임부재(60)의 프레임레일홈(61)을 레일가이더(101)가 따라 상, 하로 이동하는 것이고, 이동 중 높이조절구멍(102)에 높이조절돌기(61a)가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이동된 높이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은 상부가 소정의 원호로 형성되어 좌, 우로 굴곡된 챙부재(2)의 하부면에 밀착시켜 착용자의 안면을 완전히 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착용자가 제 1 안면가리개판(51)으로 가려지지 않는 노출된 부위까지 완전히 가릴 수 있고 특히 착용자의 눈을 가릴 수 있어 야외에서 눈을 햇빛으로부터 완전히 차단해야할 경우에 이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을 사용하여 그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배면에는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리는 분리가능하게 마스크부재(110)가 결합하여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고, 봄철 황사현상이나, 여름철 오존주의보 발생 시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마스크부재(11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착용자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안면가리개수단(4)은 사용 후 펼쳐져 전개되는 것과 반대로 제 2 안면가리개판(53)을 제 1 안면가리개판(51)과 겹쳐지도록 안면가리개레일(52) 내부로 삽입하고, 이 삽입된 제 1, 2 안면가리개판(51, 53)을 착용자의 안면 앞 측으로 챙부재(2)와 수평이 되도록 들어 올린 후 챙부재(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안면가리개부재(50)가 챙부재(2)의 하부면에 접혀져 삽입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챙부재(2)는 상기 측면가리개수단(3)과 안면가리개수단(4) 중 최소한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것이고, 두 개 다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또 상기 측면가리개수단(3), 안면가리개수단(4)은 실시 예에서 한정되지 않 고 여러가지로 설계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챙부재에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 측면으로 측면가리개수단을 인출하여 그 차양 범위를 결정할 수 있고,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안면을 넓은 범위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안면가리개수단으로 착용자의 전체 안면을 모두 가려 햇빛을 차단할 수 있어 착용자의 피부를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의 편의성과 만족감을 증대시킴은 물론 근래에 자외선이 강한 외부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1)

  1.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부재(1)와;
    상기 착용부재(1)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판형상으로 햇빛을 가리며 양 측에 가리개삽입홈(2a)이 형성된 챙부재(2)와;
    일 단이 상기 챙부재(2)의 양 측에 형성되는 가리개삽입홈(2a)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내측단에 그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돌기(11)가 돌출된 제 1 측면가리개판(10)과;
    일 단이 상기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부에 원호형상으로 뚫려져 상기 가이드돌기(11)가 결합하는 전개가이드구멍(21)이 형성된 제 2 측면가리개판(20)과;
    상기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의 일 단에 결합되어 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을 회동가능하게 챙부재(2)에 장착하는 측면가리개힌지부(30)와;
    상기 제 2 측면가리개판(20)의 인출을 제한하는 측면가리개단속부재(4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리개단속부재(40)는 제 2 측면가리개판(20)의 내측 측면 단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제 1 단속턱(41)과,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측면 단부 상부면에서 상기 제 1 단속턱(41)에 걸리는 위치에서 하부로 돌출된 제 2 단속턱(42)과, 제 1 측면가리개판(10)의 외측 측면 단부에 챙부재(2)의 측면에 걸리도록 돌출시켜 형성된 삽입제한돌기(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리개힌지부(30)는 제 1 측면가리개판(10) 상에 원판형상으로 돌출되며, 그 중앙에 축결합구멍(31a)이 관통되어 뚫린 힌지돌기부(31)와;
    상기 힌지돌기부(31)의 외주면에 원호를 가지고 돌출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걸림부(32)와;
    상기 힌지돌기부(3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홈(33a)이 형성되며 이 힌지결합홈(33a)의 내주면에 상기 탄성걸림부(32)가 삽입되고 걸리는 굴곡부(33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베이스힌지부(33)와;
    상기 베이스힌지부(33)의 힌지결합홈(33a) 중앙에 돌출되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34)과;
    상기 힌지축(34)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힌지축(34)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축결합부재(3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힌지부(33)는 레일부(2b)로 챙부재(2)에 전, 후 이동가능하게 결 합되며, 상기 레일부(2b)는 챙부재(2)의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뚫려지고 일 측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파형부(2c)가 형성된 레일구멍(2d)과, 상기 베이스힌지부(33)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레일구멍(2d)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일 측에 파형부(2c)의 골과 산으로 삽입되고 걸리는 원호돌기(37)가 구비된 레일결합돌기(3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부재(1)와;
    상기 착용부재(1)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판형상으로 햇빛을 가리며 양 측 에 가리개삽입홈(2a)이 형성된 챙부재(2)와;
    일 단이 상기 챙부재(2)의 양 측에 형성되는 가리개삽입홈(2a)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내측단에 그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돌기(11)가 돌출된 제 1 측면가리개판(10)과;
    일 단이 상기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내측 단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단부에 원호형상으로 뚫려져 상기 가이드돌기(11)가 결합하는 전개가이드구멍(21)이 형성된 제 2 측면가리개판(20)과;
    상기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의 일 단에 결합되어 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을 회동가능하게 챙부재(2)에 장착하는 측면가리개힌지부(30)와;
    상기 제 2 측면가리개판(20)의 인출을 제한하는 측면가리개단속부재(40)와;
    상기 챙부재(2)의 하부 양 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레일홈(70a)이 파여진 가이드레일부재(7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70)의 레일홈(70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부재(80)와;
    상기 이동부재(80)에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프레임부재(60)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의 단부에 구비되어 이 측면프레임부재(60)를 이동부재(8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프레임힌지부재(90)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의 사이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안면가리개부재(5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리개단속부재(40)는 제 2 측면가리개판(20)의 내측 측면 단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제 1 단속턱(41)과, 챙부재(2)의 가리개삽입홈(2a) 측면 단부 상부면에서 상기 제 1 단속턱(41)에 걸리는 위치에서 하부로 돌출된 제 2 단속턱(42)과, 제 1 측면가리개판(10)의 외측 측면 단부에 챙부재(2)의 측면에 걸리도록 돌출시켜 형성된 삽입제한돌기(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리개힌지부(30)는 제 1 측면가리개판(10) 상에 원판형상으로 돌출되며, 그 중앙에 축결합구멍(31a)이 관통되어 뚫린 힌지돌기부(31)와;
    상기 힌지돌기부(31)의 외주면에 원호를 가지고 돌출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걸림부(32)와;
    상기 힌지돌기부(3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홈(33a)이 형성되며 이 힌지결합홈(33a)의 내주면에 상기 탄성걸림부(32)가 삽입되고 걸리는 굴곡부(33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베이스힌지부(33)와;
    상기 베이스힌지부(33)의 힌지결합홈(33a) 중앙에 돌출되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34)과;
    상기 힌지축(34)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1, 2 측면가리개판(10, 20)이 힌지축(34)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축결합부재(3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15. 청구항 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힌지부(33)는 레일부(2b)로 챙부재(2)에 전, 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2b)는 챙부재(2)의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뚫려지고 일 측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파형부(2c)가 형성된 레일구멍(2d)과, 상기 베이스힌지부(33)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레일구멍(2d)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일 측에 파형부(2c)의 골로 삽입되고 걸리는 원호돌기(37)가 구비된 레일결합돌기(3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안면가리개부재(50)는 양 측단이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안면 정면을 가리는 제 1 안면가리개판(51)과;
    상기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상, 하부에 구비되며, 그 상, 하부면을 따라 스크린레일홈(52a)이 파여진 안면가리개레일(52)과;
    상기 안면가리개레일(52)의 양 측으로 스크린레일홈(52a)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 1 안면가리개판(51)과 겹쳐지는 제 2 안면가리개판(53)과;
    상기 제 2 안면가리개판(53)이 안면가리개레일(52)의 스크린레일홈(52a)을 따라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54)는 상기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제 1 스토퍼돌기(54a)와;
    상기 안면가리개레일(52)의 양 단부에 각각 스크린레일홈(52a)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스토퍼돌기(54b)와;
    상기 제 2 안면가리개판(53)의 스크린레일홈(52a)으로 결합되는 측 단부에 상기 제 1, 2 스토퍼돌기(54a, 54b)에 걸리도록 돌출되는 제 3 스토퍼돌기(54c)와;
    상기 안면가리개레일(52)에 일정간격으로 다 수의 위치고정구멍(52b)을 뚫어 형성하고, 이 위치고정구멍(52b)에 삽입되도록 제 2 안면가리개판(53)에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53b)와;
    상기 제 2 안면가리개판(53)의 측 단부에 착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제 1 파지돌기(5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에는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상부로 상, 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안면가리개판(1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19. 청구항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배면에는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부재(110)가 구비되며, 이 마스크부재(110)는 제 1 안면가리개판(51)의 배면에 돌출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마스크결합구멍(121a)이 뚫린 마스크결합구(121)와, 상기 마스크결합구(121)의 마스크결합구멍(121a) 일측면에 돌출된 마스크높이조절돌기(122)와, 상기 마스크결합구(121)의 마스크결합구멍(121a)으로 결합되며 일 측면에 상기 마스크높이조절돌기(122)가 삽입되는 마스크높이조절홈(123a)이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마스크조립돌기(123)를 포함한 마스크결합부(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20.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70)는 레일홈(70a)의 하부면에 간격을 두고 다 수개의 레일돌기(71)가 돌출되며, 이동부재(80)에는 하부면 일측에 이 레일돌기(71)의 사이로 삽입되는 탄성지지부(81)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21.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힌지부재(90)는 상기 측면프레임부재(60)가 일측면에 고정되고, 원판형상으로 돌출되며 중앙에 힌지구멍(91a)이 관통되어 뚫린 회동힌지부(91)와;
    상기 회동힌지부(91)의 외주면에 원호를 가지고 돌출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돌출부(92)와;
    상기 회동힌지부(9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회동홈(93a)이 형성되며 이 힌지회동홈(93a)의 내주면에 상기 탄성돌출부(92)가 삽입되고 걸리는 절도부(93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힌지부(93)와;
    상기 고정힌지부(93)의 힌지회동홈(93a) 중앙에 돌출되어 힌지구멍(91a)으로 결합하는 힌지결합축(94)과;
    상기 힌지결합축(94)에 결합되어 회동힌지부(91)를 지지하는 힌지결합부재(9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20070005503U 2007-04-04 2007-04-04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0437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503U KR200437744Y1 (ko) 2007-04-04 2007-04-04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503U KR200437744Y1 (ko) 2007-04-04 2007-04-04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058U Division KR200440300Y1 (ko) 2007-08-24 2007-08-24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44Y1 true KR200437744Y1 (ko) 2007-12-27

Family

ID=4162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503U KR200437744Y1 (ko) 2007-04-04 2007-04-04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847A2 (ko) * 2009-07-22 2011-01-27 Kim Sung Gyu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WO2016047993A1 (ko) * 2014-09-26 2016-03-31 김두태 접철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847A2 (ko) * 2009-07-22 2011-01-27 Kim Sung Gyu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WO2011010847A3 (ko) * 2009-07-22 2011-06-16 Kim Sung Gyu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KR101046695B1 (ko) 2009-07-22 2011-07-05 김성규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US9032555B2 (en) 2009-07-22 2015-05-19 Sung Gyu Kim Visor cap having variable visors
WO2016047993A1 (ko) * 2014-09-26 2016-03-31 김두태 접철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7490U (ja) 帽子用補助遮光具
KR101530061B1 (ko)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KR200437744Y1 (ko)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0440300Y1 (ko) 차양 조절이 가능한 모자
JP3110940U (ja) 帽子
KR200457080Y1 (ko) 모자용 햇빛 가리개
KR200272741Y1 (ko) 자외선 차단모자용 헤어밴드
KR20210001895U (ko) 차양부에 착탈되는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KR200363387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101613949B1 (ko) 접철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100280152B1 (ko) 차양모와수건으로구성된햇빛가리개
KR200426425Y1 (ko) 이단 차양이 구비된 썬캡
KR20110001097U (ko) 기능성 썬 캡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KR200449863Y1 (ko)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102303367B1 (ko) 작업용 햇빛가리개 기구
JP3208582U (ja) 帽子
KR20180134579A (ko) 차양막이 구비된 차양모자와 이의 제조방법
KR200395300Y1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JP2011140734A (ja) サンバイザ
KR20120029653A (ko) 썬캡 겸용 모자
KR100956367B1 (ko) 차양모
KR200371294Y1 (ko) 선글라스를 갖는 모자
KR200416084Y1 (ko) 차양막을 갖는 차양모자
KR200440757Y1 (ko) 차광용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